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텀 알고리즘
5.99K subscribers
17.4K photos
8 videos
834 files
63.3K links
퀀텀 알고리즘 채널은 퀀텀 알고리즘으로 주도업종 파악, 실적 우량주 매수 타이밍 포착, 스윙트레이딩 신호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공간입니다. 구독자 여러분들의 투자에 도움이되도록 정선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신한 리서치본부] IT(반도체/전기전자/디스플레이) (영민 고)
[신한투자증권
반도체/장비
고영민, 박제민]

#Micron FY3Q23 실적 발표 (현지기준 6/28)

▶️ 실적 내용
실적 공시 ($bil, $)
- 매출액: 3.8
- 매출총이익 (GPM): -0.6 (-16%)
- 영업이익 (OPM): -1.5 (-39%)
- EPS: -1.43

컨센서스 ($bil, $)
- 매출액: 3.7
- EPS: -1.57

직전 가이던스 ($bil, $)
- 매출액: 3.5~3.9
- GPM: -28.5~-23.5%
- 영업비용: 0.75~1.05
- EPS: -1.65~-1.51

▶️ 가이던스 ($bil, $)
FY4Q23
- 매출액: 3.7~4.1
- GPM: -13~-8%
- 영업비용: 0.83~0.86
- EPS: -1.26~-1.12

FY23
- CapEx: ~7.0
(기존 가이던스 ~7.0)

FY24
- WFE 축소 지속 예정

▶️ Datapoint
매출 비중 (FY2Q23/FY3Q23)
- DRAM: 74%/71%
- NAND: 24%/27%

B/G(%, FY2Q23/FY3Q23)
- DRAM: +10% 중반 / +10%
- NAND: +한자릿수 중후반 / +30% 상회

ASP(%, FY2Q23/FY3Q23)
- DRAM: 약 20% 감소 / 약 10% 감소
- NAND: 20% 중반대 감소 / 10% 중반대 감소

CY23 수요 B/G 전망(FY2Q23 → FY3Q23)
- DRAM: 약 5% → 한자릿수 초중반
- NAND: 두자릿수 초반 → 한자릿수 후반


▶️ 주요 Comment
산업 전반
- 업황 바닥 통과 확신 강화, 가격 트렌드 개선 중
- 하반기 출하 확대 지속 예상

전방 주요 수요처별
① Data Center
- 전분기 대비 강한 매출 회복세
- 생성형 AI가 AI용 서버 수요를 강하게 형성 중
- 반면, 기존 서버 수요는 여전히 부진
→ AI 서버 메모리 Contents (vs 일반 서버): DRAM 6~8배↑, NAND 3배↑

*HBM
- 고객사의 강한 수요
- 24년 초 제품 본격 양산 계획 → FY24 유의미한 매출 달성 예상
*DDR5
- (출하기준)DRAM 내 D5 비중, 전분기 대비 2배 증가
- FY1Q24부터 D5 비중 > D4 비중 예상(업계의 예상 시점은 FY24 중반)
- 32Gb 다이를 활용한 1b 나노 기반 128GB 제품 내 긍정적 성과 달성(TSV 방식 대비 비용 개선 효과)
→ CY2Q24 중 본격 양산 계획

② PC
- CY23, PC 출하 두자릿수 초반 감소 예상(YoY)
- CY24초, D5 비중 > D4 비중 예상

③ Mobile
- CY23, 스마트폰 출하 한자릿수 중반 감소 예상(YoY)
- 출하는 약하나 메모리 Contents Growth는 강한 성장세 예상(프리미엄 세트 기반)

후공정 투자
- 중국 시안 $600M 규모 투자 예정
→ 시안 Powertech Semiconductor 어셈블리 장비 구매 및 신규 Fab 건설 계획
- 인도 정부 지원하, 인도 Gujarat에 신규 후공정 Fab 건설 예정
- AI 수요 대응 필요 → 대만 내 고대역폭 메모리 관련 후공정 캐파 확대 투자 진행 중

중국 영향
- 중국 및 홍콩 고객사향 매출, 총 매출의 15% 차지
- 해당 고객사의 50% 정도가 매출 타격 영향권
(총 매출의 두 자릿수 초반 비중 차지)
- 영향 완화 노력 중 → 글로벌 DRAM/NAND 점유율 유지 목표

기술
- 1b DRAM & 232단 NAND 수율, 글로벌 최고 수준 달성 (이전 선단 공정에서 보다 수율 개선 속도 가속화 중)
→ FY3Q23 중 관련 최선단 노드 제품 qualification 완료, FY24 본격 확대 유리
- EUV, 25년 1c DRAM 도입 예정
(대만 Fab에서 제작될 예정, 이미 가동 준비 중)
- 일본 정부 지원하, 일본 Fab에 EUV 장비 도입 계획

📁 IR자료: https://zrr.kr/unWu
Forwarded from 다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차윤지)
[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Micron FY3Q24(3~5월) 실적 발표 (현지기준 06/26)

▶️ 실적 내용
실적 공시 ($bil, $)
- 매출액: 6.8
- 매출총이익 (GPM): 1.9 (28%)
- 영업이익 (OPM): 0.9 (13.8%)
- EPS: 0.62
→ 컨센서스 및 직전 가이던스 부합

컨센서스 ($bil, $)
- 매출액: 6.7
- 영업이익: 0.87 (OPM 13%)
- EPS: 0.5

직전 가이던스 ($bil, $)
- 매출액: 6.4~6.8
- GPM: 25~28%
- 영업비용: 0.9
- EPS: 0.38~0.52

▶️ 가이던스 ($bil, $)

FY4Q24
- 매출액: 7.4~7.8
→ 컨센서스 7.6
- GPM: 33.5~35.5%
- 영업비용: 0.91~1.21
- EPS: 1.0~1.16

CapEx
- FY24: ~$8.0B
- FY25: CapEx 실질 증가 예상
→ FY25 분기별 평균 CapEx, FY4Q24 수준인 $3B 상회 예상
- 아이다호, 뉴욕 그린필드 팹 건설이 절반 이상 비중 차지할 것
- WFE: 전년대비 감소 예상
- 아이다호 팹은 FY27, 뉴욕 팹 FY28까지 의미있는 Bit 출하 기여 X
- 향후 WFE 지출은 예상 수요/공급에 맞추어 관리

▶️ Datapoint
B/G(%, FY2Q24/FY3Q24)
- DRAM: 한자릿수 초반 증가 / 한자릿수 중반 감소
- NAND: 한자릿수 초반 증가 / 한자릿수 후반 증가

ASP(%, FY2Q24/FY3Q24)
- DRAM: 10% 후반 증가 / +20% 증가
- NAND: 30% 이상 증가 / +20% 증가

CY24 수요 B/G 전망(FY2Q24 → FY3Q24)
- DRAM: 장기 CAGR 근접 → 10% 중반
- NAND: 10% 중반 → 10% 중반

매출 비중 (FY2Q24/FY3Q24)
- DRAM: 71% / 69%
- NAND: 27% / 30%

▶️ 주요 Comment
재고
- 데이터 센터: 고객사 재고 대부분 정상화, 수요 강세 지속
- PC/스마트폰: 고객사들의 추가 재고 확보 진행 중
→ 배경: 1) 메모리 가격 상승세 선제적 대응, 2) AI PC/스마트폰 성장 예상, 3) 데이터 센터향 수요 강세에 따른 공급 타이트 가능성
- 최첨단 노드 공급 타이트 우려 → 통상적인 스케쥴보다 빠르게 이미 25년 장기공급계약 확보 수요 발생 중

공급 정책 및 방향성
- CY24, 수요 > 공급
- FY24, 수요 증가율 > 공급 증가율 (Bit 기준)
- HBM3E, D5 대비 웨이퍼 사용량 3배↑
- HBM 생산 증가 → 비HBM제품 공급 잠식
- FY24말 기준, FY22(직전 고점) 대비 DRAM/NAND 캐파 10% 초반 감소 예상

Technology
- 1a 및 1b 비중 80% 이상
- 176단 및 232단 비중 90% 이상
- 1c DRAM 파일럿 생산(EUV 적용) 진행중 → CY25, 양산 예정

전방 주요 수요처별
① Data Center
- AI 서버의 강력한 성장 지속 & 레거시 서버의 완만한 성장세 복귀
- CY24, 서버 출하 +한자릿수 중후반% 증가 예상

» HBM
- 당분기부터 HBM 출하량 증가 시작
→ 3E 분기 매출 1억 달러 이상 달성

- HBM 매출 전망: FY24 수억달러 → FY25 수십억달러
- CY25, DRAM 시장 점유율에 상응하는 HBM 점유율 달성 기대
- HBM CY24, CY25 캐파 Sold out & 25년 물량 대부분 공급가 결정 완료
- 12단 3E 샘플링 완료, CY25 대량 생산 예상

» 128GB Modules
- 모노 다이 128GB 서버 DIMM 검증 완료
- FY2H24, 수억달러 매출 달성 기대
- 데이터 센터향 1b 기반 LPDRAM 수요 강하게 포착 중

» Data Center SSDs
- 고객사들의 강력한 수요 회복 시작
- 하이퍼스케일 수요는 AI 학습 및 추론 & 전통 스토리지 수요는 인프라 중심
- 당분기, 232단 기반 6500 30TBs SSDs Bit 출하량 3배 이상 증가
- 엔터프라이즈 시장 내 최초로 200단 이상 QLC 공급

② PC
- CY24, 출하 한자릿수 초반% 성장 예상(YoY)
- CY24 후반부터 PC 교체 주기 가속화 전망
→ 배경: 25년 윈도우10 지원 종료, 윈도우 12 출시 및 차세대 AI PC 도입 등
- 대만 Computex에서 차세대 칩셋 및 AI PC 발표
→ 고성능 NPU 탑재, 기존 PC 대비 DRAM Contents +40~80% 이상 예상
- AI PC 내 고성능/고용량 SSD 탑재 필요성 증가
(EX. 232단 기반 Performance 3500 SSD, QLC 2500 NVMe SSD)

③ Mobile
- CY24, 출하 한자릿수 초중반% 성장 유지
- 당사 LP5X 기반 안드로이드 Tier 1 12~16GB AI 폰 출시
- 작년 플래그십 모델 대비 50~100% 증가

④ Auto
- 메모리, 스토리지 수요 호조 지속
- 당분기, Auto 매출 역사적 경신
- 세계 최초로 멀티 포트 4세대 NVMe SSD 출시


위 내용은 공시 자료 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IR자료: https://zrr.kr/i5qI
❤️ Micron Technology 일간차트 (2025년8월12일)


1) 마이크론이 지난 금요일 +6% 이상 상승한 후 오늘도 +4% 상승하며 2 거래일 동안 +10% 이상 급등하여 $123 대에 진입

2) DRAM 부문 가격 개선으로 2025회계년도 4분기 실적 가이던스 상향 조정에 따른 주가 급등

3) 마이크론 주가가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올해 고점인 $130 돌파한다면 SK하이닉스의 동반 상승 가능성 관찰 필요


#Micron
#SK하이닉스
❤️ SK하이닉스 (2025년8월12일)


1) 오늘 SK하이닉스 주가는 단기 바닥 탈출 시도 중

2) "미국 마이크론이 D램 가격 상승을 이유로 실적 전망치를 상향"하면서 동일한 비지니스 모델을 보유한 SK하이닉스 실적 전망치도 상향될 가능성.


❤️ Micron Technology 일간차트 (2025년8월12일)
https://t.me/quantum_ALGO/85690
마이크론 주가가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올해 고점인 $130 돌파한다면 SK하이닉스의 동반 상승 가능성 관찰 필요


#SK하이닉스
#마이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