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AI 활용이 불러오는 경제효과는 얼마나 될까?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01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01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기기냠냠: “AI 쓰면 연 122시간 절약” 구글, 행정업무 자동화로 500조 성장 기대 구글 AI 실험 결과, 영국 근로자들이 행정 업무에서 연평균 122시간 절약 가능 이메일 작성, 일정 관리, 회의록 정리 등 반복 업무에 AI 활용 AI 사용률 증가 사례 교육 후 55세 이상 여성의 주간 사용률: 17% → 56% 훈련 후에도 지속적으로 AI... $ADBE $CRM $GOOG $GOOGL $INTU $MSFT #AI경제효과 #AI교육 #AI도입…
어제 있었던 연준 위원들의 발언 내용입니다. 발언의 내용은 전반적으로 크게 특별한 것은 없었던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면서 5월 금리 인하가 너무 이르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6월까지 명확하게 설득력 있는 데이터가 확보되고, 그 시점에 어떤 방향으로 움직여야 할지 알게 되면 위원회가 금리를 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6월 FOMC가 6월 18일로 예정되어 있고, 연준이 주로 보는 PCE 물가지수의 경우 매월 중순 이후에 발표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물가의 경우 5월까지 상황을 보고 6월 금리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암시하는 발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의 경우 관세 영향을 언급한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우선,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일부 기업들이 해고를 계획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했는데, 일부 기업들에게선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한 구조조정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는 것을 전해들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이는 관세 정책이 완화되지 않고 그대로 시행되었을 때, 실업률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 함께 무역 갈등이 해소된다면 시장의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보다 낙관적인 전망이 가능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는데, 이는 최근 트럼프의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조성된 것와 관련하여 이를 더 강화시켜줄 수 있는 발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면서 5월 금리 인하가 너무 이르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6월까지 명확하게 설득력 있는 데이터가 확보되고, 그 시점에 어떤 방향으로 움직여야 할지 알게 되면 위원회가 금리를 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6월 FOMC가 6월 18일로 예정되어 있고, 연준이 주로 보는 PCE 물가지수의 경우 매월 중순 이후에 발표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물가의 경우 5월까지 상황을 보고 6월 금리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암시하는 발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의 경우 관세 영향을 언급한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우선,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일부 기업들이 해고를 계획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했는데, 일부 기업들에게선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한 구조조정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는 것을 전해들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이는 관세 정책이 완화되지 않고 그대로 시행되었을 때, 실업률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 함께 무역 갈등이 해소된다면 시장의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보다 낙관적인 전망이 가능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는데, 이는 최근 트럼프의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조성된 것와 관련하여 이를 더 강화시켜줄 수 있는 발언으로 볼 수 있습니다.
[WSJ] ‘I Could Lose It All Tomorrow’: The Traders Leaning In to Wild Markets
- 변동성 장세 속 공격적으로 베팅하는 젊은 투자자들
✔️ 하락장 속 ‘기회’로 인식: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시장 급락이 있었던 4월 초, 일부 젊은 개인 투자자들은 이를 매수 기회로 간주하고 비트코인, 초단기 옵션, 3배 레버리지 ETF, 고베타 주식 등에 자금을 투입함.
✔️ 극단적 포트폴리오 구성: 투자자 댄 옥스네바드는 7자리 자산의 90%를 암호화폐 및 관련 주식에 집중 투자했으며, 일부는 게임스톱 콜옵션이나 루시드·리커전 등 고변동 종목에 자산 대부분을 베팅함.
✔️ 전통 자산 회귀와 대비: 전문가들은 금이나 현금으로 자금을 이동하고 있으나, 젊은 투자자들은 고위험 자산에 ‘올인’하며, 하락이 계속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익을 노리고 과감한 전략을 고수함.
✔️ 공격적 투자 마인드: 일부는 연준 리스크 이후 우량주로 옮겨가며 포지션을 조정하기도 하나, 대다수는 “변동성에 정면 돌파해야 부를 이룰 수 있다”는 신념으로 시장에 적극 참여 중.
https://www.wsj.com/finance/stocks/yolo-stock-traders-young-investors-9feaf501
- 변동성 장세 속 공격적으로 베팅하는 젊은 투자자들
✔️ 하락장 속 ‘기회’로 인식: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시장 급락이 있었던 4월 초, 일부 젊은 개인 투자자들은 이를 매수 기회로 간주하고 비트코인, 초단기 옵션, 3배 레버리지 ETF, 고베타 주식 등에 자금을 투입함.
✔️ 극단적 포트폴리오 구성: 투자자 댄 옥스네바드는 7자리 자산의 90%를 암호화폐 및 관련 주식에 집중 투자했으며, 일부는 게임스톱 콜옵션이나 루시드·리커전 등 고변동 종목에 자산 대부분을 베팅함.
✔️ 전통 자산 회귀와 대비: 전문가들은 금이나 현금으로 자금을 이동하고 있으나, 젊은 투자자들은 고위험 자산에 ‘올인’하며, 하락이 계속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익을 노리고 과감한 전략을 고수함.
✔️ 공격적 투자 마인드: 일부는 연준 리스크 이후 우량주로 옮겨가며 포지션을 조정하기도 하나, 대다수는 “변동성에 정면 돌파해야 부를 이룰 수 있다”는 신념으로 시장에 적극 참여 중.
https://www.wsj.com/finance/stocks/yolo-stock-traders-young-investors-9feaf501
WSJ
‘I Could Lose It All Tomorrow’: The Traders Leaning In to Wild Markets
Instead of retreating to safety, some rookie traders are making even bigger, riskier bets.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J.P.모건, “Sell America는 과장됐다” 이유는?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04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04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했제펀드운용실장: J.P.모건 “Sell America는 과장됐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美 자산 순매수 중 외국인 투자자들, 미국 주식·채권 대규모 매도 없다 → 2025년 4월 기준, 비(非) 미국계 ETF도 美 주식 계속 순매수 중 → 채권 역시 매도는 있었지만 소폭에 그침 ETF 자금 흐름 미국 주식 ETF 순유입: 2024년 11~12월... $IEF $QQQ $SPY $TLT #JP모건 #미국경제 #미국주식 #미국채권 #시장분석 #해외자금흐름…
‘생존 위협’…기업들 사업 재편 ‘러시’
- ‘돈 안되는’ 사업철수·자산정리
- ‘캐즘’에 배터리·충전기 위기
- 프로젝트 중단·구조조정까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62777
- ‘돈 안되는’ 사업철수·자산정리
- ‘캐즘’에 배터리·충전기 위기
- 프로젝트 중단·구조조정까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62777
Naver
‘생존 위협’…기업들 사업 재편 ‘러시’
‘돈 안되는’ 사업철수·자산정리 ‘캐즘’에 배터리·충전기 위기 프로젝트 중단·구조조정까지 올 들어 국내 기업들의 비주력 사업 중단 및 자산 매각 움직임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4대 그룹을 필두로 대기업 전반에 걸쳐
SKT, 해킹사고 사흘 만에 "가입자 전원 유심 무상교체"…유영상 "진심으로 사과"(종합)
- 18일 자정 기준 가입자 대상…사고 이후 자비 교체한 경우는 비용 환급
- 일 500만 가입자씩 '유심보호서비스' 안내 문자…취약계층엔 전화로 안내
- 유사 침해 여부 전수 조사…확인된 2차 피해 없지만 보이스피싱 조심해야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25_0003153993
- 18일 자정 기준 가입자 대상…사고 이후 자비 교체한 경우는 비용 환급
- 일 500만 가입자씩 '유심보호서비스' 안내 문자…취약계층엔 전화로 안내
- 유사 침해 여부 전수 조사…확인된 2차 피해 없지만 보이스피싱 조심해야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25_0003153993
뉴시스
SKT, 해킹사고 사흘 만에 "가입자 전원 유심 무상교체"…유영상 "진심으로 사과"(종합)
[서울=뉴시스] 심지혜 윤현성 기자 = 해킹 사고로 가입자 유심(USIM) 정보가 유출된 SK텔레콤이 유심을 무상 교체해 주기로 했다. 해킹 사고 공개 사흘만의 결정이다. 아직 정부와 정확한 유출 규모 등을 조사 중이라 구체적인 피해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고객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2차 피해에 대한 우려를 막겠다는 취지다. 특히 SK텔레콤은 이번 사고를 ..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최고 수익을 올린 애니메이션은?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662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662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삼박자매매법: 최고 수익을 올린 애니메이션은? ‘너자2’가 2025년 $2.1B 흥행으로 역대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1위 등극 디즈니·픽사 독점 시대에 중국 애니메이션의 글로벌 돌풍 디즈니·픽사 점유율 70%↑, 여전히 시장 장악 가족, 감성, 여성 주인공 중심의 글로벌 공감 콘텐츠가 대세 여름·연말 개봉 등 전략적 개봉 시기가 흥행 핵심 $KOD... $BIDU $DIS $KODEX미디어&엔터테인먼트 $TIGER미디어컨텐츠 #디즈니 #머천다이징…
[속보] 中, 보복한다더니...美 반도체는 수입 관세 제외
"미국 CNN은 25일 중국 IT 산업 중심지인 선전 지역의 수입 기관 3곳의 통관 자료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CNN은 중국이 지난 12일부터 모든 미국 제품에 125%의 보복 관세 적용을 선언했으나 집적회로를 비롯한 일부 반도체에는 적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4251446498143
"미국 CNN은 25일 중국 IT 산업 중심지인 선전 지역의 수입 기관 3곳의 통관 자료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CNN은 중국이 지난 12일부터 모든 미국 제품에 125%의 보복 관세 적용을 선언했으나 집적회로를 비롯한 일부 반도체에는 적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4251446498143
파이낸셜뉴스
[속보] 中, 보복한다더니...美 반도체는 수입 관세 제외
중국 정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공격에 맞서 부과했던 125%의 보복관세와 관련해 일부 예외를 적용했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중국은 일단 8종의 미국산 반도체에는 관세를 물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미국 CNN은 25일 중국 IT 산업 중심지인 선전 지역의..
”HBM2E 생산 축소”… 삼성전자, 中 추격에 구형 메모리 사업 정리 수순
- “HBM2E ‘마지막 판매’ 단계 접어들어“
- DDR4 등 中 추격 빨라… 수익성 악화
- HBM3E, HBM4 등 차세대 HBM 사업 집중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4/25/YPUIHUY7UVAYXAZR5QVQ5KK5RI
- “HBM2E ‘마지막 판매’ 단계 접어들어“
- DDR4 등 中 추격 빨라… 수익성 악화
- HBM3E, HBM4 등 차세대 HBM 사업 집중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4/25/YPUIHUY7UVAYXAZR5QVQ5KK5RI
Chosun Biz
“HBM2E 생산 축소”… 삼성전자, 中 추격에 구형 메모리 사업 정리 수순
HBM2E 생산 축소 삼성전자, 中 추격에 구형 메모리 사업 정리 수순 HBM2E 마지막 판매 단계 접어들어 DDR4 등 中 추격 빨라 수익성 악화 HBM3E, HBM4 등 차세대 HBM 사업 집중
[시그널랩 리서치] 4/25 (금) 마감 리뷰
https://t.me/siglab
◆ Market
- KOSPI: 2,546.30 (+0.95%)
- KOSDAQ: 729.69 (+0.50%)
- NIKKEI 225: 35,705.74 (+1.90%)
- 상해종합지수: 3,295.06 (-0.07%)
- 대만 가권: 19,872.73 (+2.02%)
- 원달러: 1,436.80 (+0.49%)
- 코스피 수급 동향: 개인(-7,730억), 기관(+4,987억), 외국인(+2,254억)
- 코스닥 수급 동향: 개인(-54억), 기관(-641억), 외국인(+783억)
- 선물 수급 동향: 개인(-417억), 기관(-4,655억), 외국인(+4,943억)
- KOSPI 프로그램 동향: 차익(+141억), 비차익(+1,755억)
◆ Comment
- 우리 증시는 양 시장 상승 마감.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이 높아진 점이 주된 강세 요인으로 작용.
-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관세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고, 중국에서는 미국 반도체 8종에 대해 관세를 철회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점 등이 미중간 협상 국면에 돌입한 것이라는 기대감을 자극.
- 외국인이 현선물 동반 순매수에 나선 가운데, 개인은 현선물 동반 순매도. 기관은 KOSPI에서만 순매수를 기록.
- KOSPI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운송장비부품, 금융, 화학 등 다수의 업종을 순매수. 개인은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도했지만, 제약, 운송창고 등 일부 업종에 대해서는 순매수.
- KOSDAQ에서 외국인은 금융, 기계장비, 금속 등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수. 기관과 개인은 전체적으로 순매도를 보였지만, 기관은 유통, 건설 등, 개인은 제약, 전기전자 등 일부 업종에서는 순매수를 기록.
- 시장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 섹터가 다수를 차지. 섹터 중에서는 반도체, 2차전지 섹터 등이 강세를 보인 반면, 의료기기, 화장품 등 일부 섹터는 약세.
-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강세 마감. 일본 니케이225(+1.90%), 중국 상해종합(-0.07%), 대만 가권(+2.02%) 등.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 Market
- KOSPI: 2,546.30 (+0.95%)
- KOSDAQ: 729.69 (+0.50%)
- NIKKEI 225: 35,705.74 (+1.90%)
- 상해종합지수: 3,295.06 (-0.07%)
- 대만 가권: 19,872.73 (+2.02%)
- 원달러: 1,436.80 (+0.49%)
- 코스피 수급 동향: 개인(-7,730억), 기관(+4,987억), 외국인(+2,254억)
- 코스닥 수급 동향: 개인(-54억), 기관(-641억), 외국인(+783억)
- 선물 수급 동향: 개인(-417억), 기관(-4,655억), 외국인(+4,943억)
- KOSPI 프로그램 동향: 차익(+141억), 비차익(+1,755억)
◆ Comment
- 우리 증시는 양 시장 상승 마감.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이 높아진 점이 주된 강세 요인으로 작용.
-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관세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고, 중국에서는 미국 반도체 8종에 대해 관세를 철회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점 등이 미중간 협상 국면에 돌입한 것이라는 기대감을 자극.
- 외국인이 현선물 동반 순매수에 나선 가운데, 개인은 현선물 동반 순매도. 기관은 KOSPI에서만 순매수를 기록.
- KOSPI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운송장비부품, 금융, 화학 등 다수의 업종을 순매수. 개인은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도했지만, 제약, 운송창고 등 일부 업종에 대해서는 순매수.
- KOSDAQ에서 외국인은 금융, 기계장비, 금속 등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수. 기관과 개인은 전체적으로 순매도를 보였지만, 기관은 유통, 건설 등, 개인은 제약, 전기전자 등 일부 업종에서는 순매수를 기록.
- 시장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 섹터가 다수를 차지. 섹터 중에서는 반도체, 2차전지 섹터 등이 강세를 보인 반면, 의료기기, 화장품 등 일부 섹터는 약세.
-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강세 마감. 일본 니케이225(+1.90%), 중국 상해종합(-0.07%), 대만 가권(+2.02%) 등.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4/25 (금)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미국) 4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 예상: 6.7%(1년), 4.4%(5년)
- 이전: 5.0%(1년), 4.1%(5년)
● (미국) 4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
- 예상: 47.2(기대지수), 50.8(심리지수)
- 이전: 52.6(기대지수), 57.0(심리지수)
# 오늘은 미시간 대학교에서 발표하는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지수 발표가 예정.
# 최근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에 대한 언급이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시장에서는 이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 높음.
# 시장에서는 기대 인플레이션의 경우 이전보다 상승, 심리지수의 경우 이전보다 하락을 예상.
#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기대 인플레이션의 급격한 상승. 관세 영향 때문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
# 다만 경제지표보다는 관세 협상 관련 기대감이 시장을 움직일 주요 변수가 될 가능성 높음. 특히 미중간 협상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시장에서는 실제 협상 진행 여부에 대해 주목하는 상황이기 때문.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 (미국) 4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 예상: 6.7%(1년), 4.4%(5년)
- 이전: 5.0%(1년), 4.1%(5년)
● (미국) 4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
- 예상: 47.2(기대지수), 50.8(심리지수)
- 이전: 52.6(기대지수), 57.0(심리지수)
# 오늘은 미시간 대학교에서 발표하는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지수 발표가 예정.
# 최근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에 대한 언급이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시장에서는 이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 높음.
# 시장에서는 기대 인플레이션의 경우 이전보다 상승, 심리지수의 경우 이전보다 하락을 예상.
#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기대 인플레이션의 급격한 상승. 관세 영향 때문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
# 다만 경제지표보다는 관세 협상 관련 기대감이 시장을 움직일 주요 변수가 될 가능성 높음. 특히 미중간 협상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시장에서는 실제 협상 진행 여부에 대해 주목하는 상황이기 때문.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다음주(4/28~5/2)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4/29 화요일
● (휴장) 일본
● (독일) 5월 GfK 소비자동향
- 이전: -24.5
● (미국) S&P/CS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 이전: YoY +4.7%, MoM +0.1%
● (미국) 4월 CB 소비자신뢰지수
- 이전: 92.9
● (미국) 3월 노동부 구인, 이직 보고서 채용공고 수
- 이전: 756만 8천 건
4/30 수요일
● (한국) 3월 산업생산
- 이전: YoY +7.0%, MoM +1.0%
● (한국) 3월 소매판매
- 이전: MoM +1.5%
● (호주)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4%, QoQ +0.2%
● (중국) 4월 제조업 PMI
- 이전: 50.5
● (중국) 4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0.8
● (중국) 4월 차이신 제조업 PMI
- 이전: 51.2
● (독일) 3월 소매판매
- 이전: MoM +0.8%
● (독일) 1분기 GDP
- 이전: YoY -0.2%, QoQ -0.2%
● (EU) 1분기 GDP
- 이전: YoY +1.2%, QoQ +0.2%
● (독일)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2%, MoM +0.3%
● (미국) 4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 이전: 15만 5천 명 증가
● (미국) 1분기 GDP
- 이전: QoQ +2.4%
● (미국) 4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
- 이전: 47.6
● (미국) 3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 이전: YoY +2.5%, MoM +0.3%
● (미국) 3월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 이전: YoY +2.8%, MoM +0.4%
● (미국) 3월 잠정주택매매
- 이전: MoM +2.0%
● (미국) EIA 주간 원유재고
- 이전: 24만 4천 배럴 증가
5/1 목요일
● (휴장) 한국, 대만, 독일, 중국, 홍콩
● (한국) 4월 무역수지
- 이전: 41억 5천 만 달러 흑자
● (일본) 일본은행 5월 금융정책위원회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미국) 4월 제조업 PMI
- 이전: 50.2
● (미국) 4월 ISM 제조업 PMI
- 이전: 49.0
● (미국) 3월 건설지출
- 이전: MoM +0.7%
5/2 금요일
● (휴장) 중국
● (한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1%, MoM +0.2%
● (독일) 4월 제조업 PMI
- 이전: 48.3
● (EU) 4월 제조업 PMI
- 이전: 48.6
● (EU)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2%, MoM +0.6%
● (EU) 4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4%
● (미국) 4월 비농업고용지수
- 이전: 22만 8천 명 증가
● (미국) 4월 민간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 이전: 20만 9천 명 증가
● (미국) 3월 공장수주
- 이전: MoM +0.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4/29 화요일
● (휴장) 일본
● (독일) 5월 GfK 소비자동향
- 이전: -24.5
● (미국) S&P/CS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 이전: YoY +4.7%, MoM +0.1%
● (미국) 4월 CB 소비자신뢰지수
- 이전: 92.9
● (미국) 3월 노동부 구인, 이직 보고서 채용공고 수
- 이전: 756만 8천 건
4/30 수요일
● (한국) 3월 산업생산
- 이전: YoY +7.0%, MoM +1.0%
● (한국) 3월 소매판매
- 이전: MoM +1.5%
● (호주)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4%, QoQ +0.2%
● (중국) 4월 제조업 PMI
- 이전: 50.5
● (중국) 4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0.8
● (중국) 4월 차이신 제조업 PMI
- 이전: 51.2
● (독일) 3월 소매판매
- 이전: MoM +0.8%
● (독일) 1분기 GDP
- 이전: YoY -0.2%, QoQ -0.2%
● (EU) 1분기 GDP
- 이전: YoY +1.2%, QoQ +0.2%
● (독일)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2%, MoM +0.3%
● (미국) 4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 이전: 15만 5천 명 증가
● (미국) 1분기 GDP
- 이전: QoQ +2.4%
● (미국) 4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
- 이전: 47.6
● (미국) 3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 이전: YoY +2.5%, MoM +0.3%
● (미국) 3월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 이전: YoY +2.8%, MoM +0.4%
● (미국) 3월 잠정주택매매
- 이전: MoM +2.0%
● (미국) EIA 주간 원유재고
- 이전: 24만 4천 배럴 증가
5/1 목요일
● (휴장) 한국, 대만, 독일, 중국, 홍콩
● (한국) 4월 무역수지
- 이전: 41억 5천 만 달러 흑자
● (일본) 일본은행 5월 금융정책위원회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미국) 4월 제조업 PMI
- 이전: 50.2
● (미국) 4월 ISM 제조업 PMI
- 이전: 49.0
● (미국) 3월 건설지출
- 이전: MoM +0.7%
5/2 금요일
● (휴장) 중국
● (한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1%, MoM +0.2%
● (독일) 4월 제조업 PMI
- 이전: 48.3
● (EU) 4월 제조업 PMI
- 이전: 48.6
● (EU)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2%, MoM +0.6%
● (EU) 4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4%
● (미국) 4월 비농업고용지수
- 이전: 22만 8천 명 증가
● (미국) 4월 민간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 이전: 20만 9천 명 증가
● (미국) 3월 공장수주
- 이전: MoM +0.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 <글로벌 이슈 / 시장 컬러>
✅ 미-중 관세 협상 향방에 주목…우회 수출 차단 위한 아세안 협상도 변수
현재까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상호관세 충격은 제한적이나, 지속 시 수출 및 경기 악영향 불가피. 미-중 관세협상 타결 여부가 중국 경기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요인. 한편,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들과의 우회수출 차단 협상도 병행되며 중국 수출경기에 영향 가능.
✅ 한국 1분기 GDP 역성장…연간 0.7% 성장률 전망
내수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성장률은 0.2%에 그칠 전망. 수출 회복 제약과 내수 둔화 동반으로 민간부문 기여도 저조. 미국 성장률이 1%대로 둔화되면 한국 수출금액 증가율은 과거에도 역성세를 보여, 추가적 성장 모멘텀 확보 어려움 예상.
✅ 영국 장단기 금리차 축소 제한적…장기물 발행 비중 하락 주목
2년물 국채금리는 상반기 중 3.6~3.9% 내 움직일 전망. 재무부의 2025년 차입계획에서 장기물 발행 비중이 13%로 축소되며 장기물 금리 상승폭은 제한될 가능성. 반면 2/10년 금리차는 70bp 전후로 축소되기 어렵다는 의견에 무게.
✅ 서비스나우, 실적 부합에도 가이던스 상향…AI 수익화 본격화
1Q25 실적 컨센서스 부합, EPS는 예상 상회. 컨콜에서 1) 비용절감 수요로 AI 도입 가속, 2) Agentic AI 수익화 조짐, 3) 내부 AI 도입 통한 비용개선 등을 언급. 불안한 매크로 환경 속에서도 체질 개선과 AI 상용화가 실적의 핵심 요인으로 부상.
✅ 미국, 동남아 태양광 AD/CVD 확정…中 기업 타격·美 내 공급부각
미 상무부가 캄보디아·말레이시아·베트남·태국 수입 태양광 제품에 고율 AD/CVD 확정. 이는 1) 중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 약화, 2) 미국 태양광 모듈 가격 반등, 3) 공급과잉 완화로 이어질 가능성. 미국 내 제조업 부흥과 에너지 전략과 연계된 흐름.
#시그널랩리서치 #관세협상 #한국GDP #서비스나우 #태양광관세 #중국수출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 미-중 관세 협상 향방에 주목…우회 수출 차단 위한 아세안 협상도 변수
현재까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상호관세 충격은 제한적이나, 지속 시 수출 및 경기 악영향 불가피. 미-중 관세협상 타결 여부가 중국 경기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요인. 한편,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들과의 우회수출 차단 협상도 병행되며 중국 수출경기에 영향 가능.
✅ 한국 1분기 GDP 역성장…연간 0.7% 성장률 전망
내수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성장률은 0.2%에 그칠 전망. 수출 회복 제약과 내수 둔화 동반으로 민간부문 기여도 저조. 미국 성장률이 1%대로 둔화되면 한국 수출금액 증가율은 과거에도 역성세를 보여, 추가적 성장 모멘텀 확보 어려움 예상.
✅ 영국 장단기 금리차 축소 제한적…장기물 발행 비중 하락 주목
2년물 국채금리는 상반기 중 3.6~3.9% 내 움직일 전망. 재무부의 2025년 차입계획에서 장기물 발행 비중이 13%로 축소되며 장기물 금리 상승폭은 제한될 가능성. 반면 2/10년 금리차는 70bp 전후로 축소되기 어렵다는 의견에 무게.
✅ 서비스나우, 실적 부합에도 가이던스 상향…AI 수익화 본격화
1Q25 실적 컨센서스 부합, EPS는 예상 상회. 컨콜에서 1) 비용절감 수요로 AI 도입 가속, 2) Agentic AI 수익화 조짐, 3) 내부 AI 도입 통한 비용개선 등을 언급. 불안한 매크로 환경 속에서도 체질 개선과 AI 상용화가 실적의 핵심 요인으로 부상.
✅ 미국, 동남아 태양광 AD/CVD 확정…中 기업 타격·美 내 공급부각
미 상무부가 캄보디아·말레이시아·베트남·태국 수입 태양광 제품에 고율 AD/CVD 확정. 이는 1) 중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 약화, 2) 미국 태양광 모듈 가격 반등, 3) 공급과잉 완화로 이어질 가능성. 미국 내 제조업 부흥과 에너지 전략과 연계된 흐름.
#시그널랩리서치 #관세협상 #한국GDP #서비스나우 #태양광관세 #중국수출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차갑게 식어가는 ‘철의 도시’… “40년 일한 공장까지 문닫아”
-제조업 ‘퍼스트 스톰’ 현장 르포
-경기침체-中저가 공세-美관세 겹쳐… -철강-석유화학-배터리 산업 휘청
-작년 영업이익 1년새 66% 급감… 포항-여수 산단 지역경제도 위기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424/131481770/2
-제조업 ‘퍼스트 스톰’ 현장 르포
-경기침체-中저가 공세-美관세 겹쳐… -철강-석유화학-배터리 산업 휘청
-작년 영업이익 1년새 66% 급감… 포항-여수 산단 지역경제도 위기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424/131481770/2
동아일보
차갑게 식어가는 ‘철의 도시’… “40년 일한 공장까지 문닫아”
“외환위기도 무사히 넘겼는데, 공장이 문을 닫았다는 게 아직도 실감 나질 않습니다.” 한때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던 경북 포항시 ‘포스코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은 차갑게 식은 채 …
이 여배우가 톰 크루즈→브래드 피트 제치고 '세계최고부자' 1위..재산 11조
- 톰 크루즈, 브래드 피트 다 제쳤다
- 배우 중 최고 부자라는 '이 사람'
https://biz.chosun.com/entertainment/enter_general/2025/04/24/QGLMVOH5JVYZFLZDS5ODBRG62I/
- 톰 크루즈, 브래드 피트 다 제쳤다
- 배우 중 최고 부자라는 '이 사람'
https://biz.chosun.com/entertainment/enter_general/2025/04/24/QGLMVOH5JVYZFLZDS5ODBRG62I/
Chosun Biz
이 여배우가 톰 크루즈→브래드 피트 제치고 '세계최고부자' 1위..재산 11조 [Oh!llywood]
이 여배우가 톰 크루즈→브래드 피트 제치고 세계최고부자 1위..재산 11조 Ohllyw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