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c
1.3K subscribers
1.82K photos
32 videos
13 files
1.38K links
Download Telegram
11월 27일 정오, 양건(羊艮)은 상하이시 구도심 우루무치중로를 찾았다. 전날 밤에도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 섰지만, 그날은 토요일이라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왔다. 멀찍이서 관망하는 사람도 있었고, 가까이서 구경하는 사람도 있었으며, 참여를 호소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녀는 한 손에는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시집, 다른 한 손에는 백지 몇 장과 피켓을 들고 있었다. 피켓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지붕 위 하늘을 영원히 기억하라. 용감하게 자유와 존엄을 지키는 모든 이들에게 고하노라.”

📖읽기: http://platformc.kr/2022/12/people-who-picked-up-a4-paper/
📱채널: https://t.me/platformc
👍6👏2
#페미니즘 #공부모임

2023년 상반기, 플랫폼C 페미니즘 공부모임과 함께 해요! 1월에는 혈연과 결혼 이외의 차별받는 가족 차별을 해소하고 시민적 유대를 모색해보고, 2월에는 19세기 실재했으나 잊히고 지워져온 여성들의 역사를 돌아봅니다. 3월에는 퀴어 이론의 지형 전반과 논쟁 흐름을 개괄하고 퀴어 이론을 체계적으로 공부합니다.

매월 셋째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망원동 플랫폼C 사무실과 줌온라인으로 열립니다.

👉🏼참가신청 : https://bit.ly/read-and-study
👍5👏4
2013년 12월, 싱가포르 리틀인디아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일요일 저녁임에도 출근해 온종일 건설 현장에서 일한 인도인 노동자 삭티벨 쿠마라벨루가 기숙사로 돌아가는 사설 버스에 올라타던 중 버스에 깔아뭉개져 사망한 사고가 그 발단이었다. 동료 노동자가 온몸이 찌그러진 채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400여명의 이주노동자가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74810.html
최악의 상황이 도래하기 전에 우리가 상황을 바꾸어야 한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이웃나라의 민중들이 평화에 대한 권리를 올바로 행사하도록 응원하고, 9.19 남북군사합의를 폐기하지 말라고 정부에 요구하는 것이다. 동시에 한반도 주변에서 벌어지는 군사훈련을 반대하며, 한반도를 시작으로 전세계의 모든 재래식 무기와 핵이 사라지도록 끈질기게, 꺾이지 않고, 평화를 외치는 것이다. 한반도에 두 번 다시 전쟁은 없어야 한다. 작은 행동들로부터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

📖읽기: http://platformc.kr/2022/12/no-more-war-okinawa-1/
📱채널: https://t.me/platformc
👍4
📌지난 2022년 9월 25일, 일본 오키나와 기노완(宜野湾)시에서 ‘대만 유사사태(만일의 사태)와 미일공동작전의 정체 : 미디어는 어떻게 대응해야하나’라는 심포지움이 열렸다. 이 자리에 참석한 저널리스트 이시이 교(石井暁)는 「오키나와에서 전쟁이 일어난다는데 정말인가요?」라는 팜플렛을 소개하고, 현 상황에 대해 강한 문제의식을 전한다. 작금의 정세가 전쟁 위기로 치달아갈 위험성을 지적하면서, 강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전쟁위기가 날로 고조되고 있는 지금, 이런 문제의식은 한국 내에서도 공유될만한 가치가 있다. 해당 강연 녹취록을 축약 번역하여 소개한다.

#동아시아 #일본 #반전평화

📖읽기: http://platformc.kr/2022/12/war-scenario-in-okinawa/
📱채널: https://t.me/platformc
👍4
노동조합법 2조와 3조가 문제라고 합니다.
지금 개정하지 않으면 국회의 직무유기라는 말도 이곳저곳에서 들립니다. 하지만 여전히 대다수 노동자들은 노조법 2·3조가 우리의 삶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여당은 이 개정안이 "기업의 재산권을 침해하고 불법파업을 조장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거대 야당은 미온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반면, 노동조합과 시민사회단체들의 개정 요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노조법 2·3조의 무엇이 문제인지, 그리고 대체 우리의 삶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공공운수노조 법률원 조연민 변호사의 발표를 듣고, 질의응답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일시 : 2023년 1월 28일(토) 오후3시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동)
📞문의 : 공일공-팔칠일칠-이오육일 또는 플랫폼C 채널 Q&A
💰참가 신청 : https://bit.ly/reform-union-law
👍8
"약자에 대한 폭거가 더없이 심각한 이런 어려운 시간일수록 절실해지는 것은 바로 동료 시민으로서의 연대의 필요성이다. 보편적 시민권의 확장을 위해서는 차별에 맞선 저항과 연대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읽기: http://platformc.kr/2023/01/seoul-mayors-threats/
📱채널: https://t.me/platformc
🔥32👍2
2022년 한 해, 플랫폼C는 이렇게 살았습니다!

사회운동에 관한 가장 핫하거나 흥미로운 이슈를 중심으로 열린 12회의 월례포럼🎙, 우리 사회의 모순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책을 선정한 책읽기모임들📚, 페미니스트들의 학습과 실천을 위한 페미니즘 공부모임🎈, 매월 말 동시대 동아시아 사회운동의 소식을 전하는 동아시아 뉴스레터✉️, 새로운 마주침의 양식을 찾기 위해 시도한 문화소모임🥁, 동아시아 공부모임, 그리고 여름방학 시기 청년 실천단 청/천/벽/력🥦, 그리고 가을맞이 지리산 빨치산 역사기행까지!
숨가쁜 활동들 속에서 활동/후원 회원수는 203명에서 305명으로 늘었고, 뉴스레터 구독자도 어느덧 1300명을 훌쩍 넘었습니다.
이제 플랫폼C도 지난 2년반을 돌아보고, 모임을 단단히 다지는 시간이 필요한데요. 2023년 한 해, '다지기'를 함께 도모해나갈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해나가길 희망합니다. 안으로, 밖으로 더 멀리 나아갑시다.

http://platformc.kr/join
👍92👏2🎉2
#플랫폼c #페미니즘 #공부모임

김순남이 쓴 <가족을 구성할 권리 - 혈연과 결혼뿐인 사회에서 새로운 유대를 상상하는 법>은 가족 상황에 대한 차별을 해소하고 유대가 가능한 사회를 모색하는 저항의 언어로 가족을 재인식하자고 요청합니다. 이 책을 함께 읽고, 서로 돌보고-의지하고-신뢰하는 모든 관계들이 차별받지 않을 권리, 원하는 사람과 원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관계맺을 수 있는 권리, 즉 '가족구성권'에 대해 토론하고자 합니다.

⌚️일시: 2023년 1월 19일(목) 오후 7시 30분
🏚 장소: 서울시 망원동 338-73, 2층 플랫폼C + 줌온라인
☎️ 문의: 공일공-칠구삼공-공오육공
✏️ 참가 신청: https://bit.ly/right-to-form-family
👍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