[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1K photos
498 videos
466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 SignalLab -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

시그널랩은 '실전성'과 '간결성' 있는 투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 기반의 글로벌 금융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콘텐츠] 월 30건+
• 경제지표, 글로벌 매크로 방향성 분석
• 산업/테크 트렌드 및 투자전략 소개
• 특징 섹터/주식/테마 모니터링
• 특허 투자솔루션 분석 주식/ETF 공유

[소개] 시그널랩 - 네이버 프리미엄
https://naver.me/5wHMEqSk

[소개] 시그널랩 프리미엄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iglab_premium

👍 시그널랩은 전직 기관투자자 등 전문 필진이 함께 합니다. 월 커피 한잔 가격으로 무제한 이용하세요!

- SignalLab Research
테슬라, 자율주행 규제 완화에 주가 폭등…”로보택시, 한 발 가까워졌다”

- 미교통부 자율주행 면허 완화, 테슬라 9.8% 폭등
- 사이버캡 성큼

"한 번 팔고 나면 끝인 전기차와 달리 자율주행은 정기 구독 서비스로 매달 테슬라에 수익을 안겨준다." "테슬라는 오는 6월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자율주행 택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 내년에는 본격적으로 사이버캡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4/20250426030924239be84d87674_1
[WSJ] A Historic Gold Rush Is Under Way, From Wall Street to Main Street

- 무역전쟁·시장혼란·달러 약세 속 금 투자 열풍

✔️ 사상 최고가 돌파: 금값이 온스당 $3,500를 돌파하며 1980년 이후 최고 수준(물가조정 기준 포함)을 기록.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 금융시장 불안, 달러 약세가 상승세 견인.

✔️ ETF부터 실물까지 전방위 수요: 1분기 금 ETF에 사상 최대인 210억 달러 유입되며 BofA는 “가장 붐비는 트레이드”로 분류. 코스트코 소비자부터 각국 중앙은행, 개인 실물 투자자까지 폭넓은 참여.

✔️ 일반 대중도 실물 구매 확대: 온라인 플랫폼 Money Metals에 따르면 2월 이후 금괴·동전 실물 수요 급증. 뉴욕 다이아몬드지구 금딜러들도 방문자 증가와 거래 급증 보고.

✔️ 급등 후 조정 가능성: 단기 급등세 속 3.6% 하루 하락이 발생하며 과열 경고도 제기. 그러나 안전자산 수요는 여전히 강세를 뒷받침.

https://www.wsj.com/finance/commodities-futures/a-historic-gold-rush-is-under-way-from-wall-street-to-main-street-dd3af3a5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Economist] How to keep AI models on the straight and narrow

- AI를 올바르게 통제하는 법

✔️ 모델의 목표 회피 문제: 고급 AI 모델은 주어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상치 못한 우회 전략을 사용하거나, 이익을 위해 윤리적 해악을 숨기는 등 ‘기만적 행동’을 보일 수 있음. 훈련 목표와 실제 프롬프트가 충돌하는 경우가 대표적.

✔️ 프롬프트만으론 한계: 단순한 프롬프트 개선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어려우며, 모델이 테스트를 ‘속이거나’ 불확실한 상황에서 환각(hallucination) 반응을 보일 위험 존재.

✔️ 해석 가능성(interpretability)의 중요성: AI가 어떤 내부 표현을 통해 특정 응답을 생성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구는 환각이나 은밀한 논리를 탐지하는 데 효과적. 안전 위반을 사전 감지할 수 있음.

✔️ 배포 시 해석 도구 활용 권장: 훈련 단계에 해석 가능성 도구를 통합하면 AI가 기만을 더 정교하게 감추는 역효과가 날 수 있으나, 배포 시 사용하는 것은 성능 저하 없이 신뢰성 확보에 필수.

https://www.economist.com/leaders/2025/04/24/how-to-keep-ai-models-on-the-straight-and-narrow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WSJ] IMF Warns Against Support for Tariff-Hit Businesses as Government Debts Surge

- IMF, 관세 피해 기업 지원 자제 촉구… 글로벌 부채 팬데믹 수준 초과 전망

✔️ 글로벌 부채 전망: IMF는 미국 주도의 관세 인상과 지정학적 긴장 고조가 이어질 경우, 전 세계 정부 부채가 2030년까지 GDP의 100%를 넘길 수 있다고 경고.

✔️ 구체적 수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공공 부채는 2025년 95.1%, 2030년에는 99.6%에 도달할 전망이며, 최악의 경우 2027년까지 117%까지 치솟을 가능성도 제시됨.

✔️ 정책 권고: IMF는 각국 정부에 대해 관세로 피해를 입은 기업에 직접 재정 지원을 하는 대신, 세입 기반 확대, 면세 혜택 축소, 지출 효율화 등을 통해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라고 권고.

✔️ 미국·영국 부채 경고: 미국은 2030년까지 GDP 대비 부채 비율이 12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영국은 2029년까지 97.4%에 달할 전망. 프랑스, 중국, 브라질 등도 주요 부채 증가 국가로 지목.

✔️ 추가 시사점: IMF는 관세 충격이 기업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를 정부 재정으로 보전하려는 시도는 오히려 장기적 위기를 키울 수 있다고 강조.

https://www.wsj.com/economy/global/imf-warns-against-support-for-tariff-hit-businesses-as-government-debts-surge-d27b356b?st=tBg4fb&reflink=desktopwebshare_permalink
[시그널랩 리서치] 4/28 (월)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0,113.50 (+0.05%)
- S&P500: 5,525.21 (+0.74%)
- 나스닥: 17,382.94 (+1.26%)
- S&P500 VIX: 24.84 (-6.16%)
- 달러인덱스: 99.47 (+0.09%)
- WTI선물: 63.02 (+0.37%)
- MSCI 한국 Index Fund: 55.81 (-0.25%)

◆ Comment

- 우리 증시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하며 제한적인 약세 예상.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강세를 보였지만, 강세 요인들이 상당부분 우리 시장에 반영되었다는 인식이 차익실현 욕구 자극할 가능성 높음.
- 관건은 장중 중국의 반응. 관세 협상 기대감을 높이는 반응이 나올 경우 기대감 자극할 수 있음.
-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상승 마감. 관세 갈등 국면이 최악을 지났다는 인식이 대두된 점이 주된 강세 요인으로 작용.
- 트럼프 대통령은 타임지 인터뷰에서 시진핑 주석과 통화했다면서 향후 3~4주 안에 모든 협상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 유력 외신에서는 중국발 소신통을 인용,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지 않았다고 보도하며 의구심 나왔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겨냥해 유의미한 조치를 내놓지 않으면 대중 관세는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 재차 압박한 점이 장중 투심을 악화시키기도 함.
- 다만 시장에서는 결국 협상은 진행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졌고, 관세를 무작위로 부과하는 최악의 국면은 지났다는 안도감이 부각하면서 장 막판 재차 상승폭 확대.
- 미국의 경제지표는 대체로 무난하게 발표. 4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1년 6.5%, 5년 4.4%로 시장 예상(1년 6.7%, 5년 4.4%)을 대체로 하회.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의 경우 기대지수 47.3, 심리지수 52.로 시장 예상(기대지수 47.2, 심리지수 50.8)을 소폭 상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DB하이텍 (00099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32

● 매출액: 2,974억원
- YoY: +13.7%
- QoQ: +4.9%
- 컨센대비: -9.6%

● 영업이익: 525억원
- YoY: +27.8%
- QoQ: +48.6%
- 컨센대비: -16.1%

● 당기순이익: 455억원
- YoY: +3.6%
- QoQ: -9.7%
- 컨센대비: -33.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