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ree
1.52K subscribers
5.39K photos
44 videos
20 files
4.4K links
리프리(ReFree)

Collab/Promo :
@endgamemz @su_hada0

트위터 : twitter.com/ReFree_NFT
디스코드 : discord.gg/refree
카톡 : open.kakao.com/o/gMMNMLRd
Download Telegram
ReFree
CryptoPunks (크립토펑크) #ETH #PFP 수량 : 10,000 가격 : free (1,000개는 팀 금고, 9,000개 무료 배포) 날짜 : 2017/6/23 10:50 1,320,740 | — | 0% (0) | 3,835 (38%) NFT 시장이 망하지 않는다면, 크립토펑크의 영광은 계속 될 것. 2025년 이후에 크립토 강세에 맞추어 얼마나 상승할지가 궁금하네. 예전에 비해 가격이 많이 내려왔지만, 일반적으로 접근하기가 쉽지 않음.…
CryptoPunks (크립토펑크)
#ETH #PFP

수량 : 10,000
가격 : free (1,000개는 팀 금고, 9,000개 무료 배포)
날짜 : 2017/6/23 10:50

47.5 | 1.3M | 9% (896) | 3,859 (38.6%)

Infinite Node Foundation(NODE) (11.1K)은@yugalabs(447.8K)로부터
@cryptopunksnfts(348.4K)의 지적 재산권을 인수하게 되어 기쁩니다.

2017년 Larva Labs에서 출시한 CryptoPunks는 현대 디지털 아트 운동의 촉매제로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30억 7천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CryptoPunks는 Matt Hall과 John Watkinson을 현존하는 아티스트 중 가장 많은 작품을 판매한 아티스트로 만들었습니다.

2025년 Micky Malka와 Becky Kleiner가 설립한 NODE의 지적 재산권 인수와 2,500만 달러의 추가 기금은 미국 주요 기관의 디지털 아트 기금을 모두 능가하는 규모입니다. NODE는 CryptoPunks와 같은 디지털 작품을 미술사적 맥락 속에서 연구, 전시, 그리고 맥락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관련 트윗)

p.s - 뜬금포로 최근 크립토펑크 IP가 노드에 판매가 됨. 정확한 거래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2,000만 달러를 지불했다고 함. (한화 279억 원 정도)

크펑이 40이더 초 중반에서 48이더로 소폭 상승함. (12.5만 달러, 한 화 1억 7,500만 원 정도.)
크펑 160마리 정도의 가격...

280억만 있어도 감사합니다 하고 조용히 살 수 있는데. 이더 NFT 상징과 같은데, 280억이라니 좀 짜치긴 하네... 단기간 상승으로 보이나, 이 게 다른 의미로는 정말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이라는 걸 보여줌. 당사자도 인수했다가 주인 나왔을 때, 더 크게 보면 그냥 묻어두고, 우리가 신경 끄고 있자.

본인들이 가지고 있으면 그 것들이 발목을 잡을 수 있으니, 넘겨버리는 게 마음 편하긴 하지.
IP가 넘어갔을 뿐, 크펑 보유하고 있는 이들은 가치만 보존해준다면 누가 주인이든 알빠겠는가.

다시 100이더를 찍는 날이 올까? 100이더 이상 가도 안 이상하긴 하지만, 오르면 이 인수 때문인 것 같고, 내려가도 이 건 때문일 것 같고. 돈 있는 부자가 결국 이 걸 활용해서 자금으로 입질할 텐데.
매력적인 낚시 떡밥으로 판단할지 궁금하네.

리스팅을 예술로 깔아놨네 ㅋㅋ 돈독 오른 장사꾼이 자금으로 찍어 놓고 지들끼리 다 독점해놓고 호구잡이 하네... 마지막 호구 낚아서 털려고 작정했네. 어지럽네

정상적인 리스팅 범주가 아니다... 이 건 그냥 클론X, 문버드 급 보다 더 하네....
보기만해도 어지럽네. 이 거 줍는 사람은 100이더가도 먹을 자격 있다....
비트코인도 아닌데... 좀 심각한 듯?

그래도 돈 많은 소수가 찍어 누르고 작업치는 시장인 건 변하지 않음. 그래도 환기 시켜줬으니... 흠

오픈씨 | Wrapped(오픈씨) | 웹사이트
트위터(348.4K) | NODE(11.1K)
Ethos Validators (에토스 검증자)

수량 : 256
가격 : free
날짜 : 2025/5/14 5:45

2.8999 | 90.88 | 14.8% (38) | 249 (97.3%)

Ethos는 111일 전에 출시되었습니다. 11만 개의 리뷰, 1만 5천 개의 바우처, 600만 개의 점수.

이제 저희는 온체인에서 평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진정으로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는 저희의 초기 기여자 여러분 덕분입니다.

오늘 Ethos 프리시즌이 종료됩니다.
최우수 기여자 여러분께 256개의 Ethos 검증자 NFT를 전달했습니다.

p.s - 자기들끼리 놀고, 그 보상으로 줬나 보네.
1.55 첫 거래를 시작으로 2 ~ 3이더 가격을 형성 중 이네.
시즌1이라면, 시즌2 등으로 또 뿌리면 가격 내려갈 거 아녀?
아니면 어깨 걸고, 더 올리고 해먹으려나?

수량도 적고, 어깨 걸고 팔면 맛도리이긴하네.
받은 홀더들 랜덤으로 샘플링으로 몇 명 눌러서 보니...
지갑 상태 수준들이 영...

이런거 찾아다니고 몇 번 먹은 애덜은 극소수고...
정말 영...

망령들도 보이구, 영...

그래도 남아서 달달하게 용돈 받는 사람들은 있구나.
강한 놈이 살아 남는 게 아니라, 살아있는 놈이? 이 바닥에서는 강한 건가?

이런 장 속에서도 떠나지 않고 XP를 모으는 모든 이들에게 축복이 있기를...

오픈씨 | X (39.6K) | 웹사이트 | 마켓
ReFree
Moonbirds (문버드) 수량 : 10,000 가격 : 2.5 날짜 : 2022/4/16 0:00 / 2:00 361,295 | 0.83 | 1% (110) | 5,863 (59%) 조롱하던 문버드가... 클론이랑 같이 FP가 상승 중. 반나절에 30%씩 상승 중. 리스팅이 매우 낮고, 어디 까지 오르고 내릴지 무섭다 무서워~ 미쳤다 미쳤어~ p.s - NFT 영업 잘 하네 ㅋㅋㅋㅋ 개꿀's 문버드 0.5에 살껄~ 이런 말을 다시 할 줄이야.…
Moonbirds (문버드)

수량 : 10,000
가격 : 2.5
날짜 : 2022/4/16 0:00 / 2:00

2.395| 353.8K | 3.4% (340) | 5,731 (57.3%)

텔레그램 오랜만에 글 쓰네.
그냥 흐름만 보고 글을 쓰지 않았는데.

이더도 다 500이상 때로 다시 올라오고, 520만 원이네.
(500에사서, 급하게 돈 쓰느라 250때에 다 판 건 안 비밀 >.<)

문버드 유가가 인수하기 전 까지 0.3이하인 0.26에도 거래가 된 게 엊그제 같은데...
Orange Cap Games(3.4K)가 인수하고, 오픈씨에서 샤라웃해줬다고 이렇게 올라가나?
유가일 때는 못 가던 것이?

이 건 누군가 설계, 작업 설거지 같은데 이 시장은 이런 게 잘 먹히지.
이 게 마치... 대부업 부실 채권 넘기고 넘겨서 폭탄 돌리기...
가격이 낮아지면, 예전 1개 살 돈으로 10개 사고, 더 떨어지면 20개 사고.
그리고 나서 몇 번 불법 추심 하다가 안 되면 또 넘기고...
매우 말도 안 되게 가파르게 올라가네 ㅋㅋㅋ

크펑 등이야 결국 어느정도 돈 있는 애덜이나, 과거에 잘 나가던~ 상징성 등으로 돈 묻을 수 있는 애덜은
비트코인 마냥 베팅하는 부분인거고.

p.s - 이더가 오르니깐 몇 몇 플젝들은 잘 나가네
민팅가 까지 다 회복 되는 게, 재미있는 시장이야.

과연... 지금 이 폭탄 돌리기의 끝은? 문버드 카드나 이런 게 먼 의미가 있을까 싶은데.
게임 나와도... 좋은 ip는 많은데 ㅋㅋㅋㅋ

결국 돈 놓고 돈 먹는 시장이고, 돈으로 엮인 홀더들은 으쌰라 으쌰~ 탈출각 줘잉~ 돈 벌게 해줘잉~
할 수 밖에 없는... 그 믿음, 어깨걸이가 어디 까지 갈지? 탈출이냐? 또 속냐?

문버드는 유기새인가, 부모가 맨날 쳐 바뀌네

확실한 건, 자금 있는 누군가 크게 빌드업해서 베팅하네, 거래량도 그렇고 리스팅도 그렇고.
지금 이 상태라면, 원금은 이미 회복하고 파는 족족 이득 개 보겠네. 돈이 돈을 버는 시장.

오픈씨 | 트위터(209.7k) | 웹사이트
Orange Cap Games(3.4K)
ReFree
CryptoPunks (크립토펑크) #ETH #PFP 수량 : 10,000 가격 : free (1,000개는 팀 금고, 9,000개 무료 배포) 날짜 : 2017/6/23 10:50 47.5 | 1.3M | 9% (896) | 3,859 (38.6%) Infinite Node Foundation(NODE) (11.1K)은@yugalabs(447.8K)로부터 @cryptopunksnfts(348.4K)의 지적 재산권을 인수하게 되어 기쁩니다. 2017년…
CryptoPunks (크립토펑크)
#ETH #PFP

수량 : 10,000
가격 : free (1,000개는 팀 금고, 9,000개 무료 배포)
날짜 : 2017/6/23 10:50

50.39| 1.3M | 9.1% (907) | 3,851 (38.5%)

이더도 오르고, 크펑도 많이 올랐네. 50이더 이상에서 거래가 활발하네.
1억 이하일 때 안 사고 뭐 했지... 그 돈으로 알트코인 샀다 조졌지.

빠르게 가는 것 보다, 정도를 걷는 게 맞는 걸까?
비트코인마냥 우상향의 믿음이 통하는 시장인지는 계속 지켜봐야겠지.
올라 갈 때는 부동산 거품처럼 끝도 없이 오르지만, 무너질 때에는...

p.s - 불확실, 불안정, 예측불가하기에 기회의 땅이지만, 확률로 볼 때에는 있는 자와 없는 자의 확률은 하늘과 땅 차이임. 더 큰 자본에 흡수 당하기 쉽고, 누군가 빠르게 털어먹고 나가면 그 때는 답이 없는 시장.

그나마 이더리움 상징성을 가진 크펑 외에 비플 등 ai 아티스트 몇 몇만 상징성으로 가격대를 최소 형성하지만, 갭 차이가 큰 건 사실.

세상에 돈 많은 사람이 더 많은 게 현실. 돈 가치는 낮아지고, 현금을 가지고 있으면 자산 하락.
그 외에 현금, 달러 패킹할 수 있는 대체제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밖에 없음.
무엇이 정답이라고 할 수 없지만.

오픈씨 | Wrapped(오픈씨) | 웹사이트
트위터(352.2K) | NODE(11.8K)
ReFree
Pudgy Penguins (통통한 펭귄) 수량 : 8,888 가격 : 0.03 (지갑당 20개) 날짜 : 2021/7/22 11.642 | 447.1K | 3.3% (290) | 5,001 (56.3%) 펭구는 그래도 이더 가격에 따라서 10이더 밑으로 갔다가 10이더 위에서 놀구만. 11이더가 어디야. 6마넌짜리 펭구 힝구. 펭구코인은 어떻게 됐어? 추상적인건 어떻게 됐어? p.s - 그래도 최근에 레전더리가 200이더에 팔렸구만, 나도 200이더…
Pudgy Penguins (통통한 펭귄)

수량 : 8,888
가격 : 0.03 (지갑당 20개)
날짜 : 2021/7/22

15.959 | 470.7K | 4.1% (365) | 4,944 (55.6%)

펭구도 많이 회복 됐네. 밈코인 개 박더니 그래도 3배 이상 상승하고.
NFT도 보란듯이 대장의 자리를 굳건하게 지키네.

보여주는 게 중요한 시대에, IP 브랜딩화를 통하여 굿즈 등 대외 활동 등.
제일 발군의 실력을 보여줌. 그런 부분이 다른 NFT랑 다른 거 겠지.

우리는 이미 베이씨 때 봤기에 펭구 또한 그럴지.
1~2세까대가깨지대 지 리 고 떠난 자리를 망령이나 2세대 이후의 사람들이 들어와 새로운 장을 열지.

p.s - 인생은 역시 운과 타이밍이구나.
누군가는 10억으로 0원을 만들기도 하지만, 누군가는 0원으로 10억을 만들기도 하니깐.

펭구는 탈출각도 주고, 개꿀인 상황인데 여기서 더 폭발적으로 늘긴 할까?

오픈씨 | X(717.5k) | 웹사이트
ReFree
Bored Ape Yacht Club (지루한 유인원 요트 클럽) #BAYC #베이씨 #YugaLabs #ETH #PFP 수량 : 10,000 가격 : 0.08 (약 $ 220 or 한화 28만 원) 날짜 : 2021/4/24 7:00 1,593,449 | 12.5| 2% (166 | 5,371(54%) 펭구가 10이더로 내려오면서, 베이씨가 다시 1대장이 됨. 가만히 있었는데, 다시 짱이 됨. p.s - 2025년의 진정한 짱은 누구일까? 새로운…
Bored Ape Yacht Club (지루한 유인원 요트 클럽)
#BAYC #베이씨 #YugaLabs #ETH #PFP

수량 : 10,000
가격 : 0.08 (약 $ 220 or 한화 28만 원)
날짜 : 2021/4/24 7:00

12.85 | 1.5M| 2.7% (268) | 5,512(55.1%)

펭구랑 자연스럽게 비교 될 수 밖에 없고.
상대적으로 조리돌림을 당할 수 밖에 없는.

베이씨의 화려한 부활이 있을까?
이 시장은 영원한 승자도, 패자도 없는 시장이니깐.

p.s - 또숭이 신화, 와신상담, 절치부심할 수 있을지. 아니면 옛 영광은 고이 추억으로 간직해야할지..

오픈씨 |트위터(1.04m) | 웹사이트
Yuga Labs(450.6k)
ReFree
rektguy (렉트가이) 수량 : 8,814 (11,000개에서 줄임) 가격 : free (지갑당 2개) 날짜 : 5/22 6:00 37,971 | 0.739 | 2% (181) | 3,302 (37%) Rekt Drinks(33.5k) 드링크 포인트... '렉트코인' X 페이지, 잠재적인 토큰 출시에 대한 추측으로 이어짐에 따라서 최근 개떡상 중. 밈 코인 엮어서 토크노믹스 하면, 마지막 까지 설거지 쌉가능... 어차피 남들도 다 하고, 법이…
rektguy (렉트가이)

수량 : 8,814 (11,000개에서 줄임)
가격 : free (지갑당 2개)
날짜 : 5/22 6:00

1.26 | 39.3K | 4% (356) | 3,357 (38.1%)

렉트가이도 2배 이상 올랐네.
최근 거래량도 많이 나오고, 죽을 듯 죽지 않는.
이름 따라 가는 건가?

p.s - 고평가 같으면서도, 참 죽지 않는 렉트가이
특유의 스타일이 새로운 메타를 열었다고 보는 걸까?

오픈씨 | X(69.6k)
OSF(207.7k) | 파운데이션 | 웹사이트
ReFree
Chimpers (침퍼스) 수량 : 5,555 가격 : free 날짜 : 2022/5/20 23,309 | 0.464 | 2% (134) | 1,386(25%) 침퍼스도 0.3 전 후 가격 유지되던 게 0.36으로 바닥가 상승 후, 이번 주말에 0.36 -> 0.46까지 소폭 올랐네. 8월 27일 공개한, ARCADEGEN 기대감에 단기적 펌핑일지? (관련 트윗) 새로운 수집형 카드 앱이 첫 번째 드롭인 ARCADEGEN과 함께 곧 출시됩니다!…
Chimpers (침퍼스)

수량 : 5,555
가격 : free
날짜 : 2022/5/20

0.7488 | 24.1K | 3.8% (209) | 1,760(31.7%)

침퍼스 같은 선상에 있던 NFT가 무지 많았는데,
싹다 뒤지고, 손 한 손에 꼽을 정도로 다 사라졌네.

픽셀아트나, 매니아층이 어느 정도 형성 되었지만
의외로 잘 버티네?

굿즈나, 카드 등도 이미 여러 차례 판매했고.
틱톡 100만 팔로우 돌파했다는 거 말고는 그 닥...
1000만 팔로우 틱톡커 NFT 등도 싹다 망했고 100만 이상도 개 많았는데..

픽셀아트의 강점과 귀여운 원숭이 캐릭터를 활용하여 세계관 확장.
신기한게, 이더가 오르고 특정 몇 몇 NFT로 자금이 집중 되면서 가격 상승이 일어남.
정상적이라고 볼 수 없지, 이 걸 기회라고 판단하여, 기회에 편승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그런 부분이 시너지가 생기면서 더욱 더 FP가 올라가는 부분이겠지.

코인, NFT 아주 극 소수만 우상향하기에 모르는 사람들은 성장했다는 환상까지 주지만.
이 바닥을 경험한 사람들은 상처를 입고, 많이들 떠났지. 결과만 보면 쉬워보이지만 그 과정 속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봤는가.

오픈씨 | X(63.8k) | 파운데이션
웹사이트
ReFree
CLONE X - X TAKASHI MURAKAMI (클론 X 타카시 무라카미) 수량 : 20,000 가격 : 0.05 / 2 날짜 : 2021/11/28 4:00 / public - 11/30 7:00 0.1837| 418.9K | 3.3% (654) | 9,228 (46.7%) 클론 잘 버티네 0.18 선에서 계속 유지는 되는 모습... 미래도 꿈도 없지만, 0.2 이더 챙길바에는 그냥 없다 생각하고 버리는 게 맞지. 0원 가든 별 차이도 없지.…
CLONE X - X TAKASHI MURAKAMI (클론 X 타카시 무라카미)

수량 : 20,000
가격 : 0.05 / 2
날짜 : 2021/11/28 4:00 / public - 11/30 7:00

0.274 | 419.3K | 2.8% (562) | 9,288 (47%)

죽은 클론도 그냥 이유없이 오르는 시장이라니.
미쳤구만. 그런데 죽은 NFT가 너무 많고, 거래량도 없는데.
클론만 오르네.

p.s - 숭어가 뛰니 망둥어도 뛴다.

오픈씨 | 트위터(389.4k) | 웹사이트
ReFree
LetsWalk (레츠워크) #DeeKay 수량 : 1,592 (100 종류) 가격 : 0.3 / 0.35 / 0.45 /0.6 / 0.7 / 옥션 날짜 : 2022/3/16 13:00 5,817 | 0.26 | 53% (53) | 885 (56%) 한국 1티어였던 디케이님. FTX나 스눕독 샤라웃으로 급 성장. 잘 나가던 시절이니깐 이해는 함. 디케이버스(디스코드)에서도 특유의 그들만의 바이브. 매 라운드마다 조건은 다름. 그렇지만 최대한 페핸…
LetsWalk (레츠워크)
#DeeKay

수량 : 1,592 (100 종류)
가격 : 0.3 / 0.35 / 0.45 /0.6 / 0.7 / 옥션
날짜 : 2022/3/16 13:00

0.2991 | 5,628 | 52% (53) | 842 (52.9%)

레츠워크도 0.2 때 잘 버티고 있네.
이더가 올라갔으니깐. 민팅가 대비만 버텨도 낫 베드지.

NFT 불장이 오거나, 시장이 다시 살아나면 수혜 받을 놈 중 하나일테고.
디케이관련 NFT 중 이상 거래가 감지가 되는데, 이 건 아직 그대로군.

애초에 실 소유 목적 + 돈있는 사람 입장에서 수집하기 나쁘지 않은 카테고리이긴함.
네임벨류나, 인지도 등이 올라가면 자연스레 특정 가격대는 지켜줄 것.
5~10년 뒤에도 이 시장이 살아있고, 디케이의 인지도 등이 더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장투 해보는 것도?

하지만, 이 시장이 그렇듯 없어도 되는 돈으로, 돈을 버린다는 마인드 + 나는 이런 쓸데없는 예술을 좋아해 몇 개 보유해볼까? 라고 접근하면 뭐~

p.s - 아티스트들끼리고 친목질 카르텔 형성하는 시기도 꽤 지났지만, 아티스트나 연예 쪽은 누가 역주행하거나 대박이 터질지도 모르니깐, 건너 건너 좋은 게 좋은거라고 서로 적당한 관계를 보유함.

돈이 있어야 예술도 하는 것. 부자들은 내가 돈을 투자하고, 가격이 오르면 개꿀이고, 아티스트들은 부자의 돈이 있어야지 여유가 생기고, 여유로움 속에서 창작을 할 수 있고. 서로 상생의 관계.
서로 척을 질 필요가 없음. 그렇기에 작가들은 쩐주, 물주들에게는 굽신굽신 하지만, 팬덤들은 어장 관리를 하고 어차피 돈도 안 되는 어중이떠중이들은~

상류사회로 갈 수록 내 급이 올라갔으니, 급에 맞는 사람들과 만나고 그런 삶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게 셀럽의 삶이고, 이해는 함. 양 쪽의 밸런스를 잡기란 쉽지 않음. 대중의 관심. 개미들 또한 필요한 게 현실임. 현실도 그렇고, 게임도 그렇고, 암호화폐든 뭐든 전 분야가 그럼.

인간은 가치를 증명하고 싶어하고, 대접을 받고 싶어하는 존재니깐.

오픈씨 | X(224.4k) | 웹사이트
ReFree
Chimpers (침퍼스) 수량 : 5,555 가격 : free 날짜 : 2022/5/20 0.7488 | 24.1K | 3.8% (209) | 1,760(31.7%) 침퍼스 같은 선상에 있던 NFT가 무지 많았는데, 싹다 뒤지고, 손 한 손에 꼽을 정도로 다 사라졌네. 픽셀아트나, 매니아층이 어느 정도 형성 되었지만 의외로 잘 버티네? 굿즈나, 카드 등도 이미 여러 차례 판매했고. 틱톡 100만 팔로우 돌파했다는 거 말고는 그 닥... 1000만…
Chimpers (침퍼스)

수량 : 5,555
가격 : free
날짜 : 2022/5/20

0.9 | 24.3K | 4.3% (237) | 1,753(31.6%)

올리버 팀퍼리(Oliver Timperley) 21세의 디지털 아티스트이자 애니메이터, 픽셀 아트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음. 2021년 여름, 그래픽 및 애니메이션 학위를 취득했으며, NFT 아트 커뮤니티에서 프로필과 경력을 발전시키고, 집중하고 있음.

2014년에는 포토샵을 활용한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 뛰어들어 소셜 미디어, 특히 유튜브 배너 디자인을 제작,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능숙해지면서 유튜브 채널을 시작했고, 그 후 4년 동안 포토샵 사용법을 담은 수백 편의 튜토리얼 영상을 제작하며 4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대규모 커뮤니티를 구축

2021년 21살이니깐, 지금 25살 저옫, 20대 중반의 나이에 발군의 실력, 성적을 보여줌.
사실상 커뮤니티가 남아있거나, 돈이 있는 사람 or 부자의 간택.

픽셀의 매력은 나이 불문하고, 어떤 카테고리에 놓아도 호불호가 적다는 거임.
우리가 아케이드에 대한 향수, 오락실에서 하던 시절, 컴퓨터 초창기 때의 픽셀 게임 등.
너무나 쉽게 접해왔고, 지금은 3D, 다양한 엔진 등 실사화를 바탕으로 하지만, 그 근간은 도트, 픽셀임.

p.s - 남들이 하는 것들, 트렌드 따라서 핫 하다는 건 다 해보는 탐구형 스타일.
거기에 지금 까지 걸어온 행보, 꾸준함이 미덕이다.

방향성을 잡은 상황에서 느리더라도 꾸준하게 자기 길을 가는 운 좋은 케이스 중 하나임에는 확실함.
각 종 게임, 애니에 영감을 받고, 포켓몬스터 카드나, 게임이나 본인만의 픽셀 월드를 구축하는 등.
기존에 있던 것들을 자기 스타일로 하나 씩 만들어 가고 있음. 돈이 되느냐? 안 되느냐 문제를 떠나서 본인은 본인이 하고 싶은 걸 함. 그 과정에서 간택 받으면 오르고, 아니면 스포트라이트를 못 받는게 이 시장이 아닌가?

얘가 이 정도 가는 거 보면, 나의 픽인 인비가 안타까움. 분명 내 기준에서는 이 작가도 좋지만, 인비 작가가 나는 더 좋은데, 시장을 떠나버렸고... 부자들이 한 번 털어먹은 후에는 이렇다할 게 없으니.
인비는 살아날까?

얘도 0.2~0.3 중 계속 꾸준하게 버티고, 누군가 믿음으로 계속 물량을 잠그다 보니, 0.9까지 왔네.
이런 커뮤니티가 올가닉한걸까? 자본으로 키우는 걸까? 디케이 잘 나가던 시절을 보는 것 같음.

이 시장은 영원한 승자도 없고, 패자도 없는 시장. 비플 같이 듣보 무명이 AI, 암호화폐 시대를 맞이하면서 아티스트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공학가에 가까운 이가 AI 0티어 아티스트로 군림하는 시장이니깐.

오픈씨 | X(64.2k) | 파운데이션
웹사이트
ReFree
Cool Cats (쿨 캣) #ETH #PFP #쿨캣 수량 : 9,999 가격 : 0.02 (지갑당 20개, 0.06 민팅가에서 낮춤) 날짜 : 2021/7/2 2:00 154,666 | 0.4699 | 3% (260) | 5,502 (55%) 쿨 캣 또 0.5이하로 왔네. 자금 투입되고, 바람잡이가 몇 명이 하니 0.4 -> 2이더 가더니... 계단식 하락. 저점에 산 사람들은 기회가 왔을 때 팔면 개 꿀이고. 내려가도 산 가격보다는 저렴하니 낫베드.…
Cool Cats (쿨 캣)
#ETH #PFP #쿨캣

수량 : 9,999
가격 : 0.02 (지갑당 20개, 0.06 민팅가에서 낮춤)
날짜 : 2021/7/2 2:00

0.7495 | 153.7K | 3.7% (366) | 5,390 (54.1%)

쿨캣은 롤러코스터를 타구나....
너무 빨리 가도, 어렵다는 걸 보여준 케이스.

NFT 시장에 빠른 진입 등은 선구적이고, 거기서 형성 된 커뮤니티가 퍼져 나가는데 큰 일을 했지만.
구심점 역할을 하는 거랑은 다른 케이스.

어쨌든 상징성 때문에 꾸역 꾸역 이 시장에서 이름이 계속 거론 되면서, 목숨을 이어가고 있음.
애니모카야 막말로 별의 별 프로젝트에도 다 투자하고 걔네도 생존을 위해서 트렌드를 따라가지만...
지금은 결국 친목질, 말 그대로 전략적 투자. 서로 win-win 서로 친구하자 하고 이름이 한 번이라도 더 거론 되게 하거나 몸집을 불려서 우리가 이 정도야! 하는 내용은 없는 그런 것.

큰 돈 드는 것 도 아니고 안 할 이유가 없는 게 현실임.
해서 나쁠 게 없다임. 망하든 말든 상관도 없는 거고, 말 그대로 잘 되면 좋은 것.
정말 해서 나쁠 게 없다임.

p.s - 쿨 캣도 1이더 이상 반짝 살아났다. 0.4이하로 내려갔다. 다시 0.7 때로 올라왔네.
이더 오른거 감안하면, 낫 베드~

이더가 오르니깐, NFT 시장이 활기가 조금 도네? 자금이 다 날린 사람은 뭘 할 수가 없음.
있는 사람들 or 새로운 선수 입장....

자본주의 시장은 여유가 있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지.
여유가 없는 사람들에게는 냉정함.

오픈씨 | 트위터(229.1k) | 웹사이트
clon(75.3k) | evanluza(52.4k)
ReFree
Milady Maker (밀라디 메이커) #ETH #PFP #MEME #밀레이디 수량 : 10,000 가격 : free / 0.06 / 0.075 / 0.08 날짜 : 2021/8/25 13:00 149,091 | 6.9999 | 1% (96) | 5,108 (52%) 밀레디도 7이더까지 왔구만... 너무 무섭고~ 7이더에서 3이더 1이더 0.1오면 정신 못 차릴텐데... 얘넨 오랜 시간 작업친거보면 3이더 밑으론 안 내려가서, 이번 장에서 얼마나…
Milady Maker (밀라디 메이커)
#ETH #PFP #MEME #밀레이디

수량 : 10,000
가격 : free / 0.06 / 0.075 / 0.08
날짜 : 2021/8/25 13:00

2.8299 | 170.4K | 4.2% (418) | 5,210 (52.1%)

2024년 말 까지 2배 이상 상승하면서 7이더 까지도 갔었는데...
이더 가격 감안하면 2.5~3이더 사이 낫베드긴 하지.

크립토인이라면 이더가100만 원이든, 500만 원이든 가격이 중요한 게 아니라.
결국 수량이지만...

올 초에 3이더 때로 내려갔다, 다시 6~7이더로 반등했다가 쭈욱 내려왔네.
여기서 돈 복사한 사람도 있겠지? 손실을 본 사람은 더 많을테고...

p.s - 밈 NFT 중에서는 얘가 탑 티어로 굳건하네.
엠퍼가 더 잘나가던 시절도 있었지만,
엄밀히 따지면 엠퍼보다 더 빨리 만들어졌고,
밈 메타에서 상징성이 더 강한 건 사실.

메타를 누가 열었냐가 중요한 시장이지. 그것 말고는 딱히? 없는 시장이긴 함.
우선은 상징성이든 뭐든, 사람이 모이고, 사람이 모이면 거기서 힘이 생기는 시장임.

오픈씨 | 트위터(31.8k) | 웹사이트
Milady Maker(12.5k)
ReFree
Azuki (아즈키) #ETH #PFP 수량 : 10,000 가격 : 1 더치옥션 날짜 : 2022/1/13 3:00 2.25 | 816.3K | 5.6% (559) | 4,152 (41.5%) 붕붕붕 아주 아주 아주키가 나가신다~ 밈코 치트키 이후... 선점한 형아들은 돈 복사하고 줍지를 않네.... 아주키가 짱이라며..! 인플루언서들, 바람잡이들이 아주키 프사하고 막 이렇고 저렇고 막! p.s - 애니메 코인 안 파니깐 왜 뒤짐? 그래도 펭구…
Azuki (아즈키)
#ETH #PFP

수량 : 10,000
가격 : 1 더치옥션
날짜 : 2022/1/13 3:00

2.1879 | 823.7K | 5.4% (535) | 4,160 (41.6%)

아주키도 꾸준하게 하는데, 다른 NFT는 날 뛸 때도 조용히 2이더 전 후 유지 중이네.
클론의 뒤를 따라가진 않겠지...

초기부터 지금 까지 파티 하면 클럽 DJ는 필수 옵션이구나.
밈코인, 애니메이션 까지 확장.

서양형들이 좋아하는 일본풍에 사무라이보다 닌자 쪽이면 더 좋았을 텐데 아쉽.
어쨌든 최근 애니메이션 형식의 NFT를 오픈씨 오픈에디션 까지 함. 애니메 코인으로 민팅할 수 있게도 했지.

아주키는 참 이런 거 좋아하는 듯. 애초 2021년 ERC-721(Ethereum Request for Comments-721) 이더리움 NFT 주류일 당시 사람들이 몰리면 가스비가 10~20만 원 이상 까지도 나옴. 적게 나와도 1~3만 원은 기본. 그런상황에서 2022년 1월 12일(미국 기준) 민팅 할 때 ERC-721A를 만들어서 진행 함.
A가 붙는 건 Azuki 팀이 개발했다는 의미에서 붙은 접두/접미의(접사) 표기

Azuki 팀은 ERC‑721의 비효율적인 배치 민팅(batch minting) 문제를 개선한 ERC‑721A를 직접 개발해, 한 번에 여러 NFT를 민팅할 때 가스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킴.

쉽게 ERC-721의 가스 효율 개선 버전 중 하나라고 보면 됨. 여러 개의 NFT를 한 번에 민팅할 때 가스비를 대폭 절감. ERC-721과 호환되며, 인터페이스 구조는 동일, 배치 민팅 로직을 최적화하여 대규모 발행 프로젝트에 적합.

재미로 참고하면 좋을 듯한 내용.
1) 코드 구조 핵심(ERC-721A의 내부 아이디어)
① 연속 토큰(Sequential IDs)
민팅되는 토큰 ID가 startTokenId()부터 0,1,2… 순서로 연속 부여됩니다. 이 전제를 바탕으로 “한 번만 초기화하고 나머지는 지연(lazy) 기록”을 합니다.

② 소유권 ‘패킹(packed)’ 저장
토큰별 소유권 정보를 uint256 한 칸에 비트로 압축해 저장합니다.
address(160비트) + 생성시각(예: 64비트) + burned 플래그 + nextInitialized 플래그 등.
이 비트 패킹 상수들(예: _BITPOS_START_TIMESTAMP, _BITMASK_BURNED, _BITPOS_NEXT_INITIALIZED)이 코드에 정의되어 있음.

③ ‘지연 초기화(lazy initialization)’ & 역추적 룩업
배치(예: 5개) 민팅 시 첫 토큰의 소유권 슬롯만 실제로 기록하고, 나머지는 기록을 생략합니다.
이후 ownerOf(tokenId) 호출 시, 가까운 앞선(더 작은) 토큰의 초기화된 슬롯을 역추적해 같은 소유자로 해석합니다.
배치의 “마지막 다음 슬롯”에 한 번 더 표식(nextInitialized)을 세워 경계가 유지되도록 처리합니다.

④ 주소별 데이터도 패킹
balance, numberMinted, numberBurned, aux 등을 주소 1칸에 패킹해 한 번의 SSTORE로 여러 수치를 갱신합니다(민팅 배치일 때 효과 큼).

2) 가스비가 줄어드는 동작 원리
“민팅할 때 쓰는 저장 기록(SSTORE) 횟수를 최소화한다.”
기존 ERC-721: 토큰마다 소유권을 N번 기록 → 배치 민팅 시 SSTORE가 많이 발생.
ERC-721A: 첫 토큰 1회 + 경계 1회 정도만 기록, 나머지는 지연 해석 → SSTORE 횟수 급감.
결과적으로 배치 민팅(batch mint) 시 가스 절약 폭이 커집니다.

3) 실제 가스 절감 예시(비교 수치)
DEV 커뮤니티의 비교 표(Chiru Labs 자료 인용)에 따르면, Enumerable 기반 ERC-721 vs ERC-721A 배치 민팅 가스는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수치는 네트워크·컴파일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경향 파악 용)

민팅 개수 / ERC-721(Enumerable) / ERC-721A / 절감량
1개 - 154,814 - 76,690 - 78,124
2개 - 270,339 - 78,819 - 191,520
3개 - 384,864 - 80,948 - 303,916
4개 - 501,389 - 83,077 - 418,312
5개 - 616,914 - 85,206 - 531,708
→ 여러 개를 한 번에 민팅할수록 절감 폭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

p.s - 운도 실력이고, 타이밍이 매우 좋았음. NFT가 붐이던 시절 시기가 적절했음.
가스비가 비싸던 시절, 조금만 싸도 민팅하려고 기다리고 그랬는데 그 당시 판도를 바꿀 정도까진 아니지만, 뇌리에 박힐만함. 그 전/후 민팅 경험을 해 본 사람은 센세이션을 일으킬만했음.

그렇다고 코카콜라를 한 번도 안 먹은 어린 아이가, 코카콜라의 짜릿한 맛을 처음 느껴 봤을 때 만큼의 전율은 아니지만, 누군가에게는 충분히 그럴 수도 있음.

아주키팀은 익명성 뒤에 숨어서 활동했고, 카더라, 그들의 말에 따르면
Zagabond: 창립자이자 DeFi 개발자, 전 대형 테크 기업 출신
HoshiBoy: Y Combinator 출신
2pm.flow: 전 Google 직원
location tba: 전 Facebook(메타) 출신 엔지니어
Arnold Tsang이라는 명칭이 공개된 공동창작자는, 토론토 기반의 콘셉트 아티스트로서 Overwatch 등 게임 아트워크에 참여

자가본드는 이슈도 많았음. 러그를 최소 3번 이상 친 대상자니깐.
그 당시에 아주키와 비슷하게 애플, 메타, 구글, 아마존 등 등 출신이라고 반짝함.

삼성에서 청소부로 하든 협력사든 삼성내에서 일 했으면, 나 삼성에서 일했음 « 이 말은 어떠한 거짓말도 없음. 3개월짜리 인턴이든 우연찮은 기회로 대기업 클라이언트랑 일을 했든 학생들을 위한 그런 프로그램.

얘네식으로 한다면, 나는 내세울 게 없는 캐백수지만, 삼성에서 일했음« 진짜임.!!
그리고 국가로 봐야하나? 중진공으로 투자금을 받았고. 그 당시 삼성 C랩의 컨설팅이나 투자유치까지함.
그랬지만, 현실은 망... 말은 어떻게 하기 나름임. 우리집 건너 건너 국회의원, 국무총리도 배출한 집안임.

어쨌든 ㅎㅎ 이 시장은 그런 시장임. 아무것도 아닌 사람도 커뮤니티가 커지고 돈과 인맥이 생기면 주류, 상류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가질 수 있음. 유튜브든 인플루언서든 매 한가지지.

오픈씨 | X(444.8k) | 웹사이트
ANIME(144.5k)
1
ReFree
Moonbirds (문버드) 수량 : 10,000 가격 : 2.5 날짜 : 2022/4/16 0:00 / 2:00 2.395| 353.8K | 3.4% (340) | 5,731 (57.3%) 텔레그램 오랜만에 글 쓰네. 그냥 흐름만 보고 글을 쓰지 않았는데. 이더도 다 500이상 때로 다시 올라오고, 520만 원이네. (500에사서, 급하게 돈 쓰느라 250때에 다 판 건 안 비밀 >.<) 문버드 유가가 인수하기 전 까지 0.3이하인 0.26에도…
Moonbirds (문버드)

수량 : 10,000
가격 : 2.5
날짜 : 2022/4/16 0:00 / 2:00

2.947| 356.4K | 4.3% (427) | 5,662 (56.6%)

문버드 미쳤네..
제네시스인 프루프는 개xx인데...

주인도 없는 유기새. 이문세~ 세에~

이더도 오르는데 애만 비웃듯 올라가네.
작전주 레파토리 그대로네.

이러면 꼭 더 오르더라. 그런데 이런 거 맛 보거나 우연찮게 들어가거나.
4~5이더 찍고 고점은 6~8이더 가도..
언제 그랬냐는 듯이 다시 3이더오고, 희망고문.

4~7이더 주고 산 애덜은 못 팔고 2이더에 놀게 됨.
그래도 낫 베드.

10이더 주고 산 게 지금 0.01이더인 것도 감지덕지.
문버드는 상징성도 있지만 너무 유기견 마냥, 주인도 없고 광견병 걸리기 딱임.

p.s - 문버드 핸들링 하는 애덜은 물린애덜 부터 돈이 있는 애덜, 돈이 모인 물린 애덜이 많은.
상처 많은 그 사람들을 이용해서 몇 번 털어먹는 것.

그런 거 보면 카카오 계열사는 양반임. 실체가 있지만 주가가 10배 갔다 10토막 났다.
의미가 있다면 있고, 없다면 없고.

문버드는 어딜 봐도 사고싶지도 않고, 진짜 뭣 같은데, 뭣 같은 것만 오르네.
이 게 진짜 신기하면서도 대단하네.

뭣 같은게 너무 많은데, 뭣 같아서 사면 그 건 쳐 박더라.
뭣 같으면서 상징성 있는 것 중 10~100개 중 1개는 이럼.

역사는 반복된다.


내가 흐름은 진짜 잘 보는데, 옛날 같았음 나는 문버드 지금 가격에 샀음.
너무 뻔하게 자금 투입되면서 펌핑하는 게 보임, 이더가 강세고, 유지만 되면 돈 버는 구조임.
nft시장 죽고 100토막 났어도, 자본주의 시대는 돈으로 찍어누르는 거임.

돈 있는 놈들이든, 몇 푼 아니더라도 나보다 많은 사람이 작정하고 자금 투입해서 조절 한다?
안 오를 이유가 없음. 얘는 지금 개 비정상임. 비정상이라는 건 언제 무너져도 이상하지 않지만.
이 걸 작업 치는 그 개x의 그릇 만큼 갈 거임.

알아도, 보통은 가만히 있는 게 맞음. 이런 걸로 몇 배 돈 벌어도, 이런 기억 때문에 날림.
이 말은 즉슨 아무 의미없다는 거임. 운구기일. 자본 10할 편승.


오픈씨 | 트위터(212.2k) | 웹사이트
Orange Cap Games(3.9K)
ReFree
Invisible Friends (투명 친구들, 인비저블 프렌드) 수량 : 5,000 가격 : 0.25 날짜 : 2/23 55,796 | 0.1859 | 2% (104) | 3,370 (67%) 내가 애증하는 인비, 마커스형... 마커스형도 가족이랑 시간 보낸다고, 인플루언서 트위터질 꾹 참고 당분간 떠났는데... 5/18일 이후로 그를 볼 수 없었다. (관련 트윗) 인비저블 프렌드도 트위터가 5월 이후로는 글이 올라오지 않음. 디스코드는 계속…
Invisible Friends (투명 친구들, 인비저블 프렌드)

수량 : 5,000
가격 : 0.25
날짜 : 2022/2/24 7:00

0.1895 | 55.4K | 3.5% (176) | 3,415 (67%)

약 1년만에 인비에 대해서 글을 남기네.
RCC 커뮤니티는 많이 공중분해가 됐지만.

아티스트인 마커스는 변함이 없음.
NFT 불장을 같이 겪고, 우크라이나에서 탈출하고 자리 잡는 등.
X를 통하여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NFT 베어장과 개인적으로 마음 고생을 해서 그런지 X 활동을 중단 하고 떠났었지.
2024년 5월 18일에 질문을 하나 던지고 떠난 후에 2025년 8월 14일날 다시 X에 나타남.
그래서 인비 가격이 아주 살짝 올랐나보네.

장이 좋아지고, 돈이 많이 돌면 이런건 바닥에 박혀도 시간이 흐를수록 올라가는 것 중 하나라고 보지만.
돈이 묶여있어야하고, 미래의 불확실성에 그렇게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가 않음.
결국 돈이 돈을 버는 구조고, 부자가 주류해서 판을 이끌면 판도가 달라지는 시장.

p.s - 마커스형은 언젠가 돌아올 줄은 알았지.
무소식이 희소식이다. 인비를 많이 못 사둔 게 아쉽고, 지금은 트황 믿고 빚투했다 인생 망해서...
반토막 나든 10토막 나든 다 정리해서 빚 부터 갚는 상황이라서 안타깝네.

내 인생이 어쩌다 이런지는 모르겠지만.
지팔지꼰...

나중 여유가 되면, 그 때 기회가 되면....
대중적이란 무엇일까? 가격이 저렴해서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것?
가격이 올라서 접근성이 부족해지면 그들만의 리그.

어느 정도 진입장벽(허들)은 있어야 하지만.. 암튼 그렇네.
커뮤는 힘이 없지만, 2021년 겨울 부터 2022년 초 그 시절 NFT 추억은 남아있네.

하루 15시간 씩 인비 커뮤니티에 살았던 것 같은데 1~2달 넘게...
0.25 -> 12이더까지 갓는데도 안 팔았지... 100만 원 돈이 4천 만 원 40배인데.
지금은 민팅가 수준.... 2차에서 산 게 훨 싸게 됨.

지나고 나니 그런 추억들도 희미해지네.
인비 x계정의 글은 언제 올라올까?
이 프로젝트는 누가 인수할까?

RCC팀의 한계가 너무 보임.
더 큰 물에서 노는 날이 올까?

오픈씨 | 트위터(467.4k) | 웹사이트
Markus(115.4k)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