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리서치] 5/13 (화)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2,410.10 (+2.81%)
- S&P500: 5,844.19 (+3.26%)
- 나스닥: 18,708.34 (+4.35%)
- S&P500 VIX: 18.40 (-15.98%)
- 달러인덱스: 101.76 (+1.42%)
- WTI선물: 61.95 (+1.52%)
- MSCI 한국 Index Fund: 58.04 (+0.61%)
◆ Comment
- 어제 미 증시는 나스닥이 4% 넘게 상승하는 등 강세 마감. 미국과 중국이 90일간 대부분의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긍정적 요소로 작용.
- 이에 따라 미국은 대중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일시적으로 낮추게 되며, 양국은 향후 협의를 이어나가기로 결정.
- 경제지표 발표는 특별히 없었으나, 일부 연준 위원들은 협상 결과에 대해 언급.
-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이번 관세 인하가 연준의 대응 필요성을 낮췄다고 평가.
-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미번 관세 합의는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피해는 여전하다며, 주요 결정을 미루는 것 뿐이라 평가.
◆ 5월 12일 발표 기준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2nhYEte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2,410.10 (+2.81%)
- S&P500: 5,844.19 (+3.26%)
- 나스닥: 18,708.34 (+4.35%)
- S&P500 VIX: 18.40 (-15.98%)
- 달러인덱스: 101.76 (+1.42%)
- WTI선물: 61.95 (+1.52%)
- MSCI 한국 Index Fund: 58.04 (+0.61%)
◆ Comment
- 어제 미 증시는 나스닥이 4% 넘게 상승하는 등 강세 마감. 미국과 중국이 90일간 대부분의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긍정적 요소로 작용.
- 이에 따라 미국은 대중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일시적으로 낮추게 되며, 양국은 향후 협의를 이어나가기로 결정.
- 경제지표 발표는 특별히 없었으나, 일부 연준 위원들은 협상 결과에 대해 언급.
-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이번 관세 인하가 연준의 대응 필요성을 낮췄다고 평가.
-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미번 관세 합의는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피해는 여전하다며, 주요 결정을 미루는 것 뿐이라 평가.
◆ 5월 12일 발표 기준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2nhYEte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NHN (18171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030
● 매출액: 6,001억원
- YoY: -0.7%
- QoQ: -6.8%
- 컨센대비: -5.5%
● 영업이익: 276억원
- YoY: +1.3%
- QoQ: +10.6%
- 컨센대비: +6.3%
● 당기순이익: -2억원
- YoY: 적자지속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101.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030
● 매출액: 6,001억원
- YoY: -0.7%
- QoQ: -6.8%
- 컨센대비: -5.5%
● 영업이익: 276억원
- YoY: +1.3%
- QoQ: +10.6%
- 컨센대비: +6.3%
● 당기순이익: -2억원
- YoY: 적자지속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101.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5/13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항공사] 4월 항공 실적 - 매크로 난기류를 타고
상상인증권 이서연
ㆍ 4월 전국 공항 국제선 여객 수송 실적 yoy +6%
ㆍ 4월 인천 공항 화물 수송 실적 yoy +1%
ㆍ 단기 우려는 일부 해소, 중장기 변동성은 예의주시 필요
[항공사] 4월 항공실적: 양극화 시대
한국투자증권 최고운,황현정
ㆍ 양대 국적사는 내수소비 부진과 사고 여파에도 차별화
ㆍ 저비용항공 국제선 점유율은 30%대에서 정체될 전망
ㆍ 결국 길게 보면 경쟁력이 더 부각되는 건 대한항공
[운송인프라] 이제 혼란은 선사들의 기회
한국투자증권 최고운,황현정
ㆍ 미중 관세 인하 합의는 해운업종에게 가장 긍정적
ㆍ 단기적으로 혼란을 이용할 수 있는 물류/해운선사에 주목할 차례
[자동차] 중국 자동차 판매 동향: 2025년 4월: 신에너지차 위주의 성장 속 로컬 브랜드의 입지 강화
하나증권 송선재,강민아
ㆍ 중국 자동차 시장: 4월 도매판매 +11%, 소매판매 +15%, 생산 +12%, 수출 -2% 기록. 신에너지차 소매판매는 +34%, 비중 51.6%로 상승
ㆍ 업체별 점유율: 지리기차/장안기차 상승 vs. VW/테슬라/BYD 하락
ㆍ 주요 시사점: 중국 정부의 소비진흥 정책 효과가 지속. 로컬 브랜드의 입지 강화 중
[호텔,레스토랑,레저] 예상보다 더 좋았다
하나증권 이기훈,김현수
ㆍ 중국인 드랍액만 상승한다면 추가 상승 여력도 높다
ㆍ 파라다이스 1Q Review: OP 573억원(+18% YoY)
ㆍ GKL 1Q Review: OP 202억원(+46% YoY)
[제약] 트럼프, 약가 인하 위한 행정명령 서명
SK증권 이선경
ㆍ 미국 내 약가 인하를 위한 광범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관련 내용을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
ㆍ 제약사, 보험사, 유통사 등 대상, 가격 투명성 제고 및 인하 조치 본격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 표명
ㆍ 구체적인 내용은 부재, 법적/구조적 한계로 인해 단기내 추진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며 소비자 구매 프로그램 촉진, 유럽 약가 시스템 조정 압박 가능성 존재함에 따라 제약사의 피해는 제한적일 수 있는 상황
[제약] American Patient First
대신증권 이희영
ㆍ American Patients First: 트럼프 2기, 약가를 둘러싼 구조적 재편 선포
ㆍ 애널리스트 코멘트: 1기보다 광범위한 내용 포함, 세부 시행안 모니터링 필요
[제약] 에버그리닝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하나증권 김선아,유창근
ㆍ 빅파마들의 에버그리닝 헛점
ㆍ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정책 환경
ㆍ 더 강력한 에버그리닝을 위하여
[은행] 대선 공약 관련 내용 점검
LS증권 전배승
ㆍ 금융업종별 대선 공약 관련 내용 점검
ㆍ 증권업에 우호적 정책기조. 은행/보험업종 일부 정책 불확실성 상존
[증권] 최근 주가 상승에 대한 생각
한국투자증권 백두산,안현빈
ㆍ 증권 업종은 2분기 들어 22% 상승
ㆍ 증권업 비중확대. 채권운용 호실적
ㆍ 국내주식 브로커리지 개선
[기타금융] 디지털 자산; 존재한다, 고로 투자된다
메리츠증권 조아해
ㆍ 변화될 금융 생활
ㆍ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세상
ㆍ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플랫폼
[전자장비와기기] 관세 협상 관련 전기전자 업종 주가 코멘트
iM증권 고의영,손우성
ㆍ ①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Apple의 노력
ㆍ ② 미·중이 합의하면 없던 일이 될까
ㆍ ③ 그래도 주가는 빠르게 반등할 전망
ㆍ ④ 추세성을 가지기 위한 조건
ㆍ ⑤ ‘성장하는’ 레거시 주식도 관심
[반도체와반도체장비] 미중 합의, 반도체 수요에 긍정적
KB증권 김동원,이의진
ㆍ 중국산 제품 대한 관세를 30%로 90일간 인하
ㆍ 관세 불확실성 해소, 반도체 수요에 긍정적 요인
ㆍ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ttps://t.me/siglab
[항공사] 4월 항공 실적 - 매크로 난기류를 타고
상상인증권 이서연
ㆍ 4월 전국 공항 국제선 여객 수송 실적 yoy +6%
ㆍ 4월 인천 공항 화물 수송 실적 yoy +1%
ㆍ 단기 우려는 일부 해소, 중장기 변동성은 예의주시 필요
[항공사] 4월 항공실적: 양극화 시대
한국투자증권 최고운,황현정
ㆍ 양대 국적사는 내수소비 부진과 사고 여파에도 차별화
ㆍ 저비용항공 국제선 점유율은 30%대에서 정체될 전망
ㆍ 결국 길게 보면 경쟁력이 더 부각되는 건 대한항공
[운송인프라] 이제 혼란은 선사들의 기회
한국투자증권 최고운,황현정
ㆍ 미중 관세 인하 합의는 해운업종에게 가장 긍정적
ㆍ 단기적으로 혼란을 이용할 수 있는 물류/해운선사에 주목할 차례
[자동차] 중국 자동차 판매 동향: 2025년 4월: 신에너지차 위주의 성장 속 로컬 브랜드의 입지 강화
하나증권 송선재,강민아
ㆍ 중국 자동차 시장: 4월 도매판매 +11%, 소매판매 +15%, 생산 +12%, 수출 -2% 기록. 신에너지차 소매판매는 +34%, 비중 51.6%로 상승
ㆍ 업체별 점유율: 지리기차/장안기차 상승 vs. VW/테슬라/BYD 하락
ㆍ 주요 시사점: 중국 정부의 소비진흥 정책 효과가 지속. 로컬 브랜드의 입지 강화 중
[호텔,레스토랑,레저] 예상보다 더 좋았다
하나증권 이기훈,김현수
ㆍ 중국인 드랍액만 상승한다면 추가 상승 여력도 높다
ㆍ 파라다이스 1Q Review: OP 573억원(+18% YoY)
ㆍ GKL 1Q Review: OP 202억원(+46% YoY)
[제약] 트럼프, 약가 인하 위한 행정명령 서명
SK증권 이선경
ㆍ 미국 내 약가 인하를 위한 광범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관련 내용을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
ㆍ 제약사, 보험사, 유통사 등 대상, 가격 투명성 제고 및 인하 조치 본격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 표명
ㆍ 구체적인 내용은 부재, 법적/구조적 한계로 인해 단기내 추진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며 소비자 구매 프로그램 촉진, 유럽 약가 시스템 조정 압박 가능성 존재함에 따라 제약사의 피해는 제한적일 수 있는 상황
[제약] American Patient First
대신증권 이희영
ㆍ American Patients First: 트럼프 2기, 약가를 둘러싼 구조적 재편 선포
ㆍ 애널리스트 코멘트: 1기보다 광범위한 내용 포함, 세부 시행안 모니터링 필요
[제약] 에버그리닝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하나증권 김선아,유창근
ㆍ 빅파마들의 에버그리닝 헛점
ㆍ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정책 환경
ㆍ 더 강력한 에버그리닝을 위하여
[은행] 대선 공약 관련 내용 점검
LS증권 전배승
ㆍ 금융업종별 대선 공약 관련 내용 점검
ㆍ 증권업에 우호적 정책기조. 은행/보험업종 일부 정책 불확실성 상존
[증권] 최근 주가 상승에 대한 생각
한국투자증권 백두산,안현빈
ㆍ 증권 업종은 2분기 들어 22% 상승
ㆍ 증권업 비중확대. 채권운용 호실적
ㆍ 국내주식 브로커리지 개선
[기타금융] 디지털 자산; 존재한다, 고로 투자된다
메리츠증권 조아해
ㆍ 변화될 금융 생활
ㆍ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세상
ㆍ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플랫폼
[전자장비와기기] 관세 협상 관련 전기전자 업종 주가 코멘트
iM증권 고의영,손우성
ㆍ ①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Apple의 노력
ㆍ ② 미·중이 합의하면 없던 일이 될까
ㆍ ③ 그래도 주가는 빠르게 반등할 전망
ㆍ ④ 추세성을 가지기 위한 조건
ㆍ ⑤ ‘성장하는’ 레거시 주식도 관심
[반도체와반도체장비] 미중 합의, 반도체 수요에 긍정적
KB증권 김동원,이의진
ㆍ 중국산 제품 대한 관세를 30%로 90일간 인하
ㆍ 관세 불확실성 해소, 반도체 수요에 긍정적 요인
ㆍ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시그널랩 리서치] 5/13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주주환원 여력과 의지 확인>
흥국증권 박종렬,송지원
ㆍ 1Q Review: OP 956억원(+159.7, YoY), 전망치 하회
ㆍ 소비 불황에도 강한 내성 확인, 양호한 실적 모멘텀 지속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반등의 서막>
SK증권 박형우,권민규
ㆍ 1분기: 적자 기록했지만, 저점 확인
ㆍ 2분기 및 향후 전망: 가동률 반등
ㆍ 목표주가 29,500원, 매수 의견으로 커버리지 개시
<현대백화점[069960] 실적 호전과 재평가>
흥국증권 박종렬,송지원
ㆍ 1Q Review: OP 1,125억원(+63.5% YoY), 전망치 상회
ㆍ 실적 호조 지속: 백화점 주도, 지누스와 면세점 가세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84,000원 상향
<이마트[139480] 할인점 비용 절감, 자회사 실적 개선으로 서프라이즈 기록>
대신증권 유정현
ㆍ 할인점 GPM 개선, 판관비 절감으로 손익 대폭 개선
ㆍ 건설 자회사 적자 개선, 프라퍼티도 회계 인식 변경으로 손익 급증
ㆍ 할인점 기존점 회복 여전히 숙제, 다만 이익 레벨 상승한 점 고무적
<이마트[139480] 1Q25 Review - 본업 호조는 지속>
상상인증권 김혜미
ㆍ 1Q25 매출액 yoy +0.2%, 영업이익 yoy +238.2%
<리가켐바이오[141080] 올해도 새로운 기술이전을 기다리며>
하나증권 김선아,유창근
ㆍ 바이오텍의 본질에 충실하며 매년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해 온 기업
ㆍ 파트너사의 임상 결과와 후속 파이프라인들의 학술 발표 기대
ㆍ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0원
<클래시스[214150] 성수기를 더 기대하게 만드는 비수기 호실적>
LS증권 조은애
ㆍ 소모품 매출 고성장으로 증명한 볼뉴머와 인바운드 효과
ㆍ 2025년, 소모품 고성장 지속, 하반기 장비 매출 레벨업 기대
<클래시스[214150] 진격의 클래시스>
키움증권 신민수
ㆍ 시장 기대치 상회한 1Q25 실적, 소모품이 마진 드높였다
ㆍ 앞으로도 든든할 사업 성장세, 목표주가 +16.4% 상향
<클래시스[214150] 미용의료기기 매출은 고성장 중이다>
상상인증권 하태기
ㆍ 1분기 영업실적 기대수준 이상
ㆍ 2025년 1분기 장비/소모품 매출 예상보다 고성장 중
<실리콘투[257720] 1Q25 review: 유럽/중동이 이끈 서프라이즈>
삼성증권 이가영
ㆍ 성공적 지역 확장이 이끈 서프라이즈
ㆍ 매입채무 x9배, 재고자산은 +24% … 다음 분기 성장도 대비 중
ㆍ 목표주가 50,000원으로 상향
<실리콘투[257720] 사상 최대 실적 기록>
하나증권 박은정,김다혜
ㆍ 1Q25 Review: 사상 최대 실적 기록
ㆍ 전체 매출 +64% = 미국 -29% + 미국 외 +115%
ㆍ 2025년: 미국을 넘어서는 유럽과 중동 성장
<실리콘투[257720] 1Q25 Re: K뷰티 유럽 지역 맹주가 되다>
메리츠증권 박종대
ㆍ 1분기 영업이익 477억원(YoY 62.1%), 호실적 기록
ㆍ 유럽/중동, 빠른 글로벌 지역 확장세
ㆍ 적정주가 4.2만원 → 4.8만원 상향 조정, 투자의견 매수 유지
<보로노이[310210] 항암제 내성 시장의 떠오르는 다크호스>
대신증권 이희영
ㆍ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5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ㆍ VRN11: 기대감이 높아지는 임상 결과 발표, 내성 시장 정조준
ㆍ VRN10: HER2 TKI 충분히 매력적인 파이프라인으로 추후 기술이전 기대
<원텍[336570] 원텍 그는 누구인가>
키움증권 신민수
ㆍ 시장을 놀래킨 좋은 호실적, 새롭게 태어난 느낌
ㆍ 어느새 시가총액 8천억 원, 목표주가 +10.0% 상향
<디어유[376300] 펀더멘털 이상없다>
NH투자증권 이화정,문소영
ㆍ 중국 진출 + 수익성 강화가 목전
ㆍ 1Q25 Review: 재정비의 시기
<케이카[381970] 1등은 역시 위기에 강하다>
흥국증권 최종경
ㆍ 1Q25 Review: 매출액 +0.04%, 영업이익 +22% YoY
ㆍ 1등은 역시 위기에 강하다
https://t.me/siglab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주주환원 여력과 의지 확인>
흥국증권 박종렬,송지원
ㆍ 1Q Review: OP 956억원(+159.7, YoY), 전망치 하회
ㆍ 소비 불황에도 강한 내성 확인, 양호한 실적 모멘텀 지속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반등의 서막>
SK증권 박형우,권민규
ㆍ 1분기: 적자 기록했지만, 저점 확인
ㆍ 2분기 및 향후 전망: 가동률 반등
ㆍ 목표주가 29,500원, 매수 의견으로 커버리지 개시
<현대백화점[069960] 실적 호전과 재평가>
흥국증권 박종렬,송지원
ㆍ 1Q Review: OP 1,125억원(+63.5% YoY), 전망치 상회
ㆍ 실적 호조 지속: 백화점 주도, 지누스와 면세점 가세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84,000원 상향
<이마트[139480] 할인점 비용 절감, 자회사 실적 개선으로 서프라이즈 기록>
대신증권 유정현
ㆍ 할인점 GPM 개선, 판관비 절감으로 손익 대폭 개선
ㆍ 건설 자회사 적자 개선, 프라퍼티도 회계 인식 변경으로 손익 급증
ㆍ 할인점 기존점 회복 여전히 숙제, 다만 이익 레벨 상승한 점 고무적
<이마트[139480] 1Q25 Review - 본업 호조는 지속>
상상인증권 김혜미
ㆍ 1Q25 매출액 yoy +0.2%, 영업이익 yoy +238.2%
<리가켐바이오[141080] 올해도 새로운 기술이전을 기다리며>
하나증권 김선아,유창근
ㆍ 바이오텍의 본질에 충실하며 매년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해 온 기업
ㆍ 파트너사의 임상 결과와 후속 파이프라인들의 학술 발표 기대
ㆍ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0원
<클래시스[214150] 성수기를 더 기대하게 만드는 비수기 호실적>
LS증권 조은애
ㆍ 소모품 매출 고성장으로 증명한 볼뉴머와 인바운드 효과
ㆍ 2025년, 소모품 고성장 지속, 하반기 장비 매출 레벨업 기대
<클래시스[214150] 진격의 클래시스>
키움증권 신민수
ㆍ 시장 기대치 상회한 1Q25 실적, 소모품이 마진 드높였다
ㆍ 앞으로도 든든할 사업 성장세, 목표주가 +16.4% 상향
<클래시스[214150] 미용의료기기 매출은 고성장 중이다>
상상인증권 하태기
ㆍ 1분기 영업실적 기대수준 이상
ㆍ 2025년 1분기 장비/소모품 매출 예상보다 고성장 중
<실리콘투[257720] 1Q25 review: 유럽/중동이 이끈 서프라이즈>
삼성증권 이가영
ㆍ 성공적 지역 확장이 이끈 서프라이즈
ㆍ 매입채무 x9배, 재고자산은 +24% … 다음 분기 성장도 대비 중
ㆍ 목표주가 50,000원으로 상향
<실리콘투[257720] 사상 최대 실적 기록>
하나증권 박은정,김다혜
ㆍ 1Q25 Review: 사상 최대 실적 기록
ㆍ 전체 매출 +64% = 미국 -29% + 미국 외 +115%
ㆍ 2025년: 미국을 넘어서는 유럽과 중동 성장
<실리콘투[257720] 1Q25 Re: K뷰티 유럽 지역 맹주가 되다>
메리츠증권 박종대
ㆍ 1분기 영업이익 477억원(YoY 62.1%), 호실적 기록
ㆍ 유럽/중동, 빠른 글로벌 지역 확장세
ㆍ 적정주가 4.2만원 → 4.8만원 상향 조정, 투자의견 매수 유지
<보로노이[310210] 항암제 내성 시장의 떠오르는 다크호스>
대신증권 이희영
ㆍ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5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ㆍ VRN11: 기대감이 높아지는 임상 결과 발표, 내성 시장 정조준
ㆍ VRN10: HER2 TKI 충분히 매력적인 파이프라인으로 추후 기술이전 기대
<원텍[336570] 원텍 그는 누구인가>
키움증권 신민수
ㆍ 시장을 놀래킨 좋은 호실적, 새롭게 태어난 느낌
ㆍ 어느새 시가총액 8천억 원, 목표주가 +10.0% 상향
<디어유[376300] 펀더멘털 이상없다>
NH투자증권 이화정,문소영
ㆍ 중국 진출 + 수익성 강화가 목전
ㆍ 1Q25 Review: 재정비의 시기
<케이카[381970] 1등은 역시 위기에 강하다>
흥국증권 최종경
ㆍ 1Q25 Review: 매출액 +0.04%, 영업이익 +22% YoY
ㆍ 1등은 역시 위기에 강하다
Forwarded from 신한 전략/시황/퀀트
『신한속보; 미중 관세 데탕트의 주식시장 영향』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김성환 / 신승웅
-주식시장 영향: Best Scenario 가정한 주식시장 반응 활용할 필요 있는 변수
-세부 주식시장 전략: Best Scenario 반영은 미국과 중국 양쪽 기술주에 우호적 변수
:미국 주식시장 전략: 대응에 가장 효과적 공격 수단은 AI CapEx(반도체, 전력망, 원전)
:중국 주식시장 전략: 수출주 트레이딩 유효, 정부육성산업(AI, 로봇, 반도체) 전략적 비중 확대
:국내 주식시장 전략: 미국 수입시장 점유 가능해 유리한 변수. 관세 피해주에 무게 중심 둘 필요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5356
위 내용은 2025년 5월 13일 7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김성환 / 신승웅
-주식시장 영향: Best Scenario 가정한 주식시장 반응 활용할 필요 있는 변수
-세부 주식시장 전략: Best Scenario 반영은 미국과 중국 양쪽 기술주에 우호적 변수
:미국 주식시장 전략: 대응에 가장 효과적 공격 수단은 AI CapEx(반도체, 전력망, 원전)
:중국 주식시장 전략: 수출주 트레이딩 유효, 정부육성산업(AI, 로봇, 반도체) 전략적 비중 확대
:국내 주식시장 전략: 미국 수입시장 점유 가능해 유리한 변수. 관세 피해주에 무게 중심 둘 필요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5356
위 내용은 2025년 5월 13일 7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컴투스 (0783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35
● 매출액: 1,680억원
- YoY: +6.5%
- QoQ: -11.7%
- 컨센대비: -4.0%
● 영업이익: 17억원
- YoY: +44.3%
- QoQ: -22.5%
- 컨센대비: +458.0%
● 당기순이익: 20억원
- YoY: -49.4%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412.0%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35
● 매출액: 1,680억원
- YoY: +6.5%
- QoQ: -11.7%
- 컨센대비: -4.0%
● 영업이익: 17억원
- YoY: +44.3%
- QoQ: -22.5%
- 컨센대비: +458.0%
● 당기순이익: 20억원
- YoY: -49.4%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412.0%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CJ제일제당 (09795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29
● 매출액: 7조 2,085억원
- YoY: -0.1%
- QoQ: -3.8%
- 컨센대비: -2.1%
● 영업이익: 3,332억원
- YoY: -11.4%
- QoQ: -11.7%
- 컨센대비: -6.0%
● 당기순이익: 574억원
- YoY: -62.9%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59.0%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29
● 매출액: 7조 2,085억원
- YoY: -0.1%
- QoQ: -3.8%
- 컨센대비: -2.1%
● 영업이익: 3,332억원
- YoY: -11.4%
- QoQ: -11.7%
- 컨센대비: -6.0%
● 당기순이익: 574억원
- YoY: -62.9%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59.0%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Forwarded from DS Tech 이수림, 김진형
섹터코멘트_반도체_250513.pdf
632.6 KB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돌아온 Tech의 시간
1. 중단기로 반도체 비중을 높여야 하는 타이밍
- 관세 합의로 인해 ‘정책 리스크 완화 + AI 수요 재가속 + 2분기 메모리 가격 상승’이 동시에 겹치는 구간이 시작된다는 판단
- 1) IT 기기의 수요 회복 기대감
- 2) NVIDIA를 포함한 미국 IT 하드웨어 업체들의 제조원가 상승 우려 해소되며 마진 회복 기대
- 3) 미국과 중국 CSP 업체들의 AI Capex 경쟁 재개 기대감으로 이어짐
- AI 모멘텀을 누르고 있던 Capex 둔화 우려 완화 시 AI H/W 업종의 반등은 자연스러운 수순
2. SK하이닉스, 에스앤에스텍, 테스 추천종목 제시
- 추천 종목은 2025년 실적 성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현시점 주목받을 수 있는 모멘텀을 보유
- 1) AI 밸류체인: SK하이닉스, 이수페타시스, 두산
- 2) HBM 밸류체인: 피에스케이홀딩스, 한미반도체, 한화비전, 디아이, 와이씨, 테크윙
- 3) 삼성전자 밸류체인: 에스앤에스텍, 테스, 유진테크, 이오테크닉스, 하나머티리얼즈, 솔브레인
- 국내 반도체 업종에서도 AI/HBM 밸류체인의 주가 반등이 강하게 나타날 것
- IT 수요 우려 완화로 레거시 비중이 큰 삼성전자 밸류체인 역시 투자 매력도 증가
3. 미, 대중 관세 145%→30% 중국은 125%→10%
- 향후 90일 동안 각각 상호관세를 115%p 인하
- 발표 후 나스닥 장전에서 IT H/W 각각 NVIDIA 4.9%, Broadcom 6.2%, TSMC 4.4%, Intel 4.2%, AMD 4.9%, DELL 5.6%, Micron 6.1% 상승
- SOX 지수는 급반등에도 불구하고 현재 25F PER 24배 수준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반도체] 돌아온 Tech의 시간
1. 중단기로 반도체 비중을 높여야 하는 타이밍
- 관세 합의로 인해 ‘정책 리스크 완화 + AI 수요 재가속 + 2분기 메모리 가격 상승’이 동시에 겹치는 구간이 시작된다는 판단
- 1) IT 기기의 수요 회복 기대감
- 2) NVIDIA를 포함한 미국 IT 하드웨어 업체들의 제조원가 상승 우려 해소되며 마진 회복 기대
- 3) 미국과 중국 CSP 업체들의 AI Capex 경쟁 재개 기대감으로 이어짐
- AI 모멘텀을 누르고 있던 Capex 둔화 우려 완화 시 AI H/W 업종의 반등은 자연스러운 수순
2. SK하이닉스, 에스앤에스텍, 테스 추천종목 제시
- 추천 종목은 2025년 실적 성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현시점 주목받을 수 있는 모멘텀을 보유
- 1) AI 밸류체인: SK하이닉스, 이수페타시스, 두산
- 2) HBM 밸류체인: 피에스케이홀딩스, 한미반도체, 한화비전, 디아이, 와이씨, 테크윙
- 3) 삼성전자 밸류체인: 에스앤에스텍, 테스, 유진테크, 이오테크닉스, 하나머티리얼즈, 솔브레인
- 국내 반도체 업종에서도 AI/HBM 밸류체인의 주가 반등이 강하게 나타날 것
- IT 수요 우려 완화로 레거시 비중이 큰 삼성전자 밸류체인 역시 투자 매력도 증가
3. 미, 대중 관세 145%→30% 중국은 125%→10%
- 향후 90일 동안 각각 상호관세를 115%p 인하
- 발표 후 나스닥 장전에서 IT H/W 각각 NVIDIA 4.9%, Broadcom 6.2%, TSMC 4.4%, Intel 4.2%, AMD 4.9%, DELL 5.6%, Micron 6.1% 상승
- SOX 지수는 급반등에도 불구하고 현재 25F PER 24배 수준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Forwarded from SK증권 Research
[SK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이선경
(seonkyoung.lee@sks.co.kr/3773-9089)
▶️ 트럼프, 약가 인하 위한 행정명령 서명
[주요 내용]
1. MFN(Most Favored Nation, 최혜국 대우) 정책 도입 추진
- 선진국 대비 고가로 판매 중인 처방약에 대해, 최저 국가 약가 수준으로 미국 내 가격을 조정하는 MFN 정책 추진
- 제약사들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 연방정부 권한을 활용해 직접 가격 인하를 강제할 방침
2. 복지부 장관의 구체적 실행계획 요구
- 행정명령에 따라 복지부 장관은 30일 이내에 MFN 기반 가격 인하를 위한 “명확한 목표 설정” 및 실행안 마련 필요
3. 제약사 비협조로 인해 목표 달성 위한 진전이 없는 경우 강경 조치 예고
- (1) 연방정부 권한을 통한 직접 가격 규제 시행 > 트럼프 1기 위헌 소지로 인해 무산된 이력 존재
- (2) 캐나다를 포함 해외에서 저가 의약품 수입 추진 > 저가 의약품 수입은 관세 정책과 충돌 가능성 존재
- (3) 미국 제약사의 해외 수출 제한 조치 검토
4. 약가 인하 효과에 대한 구체 수치 제시
- 기존 가격 대비 최대 90% 수준까지 인하 가능성 강조
5. 약가 투명성 강화
- 의약품 관련 주체들에 대해 실제 거래 가격 공개를 의무화하는 방안 포함
- 소비자 입장에서 실질적인 가격 비교가 가능하도록 유도
6. 중간 유통업체 배제 및 직접구매 체계 검토
- 약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PBM 및 유통사 리베이트 중단
- 환자에게 직접 리베이트 혹은 할인 혜택이 돌아가는 직접구매 프로그램 확대 방안 검토
7. 유럽 약가 구조 비판, 유럽과의 불공정한 구조 개선에 대한 의지 표명
- 유럽은 경쟁 입찰 통해 약가 인하, 이는 제약사에게 저가 제품 공급을 강요
- 제약사 수익성 보전을 위해 미국 내 약가 인상 구조가 형성, 불공정한 구조 개선 필요
[Comment]
- 약가 인하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은 명확하나 세부 실행에 따른 법적/정책적 불확성 여전히 존재
- 세부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여러 장벽이 존재함에 따라 단기내 약가 실현 가능성 불투명
- 직접 구매 체계 구축 외에도 유럽 등 선진국 불공정한 약가 조정 압박 가능성 존재함에 따라 약가 인하에 따른 제약사의 피해는 제한적일 수 있는 상황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AF0BVCN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eonkyoung.lee@sks.co.kr/3773-9089)
▶️ 트럼프, 약가 인하 위한 행정명령 서명
[주요 내용]
1. MFN(Most Favored Nation, 최혜국 대우) 정책 도입 추진
- 선진국 대비 고가로 판매 중인 처방약에 대해, 최저 국가 약가 수준으로 미국 내 가격을 조정하는 MFN 정책 추진
- 제약사들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 연방정부 권한을 활용해 직접 가격 인하를 강제할 방침
2. 복지부 장관의 구체적 실행계획 요구
- 행정명령에 따라 복지부 장관은 30일 이내에 MFN 기반 가격 인하를 위한 “명확한 목표 설정” 및 실행안 마련 필요
3. 제약사 비협조로 인해 목표 달성 위한 진전이 없는 경우 강경 조치 예고
- (1) 연방정부 권한을 통한 직접 가격 규제 시행 > 트럼프 1기 위헌 소지로 인해 무산된 이력 존재
- (2) 캐나다를 포함 해외에서 저가 의약품 수입 추진 > 저가 의약품 수입은 관세 정책과 충돌 가능성 존재
- (3) 미국 제약사의 해외 수출 제한 조치 검토
4. 약가 인하 효과에 대한 구체 수치 제시
- 기존 가격 대비 최대 90% 수준까지 인하 가능성 강조
5. 약가 투명성 강화
- 의약품 관련 주체들에 대해 실제 거래 가격 공개를 의무화하는 방안 포함
- 소비자 입장에서 실질적인 가격 비교가 가능하도록 유도
6. 중간 유통업체 배제 및 직접구매 체계 검토
- 약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PBM 및 유통사 리베이트 중단
- 환자에게 직접 리베이트 혹은 할인 혜택이 돌아가는 직접구매 프로그램 확대 방안 검토
7. 유럽 약가 구조 비판, 유럽과의 불공정한 구조 개선에 대한 의지 표명
- 유럽은 경쟁 입찰 통해 약가 인하, 이는 제약사에게 저가 제품 공급을 강요
- 제약사 수익성 보전을 위해 미국 내 약가 인상 구조가 형성, 불공정한 구조 개선 필요
[Comment]
- 약가 인하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은 명확하나 세부 실행에 따른 법적/정책적 불확성 여전히 존재
- 세부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여러 장벽이 존재함에 따라 단기내 약가 실현 가능성 불투명
- 직접 구매 체계 구축 외에도 유럽 등 선진국 불공정한 약가 조정 압박 가능성 존재함에 따라 약가 인하에 따른 제약사의 피해는 제한적일 수 있는 상황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AF0BVCN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Forwarded fro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전기전자 산업 Brief: 애플 벨류체인 다시 볼 때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3NIdFcq
● 미중 관세 협상 극적 타결, 애플 벨류체인에 긍정
-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25% ->10%, 미국의 대중 관세율은 145% -> 30%로 하향 조정됨
- 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24년 미국에 출하된 스마트폰 중 73%가 중국에서 생산됨
-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과 경쟁하는 삼성전자의 주요 스마트폰 생산지에 중국이 없다는 점에서 이번 대중 관세율 인하 수혜는 애플 벨류체인에 집중될 것
- 이번 관세율 조정으로 애플 벨류체인의 단가 인하 우려는 일부 완화되었다고 판단
● LG이노텍, 미중 관세 완화의 최대 수혜 기업 중 하나
- LG이노텍은 이번 미중 관세 합의의 수혜 기업 중 하나. 카메라 모듈, 패키지 기판 등 고객사의 P 인하 압박 완화로 하반기 실적 부담 경감
- 카메라 모듈은 Q 증가도 가능할 것. 관세 합의가 미중 무역 갈등의 근본적 해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애플은 중국 리스크 관리를 위해 부품 공급망 내 중국산 비중을 지속 축소해 나갈 것. 중국 카메라 모듈 경쟁사 점유율 하락에 따른 LG이노텍 반사 수혜 예상
- 5/12일 기준, LG이노텍 주가는 12MF PBR 0.6배로 코로나 펜데믹 초기를 하회. 아이폰 출하량 정체, 경쟁 구도 심화 등으로 멀티플 디레이팅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다운사이드보다 업사이드 리스크가 크다는 판단
- 90일 유예 이후에도 대중 관세율은 기존 135%보다 낮은 수준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큼. 관세 우려는 고점을 지났음. LG이노텍의 대외 사업 환경은 앞으로 개선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3NIdFcq
● 미중 관세 협상 극적 타결, 애플 벨류체인에 긍정
-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25% ->10%, 미국의 대중 관세율은 145% -> 30%로 하향 조정됨
- 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24년 미국에 출하된 스마트폰 중 73%가 중국에서 생산됨
-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과 경쟁하는 삼성전자의 주요 스마트폰 생산지에 중국이 없다는 점에서 이번 대중 관세율 인하 수혜는 애플 벨류체인에 집중될 것
- 이번 관세율 조정으로 애플 벨류체인의 단가 인하 우려는 일부 완화되었다고 판단
● LG이노텍, 미중 관세 완화의 최대 수혜 기업 중 하나
- LG이노텍은 이번 미중 관세 합의의 수혜 기업 중 하나. 카메라 모듈, 패키지 기판 등 고객사의 P 인하 압박 완화로 하반기 실적 부담 경감
- 카메라 모듈은 Q 증가도 가능할 것. 관세 합의가 미중 무역 갈등의 근본적 해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애플은 중국 리스크 관리를 위해 부품 공급망 내 중국산 비중을 지속 축소해 나갈 것. 중국 카메라 모듈 경쟁사 점유율 하락에 따른 LG이노텍 반사 수혜 예상
- 5/12일 기준, LG이노텍 주가는 12MF PBR 0.6배로 코로나 펜데믹 초기를 하회. 아이폰 출하량 정체, 경쟁 구도 심화 등으로 멀티플 디레이팅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다운사이드보다 업사이드 리스크가 크다는 판단
- 90일 유예 이후에도 대중 관세율은 기존 135%보다 낮은 수준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큼. 관세 우려는 고점을 지났음. LG이노텍의 대외 사업 환경은 앞으로 개선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시그널랩 실적속보] CJ대한통운 (00012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57
● 매출액: 2조 9,926억원
- YoY: +2.4%
- QoQ: -5.3%
- 컨센대비: +1.5%
● 영업이익: 854억원
- YoY: -21.9%
- QoQ: -44.7%
- 컨센대비: -4.7%
● 당기순이익: 410억원
- YoY: -26.1%
- QoQ: -55.3%
- 컨센대비: +23.8%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57
● 매출액: 2조 9,926억원
- YoY: +2.4%
- QoQ: -5.3%
- 컨센대비: +1.5%
● 영업이익: 854억원
- YoY: -21.9%
- QoQ: -44.7%
- 컨센대비: -4.7%
● 당기순이익: 410억원
- YoY: -26.1%
- QoQ: -55.3%
- 컨센대비: +23.8%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네오위즈 (09566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56
● 매출액: 890억원
- YoY: -8.3%
- QoQ: -0.6%
- 컨센대비: -0.1%
● 영업이익: 102억원
- YoY: -31.1%
- QoQ: +48.9%
- 컨센대비: +46.1%
● 당기순이익: 61억원
- YoY: -57.4%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27.3%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56
● 매출액: 890억원
- YoY: -8.3%
- QoQ: -0.6%
- 컨센대비: -0.1%
● 영업이익: 102억원
- YoY: -31.1%
- QoQ: +48.9%
- 컨센대비: +46.1%
● 당기순이익: 61억원
- YoY: -57.4%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27.3%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Forwarded from 메리츠 금융 조아해
📮 [메리츠증권 금융 조아해]
디지털 자산: 존재한다, 고로 투자된다
▶ Intro. 변화될 금융 생활
변화될 Digital Wallet: 현금, 카드, 멤버십 + 토큰, NFT, 스테이블 코인 등
변화될 투자 플랫폼: 주식, 채권, 펀드 등의 전통적인 금융 상품 + 가상자산, RWA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
▶ Part 1.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세상
Bitcoin, 전세계 시가총액 5위를 기록
- 이는 Bitcoin이 Digital Gold로서의 위상 강화 및 전통 금융자산군에 편입되고 있음을 시사
트럼프 대통령, 미국을 "세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규제 완화와 제도 장치 추진 중
-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을 주요 지급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함
자산 단위 小, 거래 빈도 多, 이해관계자 多, 소유권 검증 민감, 24/7 글로벌 거래 수요 증가 = 디지털 자산 등장 필연적
- 금융상품: 통합 소유 → 조각화 → 토큰화 (RWA; Real World Asset)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핵심은 거래소 기능을 담당하는 이들
- 거래소,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거래 인터페이스를 제공 = 은행의 시초, 17세기 금세공업자들의 금 보관 및 보관증 발행
디지털 금융 생태계가 구축됨에 따라, 암호화폐 기능 또한 확대
- 단순 투자에 따른 보관에서 그치지 않고 예금, 결제, 대출 등 다양한 수단으로 활용 범위 확대 중
디지털 형태이기만 한다면 거래 가능한 신뢰성 높은 거래소인 Coinbase는 이러한 생태계 변화의 구조적 수혜주
▶ Part 2.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플랫폼
가상자산 거래소, 투자 플랫폼 등 여러 주체들이 디지털 금융 시장 전체의 참여자층을 확장 중
- Ex) Coinbase가 디지털 자산 생테계의 깊이를, Robinhood가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폭을 담당
금융자산이 다양화에 따른 투자 플랫폼 수요 증가
- 전통 금융자산 뿐만 아니라 소유권 이전 가능 자산, 비금융 실물자산 등 금융자산 광범위
투자 플랫폼을 주로 사용하는 핵심 연령층은 막대한 부를 물려받을 MZ세대, 이들의 투자 문화는 과거와는 확연히 다름
- 2028년 MZ세대의 상속 자산 규모 61조달러 전망
- 일찍 SNS를 통해 투자를 접하기에 앱 기반 투자에 가장 익숙한 연령층
- 또한 전통자산을 선호하지 않음: 암호화폐/디지털 자산 투자 선호도 21~43세 28% vs. 44세 이상 4%
이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투자 플랫폼인 Robinhood, PB 기능 확대로 막대한 부를 물려받을 준비 중
▶ 관심기업
Coinbase (COIN US)
-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핵심
Robinhood (HOOD US)
- 부의 미래가 머무는 투자 플랫폼
자료: https://vo.la/QraFQJ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디지털 자산: 존재한다, 고로 투자된다
▶ Intro. 변화될 금융 생활
변화될 Digital Wallet: 현금, 카드, 멤버십 + 토큰, NFT, 스테이블 코인 등
변화될 투자 플랫폼: 주식, 채권, 펀드 등의 전통적인 금융 상품 + 가상자산, RWA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
▶ Part 1.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세상
Bitcoin, 전세계 시가총액 5위를 기록
- 이는 Bitcoin이 Digital Gold로서의 위상 강화 및 전통 금융자산군에 편입되고 있음을 시사
트럼프 대통령, 미국을 "세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규제 완화와 제도 장치 추진 중
-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을 주요 지급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함
자산 단위 小, 거래 빈도 多, 이해관계자 多, 소유권 검증 민감, 24/7 글로벌 거래 수요 증가 = 디지털 자산 등장 필연적
- 금융상품: 통합 소유 → 조각화 → 토큰화 (RWA; Real World Asset)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핵심은 거래소 기능을 담당하는 이들
- 거래소,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거래 인터페이스를 제공 = 은행의 시초, 17세기 금세공업자들의 금 보관 및 보관증 발행
디지털 금융 생태계가 구축됨에 따라, 암호화폐 기능 또한 확대
- 단순 투자에 따른 보관에서 그치지 않고 예금, 결제, 대출 등 다양한 수단으로 활용 범위 확대 중
디지털 형태이기만 한다면 거래 가능한 신뢰성 높은 거래소인 Coinbase는 이러한 생태계 변화의 구조적 수혜주
▶ Part 2.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플랫폼
가상자산 거래소, 투자 플랫폼 등 여러 주체들이 디지털 금융 시장 전체의 참여자층을 확장 중
- Ex) Coinbase가 디지털 자산 생테계의 깊이를, Robinhood가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폭을 담당
금융자산이 다양화에 따른 투자 플랫폼 수요 증가
- 전통 금융자산 뿐만 아니라 소유권 이전 가능 자산, 비금융 실물자산 등 금융자산 광범위
투자 플랫폼을 주로 사용하는 핵심 연령층은 막대한 부를 물려받을 MZ세대, 이들의 투자 문화는 과거와는 확연히 다름
- 2028년 MZ세대의 상속 자산 규모 61조달러 전망
- 일찍 SNS를 통해 투자를 접하기에 앱 기반 투자에 가장 익숙한 연령층
- 또한 전통자산을 선호하지 않음: 암호화폐/디지털 자산 투자 선호도 21~43세 28% vs. 44세 이상 4%
이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투자 플랫폼인 Robinhood, PB 기능 확대로 막대한 부를 물려받을 준비 중
▶ 관심기업
Coinbase (COIN US)
-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핵심
Robinhood (HOOD US)
- 부의 미래가 머무는 투자 플랫폼
자료: https://vo.la/QraFQJ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미국 관세 유지시 주요국 물가 변화 전망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190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190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7년차월가트레이더: 미국이 현재 관세를 계속 유지한다면 주요 국가별 경제 영향은 어찌 되나(물가) > 평균 관세율이 29%로 유지될 경우, 미국 #인플레이션은 약 5.0%~5.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금리 내리기는 틀렸고 올려야할 판) $UBS 역시 이 수준의 추정치를 동의하는 것으로 보이고, 가격 상승분이 소비자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ACE멕시코MSCI(합성) $FLCA $KODEX200 $QID $QQQ $SH $SPY $SQQQ…
우리 증시는 개장 초반 KOSPI는 소폭 강세, KOSDAQ은 상승하며 대체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KOSPI의 경우 어제 장 마감 직전 급등한 점이 미중 관세 유예 기대감이 상당부분 반영되면서 오늘 개장 초반에 제한적인 움직으로 연결된 것우로 볼 수 있습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와 하락 섹터가 비슷하게 형성된 가운데, 산업용 로봇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최근 로봇 섹터 관련하여 삼성의 M&A 관련 소식, K로봇의 긍정적 해외수주 소식 등 섹터 전반의 긍정적 소식이 다수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와 하락 섹터가 비슷하게 형성된 가운데, 산업용 로봇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최근 로봇 섹터 관련하여 삼성의 M&A 관련 소식, K로봇의 긍정적 해외수주 소식 등 섹터 전반의 긍정적 소식이 다수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세계 '다크 팩토리' 열풍에…K로봇 해외수주 '역대 최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1153451
M&A 나선 삼성, 로봇·AI 인재수혈 속도전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RPQDLJN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1153451
M&A 나선 삼성, 로봇·AI 인재수혈 속도전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RPQDLJN
한국경제
세계 '다크 팩토리' 열풍에…K로봇 해외수주 '역대 최대'
세계 '다크 팩토리' 열풍에…K로봇 해외수주 '역대 최대', 한경 Aicel 분석 분석공작기계·산업용 로봇 특수 1분기 공작기계 수주 20% ↑ 현대차·BYD 등 공장 무인화 속도 인건비 낮춰 관세전쟁 위험 대비 DN솔루션즈·두산로보틱스 등 상반기 산업로봇 수출 '날개' 韓, 공작기계 해외수주 5200억 '코로나19 특수' 때보다 많아
美공화당,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추진…"시장 충격 우려"
- 美공화당, 하원서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법안 발의
- 7500달러 세액공제 2032년→2026년 조기 폐지 담겨
- 전기차값 5600달러↑ 예상…"소비자·업계 모두 피해"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11046642168592
- 美공화당, 하원서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법안 발의
- 7500달러 세액공제 2032년→2026년 조기 폐지 담겨
- 전기차값 5600달러↑ 예상…"소비자·업계 모두 피해"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11046642168592
이데일리
美공화당,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추진…"시장 충격 우려"
미국 공화당이 전기자동차 세액공제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법안을 하원에서 발의했다. 법안이 통과하면 소비자와 자동차 업계 모두 큰 충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하고 소비자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AFP...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2040년까지 세계 경제를 이끌 18개 산업은?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531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531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기스하워드: 2040년까지 세계 경제를 이끌 18개 산업은? 맥킨지(McKinsey)는 AI,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바이오 등 18개 산업이 2040년까지 세계 GDP의 핵심 축이 될 것으로 전망. 해당 산업들은 2022년 기준 글로벌 매출 4조 달러에서 2040년에는 48조 달러, 전체 GDP의 16% 차지할 것으로 예상 - 가장 큰 시장 성장... $ALB $AMD $AMZN $ASML $ASTR $ATVI $BABA $BIIB $BWXT $CRWD…
[시그널랩 리서치] CFD(차액결제거래) 모니터링
https://t.me/siglab
5월 12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5월 12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美 약가 인하 행정명령에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제조사에 유리”
- “3가지 효과 기대…유통 구조 단순화
- 바이오시밀러 처방 가속화
- 병행수입·포트폴리오 확장”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bio/2025/05/13/SCHVBTDFEJCKDPYUFNMK6RPEME
- “3가지 효과 기대…유통 구조 단순화
- 바이오시밀러 처방 가속화
- 병행수입·포트폴리오 확장”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bio/2025/05/13/SCHVBTDFEJCKDPYUFNMK6RPEME
Chosun Biz
美 약가 인하 행정명령에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제조사에 유리”
美 약가 인하 행정명령에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제조사에 유리 3가지 효과 기대유통 구조 단순화 바이오시밀러 처방 가속화 병행수입·포트폴리오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