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1K photos
495 videos
462 files
106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日 양자컴퓨터, 韓 12배 앞섰다

- 2년만에 성능 4배나 끌어올려
- 내년에는 1000큐비트 목표 제시
- 정부 지원하에 민간과 정부 연구기관 협력한 결과
- 한국은 이제 20큐비트 시연‥내년에야 50큐비트 목표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42309525976045
어제 있었던 연준 위원들의 발언 내용입니다. 전반적인 발언 내용들은 최근 다른 연준 위원들의 발언 내용과는 크게 차이가 없었습니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최근 몇 주간 나온 주가 하락과 국채 수익률 상승, 달러 약세에 대해서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를 잃고 있다는 신호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또 사람들은 연준에 대한 신뢰를 잃지 않았다며 시장을 안심시키는 발언을 한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소비자 지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다만 현 시점에서는 소비자 지출이 견고하고, 낮은 실업률과 실질 임금이 플러스 상태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는데, 이런 상황이 얼마나 지속할지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일회성이라 보는게 논리적이라면서도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다소 자극하면서도 성장도 둔화시킨다며 다소 우려를 나타낸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정책과 관련해서는 금리 경로를 판단하기에 아직 이르다면서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독립적인 통화정책은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면서 전날 있었던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와 마찬가지로 연준 독립성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Economist] Stockmarkets do not reward firms for investing in Trump’s America

- 트럼프 시대의 미국 내 설비투자, 주가는 반응 없다

✔️ 설비투자 발표에도 주가 미반응: 트럼프 당선 이후 Stellantis, Merck, Barry Callebaut 등 다수 기업이 미국 내 설비투자(capex) 계획을 발표했지만, 주가는 거의 반응하지 않음. 이론상 투자는 주가 상승 요인이지만, 백악관이 주목한 리쇼어링(re-shoring) 기업 20개 중 11개만이 발표 직후 주가가 상승했고, 전체적으로 S&P 500보다 약 5%포인트 낮은 수익률을 기록함.

✔️ 방어적 투자 성격 강해: 해당 투자의 상당수는 성장 신념보다는 보호무역에 따른 리스크 회피를 위한 방어적 조치에 가깝다는 평가. 실제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기업 압박 속에서 투자 발표가 이어졌지만, 시장은 이를 본질적 성장 기회로 보지 않았음.

✔️ 개별 리스크도 반영: 백신 수요 부진, 원자재 가격 변동(예: 카카오), 소비 둔화 등 각 기업이 직면한 개별 문제도 주가 약세에 영향을 줌. 일부 리쇼어링 대표 기업은 트럼프 당선 이후 주가가 20% 이상 하락.

✔️ 결론: 트럼프 시대의 ‘미국 우선’ 산업정책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기업의 대미 설비투자를 성장 신호로 해석하지 않으며, 주가 보상 또한 제한적이라는 점이 드러남.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25/04/16/stockmarkets-do-not-reward-firms-for-investing-in-trumps-america
[시그널랩 리서치] 4/23 (수)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독일) 4월 제조업 PMI
- 예상: 47.5 / 이전: 48.3
● (독일) 4월 서비스업 PMI
- 예상: 50.3 / 이전: 50.9
● (EU) 4월 제조업 PMI
- 예상: 47.4 / 이전: 48.6
● (EU) 4월 서비스업 PMI
- 예상: 50.4 / 이전: 51.0
● (미국)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 (미국) 4월 제조업 PMI
- 예상: 49.0 / 이전: 50.2
● (미국) 4월 서비스업 PMI
- 예상: 52.8 / 이전: 54.4
● (미국) 3월 신규 주택판매
- 예상: 68만 2천 건(MoM +0.9%) / 이전: 67만 6천 건(MoM +1.8%)
● (미국) 연준 베이지북 공개

# 오늘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와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발언 등에 주목할 필요.
# 최근 연준 위원들은 관세가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기대 인플레이션 및 연준 독립성에 대한 언급하고 있는 상황. 월러 이사도 이와 관련한 내용들을 언급할 가능성이 높음.
# 연준 독립성의 필요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기대 인플레이션을 잘 고정할 필요, 관세에 대해서는 그 영향을 지켜봐야 한다면서 다른 연준 위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입장을 보일 가능성 높음.
# 제조업 PMI의 경우 미국과 유로존이 비슷한 모습일 전망. 미국의 경우 3월 대비 하락 및 50을 하회하면서 위축국면일 것으로 전망. 이는 독일 및 유로존 등도 마찬가지.
# 서비스업 PMI도 마찬가지. 미국과 유로존 모두 확장국면이기는 하겠지만 이전보다 하락이 예상되기 때문.
# 이는 관세 영향일 가능성이 높음. 세부지표에서 이를 지지하는 데이터가 확인되면, 관세 관련 우려를 자극할 가능성 존재.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검색 시장' 장악 야심 드러낸 오픈AI…"크롬 인수 의향 있다"

"22일(현지시간) 닉 털리 오픈AI 챗GPT 총괄은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구글 온라인 검색 시장 반독점 재판에 법무부 측 증인으로 참석해 “크롬 브라우저를 인수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우리는 물론 많은 기업이 인수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법원은 지난해 8월 구글이 온라인 검색 시장을 불법적으로 독점하고 있다고 판결했고, 법무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글이 크롬을 강제 매각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한 상태다. 이날 재판은 구글이 항소하며 열린 반독점 재판 2차전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30372i
금감원 제동에도 유증 재도전 나선 스맥, 다윗의 골리앗 인수 가능할까

- 스맥·릴슨PE, 현대위아 공작기계사업부 인수전
- 총 인수대금 3400억원 필요해
- 스맥 1183억·릴슨PE 2217억 투입
- 스맥, 539억 유증으로 자금조달 예정
- 금감원 제동에도 정면돌파 선언
- 주주들 “무리한 증자 여전” 반발

https://www.mk.co.kr/news/stock/11299290
[시그널랩 실적속보]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3000326

● 매출액: 1조 2,983억원
- YoY: +37.1%
- QoQ: +3.3%
- 컨센대비: +8.2%

● 영업이익: 4,867억원
- YoY: +119.9%
- QoQ: +49.4%
- 컨센대비: +37.8%

● 당기순이익: 3,756억원
- YoY: +109.4%
- QoQ: +16.8%
- 컨센대비: +30.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전기차 가격 싸지나…리튬 가격 10분의 1토막

"리튬 가격 하락세가 멈출줄 모르고 있다. 배터리 투자 광풍이었던 2022년 말 ㎏당 600위안에 달했던 리튬가는 현재 10분의 1수준까지 떨어졌다. 배터리 소재사 및 리튬 개발사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와중 전기차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30748i
[시그널랩 실적속보] LG이노텍 (01107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3000331

● 매출액: 4조 9,828억원
- YoY: +15.0%
- QoQ: -24.8%
- 컨센대비: +13.1%

● 영업이익: 1,251억원
- YoY: -28.9%
- QoQ: -49.5%
- 컨센대비: +13.6%

● 당기순이익: 856억원
- YoY: -38.2%
- QoQ: -19.9%
- 컨센대비: +10.5%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4/23 (수) 마감 리뷰
https://t.me/siglab

◆ Market

- KOSPI: 2,525.56 (+1.57%)
- KOSDAQ: 726.08 (+1.39%)
- NIKKEI 225: 34,868.63 (+1.89%)
- 상해종합지수: 3,296.36 (-0.10%)
- 대만 가권: 19,639.14 (+4.50%)
- 원달러: 1,424.20 (+0.01%)
- 코스피 수급 동향: 개인(-5,484억), 기관(+6,866억), 외국인(-1,970억)
- 코스닥 수급 동향: 개인(-680억), 기관(+322억), 외국인(+443억)
- 선물 수급 동향: 개인(-1,014억), 기관(-1,108억), 외국인(+2,921억)
- KOSPI 프로그램 동향: 차익(-18억), 비차익(-994억)

◆ Comment

- 우리 증시는 양 시장 상승 마감.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이 높아진 점이 주된 강세 요인으로 작용.
- 진위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개장 전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 5월 회담 가능성이 보도된 것이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을 높인 요인.
- 개인이 현선물 동반 순매도를 보인 가운데, 기관이 KOSPI와 KOSDAQ 등 현물 중심으로 순매수, 외국인은 KOSDAQ과 KOSPI200 선물에서 순매수를 기록.
- KOSPI에서 기관은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운송장비부품, 금융 등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수. 개인과 외구인은 전반적으로 순매도를 보인 가운데, 외국인은 기계장비, 전기가스, 금속 등 일부 업종을 개인은 음식료담배, 제약 업종 정도를 순매수.
- KOSDAQ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전기전자 업종을 줃중심으로 제약, 비금속, 금속 업종 등을 순매수. 개인은 다수의 업종을 순매도한 가운데, 유통, 화학 등 일부 업종을 순매수.
- 아시아 증시는 중국을 제외하고 대체로 강세 마감. 일본 니케이225(+1.89%), 중국 상해종합(-0.10%), 대만 가권(+4.50%) 등.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요즘 대세 재사용발사체, 우리도 잘 만들 수 있나… 기술 난관 3가지

- ①연료 바꾸면 기존 탱크·배관도 변경해야
- ②엔진 재점화 기술 초기, 실증 경험 부족
- ③역추진 착륙 위해 무게 중 구조비 줄여야
- 일회용→재사용 변경 타당한지 24일 발표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2217300001736
[대한항공] 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해명(미확정)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3000584

● 풍문 또는 보도의 내용: 대한항공, 1조원 규모 軍 UH-60 헬기 개량 사업 수주

● 풍문 또는 보도의 발생일자: 2025-04-23

● 풍문 또는 보도의 내용에 대한 해명내용
- 본 공시는 2025년 4월 23일자 한국경제 등 기사에 보도된 "대한항공, 1조원 규모 軍 UH-60 헬기 개량 사업 수주" 등에 대한 해명 공시입니다.

- 당사는 LIG넥스원, 콜린스에어로스페이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UH-60 성능 개량 사업 입찰에 참여하여 제안서 평가 결과 최고 점수를 획득하였습니다. 방사청 내부 승인절차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공문 접수 및 계약을 위한 협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 상기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결정되는 시점 또는 1개월 이내에 재공시 하겠습니다.

● 재공시예정일: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