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 : 시가총액 상위 기업 중 주간 차트 240 볼린저밴드 상단밴드 위에서 유일하게 연중 고가를 경신하며 랠리 중.
명백하게 떠오르고 있는 주도주!
아래는 어제 아침 개장전 코멘트.
https://t.me/quantum_ALGO/59006
명백하게 떠오르고 있는 주도주!
아래는 어제 아침 개장전 코멘트.
https://t.me/quantum_ALGO/59006
Telegram
퀀텀 알고리즘
❤️ SK하이닉스 주간 차트:
1) 오늘 메모리 3형제의 막내동생인 마이크론이 +6% 이상 급등하며 역사적 고가를 경신하여 첫째와 둘째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동반 상승 가능성
2) 특히 HBM 원조 맛집인 SK하이닉스도 연중고가를 경신하며 상승할 것으로 기대
3) SK하이닉스도 2월에 주간 차트 240 볼린저밴드 상단밴드를 돌파하며 추세구간에 진입한 상태로 이번 주에 20만원을 향해 랠리를 펼칠 가능성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1) 오늘 메모리 3형제의 막내동생인 마이크론이 +6% 이상 급등하며 역사적 고가를 경신하여 첫째와 둘째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동반 상승 가능성
2) 특히 HBM 원조 맛집인 SK하이닉스도 연중고가를 경신하며 상승할 것으로 기대
3) SK하이닉스도 2월에 주간 차트 240 볼린저밴드 상단밴드를 돌파하며 추세구간에 진입한 상태로 이번 주에 20만원을 향해 랠리를 펼칠 가능성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ㅣ'HBM의 아버지'가 말하는 AI 반도체 세계 전쟁 결국 'HBM'이 핵심일 수 밖에 없는 이유 "대한민국이 맞이할 엄청난 기회"(풀영상)
01:13 미반도체 보조금 지원 어떻게 보는지?
02:51 올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주목하는 것
06:32 CPU, GPU, HBM이란?
11:28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HBM은?
15:00 HBM 메모리 반도체 기술의 현주소
20:00 SK하이닉스-삼성전자-마이크론 HBM 삼파전 상황
21:55 마이크론의 납품 자신감, 퀄 테스트 통과했나
24:04 패키징이 중요한 이유
26:33 생성형 인공지능의 원리
29:32 현재 테라랩의 주력 연구 분야
32:12 차세대 반도체 CXL이란
34:45 K-반도체 기술, 해외 인력 유출의 문제점
36:51 AI시대에 슈퍼 컴퓨터가 필요한 이유
42:06 샘 알트먼의 방한 목적
43:01 AI반도체 세계 대전의 주도권은?
44:09 엔비디아 vs AMD, GPU 대결 추이
45:54 삼성-SK하이닉스 전망
47:45 인공지능, 강화학습으로 훈련이 가능하다?
50:30 AI가 인간 사회를 위협한다?
51:25 반도체 분야 미래 전망
52:35 AI인공지능 시대의 보완점
https://youtu.be/85Z3eIxK9tk?si=o5f5YrsVwwl7237I
01:13 미반도체 보조금 지원 어떻게 보는지?
02:51 올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주목하는 것
06:32 CPU, GPU, HBM이란?
11:28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HBM은?
15:00 HBM 메모리 반도체 기술의 현주소
20:00 SK하이닉스-삼성전자-마이크론 HBM 삼파전 상황
21:55 마이크론의 납품 자신감, 퀄 테스트 통과했나
24:04 패키징이 중요한 이유
26:33 생성형 인공지능의 원리
29:32 현재 테라랩의 주력 연구 분야
32:12 차세대 반도체 CXL이란
34:45 K-반도체 기술, 해외 인력 유출의 문제점
36:51 AI시대에 슈퍼 컴퓨터가 필요한 이유
42:06 샘 알트먼의 방한 목적
43:01 AI반도체 세계 대전의 주도권은?
44:09 엔비디아 vs AMD, GPU 대결 추이
45:54 삼성-SK하이닉스 전망
47:45 인공지능, 강화학습으로 훈련이 가능하다?
50:30 AI가 인간 사회를 위협한다?
51:25 반도체 분야 미래 전망
52:35 AI인공지능 시대의 보완점
https://youtu.be/85Z3eIxK9tk?si=o5f5YrsVwwl7237I
YouTube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ㅣ'HBM의 아버지'가 말하는 AI 반도체 세계 전쟁 결국 'HBM'이 핵심일 수 밖에 없는 이유 "대한민국이 맞이할 엄청난 기회"(풀영상)
#김정호 #반도체 #HBM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엔비디아 #AMD #인공지능 #AI #챗gpt #GPU #인텔 #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슈퍼컴퓨터 #경제일타강사
01:13 미반도체 보조금 지원 어떻게 보는지?
02:51 올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주목하는 것
06:32 CPU, GPU, HBM이란?
11:28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HBM은?
15:00 HBM 메모리 반도체 기술의 현주소
20:00 SK하이닉스-삼성전자-마이크론 HBM 삼파전…
01:13 미반도체 보조금 지원 어떻게 보는지?
02:51 올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주목하는 것
06:32 CPU, GPU, HBM이란?
11:28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HBM은?
15:00 HBM 메모리 반도체 기술의 현주소
20:00 SK하이닉스-삼성전자-마이크론 HBM 삼파전…
❤️ SK하이닉스 : 19만원 터치!
SK하이닉스는 반도체업종 대장주이자 코스피 주도주!
아래는 3월26일 아침 개장전 코멘트.
https://t.me/quantum_ALGO/59006
SK하이닉스는 반도체업종 대장주이자 코스피 주도주!
아래는 3월26일 아침 개장전 코멘트.
https://t.me/quantum_ALGO/59006
Telegram
퀀텀 알고리즘
❤️ SK하이닉스 주간 차트:
1) 오늘 메모리 3형제의 막내동생인 마이크론이 +6% 이상 급등하며 역사적 고가를 경신하여 첫째와 둘째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동반 상승 가능성
2) 특히 HBM 원조 맛집인 SK하이닉스도 연중고가를 경신하며 상승할 것으로 기대
3) SK하이닉스도 2월에 주간 차트 240 볼린저밴드 상단밴드를 돌파하며 추세구간에 진입한 상태로 이번 주에 20만원을 향해 랠리를 펼칠 가능성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1) 오늘 메모리 3형제의 막내동생인 마이크론이 +6% 이상 급등하며 역사적 고가를 경신하여 첫째와 둘째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동반 상승 가능성
2) 특히 HBM 원조 맛집인 SK하이닉스도 연중고가를 경신하며 상승할 것으로 기대
3) SK하이닉스도 2월에 주간 차트 240 볼린저밴드 상단밴드를 돌파하며 추세구간에 진입한 상태로 이번 주에 20만원을 향해 랠리를 펼칠 가능성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Forwarded from [ IT는 SK ] (DOMA HAN)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MICRON FY2Q25 실적발표
▶️ FY2Q25 실적 (Non-GAAP)
매출액 $8.05B (-8% QoQ): 컨센서스 +2%
GPM 36.7% (-3%p QoQ): 컨센서스 -1.6%p
EPS $1.41 (-21% QoQ): 컨센서스 -1%
B/G) DRAM: high single 감소
NAND: 소폭 상승
ASP) DRAM: mid single 상승
NAND: 10% 후반 하락
▶️ FY2Q25 부문별 실적
DRAM 비중 76% (+3%p QoQ)
NAND 비중 23% (-3%p QoQ)
▶️ FY3Q25 가이던스
매출액 $8.80B (+9% QoQ): 컨센서스 +4%
GPM 35.5% (-1.2%p QoQ): 컨센서스 -1.0%p
▶️ 주요 Outlook
2025년 DRAM 비트 수요 전망 10% 중~후반 (vs 1Q25 전망 10% 중반)
2025년 NAND 비트 수요 전망 10% 초반 (1Q25 10% 중반)
NAND 감산은 단기적으로 NAND 시장 역학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신규 관세 적용되는 제품이 일부 있으나 규모가 매우 제한적, 영향이 있을 경우 고객에게 전가할 계획
#HBM
HBM 매출은 전 분기 대비 50% 이상 증가하며 분기 매출 10억 달러를 초과
2025Y 기준 HBM TAM 전망 350억 달러 이상으로 상향 조정
FY4Q25까지 HBM 점유율을 전체 DRAM 점유율과 유사한 수준까지 올릴 것
HBM3E 12H 제품 대량 출하 시작, 수율 개선 중
FY2H25에는 12H가 전체 출하량의 대다수 차지할 것 (GB300향)
2분기부터 HBM3E 세번째 고객에게 대량 출하 시작, 추가적인 고객 확보 기대 중
FY2026 HBM 공급에 대한 강력한 수요 확인 중
FY2026부터는 HBM4를 본격 양산할 계획
HBM4의 Trade ratio는 4:1 수준으로 HBM3E대비 더 증가할 전망
#레거시
DRAM과 NAND 전반에 걸친 출하량 증가로 3분기 매출이 또 다시 기록적인 수준 달성 예상
첨단 수요 증가에 따른 trade ratio 경험 중, 최첨단 공정에서 공급 부족 초래 및 commodity 공급 제한
NAND 기업들이 발표한 공급 조정 조치가 NAND 시장의 역학을 개선할 것으로 예상
2025Y 기준 서버 출하량이 중간 한 자릿수 퍼센트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며, 전통적인 서버와 AI 서버 모두에서 성장이 나타날 것
서버 시장 내 LP DRAM 리더십 유지할 계획, SOCAMM 폼팩터 전환과 함께 리더십 강화 예정
SOCAMM은 GB300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 서버 시장에서 LPDRAM 채택 촉진할 것으로 전망
PC 성장률 2H25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 AI PC로 인한 Contents 증가 전망
모바일 3Q25부터 출하량 증가 기대, AI 채택으로 Contents 증가 전망
▶️ URL: https://buly.kr/ESy3oRG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MICRON FY2Q25 실적발표
▶️ FY2Q25 실적 (Non-GAAP)
매출액 $8.05B (-8% QoQ): 컨센서스 +2%
GPM 36.7% (-3%p QoQ): 컨센서스 -1.6%p
EPS $1.41 (-21% QoQ): 컨센서스 -1%
B/G) DRAM: high single 감소
NAND: 소폭 상승
ASP) DRAM: mid single 상승
NAND: 10% 후반 하락
▶️ FY2Q25 부문별 실적
DRAM 비중 76% (+3%p QoQ)
NAND 비중 23% (-3%p QoQ)
▶️ FY3Q25 가이던스
매출액 $8.80B (+9% QoQ): 컨센서스 +4%
GPM 35.5% (-1.2%p QoQ): 컨센서스 -1.0%p
▶️ 주요 Outlook
2025년 DRAM 비트 수요 전망 10% 중~후반 (vs 1Q25 전망 10% 중반)
2025년 NAND 비트 수요 전망 10% 초반 (1Q25 10% 중반)
NAND 감산은 단기적으로 NAND 시장 역학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신규 관세 적용되는 제품이 일부 있으나 규모가 매우 제한적, 영향이 있을 경우 고객에게 전가할 계획
#HBM
HBM 매출은 전 분기 대비 50% 이상 증가하며 분기 매출 10억 달러를 초과
2025Y 기준 HBM TAM 전망 350억 달러 이상으로 상향 조정
FY4Q25까지 HBM 점유율을 전체 DRAM 점유율과 유사한 수준까지 올릴 것
HBM3E 12H 제품 대량 출하 시작, 수율 개선 중
FY2H25에는 12H가 전체 출하량의 대다수 차지할 것 (GB300향)
2분기부터 HBM3E 세번째 고객에게 대량 출하 시작, 추가적인 고객 확보 기대 중
FY2026 HBM 공급에 대한 강력한 수요 확인 중
FY2026부터는 HBM4를 본격 양산할 계획
HBM4의 Trade ratio는 4:1 수준으로 HBM3E대비 더 증가할 전망
#레거시
DRAM과 NAND 전반에 걸친 출하량 증가로 3분기 매출이 또 다시 기록적인 수준 달성 예상
첨단 수요 증가에 따른 trade ratio 경험 중, 최첨단 공정에서 공급 부족 초래 및 commodity 공급 제한
NAND 기업들이 발표한 공급 조정 조치가 NAND 시장의 역학을 개선할 것으로 예상
2025Y 기준 서버 출하량이 중간 한 자릿수 퍼센트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며, 전통적인 서버와 AI 서버 모두에서 성장이 나타날 것
서버 시장 내 LP DRAM 리더십 유지할 계획, SOCAMM 폼팩터 전환과 함께 리더십 강화 예정
SOCAMM은 GB300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 서버 시장에서 LPDRAM 채택 촉진할 것으로 전망
PC 성장률 2H25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 AI PC로 인한 Contents 증가 전망
모바일 3Q25부터 출하량 증가 기대, AI 채택으로 Contents 증가 전망
▶️ URL: https://buly.kr/ESy3oRG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Telegram
[ IT는 SK ]
최도연, 박형우, 한동희, 이동주, 권민규, 박제민 (SK증권)
✅ KRX 반도체지수-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일간차트 (2025년7월11일)
SK하이닉스가 KRX 반도체지수 상승세 주도 가능성
1) 엔비디아 주가가 연일 강세를 보이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작년 7월 역사적 고점까지 3.77% 남은 상황
2) 엔비디아 상승세가 지속된다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이번 달에 역사적 고점 경신 가능성
3)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한 KRX 반도체지수는 작년 7월 역사적 고점까지 19% 가까이 남은 상황
4) GPU 대비 HBM의 디스카운트를 고려해도 두 반도체지수의 괴리는 너무 크게 벌어진 상태
5) 외국인들이 SK하이닉스의 HBM에 보다 매력을 느끼면서 매수를 집중한다면 KRX 반도체지수도 단기 저항선인 4천 포인트 돌파 가능성
6) SK하이닉스에 대한 수급과 주가 움직임 집중 관찰 필요
#KRX반도체지수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SK하이닉스
#HBM
SK하이닉스가 KRX 반도체지수 상승세 주도 가능성
1) 엔비디아 주가가 연일 강세를 보이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작년 7월 역사적 고점까지 3.77% 남은 상황
2) 엔비디아 상승세가 지속된다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이번 달에 역사적 고점 경신 가능성
3)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한 KRX 반도체지수는 작년 7월 역사적 고점까지 19% 가까이 남은 상황
4) GPU 대비 HBM의 디스카운트를 고려해도 두 반도체지수의 괴리는 너무 크게 벌어진 상태
5) 외국인들이 SK하이닉스의 HBM에 보다 매력을 느끼면서 매수를 집중한다면 KRX 반도체지수도 단기 저항선인 4천 포인트 돌파 가능성
6) SK하이닉스에 대한 수급과 주가 움직임 집중 관찰 필요
#KRX반도체지수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SK하이닉스
#HBM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