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실적속보] HD한국조선해양 (0095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322
● 매출액: 6조 7,717억원
- YoY: +22.8%
- QoQ: -5.4%
- 컨센대비: +0.6%
● 영업이익: 8,592억원
- YoY: +436.5%
- QoQ: +72.2%
- 컨센대비: +64.3%
● 당기순이익: 6,116억원
- YoY: +216.3%
- QoQ: -15.9%
- 컨센대비: 정보없음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322
● 매출액: 6조 7,717억원
- YoY: +22.8%
- QoQ: -5.4%
- 컨센대비: +0.6%
● 영업이익: 8,592억원
- YoY: +436.5%
- QoQ: +72.2%
- 컨센대비: +64.3%
● 당기순이익: 6,116억원
- YoY: +216.3%
- QoQ: -15.9%
- 컨센대비: 정보없음
[시그널랩 실적속보] 현대제철 (00402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325
● 매출액: 5조 5,635억원
- YoY: -6.5%
- QoQ: -0.9%
- 컨센대비: +1.3%
● 영업이익: -190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69.6%
● 당기순이익: -544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33.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325
● 매출액: 5조 5,635억원
- YoY: -6.5%
- QoQ: -0.9%
- 컨센대비: +1.3%
● 영업이익: -190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69.6%
● 당기순이익: -544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33.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현대차 (00538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330
● 매출액: 44조 4,078억원
- YoY: +9.2%
- QoQ: -4.8%
- 컨센대비: +2.3%
● 영업이익: 3조 6,336억원
- YoY: +2.1%
- QoQ: +28.8%
- 컨센대비: +2.8%
● 당기순이익: 3조 3,822억원
- YoY: +0.2%
- QoQ: +36.7%
- 컨센대비: -0.2%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330
● 매출액: 44조 4,078억원
- YoY: +9.2%
- QoQ: -4.8%
- 컨센대비: +2.3%
● 영업이익: 3조 6,336억원
- YoY: +2.1%
- QoQ: +28.8%
- 컨센대비: +2.8%
● 당기순이익: 3조 3,822억원
- YoY: +0.2%
- QoQ: +36.7%
- 컨센대비: -0.2%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POSCO홀딩스 (00549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357
● 매출액: 17조 4,400억원
- YoY: -3.4%
- QoQ: -2.1%
- 컨센대비: -2.4%
● 영업이익: 5,700억원
- YoY: -2.2%
- QoQ: +497.6%
- 컨센대비: +7.1%
● 당기순이익: 3,400억원
- YoY: -44.1%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5.7%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357
● 매출액: 17조 4,400억원
- YoY: -3.4%
- QoQ: -2.1%
- 컨센대비: -2.4%
● 영업이익: 5,700억원
- YoY: -2.2%
- QoQ: +497.6%
- 컨센대비: +7.1%
● 당기순이익: 3,400억원
- YoY: -44.1%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5.7%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4/24 (목)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독일) 4월 기대평가지수
- 예상: 85.0 / 이전: 87.7
● (독일) 4월 현행평가지수
- 예상: 85.4 / 이전: 85.7
● (독일) 4월 Ifo 기업환경지수
- 예상: 85.1 / 이전: 86.7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예상: 22만 2천 건 / 이전: 21만 5천 건
● (미국) 3월 내구재수주
- 예상: MoM +2.1% / 이전: MoM +0.9%
● (미국) 3월 근원 내구재수주
- 예상: MoM +0.3% / 이전: MoM +0.7%
● (미국) 3월 기존주택판매
- 예상: 414만 건(MoM -3.0%) / 이전: 426만 건(MoM +4.2%)
● (미국)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연설
# 오늘은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와 내구재수주, 기존주택판매 등에 실물 경기 지표 발표가 예정.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의 경우 지난주보다 소폭 증가 예상. 예상치를 상회하지 않을 경우 큰 변화가 아니라는 점에서 영향력이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
# 3월 내구재수주의 경우 헤드라인은 2월대비 증가폭 확대, 근원의 경우 3월 대비 증가폭 둔화가 예상. 이에 대한 시장의 해석이 관건인데, 관세 정책에 따른 사전 주문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이는 관세 정책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라면 금융 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요인이지만, 어제에 이어 관세협상 우려 완화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 놆음.
# 닐 카시카리 총재는 최근 발언이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새로운 내용을 언급할 가능성 낮음. 관세 정책의 영향은 두고 보아야 하고, 연준의 독립성은 보장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주가 될 가능성 높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 (독일) 4월 기대평가지수
- 예상: 85.0 / 이전: 87.7
● (독일) 4월 현행평가지수
- 예상: 85.4 / 이전: 85.7
● (독일) 4월 Ifo 기업환경지수
- 예상: 85.1 / 이전: 86.7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예상: 22만 2천 건 / 이전: 21만 5천 건
● (미국) 3월 내구재수주
- 예상: MoM +2.1% / 이전: MoM +0.9%
● (미국) 3월 근원 내구재수주
- 예상: MoM +0.3% / 이전: MoM +0.7%
● (미국) 3월 기존주택판매
- 예상: 414만 건(MoM -3.0%) / 이전: 426만 건(MoM +4.2%)
● (미국)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연설
# 오늘은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와 내구재수주, 기존주택판매 등에 실물 경기 지표 발표가 예정.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의 경우 지난주보다 소폭 증가 예상. 예상치를 상회하지 않을 경우 큰 변화가 아니라는 점에서 영향력이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
# 3월 내구재수주의 경우 헤드라인은 2월대비 증가폭 확대, 근원의 경우 3월 대비 증가폭 둔화가 예상. 이에 대한 시장의 해석이 관건인데, 관세 정책에 따른 사전 주문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이는 관세 정책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라면 금융 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요인이지만, 어제에 이어 관세협상 우려 완화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 놆음.
# 닐 카시카리 총재는 최근 발언이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새로운 내용을 언급할 가능성 낮음. 관세 정책의 영향은 두고 보아야 하고, 연준의 독립성은 보장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주가 될 가능성 높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펀드 시장 규모 1162.5조원…전 분기 대비 약 6% 증가
"펀드 유형별로는 MMF가 20조8천억원으로 순유입이 가장 많았고, 채권형이 17조5천억원 주식형이 9조1천억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투자 지역별로 살펴보면, 1분기 말 기준 국내 투자 펀드의 순자산총액은 747조6천억원으로, 전체의 64.3%를 차지했습니다. 해외 투자 펀드의 순자산총액은 414조8천억원으로, 전체의 35.7%차지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36956
"펀드 유형별로는 MMF가 20조8천억원으로 순유입이 가장 많았고, 채권형이 17조5천억원 주식형이 9조1천억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투자 지역별로 살펴보면, 1분기 말 기준 국내 투자 펀드의 순자산총액은 747조6천억원으로, 전체의 64.3%를 차지했습니다. 해외 투자 펀드의 순자산총액은 414조8천억원으로, 전체의 35.7%차지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36956
Naver
펀드 시장 규모 1162.5조원…전 분기 대비 약 6% 증가
올해 1분기 펀드 시장이 전 유형에서 자금이 유입돼 견고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오늘(24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펀드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공·사모 펀드를 포함한 전체 펀드의 순자산총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월가 주요 기관들의 테슬라 목표주가 전망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630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630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중고차사고팝니다: 테슬라는 올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며 매출 193억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9% 감소한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로보택시 출시와 저가형 모델 공개 등 긍정적인 계획을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2025년 차량 출하량에 대한 성장 가이던스를 철회하면서 시장의 우려를 키웠다. 이러한 실적 부진의 배경에는 고율 관세... $ACE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KODEX테슬라밸류체인FactSet $QQQ $TSLA $XLY…
[시그널랩 실적속보] OCI홀딩스 (01006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416
● 매출액: 9,465억원
- YoY: +9.5%
- QoQ: +10.8%
- 컨센대비: +4.7%
● 영업이익: 487억원
- YoY: -50.9%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39.2%
● 당기순이익: -149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416
● 매출액: 9,465억원
- YoY: +9.5%
- QoQ: +10.8%
- 컨센대비: +4.7%
● 영업이익: 487억원
- YoY: -50.9%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39.2%
● 당기순이익: -149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Forwarded from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현대차 1Q25 컨콜 질의응답]
Q1. 관세 수익성 영향 및 중장기 대응 방안
A. 관세에 대해서는 여러 변동성이 있기에 명확하게 금액을 말씀드리기는 어려움.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소통할 예정. 중장기 대응 관련해서는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재무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4월 중순에 TFT를 발족함. 중장기 전략 수립 중.
관세는 완성차와 부품 철강 알루미늄 포괄적으로 부과 예정. 공급망 전 영역에서 종합적인 대응 필요함. TFT에서는 부품 소싱과 물류 등 현지화 전략 수립. 현지 공장인 HMMA와 HMGMA의 중장기 전략 수립. 부품 현지화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업체를 발굴하고 있고 점검하고 있음. 부품업체 신규 선정 시 일정 기간이 소요되지만 패스트트랙 아이템 선정하여 관세 완화 전략 추구. 물류 최적화 방안도 포함
지난 3월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발표할 때 미국 신공장 HMGMA 생산량을 추가로 20만대 증설하는 것을 고려하면 관세에 도움이 될 것. 미국 현지 생산 원가 절감을 위해 앨라배마 공장에서는 물류비 절감, 최적화 등 기존 사업계획 대비 강화하고, 원가경쟁력 노하우를 미국 신공장에도 수평 전개할 것. 불확실성 산업환경에서 생산효율성 유지를 위해 공급업체의 적시 납품 등 공급망 안정성이 중요하기에 납품 일정 및 재고 점검 강화 추진
가격과 인센티브도 경쟁사 상황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할 예정. 우선 기존 발표한대로 6월 2일까지는 가격을 동결할 것이고,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 인센티브도 시장수요와 경쟁사 상황 모니터링해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것임.
생산전략 관련해서는 기아 멕시코 생산 투싼을 HMMA로 이전하고, HMMA에서 생산하던 캐나다향 물량을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방안 시행 중. 한국산 미국향 물량도 미국 M/S를 유지한다는 전제로 수익성 위주로 타 거점으로 이관 가능한지 검토 중
관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을 보면 3월말까지 최대한 선적을 추진함. 그래서 완성차 기준으로는 3.1개월의 북미에서 보유 중. 부품은 더 길게 보유 중. 일정 부분 관세는 재고 비축으로 만회 가능할 것으로 예상
Q2. 환율이 높은 상황. 환율 민감도 업데이트
A. 환율 민감도는 정확하게 말씀드리기는 곤란함. 환율 민감도가 상당히 작지 않음. 그렇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언급하기에는 부적절하기에 차후에 소통
Q. 주주환원정책. TSR 35% 유지하는지
A. TSR 35% 지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작년 CID때 말씀드린 2,500원의 분기배당, 1만원 최소배당, TSR 35% 약속은 지킬 것임. 그리고 어떤 방식인지에 대해서는 적절한 시점에 시장과 소통할 계획
Q. GM과의 파트너십 관련 업데이트
A.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 진행 중. 현재 관세 정책 대응이 연계되서 논의되는 사항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려운 상황. 분명한 것은 진행은 되고 있음. 어떤 방향이든지 좋은 결실을 위해 노력 중. 머지 않은 시기에 구체적인 내용 소통드릴 것
Q. 주주환원정책 관련 TSR에 자사주매입소각을 포함하는데, 신규 자사주만 포함하는 것인지? 신규만 포함한다면 올해 기대해볼 수 있는 규모
A. TSR 계산에 있어서 기존 보유 자사주 소각도 포함. 신규 매입분도 주주가치제고 목적용이면 포함.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지는 관세 대응 방안과 연계되어 있기에 TSR 35%를 어떻게 구성할지는 관세 대응안이 마무리 되는 시점에 시장과 소통할 예정
Q. HMGMA 50만대로 발표했는데, 작년에 언급한 30만대와의 차이가 어떤 차종으로 구성되는지. HMGMA와 HMMA 생산 계획이 확대되면 한국에서는 울산 전동화 공장 완공 예정인데 물량 배분
A. 50만대로 확대 발표함. 기존 30만대 대비 20만대 확대하는건 원래는 상황을 봐서 확대하기로 했는데, 시기를 명확히 앞당겨 진행한다는 것임. HEV를 투입할 예정. 내년부터 HEV 투입될 예정. CAPA 확대는 EV와 HEV 모두 투입 가능
울산 EV 공장 건설 완공 후 초과 공급 관련해서는 여러 방안 검토 중. 각 공장에 분산된 EV 차종을 모을 수 있고 HEV 투입도 가능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명확하게 소통하기에는 어려움
Q. 러시아 3월 판매량 집계됨. 업데이트
A. 러시아 권역이고 러시아는 아님. 현재는 애프터서비스 등 딜러 차원에서만 유지하고 있는 상황. 러시아 관련해서는 지금 시점에 진행되는 상황은 없음.
Q1. 관세 수익성 영향 및 중장기 대응 방안
A. 관세에 대해서는 여러 변동성이 있기에 명확하게 금액을 말씀드리기는 어려움.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소통할 예정. 중장기 대응 관련해서는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재무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4월 중순에 TFT를 발족함. 중장기 전략 수립 중.
관세는 완성차와 부품 철강 알루미늄 포괄적으로 부과 예정. 공급망 전 영역에서 종합적인 대응 필요함. TFT에서는 부품 소싱과 물류 등 현지화 전략 수립. 현지 공장인 HMMA와 HMGMA의 중장기 전략 수립. 부품 현지화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업체를 발굴하고 있고 점검하고 있음. 부품업체 신규 선정 시 일정 기간이 소요되지만 패스트트랙 아이템 선정하여 관세 완화 전략 추구. 물류 최적화 방안도 포함
지난 3월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발표할 때 미국 신공장 HMGMA 생산량을 추가로 20만대 증설하는 것을 고려하면 관세에 도움이 될 것. 미국 현지 생산 원가 절감을 위해 앨라배마 공장에서는 물류비 절감, 최적화 등 기존 사업계획 대비 강화하고, 원가경쟁력 노하우를 미국 신공장에도 수평 전개할 것. 불확실성 산업환경에서 생산효율성 유지를 위해 공급업체의 적시 납품 등 공급망 안정성이 중요하기에 납품 일정 및 재고 점검 강화 추진
가격과 인센티브도 경쟁사 상황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할 예정. 우선 기존 발표한대로 6월 2일까지는 가격을 동결할 것이고,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 인센티브도 시장수요와 경쟁사 상황 모니터링해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것임.
생산전략 관련해서는 기아 멕시코 생산 투싼을 HMMA로 이전하고, HMMA에서 생산하던 캐나다향 물량을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방안 시행 중. 한국산 미국향 물량도 미국 M/S를 유지한다는 전제로 수익성 위주로 타 거점으로 이관 가능한지 검토 중
관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을 보면 3월말까지 최대한 선적을 추진함. 그래서 완성차 기준으로는 3.1개월의 북미에서 보유 중. 부품은 더 길게 보유 중. 일정 부분 관세는 재고 비축으로 만회 가능할 것으로 예상
Q2. 환율이 높은 상황. 환율 민감도 업데이트
A. 환율 민감도는 정확하게 말씀드리기는 곤란함. 환율 민감도가 상당히 작지 않음. 그렇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언급하기에는 부적절하기에 차후에 소통
Q. 주주환원정책. TSR 35% 유지하는지
A. TSR 35% 지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작년 CID때 말씀드린 2,500원의 분기배당, 1만원 최소배당, TSR 35% 약속은 지킬 것임. 그리고 어떤 방식인지에 대해서는 적절한 시점에 시장과 소통할 계획
Q. GM과의 파트너십 관련 업데이트
A.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 진행 중. 현재 관세 정책 대응이 연계되서 논의되는 사항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려운 상황. 분명한 것은 진행은 되고 있음. 어떤 방향이든지 좋은 결실을 위해 노력 중. 머지 않은 시기에 구체적인 내용 소통드릴 것
Q. 주주환원정책 관련 TSR에 자사주매입소각을 포함하는데, 신규 자사주만 포함하는 것인지? 신규만 포함한다면 올해 기대해볼 수 있는 규모
A. TSR 계산에 있어서 기존 보유 자사주 소각도 포함. 신규 매입분도 주주가치제고 목적용이면 포함.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지는 관세 대응 방안과 연계되어 있기에 TSR 35%를 어떻게 구성할지는 관세 대응안이 마무리 되는 시점에 시장과 소통할 예정
Q. HMGMA 50만대로 발표했는데, 작년에 언급한 30만대와의 차이가 어떤 차종으로 구성되는지. HMGMA와 HMMA 생산 계획이 확대되면 한국에서는 울산 전동화 공장 완공 예정인데 물량 배분
A. 50만대로 확대 발표함. 기존 30만대 대비 20만대 확대하는건 원래는 상황을 봐서 확대하기로 했는데, 시기를 명확히 앞당겨 진행한다는 것임. HEV를 투입할 예정. 내년부터 HEV 투입될 예정. CAPA 확대는 EV와 HEV 모두 투입 가능
울산 EV 공장 건설 완공 후 초과 공급 관련해서는 여러 방안 검토 중. 각 공장에 분산된 EV 차종을 모을 수 있고 HEV 투입도 가능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명확하게 소통하기에는 어려움
Q. 러시아 3월 판매량 집계됨. 업데이트
A. 러시아 권역이고 러시아는 아님. 현재는 애프터서비스 등 딜러 차원에서만 유지하고 있는 상황. 러시아 관련해서는 지금 시점에 진행되는 상황은 없음.
[시그널랩 실적속보] KB금융 (10556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422
● 매출액: 19조 7,440억원
- YoY: -15.3%
- QoQ: -25.2%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영업이익: 2조 2,930억원
- YoY: -2.7%
- QoQ: +122.6%
- 컨센대비: +5.8%
● 당기순이익: 1조 6,991억원
- YoY: +59.8%
- QoQ: +158.0%
- 컨센대비: +7.4%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422
● 매출액: 19조 7,440억원
- YoY: -15.3%
- QoQ: -25.2%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영업이익: 2조 2,930억원
- YoY: -2.7%
- QoQ: +122.6%
- 컨센대비: +5.8%
● 당기순이익: 1조 6,991억원
- YoY: +59.8%
- QoQ: +158.0%
- 컨센대비: +7.4%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삼성중공업 (0101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469
● 매출액: 2조 4,943억원
- YoY: +6.2%
- QoQ: -7.6%
- 컨센대비: -2.1%
● 영업이익: 1,231억원
- YoY: +58.1%
- QoQ: -29.3%
- 컨센대비: -16.8%
● 당기순이익: 901억원
- YoY: +1,049.1%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33.5%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469
● 매출액: 2조 4,943억원
- YoY: +6.2%
- QoQ: -7.6%
- 컨센대비: -2.1%
● 영업이익: 1,231억원
- YoY: +58.1%
- QoQ: -29.3%
- 컨센대비: -16.8%
● 당기순이익: 901억원
- YoY: +1,049.1%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33.5%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신창재, 지주사 꿈 영근다… 교보생명, SBI저축은행 지분 30% 인수 추진
- 지분 30% 인수시 2대주주로… 지주사 포트폴리오 일부 완성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42415272660726
- 지분 30% 인수시 2대주주로… 지주사 포트폴리오 일부 완성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42415272660726
MoneyS
신창재, 지주사 꿈 영근다… 교보생명, SBI저축은행 지분 30% 인수 추진
교보생명이 SBI저축은행 지분 인수를 추진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SBI저축은행 지분 30%를 3000억원 규모에 인수하는 내용의 SPA(주식매매계약) 체결을 두고 SBI저축은행 측과 논의 중이다. SBI저축은행은 모회사인 일본 SBI홀딩스가 지분
[시그널랩 실적속보] JB금융지주 (17533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488
● 매출액: 1조 1,229억원
- YoY: -1.5%
- QoQ: -3.3%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영업이익: 2,175억원
- YoY: -4.6%
- QoQ: +37.4%
- 컨센대비: -4.6%
● 당기순이익: 1,669억원
- YoY: -5.2%
- QoQ: +40.6%
- 컨센대비: -4.1%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488
● 매출액: 1조 1,229억원
- YoY: -1.5%
- QoQ: -3.3%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영업이익: 2,175억원
- YoY: -4.6%
- QoQ: +37.4%
- 컨센대비: -4.6%
● 당기순이익: 1,669억원
- YoY: -5.2%
- QoQ: +40.6%
- 컨센대비: -4.1%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4/24 (목) 마감 리뷰
https://t.me/siglab
◆ Market
- KOSPI: 2,522.33 (-0.13%)
- KOSDAQ: 726.08 (0.00%)
- NIKKEI 225: 35,039.15 (+0.49%)
- 상해종합지수: 3,297.29 (+0.03%)
- 대만 가권: 19,478.81 (-0.82%)
- 원달러: 1,434.20 (+0.49%)
- 코스피 수급 동향: 개인(+1,351억), 기관(-1,987억), 외국인(-73억)
- 코스닥 수급 동향: 개인(+298억), 기관(-315억), 외국인(+50억)
- 선물 수급 동향: 개인(+224억), 기관(+1,498억), 외국인(-1,780억)
- KOSPI 프로그램 동향: 차익(-57억), 비차익(-1,003억)
◆ Comment
- 우리 증시는 KOSPI 소폭 하락, KOSDAQ 보합권 마무리되며 대체로 약세 마감.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에도 중국이 특별한 반응이 없다는 점과 강세 요인들이 상당부분 반영되었다는 인식에 따라 해당 요소들의 영향은 제한적.
- 오히려 개장 전 발표된 우리나라의 1분기 GDP가 YoY -0.1%, QoQ -0.2%로 시장 예상(YoY +0.2%, QoQ +0.1%)을 하회한 점이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 다만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경기 둔화 우려 역시 상당부분 시장에 반영되었다는 인식.
- 개인이 현선물 동반 순매수에 나선 가운데, 외국인은 KOSDAQ, 기관은 KOSPI 200 선물에서 순매수를 기록.
- KOSPI에서 개인은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제약, 유통, 운송창고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전체적으로 순매도였지만, 외국인은 금융, 음식료담배, 전기가스 등, 기관은 기계장비, 화학, 금융 등 일부 업종에서는 순매수 기록.
- KOSDAQ에서 개인은 전기전자, 기계장비, 유통, 화학 등 다수 업종, 외국인은 제약을 중심으로 금융 등 일부 일부 업종을 순매수. 기관은 전체적으로 순매도였으나, 기계짱비, 전기전자 등 일부 업종에서는 순매수 기록.
- 시장이 대체로 약세를 보이면서 하락 섹터가 다수를 차지. 섹터 중에서는 조선기자재 섹터 정도가 강세였는데, 실적 기대감이 반영되었기 때문.
-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 일본 니케이22%(+0.49%), 중국 상해종합(+0.03%), 대만 가권(-0.82%) 등.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 Market
- KOSPI: 2,522.33 (-0.13%)
- KOSDAQ: 726.08 (0.00%)
- NIKKEI 225: 35,039.15 (+0.49%)
- 상해종합지수: 3,297.29 (+0.03%)
- 대만 가권: 19,478.81 (-0.82%)
- 원달러: 1,434.20 (+0.49%)
- 코스피 수급 동향: 개인(+1,351억), 기관(-1,987억), 외국인(-73억)
- 코스닥 수급 동향: 개인(+298억), 기관(-315억), 외국인(+50억)
- 선물 수급 동향: 개인(+224억), 기관(+1,498억), 외국인(-1,780억)
- KOSPI 프로그램 동향: 차익(-57억), 비차익(-1,003억)
◆ Comment
- 우리 증시는 KOSPI 소폭 하락, KOSDAQ 보합권 마무리되며 대체로 약세 마감.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에도 중국이 특별한 반응이 없다는 점과 강세 요인들이 상당부분 반영되었다는 인식에 따라 해당 요소들의 영향은 제한적.
- 오히려 개장 전 발표된 우리나라의 1분기 GDP가 YoY -0.1%, QoQ -0.2%로 시장 예상(YoY +0.2%, QoQ +0.1%)을 하회한 점이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 다만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경기 둔화 우려 역시 상당부분 시장에 반영되었다는 인식.
- 개인이 현선물 동반 순매수에 나선 가운데, 외국인은 KOSDAQ, 기관은 KOSPI 200 선물에서 순매수를 기록.
- KOSPI에서 개인은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제약, 유통, 운송창고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전체적으로 순매도였지만, 외국인은 금융, 음식료담배, 전기가스 등, 기관은 기계장비, 화학, 금융 등 일부 업종에서는 순매수 기록.
- KOSDAQ에서 개인은 전기전자, 기계장비, 유통, 화학 등 다수 업종, 외국인은 제약을 중심으로 금융 등 일부 일부 업종을 순매수. 기관은 전체적으로 순매도였으나, 기계짱비, 전기전자 등 일부 업종에서는 순매수 기록.
- 시장이 대체로 약세를 보이면서 하락 섹터가 다수를 차지. 섹터 중에서는 조선기자재 섹터 정도가 강세였는데, 실적 기대감이 반영되었기 때문.
-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 일본 니케이22%(+0.49%), 중국 상해종합(+0.03%), 대만 가권(-0.82%) 등.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NH투자증권 (0059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607
● 매출액: 3조 3,566억원
- YoY: +16.0%
- QoQ: +15.2%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영업이익: 2,890억원
- YoY: +4.4%
- QoQ: +72.9%
- 컨센대비: +12.9%
● 당기순이익: 2,082억원
- YoY: -7.7%
- QoQ: +89.2%
- 컨센대비: +7.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4000607
● 매출액: 3조 3,566억원
- YoY: +16.0%
- QoQ: +15.2%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영업이익: 2,890억원
- YoY: +4.4%
- QoQ: +72.9%
- 컨센대비: +12.9%
● 당기순이익: 2,082억원
- YoY: -7.7%
- QoQ: +89.2%
- 컨센대비: +7.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본격 닻 올린 롯데바이오… '관세 폭풍' 속 미국서 생산하는 신유열의 ADC
- 3월 美 시러큐스 ADC 공장 증설 완료
- 현지 시설 강점으로 첫 공식 수주 계약
- ADC 앞세워 글로벌 CDMO 입지 확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2415220004819
- 3월 美 시러큐스 ADC 공장 증설 완료
- 현지 시설 강점으로 첫 공식 수주 계약
- ADC 앞세워 글로벌 CDMO 입지 확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2415220004819
한국일보
본격 닻 올린 롯데바이오… '관세 폭풍' 속 미국서 생산하는 신유열의 ADC | 한국일보
롯데바이오로직스가 2022년 인수한 미국 뉴욕의 시러큐스 공장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현지 생산을 본격화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술 vs 담배 - 둘 중 하나만 끊어야 한다면?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557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557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궁금해: #술 vs #담배 둘 중 하나만 끊는다면? 일상적으로 적당히 마시는 술은 대부분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심혈관 동맥 경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하는 반면 담배는 건강에 유익한 점이 전혀 없기 때문 $KT&G $하이트진로 $STZ $DEO $BUD $SAM $TAP $MO... $BTI $BUD $DEO $KT&G $MO $PM $SAM $STZ $TAP $TPB $하이트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