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4K subscribers
6.63K photos
47 videos
57 files
12.4K links
시장을 움직일 '패러다임 변화'를 빠르고 심도있게 분석하여 한 발 앞선 투자를 지향합니다.
또한 시장 트렌드를 일찍 캐치하여 Big 수급 Wave에 집중합니다.

[Caution]
이 채널의 모든 Feed는 투자 권유사항이 아니며 거래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일부 Feed는 작성자의 의견이 포함되어있습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Brain and Body Research
가정용 미용기기 (전국)
관련종목 : 에이피알 / 파마리서치 / 하이로닉 / 동국제약 / 레이저옵텍

2025년 4월 1일 ~ 20일 잠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Forwarded from Brain and Body Research
라면 (전국_글로벌)
관련종목 : 삼양식품 / 농심 등

2025년 4월 1일 ~ 20일 잠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Forwarded from Brain and Body Research
기타 열교환기 (가정용 제외) (전국_글로벌)
관련종목 : SNT에너지 / 일진파워

2025년 4월 1일 ~ 20일 잠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Forwarded from TNBfolio
미국 항만요금 완화에 Yangzijiang Shipbuilding 주가 15% 급등

- 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대한 항만요금 부과 계획을 완화하자 Yangzijiang Shipbuilding 주가가 15% 급등했다.
- 4월 21일 오전 한때 S$2.37까지 오르며 27.9백만 주가 거래됐고, 이후 일부 조정돼도 상승세 유지 중이다.
- 회사는 최근 자사주 매입을 이어왔고, 4월 29일 주주총회에서 연 0.12싱가포르달러 배당안 승인 예정이다.
- 주가는 여전히 52주 최고가인 S$3.32에는 못 미치지만, 반등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 미국의 규제 완화와 함께 업계 반발이 반영되며 투자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https://www.businesstimes.com.sg/companies-markets/capital-markets-currencies/yangzijiang-shipbuilding-soars-15-us-eases-port-fees-china-built-ships
미국 제재 역풍… Nvidia 제치고 Huawei AI칩 수요 급증
- 미국이 Nvidia의 H20 AI 칩 중국 수출을 금지하면서 Huawei의 AI 가속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 Huawei는 SMIC와 협력해 새로운 Ascend 920 AI 칩을 출시했으며, 이는 기존 910C 대비 최대 40% 성능 향상이 있었다.
- SMIC는 EUV 없이도 6nm급 공정을 구현해 이 칩을 생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 미국 제재로 Nvidia 칩 수입이 제한되면서 중국 내 기업들은 라이선스 없이 구매 가능한 Huawei 제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 미국의 제재가 오히려 Huawei의 AI 사업 성장에 기여하며 역설적 효과를 낳고 있다는 분석이다.
https://www.phonearena.com/news/business-from-china-nvidia-should-receive-goes-to-huawei-ironic-consequence-us-sanctions_id169635
* 공연 확정이요?

=========================

~ 블랙스완 소속사 ㈜디알뮤직은 “블랙스완은 ‘카르마(KARMA), 롤업(Roll Up) 등 히트곡을 포함해 10여곡의 무대를 펼쳤으며 이 날 미발매 신곡까지 선공개, 중국 10만 관객이 모인 공연장을 뜨겁게 달궜다”면서 “이번 성공적인 하이난 공연의 여세를 몰아, 중국 여러 지역에서 공연이 확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그동안 한한령으로 경색되었던 중국 한류 활성화의 신호탄으로 기대된다”고 강한 의욕을 보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460065?sid=103
Forwarded from FS리서치
✔️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최신 연구결과 7건을 공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AACR에서 루닛이 로슈 제넨텍(Genentech)과 AI 바이오마커를 PD-L1 면역항암제 ‘티센트릭’의 임상3상 결과에 적용해 치료효과를 예측하고 확인한 결과와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AZ)와 폐암에서 'AI 기반 EGFR 변이 예측' 연구도 포함된다.

루닛은 이번 학회의 주요 연구결과로, 희귀암인 침샘암(SGC) 환자의 선행면역화학요법 치료 효과 예측 연구를 발표한다. 공간 전사체학(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기술인 10X 제노믹스(10X Genomics) 제니엄(Xenium)과 루닛 스코프 IO 기반 AI 분석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합하여 침샘암 환자 14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됐다.

연구진은 침샘 종양 내 91만 개 이상의 세포 분석을 통해 재발 환자군에서 면역 반응 회피와 암세포 전이에 역할을 하는 유전자가 높게 발현되고, 동시에 종양침윤림프구(TIL)의 밀도와 면역세포 유입을 유도하는 유전자인 CXCL9의 발현율은 낮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공간 전사체 분석과 루닛 스코프 IO를 병합 활용함으로써 종양미세환경(TME)의 특성을 밝혀냈으며, 희귀암인 침샘암에 대한 면역항암 요법 전략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된다.

다음으로 루닛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소세포폐암(SCLC) 전환 위험을 예측하는 AI 기반 분석 성과를 공개한다. 연구진은 106명의 환자 조직 슬라이드를 AI로 분석해 세포단위로 종양이질성(tumor heterogeneity)을 분류하고, 소세포폐암과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환자군을 식별했다.

분석 결과, 소세포폐암과 유사한 그룹에 속한 환자군은 소세포폐암에 속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평균 핵 크기가 훨씬 작은 특징을 보였다. 이들 환자군은 TKI 치료 후 무진행생존기간(PFS)도 유의하게 더 짧았으며, 추가 검사 시 소세포폐암으로 전환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AI가 소세포폐암 전환 위험이 있는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한 결과로, 정밀한 치료 전략을 수립하고 예후를 예측할 것으로 기대한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AACR 2025에서 발표하는 연구들은 루닛 스코프가 희귀암 및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진 암종에서도 치료를 위한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루닛은 지속해서 AI 기반 분석을 통한 암 환자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루닛은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유럽 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로 꼽히는 AACR에 7년 연속 참가하며, 루닛 스코프의 임상적 유효성과 연구 적용 확장 가능성을 꾸준히 발표해오고 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885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025.04.21 15:51:59
기업명: 스피어(시가총액: 3,273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미국 글로벌 우주항공 발사업체
계약내용 : 특수합금 공급계약
공급지역 : 해외
계약금액 : 10억

계약시작 : 2025-04-19
계약종료 : 2026-06-02
계약기간 : 1년 1개월
매출대비 : 39.72%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1900388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34770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47700
2025.04.21 16:49:41
기업명: 한화엔진(시가총액: 2조 361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82억(예상치 : 3,183억/ 0%)
영업익 : 223억(예상치 : 206억/ +8%)
순이익 : 194억(예상치 : 147억+/ 3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182억/ 223억/ 194억
2024.4Q 3,263억/ 182억/ 394억
2024.3Q 2,961억/ 153억/ 106억
2024.2Q 2,865억/ 186억/ 143억
2024.1Q 2,934억/ 194억/ 14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180054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2740
Forwarded from BRILLER
[쥬베룩볼륨 시술 후 발생한 BRAO(분지 망망 동맥 폐색) 관련 단상]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먼저 글을 쓰기전 쥬베룩 볼륨 시술을 받고 BRAO(분지 망막 동맥 폐색)으로 인해 실명이 된 환자분의 빠를 쾌유를 빕니다.

저의 경우 지인 의사분들을 통해 지난 토요일 점심쯤에 해당 사례가 발생했음을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글로벌로 쥬베룩을 가장 많이 시술했고 저역시도 몇년전부터 쥬베룩과 쥬베룩 볼륨 시술을 해주신 피부과 원장님께서도 토요일 저녁에 저에게 해당 내용을 먼저 보내주셨습니다.

제가 몇년전부터 쥬베룩과 쥬베룩 볼륨 시술을 받고 있었고 관련 리스크도 얘기해주셨는데 이번에 그런 사례가 생겼으니 저에게 이런 사례가 실제로 일어났다고 알려주시기 위해서 공유해주신거 같았고 제 입장에서는 오히려 그런 리스크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토요일 저녁에도 채널에 간단하게 쥬베룩 시술후 BRAO 가 발생한 사실만 언급을 했었고 관련글도 자기직전까지 작성해놓은 상태였으나 피부미용 시술중 주사제 시술이 가지고 있는 리스크 측면을 언급하는게 의사가 아닌 제가 언급하는게 조심스럽기도 하고 무겁기도 해서 내용을 좀 더 갈무리하고 정리해서 오늘에서야 올립니다.

해당사례는 주말동안 레딧, 인스타, 스레드 까지 핫하게 달구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시술 부작용이 "실명"이라서 엄청난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 상황입니다.

해당 인스타의 좋아요는 이미 9.5만개가 되었습니다.

⭕️ 현재 상황은 쥬베룩 볼륨이 실명을 일으키는 굉장히 위험한 물질로 인식되어버린 단계인데 시술로 인한 실명케이스는 쥬베룩 볼륨만의 리스크는 절대 아닙니다.

가장 흔한 사례가 필러 시술에서 HA성분이 혈관을 막아 실명이 일어나는 케이스입니다.

PLA성분의 대표 오리지날 제품인 스컬트라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쥬베룩볼륨의 성분은 위에 언급한 필러와 PLA제품이 믹싱된 PDLLA와 HA 성분이며 현재 어떤 성분이 혈관을 막아 실명이 됬는지는 정확하게 파악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지방이식또한 지방색전증으로 인해 혈관을 막아 실명이 일어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 중요한건 어떤 물질이냐가 아니라 어떤 부위에 어떤 방식으로 시술을 했냐입니다.

⭕️ 실명이 발생할 리스크가 매우 높은 시술부위는 코와 눈가 주변이며 해당부위 시술을 하다가 혈관에 해당 물질이 들어가서 막으면서 실명이 일어나게 됩니다.

⭕️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어떤 물질이 무조건 더 위험한게 아니라 HA든 PLA든 지방이든 입자가 있는 모든 주사제 시술들은 코와 눈가주변에 시술을 할 때 혈관을 건드리게 되면 실명 위험이 있습니다.
(물론 입자가 큰 것들이 입자가 작은것보다는 더 위험합니다.)

⭕️ 때문에 쥬베룩 볼륨으로 실명이 생겼기 때문에 다른 경쟁사 제품들(스컬트라, 올리디아, 가나필, 퓨어필, 에버클, 에스테필 등등)은 안전하고 반사수혜가 올 것이다라고 보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과 투자 수혜주 찾기는 맞지 않습니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는 성분이 어떻게 시술형태가 어떻고 그런거 상관없이 일단 어떤 이슈가 터지면 위험한 물질로 인식해서 회사나 엔드유저들이 관련해서 상세하게 설명해주지 않는다면 해당 제품을 기피하는 성향은 강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입자를 가지고 있는 주사제 제품들은 코와 눈가 시술시 실명 확률의 차이일뿐 모두가 가지고 있는 리스크입니다.

작년 6월 강의에서 주사제와 스킨부스터 강의를 할 때 주사 시술 vs 캐뉼라 시술의 차이점에 대해서 언급을 했었습니다.

주사 시술의 경우 세밀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나 끝이 뾰족하기에 멍과 붓기가 생기고 시술시 혈관을 잘 못 건드린 경우 혈관에 입자를 주입하는 최악의 케이스가 발생하게 됩니다.

캐뉼라의 경우 끝이 뭉뚝하고 주사제가 옆구리부분을 통해 흘러나오는 방식이라 주사 시술 대비 멍과 붓기가 최소화 되며 주사 처럼 끝이 날카롭지 않기 떄문에 혈관을 잘 못 건드리더라도 혈관에 입자를 주입하는 케이스를 줄여 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입자가 혈관을 막아 색전이나 폐색을 일으킬 수 있는 코나 눈가 등 위험한 부위의 HA필러나 스컬트라, 쥬베룩 볼륨 시술은 주로 캐뉼라를 통해서 시술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캐뉼라 역시도 금속성분이고 아무리 뭉뚝하다고 하여도 시술자가 혈관에 있는 부위를 인지하지 못하고 강하게 삽입하면(사람 손의 힘으로 뭉뚝한 금속을 혈관에 밀어넣는다고 생각하시면 혈관이 이걸 버틸수가 없음) 마찬가지로 주사 시술과 동일한 케이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쥬베룩 볼륨 눈가 시술 후 안타깝게도 BRAO로 인해 실명이 발생하신 분의 경우 어떠한 이유로 발생하였는지는 시술 당사자와 추후 명확한 이유가 나와야 확실하게 알겠지만

1. 쥬베룩 볼륨을 캐뉼라가 아닌 일반 주사로 시술을 하였다가 혈관을 잘 못 건드렸을 가능성

2. 쥬베룩 볼륨을 캐뉼라로 시술 하였음에도 위에서 얘기 드린거처럼 손의 힘으로 강하게 삽입하였다가 혈관을 잘 못 건드렸을 가능성

3. 가루제품은 수화(가루제품에 식염수를 섞어서 균등하게 희석시키는 과정)과정이 매우매우 중요한데 이 수화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뭉친 입자들이 있었을 가능성

4. 기타 알 수 없는 이유로 혈관에 PDLLA성분이나 HA성분이 들어갔을 가능성

상기 4가지 사례중 한가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기서 1번과 2번 케이스는 혈관이 있을 부위로 예상되는 부위를 피해서 시술자가 조심히 시술하였어도 해부학적 변이가 매우 다양하기때문에 피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바임은 이번 1차, 2차 공개매수를 통해서 엔드유저분들 또한 지분이 강제로 정리당하게 됨으로써 서로 이해관계가 없어지고 감정이 마냥 좋은 상황은 아니게 되어버렸습니다.

현재 주식매수청구건 가격 협의와 관련해서도 회사측과 주주측이 얘기하는 가격이 괴리가 있어 협의중인 상황인데 묘하게도 공개매수가 마감되고 난뒤에 리젠바이오텍이 바임 상대로 특허소송을 승소하고 이번에 입자가 있는 주사제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리스크가 터져버렸습니다.

작년에 쥬베룩 결절 이슈가 생겼을때(PDLLA성분도 PLLA성분보다 확률이 낮을뿐 PLA성분 특성상 결절이 생깁니다.) 바임과 프리미어파트너스쪽의 대응이 올바르지 못했고 이로 인해 엔드유저분들의 불만이 한차례 쌓였었는데 이번에는 바임과 프리미어파트너스쪽이 올바른 방향으로 대응하고 해결책을 세웠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아마존, 일부 데이터 센터 임대 협상 일시 중단
- Amazon이 일부 콜로케이션 파트너와의 데이터 센터 임대 협상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 Wells Fargo는 이번 조치가 Microsoft의 최근 움직임과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 두 기업 모두 AI 수요 대응을 위한 투자를 확대해왔으나, 일부 신규 프로젝트는 속도 조절에 들어간 모습이다.
- 최근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정책 제안으로 인해 기술주 전반에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
- Amazon 주가는 연초 대비 25% 하락했으며, Wells Fargo는 종목에 대해 ‘보유’ 의견을 유지했다.
https://www.cnbc.com/2025/04/21/amazon-has-paused-some-data-center-lease-commitments-wells-fargo.html
2025.04.22 13:36:19
기업명: HD현대일렉트릭(시가총액: 11조 7,87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0,147억(예상치 : 9,705억+/ 5%)
영업익 : 2,182억(예상치 : 2,037억/ +7%)
순이익 : 1,541억(예상치 : 1,624억/ -5%)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0,147억/ 2,182억/ 1,541억
2024.4Q 8,157억/ 1,663억/ 1,272억
2024.3Q 7,887억/ 1,638억/ 1,166억
2024.2Q 9,169억/ 2,101억/ 1,612억
2024.1Q 8,010억/ 1,288억/ 93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280017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67260
2025.04.22 13:38:15
기업명: SK이터닉스(시가총액: 5,127억)
보고서명: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취득회사 : GridFlex Inc.(미국)
주요사업 : 전기판매업

취득금액 : 174억
자본대비 : 7.21%
- 취득 후 지분율 : 20%

예정일자 : 2025-10-31
취득목적 : 미국 ESS 사업 진출 및 투자

* 취득방법
현금취득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280017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75150
Forwarded from 선수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