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1K photos
496 videos
462 files
106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대신증권 원자재/파생 최진영
⛏️<반등하는 구리, 수혜자는 구리가 아닌 칠레 ETF(4/25)>
(대신증권 원자재 최진영)

✅️ 경기 둔화 우려에도 반등 시도하는 구리 가격, 이유는 각국 이에 대응하려는 정부+중앙은행, 유동성에 대한 기대감

✅️ 여전한 구조적 공급 부족 문제, 미래 수요는 확장 추세지만 광산 노후화로 생산성 하락, 오늘날 광산 개발 투자는 10~15년 후 공급

✅️ 가격 저항선 + 비용 문제 존재하는 구리와 구리 광산, 그렇기에 은행 비중 높은 칠레 ETF 선호. 구리 산업의 성장은 대출 수요를 늘린다

📩 자료 URL:
https://tinyurl.com/2y8zfs5k
Forwarded from [ IT는 SK ] (제민 박)
[SK증권 해외주식 박제민]

Alphabet: 투자 수익성 확인, 저평가 명확

▶️ Capex 투자 우려 불식
Cloud 부문 OP 컨세서스 14% 상회
Subscription&Platforms 부문 OP 컨센서스 5% 상회
QnA를 통해 내부 비용 효율성 증가 및 수익성 자신감
분기 배당금 5% 상향 및 $70B 자사주 매입 발표도 자신감의 연장선으로 판단

▶️ 기대되는 Subscription&Platforms 부문의 성장
두 사업부는 공격적인 AI 추론비용 감소 수혜 가능
YouTube 체류 시간 증가, Google One은 Premium 비율 증가로 ASP 상승
안드로이드 OS의 Assistant가 Gemini로 강화되는 추세, 플랫폼 접근성 증가

▶️ Search 부문 성장률 둔화 시작
2024년 평균 13% 수준의 성장률을 보이던 매출 성장률이 9%대로 하락
그러나 Overview, Lens 등의 검색 다각화를 통해 대외적 악재 및 경쟁 심화에 잘 대응하는 모습
우려로 인한 낮은 멀티플 구간은 기회로 판단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8TqVAak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교보증권 조선/기계 안유동]

조선
* HD현대 조선 3사: 일회성 없는 분기 서프라이즈, 도미노 효과로 인해 목표주가 대폭 상향 *

■ HD현대 조선 3사 1Q25 주요 특이사항

1. 환율: 지난 분기 대비 평균 원/달러 환율 4% 상승. 환율 관련 이익 약 330억원 발생(HD현대중공업 220억원, HD현대삼호 57억원, HD현대미포 40억원)

2. 강재: 강재가격 하락. 이익 기여도는 높지 않음

3. 일회성: 해양 C/O 140억원. 이외 없음

4. 수익성 개선 주요 원인: 생산성 개선. 외국인 노동자들의 능률 증대로 공정 개선 속도 빠르게 진행→선표 당겨짐

5. 1Q25 실적에서 수주 시점 별 매출인식 비중
HD현대중공업: 21년 수주물량 매출 비중 4%, 22년 80%. 23년 16%, 24년 0%
HD현대미포: 21년 수주물량 매출비중 0%, 22년 물량 24%, 23년 62%, 24년 14%
HD현대삼호: 21년 수주물량 매출비중 2%, 22년 물량 53%, 23년 45%, 24년 1%

*일회성 없는 분기 서프라이즈로 인해 26~27년(Valuation 산출 시점) 추정치 대폭 상향 조정
 
보고서 링크 : https://www.iprovest.com/upload/research/report/cominf/20250425/20250425_B2040_20220081_106.pdf
우리 증시는 개장 초반 양 시장 상승 출발했지만, 매물 출회하면서 상승폭을 일부 반납하고 있습니다. 어제 미 증시가 강세를 보인 점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미 증시 강세 요인이었던 중국을 제외한 주요국과의 관세협상 기대감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가 우리 증시에 일부 선반영되었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섹터 중에서는 반도체 섹터가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최근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이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 주된 강세 요인으로 추정됩니다.
기업 체감경기, ‘반도체 호조’에 개선…계엄 전 수준 회복은 아직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의 경우 실적과 전망 모두 좋았지만, 관세 영향으로 (제조업 전체 5월 업황 BSI 전망치는)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면서 “일례로 전기장비 업체들은 관세 정책 번복으로 구리 가격 변동성이 확대돼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응답을 주기도 했다. 특히 수출기업들의 우려가 크다”고 덧붙였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24510256
비만약 새 시대 열린다…저분자화합물 개발 성공, 한국선 일동유노비아 선두

"일라이 릴리의 저분자화합물 기반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비만약이 임상 3상에 성공하면서 GLP-1 비만약의 시대가 2막을 열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저분자화합물은 기존의 펩타이드 기반 GLP-1 약보다 생산효율이 높아 공급부족 이슈를 해소할 수 있고 경구약 개발도 비교적 쉬워, 펩타이드 약과 공존하면서 비만약 전체 시장 규모를 훌쩍 키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도 일동제약그룹의 신약개발 자회사 유노비아가 임상 1상 막바지 단계에 있어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08646642139728
[시그널랩 리서치] CFD(차액결제거래) 모니터링
https://t.me/siglab

4월 24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인텔, 2분기 실적 전망 기대치 밑돌아…시간외 5%↓

"이와 함께 인텔은 비용 삭감 등 구조조정 계획도 발표했다. 인텔은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경영진 직급을 줄이는 등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올해 운영 비용을 당초 목표치인 175억달러에서 170억달러로 내렸고, 투자 등을 위한 자본 비용 목표치도 200억달러에서 180억달러로 하향했다. 데이비드 진스너 인텔 최고재무책임자(CFO)는 CNBC 방송에 "운영 비용 감축에는 특히 관리자 직책의 감원이 포함될 예정이며 아직 감원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42510311035553
효성, 해상풍력터빈 中 합작사 6월 설립…정부 입찰 도전장

- 상해전기와 MOU 4년 만에
- 내달 산업부 풍력 입찰 겨냥
- 부품 들여와 제조-유지보수
- 유럽보다 30% 저렴한 가격
- 안보평가 항목 걸림돌 전망
- 국내 업체 경쟁력 저하 우려도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42423162802025
SKT, 카카오 지분 정리한다…4천억원대 실탄 확보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보유 중인 카카오 지분 전량을 매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자금을 확보해서 SK브로드밴드의 지분을 인수하고, 미래 동력에 대한 투자금을 마련한다는 방침인데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37237
✍️ 수출입 뉴스를 보다보면 무역수지라는 말이 등장할 때가 있고, 상품수지라는 말이 등장할 때가 있습니다. 이 둘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개념의 용어인데요. 헷갈리기 쉬운 두 용어의 의미차이를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원문은 아래 링크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사이트] 상품수지 vs 무역수지 Quick 정리
https://naver.me/Ffe5uVx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