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9.6K photos
607 videos
521 files
112K links
📌 시그널랩은 증권사/은행/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삼성/신한/우리/iM/DB/IBK/BNK/유안타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 [WSJ] More Financial Advisers Are Outsourcing Investment Decisions

- 미국 금융 자문업계에서 '모델 포트폴리오' 활용이 급증하며 자산운용의 자동화와 효율화가 가속화되고 있음

✔️ 모델 포트폴리오 급성장: 2024년 4월 기준 모델 포트폴리오 자산은 전년 대비 23% 증가한 7.96조 달러로 역대 최고치 기록. 주로 저비용 ETF로 구성되어 자산 배분과 리밸런싱을 자동화함으로써 자문가들이 고객 관계·세무·재무 계획에 집중할 수 있게 함.

✔️ 패시브 투자 확산과 궤를 같이함: 10만~100만 달러의 중산층 고객이 주요 대상이며, BlackRock·UBS·Morgan Stanley·Fidelity 등 주요 금융기관들이 수천 개의 모델을 제공. 일부 모델은 다양한 운용사 펀드를 혼합(오픈 아키텍처), 일부는 자체 중심으로 구성.

✔️ 소매 투자시장으로 확대: Vanguard와 Webull 등 D2C 플랫폼들도 연 0.2% 수준의 저비용으로 맞춤형 자동 포트폴리오 제공. Webull은 기존의 젊은 트레이더 중심에서 패시브 투자 수요 대응으로 확대 중.

✔️ 향후 전망과 변화: 2029년까지 모델 포트폴리오 자산은 13.2조 달러에 이를 전망. 자문가 대상 도구를 넘어, 개인 투자자에게 사모 신용·사모주식 등 더 다양한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민주화된 게이트웨이' 역할로 진화 중.

https://www.wsj.com/finance/investing/more-financial-advisers-are-outsourcing-investment-decisions-a27ebc1f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Economist] The world must escape the manufacturing delusion

- 글로벌 제조업 부흥을 위한 각국의 정책은 비현실적이며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됨

✔️ 정책 배경: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비롯해 영국·인도 등 주요국이 제조업 육성에 나선 배경에는 산업 일자리 회복, 공급망 안보, 대중국 견제 목적 등이 있음. 그러나 이러한 재산업화 정책은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할 가능성이 높음.

✔️ 일자리 회복은 환상: 자동화로 인해 전 세계 제조업 일자리는 감소 추세이며, 기술·대학 교육이 필요한 고숙련직이 대다수를 차지. 제조업은 더 이상 저학력자에게 임금 프리미엄을 제공하지 않으며, 서비스업 대비 생산성도 뒤처져 있어 급여 상승 여력도 제한적임.

✔️ 경제 성장과의 과대 연결: 인도는 제조업 부진에도 고성장을 유지했고, 중국은 제조 강국임에도 경기 둔화를 겪고 있음. 안보 논리 또한 제한적이며, 우크라이나 전쟁은 전시 경제가 평시 대규모 제조 역량 없이도 적응 가능함을 보여줌.

✔️ 중국 모델 모방은 비효율적: 중국의 산업 지배력은 정책보다는 내수 규모와 집적 효과에 기반함. 서방은 중국식 개입주의를 따르기보다, 동맹 간 개방적 무역을 통해 경쟁력 있는 경제 블록을 구성하는 것이 더 유리함.

✔️ 결론: 현재와 같은 보호주의와 정부 개입 확대는 혁신 저해 및 자원 낭비로 이어질 수 있으며, 글로벌 제조업 르네상스는 신화에 불과할 수 있음.

https://www.economist.com/leaders/2025/06/12/the-world-must-escape-the-manufacturing-delusion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단독] SK x AWS, 울산 ‘AI 데이터센터’에 7조 투자…AWS도 40억 달러 베팅

- 17일 출범식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참석
- ‘AI 3강’ 공약을 현실로…7조 민간 투자로 열리는 울산 시대
- 수도권 중심 해소와 친환경 고효율 설계
- 공공이 주저한 사이 민간은 ‘AI 고속도로’로 응답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90726642202048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WSJ> Micron Technology to Invest $200 Billion in U.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icron Technology는 미국 내 반도체 제조에 2,0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약 9만 개의 직간접적인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함

✔️ 대규모 투자 발표: 마이크론은 뉴욕주 등지에 최첨단 반도체 제조시설을 신설 및 확장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2,000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을 밝힘.

✔️ 일자리 창출 효과: 이 투자로 약 40,000개의 직접 고용과 50,000개의 간접 고용 등 총 90,000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됨.

✔️ 공급망 강화 목표: 마이크론은 이번 프로젝트가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고 글로벌 제조 허브로서 미국의 입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정부 정책과 연계: 해당 투자는 연방 CHIPS법에 따른 정부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기반으로 하며, 바이든 행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전략과 궤를 같이함.

https://www.wsj.com/tech/micron-technology-to-invest-200-billion-in-u-s-semiconductor-manufacturing-bc05bce6?st=6UmwKH&reflink=desktopwebshare_permalink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시그널랩 리서치] 6/16 (월)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2,197.79 (-1.79%)
- S&P500: 5,976.97 (-1.13%)
- 나스닥: 19,406.83 (-1.30%)
- S&P500 VIX: 20.82 (+15.54%)
- 달러인덱스: 98.18 (+0.27%)
- WTI선물: 72.98 (+7.26%)
- MSCI 한국 Index Fund: 66.42 (-1.88%)

◆ Comment

- 우리 증시는 대체로 약세 예상.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 시장 전반적인 약세르 연결될 전망.
- 중동 사태가 최악의 국면까지는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낙폭은 다소 제한적일 가능성 존재. 장중 관련 소식이 중요한 변수.
-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하락 마감.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에 따른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가 투심 악화로 연결.
- 개장 이후 이란의 군사적 역량 부족에 따른 확전 우려 완화로 주요 지수는 낙폭 축소하기도 했으나, 오후 들어 이란이 이스라엘을 겨냥해 대규모 미사일 폭격을 가했다는 소식에 따라 재차 낙폭 확대.
- 특히 국제유가는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에 크게 강세를 보이면서 WTI가 7% 넘게 급등.
- 미국의 경제지표는 대체로 긍정적. 6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1년 5.1%, 5년 4.1%로 시장 예상(1년 6.4%, 5년 4.1%)을 대체로 하회.
- 6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의 경우 기대지수 58.4, 심리지수 60.5로 시장 예상(기대지수 49, 심리지수 53.5)을 상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6/16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에너지장비및서비스] 전쟁과 유가
유진투자증권 황성현
ㆍ 지난 주 발생한 이스라엘, 이란 전쟁으로 국제유가(WTI 기준)는 장중 78달러/배럴까지 급등
ㆍ 앞으로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 여부가 최대 리스크이며, 실행에 따라 국제유가는 추가 상승 가능하다고 판단
ㆍ 당사는 전쟁 지속 시 월간 6달러/배럴의 유가 상승을 전망(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 100달러/배럴 상회)

[에너지장비및서비스] 미국 IRA 수정 상황과 대한민국 RE100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ㆍ 이번 주 상원 수정안 초안 나올 것. 하원안 중 일부 조항 수정 예상. 하원에서 재표결 하는 절차 불가피
ㆍ 국내 RE100 달성률 높이기 위해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구매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정책 지원 활성화될 것
ㆍ 트럼프의 등장, 유럽의 우경화 불구 글로벌 재생에너지 시장 지속 성장. 국내는 정책 지원 재개로 본격 성장 국면

[우주항공과국방] 이스라엘-이란 전쟁의 영향
KB증권 정동익,서준모
ㆍ 이스라엘-이란 분쟁으로 국내 방산주 주가 상승
ㆍ 이스라엘 방산업체들과의 협력과 경쟁이 공존
ㆍ 단기적으로는 한국 방산업체들에게 기회요인

[우주항공과국방] 폴란드 친미/반EU 대통령 당선과 카이 실적
다올투자증권 최광식
ㆍ PiS(법과 정의)가 지지하는 나브로츠키 당선
ㆍ 2023년의 위기감 대신 2025년에는 기대감으로 주가 작동
ㆍ 카이의 FA-50 블록2 지연. 빨리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우주항공과국방] 방위산업 3사 점검 및 이스라엘-이란 충돌 코멘트
LS증권 최정환
ㆍ 한국항공우주: 재개되는 인도네시아와의 협력
ㆍ 현대로템: 가시화되는 폴란드 K2전차 2차 계약
ㆍ LIG넥스원: 중동향 방산물자 수요 증가 기대

[운송인프라] 이스라엘, 이란 사태에 따른 해운업황 영향
iM증권 배세호
ㆍ 이스라엘 - 이란 교전, 사태 장기화 시 해운주 전반적으로 수혜
ㆍ 호르무즈 해협을 중심으로 긴장 강도 강화, 실제 봉쇄는 극단적인 시나리오라고 판단
ㆍ 홍해 사태는 더욱 장기화될 것으로 보여 컨테이너 운임 상승 여력

[운송인프라] 이스라엘-이란 갈등 영향 점검
상상인증권 이서연
ㆍ 이스라엘의 이란 갈등 장기화 및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 대두
ㆍ 항공, 유가 상승에 따른 유류비 부담 증가 우려
ㆍ 해운, 톤마일 증가에 따른 운임 영향은 선종별 구분 필요

[건강관리장비와용품] 인바운드 의료관광, 2분기 기대치를 높여도 될 시점
LS증권 조은애
ㆍ 5월 외국인 의료관광 피부과 지출금액 952억원(-8% mom, +167% yoy)

[건강관리장비와용품] 동남아 접수 끝. 남은 건 미국뿐
다올투자증권 박종현
ㆍ 태국 피부 미용 의료 시장에서 높은 시술 관심도 확인되며 국내 업체들의 MS는 높음
ㆍ 인도네시아 시장 또한 확장기이며, 여전히 높은 시술 단가로 인해 국내 의료 관광에 대한 수요 또한 유효

[건강관리장비와용품] 2025.05월 확정 수출 데이터
다올투자증권 박종현
ㆍ 미용 의료기기: 2025.05월 원텍(유성구) 수출 8.1백만달러로 YoY +62%, MoM +24%. 4, 5월 합산 14.5백만달러로 1, 2월 합산 12.7백만달러 대비 +15% 수준. 기존 수출처인 태국을 중심으로 브라질, 미국 신규 선적으로 호실적 전망
ㆍ 톡신: 휴젤(춘천시)와 대웅제약(화성시), 메디톡스(청주시)의 2025.04월과 05월 합산 수출데이터는 16.2백만달러와 30.2백만달러, 9.4백만달러로 1, 2월 합산 대비 +28%, +60%, +69% 기록 중
ㆍ 필러: 파마리서치(강릉시)와 휴젤(춘천시)의 2025.04월과 05월 합산 수출데이터는 16.5백만달러와 16.8백만달러로 1, 2월 합산 대비 +70%, +34% 기록 중

[증권] 돌아온 동학개미
신한투자증권 임희연
ㆍ 동학개미운동 시즌 II 개봉 박두
ㆍ 6월 일평균 거래대금 29.9조원(+46% MoM), 개인투자자 유입 가속화
ㆍ 거래대금 증가에 따른 ROE 민감도 분석

[손해보험] 정책 방향성에 따른 종목별 주가 차별화 전망
키움증권 안영준
ㆍ 대표적 규제 산업인 보험, 정책 방향성에 초점을 맞출 필요
ㆍ 작년 배당을 지급하지 못했던 보험사에 대한 관심 필요

[부동산] 25년 하반기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금리에 질척, 관세에 주춤, 그러나 회복에 방점
대신증권 배상영
ㆍ 점진적인 회복세에서 나타난 관세 정책-금리 정체
ㆍ 회복세 지연되고 있으나, 선별적인 진입하기 좋은 시기라는 판단은 유지
ㆍ [주택시장] 고금리는 버텼으나, 관세정책으로 심리 약화

[IT서비스] 반도체 기판, 순환매 관점에서 긍정적인 시각
대신증권 박강호
ㆍ 원달러 하락으로 전기전자 중심으로 2Q 실적 하향 진행
ㆍ 심텍, 티엘비 등 메모리 모듈 업체의 주가 강세

[전자장비와기기] 착시현상
메리츠증권 노우호
ㆍ 25.5월 친환경차 판매량(BEV 및 PHEV) 160만대(+24% YoY)
ㆍ 국내 이차전지 섹터 주가 단기 반등, 그럼에도 Q/P 지표는 여전히 부진

[방송과엔터테인먼트] 수급 밀당
신한투자증권 지인해,김지영
ㆍ 엔터는 조정 시 비중확대, 미디어는 업사이드 리스크
ㆍ 엔터 셀온 vs. 미디어 빈집털이 수급

[복합유틸리티] 4월 전력통계월보: 비수기 기저발전 감소
하나증권 유재선,성무규
ㆍ 4월 전력판매량 YoY +0.8%, 전력판매금액 YoY +7.1%
ㆍ 원자력 이용률 정비 물량 증가로 하락. 유연탄은 역대 최저치로 하락
ㆍ 지속되는 비용 안정화 기조. 비수기지만 2분기도 양호한 흐름 기대
[시그널랩 리서치] 6/16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지주회사의 이상적인 기업가치 제고 추진, PBR도 아직 매력 보유>
현대차증권 김한이
ㆍ 투자의견 BUY 유지, TP 8,900원으로 상향.
ㆍ 지주회사로서 자회사들과 동반하여 이상적인 기업가치제고 지속 추진 중
ㆍ 지주회사 체제 내 주요 자회사들의 주주환원, 기업가치제고 노력 꾸준히 이어지는 중.
ㆍ 매 분기 실적 발표될 때마다 새로운 제고방안이 기대되는 그룹

<서부T&D[006730] 탄탄한 수익성에 주주 친화 정책 더해진다>
SK증권 나승두
ㆍ 외국인 입국자 늘고, 우리 실적도 늘고
ㆍ 숨어있는 다크호스 신한서부티엔디리츠까지

<S-Oil[010950] 골이 깊은 만큼 강한 반등 전망>
NH투자증권 최영광
ㆍ 제한적인 공급 상황 바탕으로 정제마진 강세 지속
ㆍ 2분기 실적 부진, 3분기 실적은 크게 반등할 전망

<롯데관광개발[032350] 삼박자 갖춘 유일한 기업>
SK증권 나승두
ㆍ 2017년 수준 회복한 제주도 외국인 입도객
ㆍ 삼박자를 갖춘 유일한 기업
ㆍ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1,000원 상향

<파라다이스[034230] 하반기는 더 기대됩니다>
SK증권 나승두
ㆍ 방문객&드롭액 증가 중
ㆍ 상반기보다 더 좋은 하반기 기대
ㆍ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8,400원 상향

<쿠쿠홀딩스[192400] 올해도 안정적인 성장 기대>
NH투자증권 이승영
ㆍ 실적 성장과 함께 지주사 디스카운트 축소 기대
ㆍ 2Q25 Preview: 중국 매출 회복 본격화

<코스맥스[192820] 인니를 시작으로, 동남아로 넓혀가는 글로벌 무대>
DB증권 허제나
ㆍ 인도네시아 법인 애널리스트데이 후기
ㆍ 인니를 시작으로 확장될 시장 기회. Upside potential은 더욱 커진다
ㆍ 목표주가 29만원으로 상향, 아시아 ODM 시장 선점 능력 재평가될 시기

<코스맥스[192820] 동남아로 뻗어 나가는 K-ODM (인도네시아 탐방 후기)>
교보증권 권우정
ㆍ 인도네시아 법인: ODM 선두주자, 독보적 경쟁력
ㆍ 태국 법인: 25년 매출 성장률 YoY 107% !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및 목표주가 290,000원으로 상향

<파마리서치[214450] 차가운 이성이 필요한 때>
유진투자증권 조태나
ㆍ 단기 조정 이후 저점 매수 전략 유효
ㆍ 파마리서치 인적 분할 개요
ㆍ Pros & Cons
ㆍ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 승계 가능성을 무시할 수는 없음

<파마리서치[214450] 미지의 인적분할, 미래의 리쥬란 성장성>
LS증권 조은애
ㆍ 인적분할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 vs 상향조정 필요한 예상 실적
ㆍ 여전히 높은 중장기 실적 모멘텀

<LX홀딩스[383800] 눈여겨 봐야 할 주주가치 개선 여력>
BNK투자증권 김장원
ㆍ 배당 체력 개선
ㆍ 주주환원 확대 압력
Forwarded from [시장을 이기는 유안타 주식전략] 김용구 (김세빈 유안타 투자전략팀)
🧿 [6/16, Conviction Call] 이스라엘/이란 충돌과 투자전략 함의

유안타 주식전략 김용구(02-3770-3521)

자료: < https://bit.ly/3FEUxg9  >
텔레그램: < https://t.me/ConvictionCall >

6/13일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Rising Lion’ 작전) 이후 양국간 준전면전 성격의 지정학적 갈등이 격화. 이는 ‘24년 4월과 9~10월에 연이은 세번째 무력 충돌이며 전체 맥락은 이전 충돌과 동일. 그러나 당시 단기전/국지전/대리전 성격의 갈등 양상, 바이든 행정부의 유효한 통제/중재 능력으로 국내외 경제/증시 영향이 단기 노이즈 수준으로 한정됐던 이전 충돌과는 지정학적 현실이 크게 다름:

이란의 트럼프 핵협상 제안 거부는 국제형사재판소 기소와 부패 재판 등 정치적 코너에 몰린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에겐 좋은 반전의 트리거. 이에 네타냐후는 이란 핵 프로그램 파괴와 민주화라는 명분 하에 이란 타격에 매진할 공산이 큼. 또한 트럼프 2기 외교 정책의 중추는 인도-태평양 전략이며, 중국 견제에 집중하기 바쁜 트럼프의 입장에서 우크라이나/러시아, 이스라엘/이란의 2개 전쟁은 골치거리. 러시아와 이스라엘 주도의 사태 봉합을 바라는 트럼프는 핵무기 사용이나 중동 전반으로의 확전이 아닌 이상 수수방관을 지속할 소지가 다분. 미국에게 정권의 안위를 거래/구걸해야 하는 이란은 수세적으로 끌려갈 개연성이 높으며, 러시아/중국/유로존 등에게 미국의 관심과 요구를 전달하는 대리자 이상의 중재 역할을 기대하긴 무리

이번 사태가 전면전(제 3차 중동전쟁)으로 비화될 여지는 희박하나, 중동과 인류사의 비극은 장기전 형태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판단하는 이유. 궁금한 점은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 관련 국내외 증시 투자전략 함의 판단

• 첫째, 국내외 매크로/증시 전환점(Tipping Point)은 WTI 국제유가 85$선

과거 중동 지정학 리스크 격화 파장은 WTI 국제유가의 통계/기술적 오버슈팅 극단에 준하는 +3σ 수준까지의 단기 상승으로 연결. 지리멸렬 장기전 가능성이 앞서는 이번 사태의 본질을 고려할 경우, 이후 WTI 유가는 80$ 어귀까지 추가 상승 가능성이 앞섬. 국내외 매크로/증시 전환점은 WTI 국제유가 85$선이 될 것. 통상 WTI가 6개월 이전 대비 등락률이 +40%선을 넘어서는 시점을 전후해 글로벌 경기침체와 국내외 증시 Bear Market 추세 전환이 본격화. 현 이스라엘/이란 갈등이 6월 이후 WTI 유가의 85$대 상승으로 반영될 경우, ‘25년 10월께 +40% 임계선 통과가 가능. 반면, WTI가 75$ 전후 레벨에서 안정화될 경우, 관련 파장은 +25% 이내로 한정. 단, 1) 초과공급의 현 국제원유 수급 환경, 2) 사우디아라비아를 위시한 OPEC+ 산유국의 증산 기조 선회, 3) 물가 하향 안정화 포석의 미국 에너지 공급/투자 확대 가능성 등에 따를 경우, WTI 유가의 85$선 이상으로의 추가 상승 여지는 이란의 핵무기 사용이나 중동 전반으로의 확전이 아닌 이상 지극히 희박

• 둘째, 국내증시 파장은 KOSPI 2,780Pt선(12개월 선행 P/B 0.9배선) 하방 지지력을 테스트하는 기간조정 성격으로 한정

통상 국내외 증시 인덱스 경로는 VIX(S&P500 지수 변동성)와 MOVE(미 국채금리 변동성) 지수로 측정되는 글로벌 증시/금리 합산 변동성 변화에 편승.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발 중동 지정학적 불확실성 심화는 이미 하방 임계선 어귀까지 충분히 낮아진 VIX 지수의 재상승을 자극할 개연성이 높음. 이미 VIX 지수 추세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선행 시그널에 해당하는 SKEW 지수는 6/13일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을 기점으로 최근 5거래일 이전 대비 10Pt 이상 속등하며 VIX 지수의 상승 추세 전환 가능성을 시사. 70~80$대 WTI 국제유가 상승 압력은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을 경유해 국채금리 레벨 및 변동성 환경에 상방위험으로 기능할 개연성이 높음. 포괄적 물가 환경 및 장단기 기대인플레이션 환경은 국제유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왔음. 문제는 7/9일 중국 제외 교역국 상호관세 부과 90일 유예 만료 시점을 전후해 트럼프측 관세 압박은 한층 더 가중될 공산이 크고, 7/4일 독립기념일까지로 계획된 감세안 상원 통과와 부채한도 협상이 원만하게 타결되기 전까진 연준은 수세적 대응을 고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 제한적 유가 압력이더라도 시장금리 환경엔 설상가상격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의미. 단, 6/4일 신정부 출범 이래로의 국내증시 반격은 이재명 Put 정책 기대 영향이 컸고, 이는 대외 불확실성에 면역된 내부 동인이자 완충기제에 해당한다는 점을 고려할 경우, 중동 지정학적 불확실성 심화 관련 국내증시 영향은 급속한 가격조정보단 완만한 기간조정 성격으로 한정될 개연성이 높음. 당분간 시장은 KOSPI 12개월 선행 P/B 0.9배선에 해당하는 인덱스 2,780Pt선의 하방 지지력에 기댄 채 이후 사태의 추이를 관망하며 숨고르기 과정에 집중할 전망

• 셋째, 국제유가 상승 민감 한국 EPC Play와 유가 둔감 신정부 정책 Play 대표주 압축대응에 초점

WTI 국제유가와 업종/시장 상대주가간 상관관계 분석으로 투자대안별 유가 민감도를 측정. 이에 따를 경우 국내증시 업종별 분포는, 1) 국제유가 상승 Positive 민감: 에너지(정유), IT하드웨어, 화학, 조선, 디스플레이, 철강, 건설, 2) 유가 둔감/무관: 증권, 바이오, 운송, 은행, 상업서비스, 반도체, 생활용품, 유통, 3) 유가 상승 Negative 민감: 자동차, 유틸리티, 내구소비재, 미디어, 통신, 음식료, 보험, SW, 소비자서비스 등으로 3분화.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 관련 국제유가 70~80$대 추가 상승 압력과 국내외 증시 기간조정 부침에 맞설 수 있는 안전지대격 투자대안은 유가 상승 Positive 민감주. 특히, WTI 국제유가 상승은 미국 E&P(Exploration & Production. 에너지 시추/생산 등) 밸류체인의 주가 모멘텀 강화를 경유해 조선/기계/건설/플랜트 기자재(강관, 피팅)를 위시한 한국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에너지 관련 인프라 설비의 설계/구매/시공/운반 등) 대표주의 전술적 유용성 강화로 확산. EPC 밸류체인 대표주를 유가 상승 및 시장 기간조정 리스크 헤지 관련 최우선적 고려가 필요한 업종대안으로 주목하는 이유. 더불어, 지주, 증권, 방산 등 국제유가 무관/둔감 신정부 정책 모멘텀 수혜주 역시 중동 리스크에 면역화된 보완재로 지속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 본 내용은 당사 compliance의 승인을 득하였음
Analyst 나승두 (nsdoo@sks.co.kr/3773-8891)

▶️ 먹고, 자고, 노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

여행을 떠나요: 하반기 주목하는 K-Tour

올해 5월 우리나라 소비자 심리지수는 100을 넘어서 101.8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88.2까지 하락했었던 점을 감안한다면 가파른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소비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던 여러 이벤트 요인들이 소멸되면서 앞으로도 꾸준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여행비 지출전망도 올해 1월 88.0에서 95.0까지 반등했다. 올해 10월 긴 연휴 등을 앞두고 있기에 여행을 떠나고자 하는 수요는 하반기에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는 인바운드 여행객 증가에 따른 수 업종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실제로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은 매월 증가했고, 이들이 이용하는 호텔 및 레저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러한 추세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중국 단체 관광객들에 대한 비자 면제 시행을 앞두고 있고,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일 등을 명분삼아 관계 회복 및 문화 교류 확대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반기에도 인바운드 여행객 증가는 지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아웃바운드 여행객들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외 여행 소비 심리를 억누르던 부정적 이벤트들이 모두 마무리되었고, 항공 노선 및 여행 상품도 다양하게 늘어나는 중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노선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과거 중국 효도관광 열풍 등이 다시 재개될 가능성도 분명 있다. 여행업 반등을 미리 준비하기에 딱 좋은 시점이다.

6월 먹.자.놀. Top pick
- 하나투어, 롯데관광개발, 파라다이스, 서부T&D(신한서부티엔디리츠),
제이에스코퍼레이션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3YDaY9X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다올 의료기기 박종현]

★ 의료기기(Overweight) - 동남아 접수 끝. 남은 건 미국뿐

IMCAS 2025 ASIA 참여 업체 중 한국 업체 비중 50%. 비침습RF와 PDRN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도 확인. HIFU 제품은 클래시스의 압도적인 MS 확인

태국/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국내 제품 인지도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한국 대비 시술가는 3배 이상. 또한 스킨부스터 리쥬란의 인지도 재확인. 2024년 관광 수입 대비 의료관광 비중은 6.1%이며 2025E 10% 달성 기대. 피부재생 OTC 제품 또한 넥스트 K뷰티 품목으로 주목 가능

중장기 피부 미용 의료기기 업체의 리스크는 MSO와 시술 어플리케이션 부상에 따른 브랜딩 파워 약화. 2025E 레이저/마이크로웨이브/ EMS+모노폴라 RF 등 신규 리프팅/타이트닝 장비 출현

클래시스와 파마리서치, 휴젤 3사에 대한 TAM과 MS 계산을 통한 중장기 기업 가치 산정. 클래시스과 파마리서치, 휴젤 각각 10조원, 9.5조원, 7조원 제시

클래시스: 마케팅 팀과의 인터뷰 통해 태국 시장에서의 동사 MS 확대 기대감 통해 Conviction BUY 제시, 적정주가 8.5만원. 2020 ~ 2022년 급격한 성장을 보인 브라질 시장을 태국에서 반복 재현 중. 1,500개 클리닉 유저 기반으로 Ultraformer 3 구매 유저를 Ultraformer MPT, Volnewmer로 전환 중. 미국/유럽 시장 또한 HIFU/RF 침투율 확대 기대

파마리서치: 인적분할 코멘트. 인적분할로 인한 기업 가치 훼손 요소 없음. 주주환원율 강화(30%) 및 신규 포트폴리오 및 해외 진출 전략 주목. 적정주가 51만원 유지. 잠재 리스크였던 승계 관련 이슈 완전 해소되며 현 구조 상 사업회사 주가 상승은 최대주주와 일반주주 모두 수혜로 사업회사 Long, 홀딩스 Short 유효. 적정주가 51만원 제시하며, 인적분할에 따른 사업회사와 홀딩스 합산 가치는 7.5조원(주가 기준 64만원)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kG2vVc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