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9.6K photos
608 videos
521 files
112K links
📌 시그널랩은 증권사/은행/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삼성/신한/우리/iM/DB/IBK/BNK/유안타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공짜폰’도 살 수 있다?” 역대급 변화에 커지는 기대감…알고 보니

- 공시지원금 사라지고, 추가지원금 상한 철폐
- 통신 3사 가이드라인 배포…선택 약정도 지원금
- 통신 시장 정체에도, SKT 사태 유치 경쟁 촉발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33625
[단독]"RE100 산단에 대기업 2곳 이상 유치"…대통령실 나섰다

- 산업부 등과 주요 대기업 입주 타진중
- 화평법 등 규제 해소 방안 논의
- "파격적 전기요금 할인"…한전 재정악화 우려
- 재생에너지 안정적 공급 위한 제도 개선 필요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71623425956939
김동선 파이브가이즈 매각설… 갤러리아 "다양한 방안 검토 중"

"한화갤러리아는 17일 파이브가이즈 매각설에 대해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두고 글로벌 본사와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방향성이 결정된 것은 없다"고 공시했다. 최근 투자은행(IB) 업계를 중심으로 제기된 매각 추진설에 대한 해명이다."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71710505810674
✍️ 최근 일주일 사이 주요 기관의 순매수 동향을 살펴보면, 연기금은 증권 업종에 관심을 가지는 정황으로 나타났고, 투신의 경우 반도체 업종에 대한 순환매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 신용융자잔고율 변화 순위
https://naver.me/x2cEAdqJ

● 주요 기관(연기금, 사모펀드, 투신) 순매수 모니터링
https://naver.me/xydQnNpY
國富 4년 만에 최대폭 ↑…순금융자산 ‘역대 최고’ 증가폭

- 2024년 국민순자산 1217조원 증가…자산가격 908조원 상승 영향
- 가계·비영리단체의 순자산 증가폭 확대…주택자산 중심으로 늘어
- 가계 순자산 1인당 2.5억원…2022년부터 일본 ‘추월’ 지속
- 부동산 자산 비중 줄었지만 여전히 74.6%…수도권 중심 주택시가총액 증가

https://www.joseilbo.com/news/htmls/2025/07/20250717548287.html
✍️ 공매도 증가 상위
- SignalLab Research
✔️차입공매도잔고: 차입 후 공매도한 물량. 증가했다는 것은 그만큼 공매도가 늘었다는 의미로 해석.
✔️20 거래일 전 대비 3 거래일 전 차입공매도잔고 변화를 추적.
✔️짧은 시간 과도하게 증가한 공매도는 숏커버링 기대로 연결될 수 있음.
📰🇯🇵 <Economist> Japan has been hit by investing fever

저금리·인플레 우려 속 일본 가계, 저축에서 투자로 대전환 중

✔️ 투자 전환 배경: 일본 가계는 2023년 말까지 자산의 절반 이상을 현금과 예금으로 보유하며 보수적 성향을 보여왔지만, 인플레이션 상승과 금리 정체, 연금 지속성 우려로 투자 수요가 급증.

✔️ NISA 개편 효과: 세제 혜택을 주는 투자 계좌인 NISA가 확장되며 신규 계좌 500만 개, 자산 59조 엔 유입. 특히 젊은 층이 주도하며, 수익보다는 실질 구매력 보존이 주요 동기로 작용.

✔️ 기업 지배구조 개선: 자사주 매입 확대, 배당 증대 등 주주친화 정책 강화로 일본 주식 매력 증가. 정부는 고령자 대상 ‘플래티넘 NISA’ 도입 추진 중.

✔️ 해외 자금 유출: 신규 자금의 상당수가 미국 및 글로벌 주식형 펀드로 이동하면서 국내 펀드 운용사들의 우려도 있지만, 이는 일본 투자자들의 전략적 분산투자 의식이 반영된 결과.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25/07/10/japan-has-been-hit-by-investing-fev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시그널랩 리서치] 7/17 (목)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예상: 23만 3천 건 / 이전: 22만 7천 건
● (미국) 6월 소매판매
- 예상: MoM +0.1% / 이전: MoM -0.9%
● (미국) 6월 근원 소매판매
- 예상: MoM +0.3% / 이전: MoM -0.3%
● (미국) 5월 기업재고
- 예상: MoM +0.0% / 이전: MoM +0.0%
● (미국) 메리 데일리 샌프라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
● (미국)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 오늘은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와 함께 소매판매 발표 등이 중요한 지표. 지표 외에는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중요.
# 연준 위원 중 월러 이사의 경우 뉴욕 증시 마감 후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데일리 총재의 발언이 중요한 변수.
# 시장에서는 어제 발표된 6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대한 평가와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및 통화정책 방향성 등에 대한 내용을 주목할 가능성 높음.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의 경우 지난주보다 증가 예상되지만, 급격한 증가가 아니라는 점에서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
# 소매판매는 헤드라인과 근원 모두 5월대비 개선 전망. 이는 경기 둔화 우려를 완화하며 시장에 있어 긍정적 요소가 될 가능성 높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