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어린이집 보육교사들도 과중한 업무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국복지보육노동조합’(全国福祉保育労働組合)은 각 지자체가 책임 회피로만 일관하고, 정작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거의 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child-care-in-japan/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child-care-in-japan/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일본의 보육 환경… 어린이집은 부족하고, 노동조건은 열악하다
일본 정부는 단순히 ‘출생 예산’을 증액하는 이상으로 여성과 보육노동자가 처한 상황 자체를 개선하려는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6👍3
아시아는 자본주의 체제하 급속한 개발와 자연 수탈로 세계에서 오염이 가장 심한 지역이다. 매년 산업재해와 환경재해로 수백만 명의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ANROEV-conference-2022/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ANROEV-conference-2022/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아시아의 환경 재해와 산업재해를 위한 대응 사례로부터 배우자
아시아 직업환경 피해자권리 네트워크의 주최로 환경·보건·안전을 주제로 한 컨퍼런스가 열렸다.
👍6👏3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no.24
만국의 탕핑주의자들이여, 단결하라!
- 'K-방위산업'은 이윤을 위한 피묻은 도박이다
- 중국 「탕핑주의자 선언 躺平主义者宣言」 번역
- 어느 말레이시아 청년이 학생운동에 뛰어들게 된 이유
- 일본의 보육 환경… 어린이집은 부족하고, 노동조건은 열악하다
- 몽골의 석탄 스캔들은 껍데기뿐인 민주화의 민낯을 보여준다
- 아시아의 환경 재해와 산업재해를 위한 대응 사례로부터 배우자
- 일본 사회운동 논쟁 |③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실패가 남긴 과제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platformc.stibee.com/subscribe/
만국의 탕핑주의자들이여, 단결하라!
- 'K-방위산업'은 이윤을 위한 피묻은 도박이다
- 중국 「탕핑주의자 선언 躺平主义者宣言」 번역
- 어느 말레이시아 청년이 학생운동에 뛰어들게 된 이유
- 일본의 보육 환경… 어린이집은 부족하고, 노동조건은 열악하다
- 몽골의 석탄 스캔들은 껍데기뿐인 민주화의 민낯을 보여준다
- 아시아의 환경 재해와 산업재해를 위한 대응 사례로부터 배우자
- 일본 사회운동 논쟁 |③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실패가 남긴 과제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platformc.stibee.com/subscribe/
❤9👍2🔥2
<초토화작전>은 폭발적인 다큐멘터리입니다.
이미영 감독은 보안 해제된 미군의 문서와 아카이브 영상들, 폭격에 가담한 이들과 민간인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반으로, 3년간의 한국전쟁 동안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낳은 미 공군의 무차별 폭격의 실체를 샅샅이 조명합니다.
러닝타임 82분인 이 영화를 함께 보고 짧게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시네토크 동동'은 플랫폼c의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편집위원회가 주최하는 동아시아 현대사를 주제로 한 비정기 상영회입니다.
⌚️일시 : 2023년 2월 14일(화) 오후7시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동)
📞문의 : 공일공-팔칠일칠-이오육일 또는 플랫폼C 채널 Q&A
💰참가 신청 : https://bit.ly/scorched-earth-screening
이미영 감독은 보안 해제된 미군의 문서와 아카이브 영상들, 폭격에 가담한 이들과 민간인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반으로, 3년간의 한국전쟁 동안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낳은 미 공군의 무차별 폭격의 실체를 샅샅이 조명합니다.
러닝타임 82분인 이 영화를 함께 보고 짧게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시네토크 동동'은 플랫폼c의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편집위원회가 주최하는 동아시아 현대사를 주제로 한 비정기 상영회입니다.
⌚️일시 : 2023년 2월 14일(화) 오후7시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동)
📞문의 : 공일공-팔칠일칠-이오육일 또는 플랫폼C 채널 Q&A
💰참가 신청 : https://bit.ly/scorched-earth-screening
👍6❤3🔥2
2021년 중국 대륙에서 ‘탕핑’이라는 말이 일종의 행동주의적 지침으로 유행하자, 당국은 서둘러 이 말을 검색 금지어로 등록했다. 하지만 그것은 이미 가난하고 일자리를 찾지 못한 채 파트타임 일자리를 전전하는 인민들 사이에 널리 퍼진 후였다. <탕핑주의자 선언>은 이런 물결 속에서 작성됐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the-tangpingnist-manifesto/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the-tangpingnist-manifesto/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중국 「탕핑주의자 선언 躺平主义者宣言」 번역
2021년 중국 대륙에서 ‘탕핑’이라는 말이 일종의 행동주의적 지침으로 유행하자, 당국은 서둘러 이 말을 검색 금지어로 등록했다. 하지만 그것은 이미 가난하고 일자리를 찾지 못한 채 파트타임 일자리를 전전하는 인민들 사이에 널리 퍼진 후였다. <탕핑주의자 선언>은 이런 물결 속에서 작성됐다. 2021년 6월 1일 중국 대륙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이내 목각으로 제작되어 불법 출간되었다. 1년이 지난 2022년 6월 1일 수정된 버전이 ‘제2판’으로 발표됐다.…
👍8👏2
몽골의 고위 관료나 부자들은 천연자원이 풍부한 몽골의 광물탐사권을 외국인기업에 넘겨줌으로써 개인 이익을 챙기는 정치인과 관료인들에 대한 분노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이번 석탄 스캔들과 대규모 시위는 이토록 누적된 모순과 분노가 폭발한 결과이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3/01/2022-mongolian-protest/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3/01/2022-mongolian-protest/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몽골의 석탄 스캔들은 껍데기뿐인 민주화의 민낯을 보여준다
몽골 청년, ”만일 시민들이 일어나면 잔치는 끝날 것“이라고 외치다.
👍7🔥3
지난 12월 7~8일, 아시아 직업환경 피해자권리 네트워크(ANROEV)의 주최로 환경·보건·안전을 주제로 한 컨퍼런스가 열렸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AMRC(아시아 다국적기업 모니터링센터)를 비롯해, 한국·필리핀·홍콩·인도네시아·네팔·인도·스리랑카 등 아시아 국가들의 활동가 및 연구자들이 함께 했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ANROEV-conference-2022/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ANROEV-conference-2022/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아시아의 환경 재해와 산업재해를 위한 대응 사례로부터 배우자
아시아 직업환경 피해자권리 네트워크의 주최로 환경·보건·안전을 주제로 한 컨퍼런스가 열렸다.
👍5👏2
제국주의, 산업화, 혁명을 겪으며 요동친 서구 19세기에 여성들은, ‘당사자’로서 시대의 한계에 갇혀 모순을 드러내기도 했고, 그것을 돌파하며 역사의 주체로 상황에 대응하고 변화를 주도했습니다. 파리코뮌을 이끈 혁명가, 미국 첫세대 공장 노동자, 프랑스 공동생산조합에 헌신한 사회주의자, 독일 여성운동의 선구자, 처음으로 여성참정권을 주장한 여성들의 스토리를 함께 읽고 토론합니다.
🕰 일시 : 2월 16일(목) 오후 7:30
🏠 장소 : 플랫폼C 사무실 + 줌온라인
📞 문의 : 010.7930.0560
🧤 참가신청 : https://bit.ly/herstory-book
🕰 일시 : 2월 16일(목) 오후 7:30
🏠 장소 : 플랫폼C 사무실 + 줌온라인
📞 문의 : 010.7930.0560
🧤 참가신청 : https://bit.ly/herstory-book
👍4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초토화작전>은 폭발적인 다큐멘터리입니다.
이미영 감독은 보안 해제된 미군의 문서와 아카이브 영상들, 폭격에 가담한 이들과 민간인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반으로, 3년간의 한국전쟁 동안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낳은 미 공군의 무차별 폭격의 실체를 샅샅이 조명합니다.
러닝타임 82분인 이 영화를 함께 보고 짧게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일시 : 2023년 2월 14일(화) 오후7시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동)
📞문의 : 공일공-팔칠일칠-이오육일 또는 플랫폼C 채널 Q&A
💰참가 신청 : https://bit.ly/scorched-earth-screening
이미영 감독은 보안 해제된 미군의 문서와 아카이브 영상들, 폭격에 가담한 이들과 민간인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반으로, 3년간의 한국전쟁 동안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낳은 미 공군의 무차별 폭격의 실체를 샅샅이 조명합니다.
러닝타임 82분인 이 영화를 함께 보고 짧게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일시 : 2023년 2월 14일(화) 오후7시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2층 (망원동)
📞문의 : 공일공-팔칠일칠-이오육일 또는 플랫폼C 채널 Q&A
💰참가 신청 : https://bit.ly/scorched-earth-screening
👏4👍2🔥2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접근은 어떻게 달라야 할까. 세월호 조사 실패 사례를 연구해 <세월호, 우리가 묻지 못한 것>이란 책을 썼던 사회학자 박상은씨(39)는 “개인 처벌을 위한 사법적 관점이 다른 문제의식들을 압도했던 세월호 조사 사례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야 한다”며 참사를 낳은 ‘구조적 원인’ 규명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현대사회의 재난은 몇몇 악당의 결정적 잘못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러 행위자의 결정적이지 않은 잘못과 실수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들을 그렇게 행동하게 만든 ‘구조’를 들여다보자”는 것이다.
사회운동 단체인 ‘플랫폼C’의 활동가이기도 한 박씨는 과거 세월호 참사 특조위에서 조사관으로 일했고 선조위와 사참위에서는 종합보고서 집필에 참여했다. 지금은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에서도 활동 중이다. 그를 지난 2월 1일 서울 망원동의 플랫폼C 사무실에서 만났다.
📑인터뷰 읽기: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02060830011
🛒도서 보기: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K172838709
사회운동 단체인 ‘플랫폼C’의 활동가이기도 한 박씨는 과거 세월호 참사 특조위에서 조사관으로 일했고 선조위와 사참위에서는 종합보고서 집필에 참여했다. 지금은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에서도 활동 중이다. 그를 지난 2월 1일 서울 망원동의 플랫폼C 사무실에서 만났다.
📑인터뷰 읽기: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02060830011
🛒도서 보기: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K172838709
경향신문
“처벌보다 ‘구조적 원인’에 집중하자, 그게 세월호 실패의 교훈”
파출소가 신고를 받고도 소극적 대응을 한 이유가 있을 겁니다. 조직문화 혹은 지휘부의 어떤 ...
👍4🔥2👏2
#일본사회운동논쟁
앞서 본 연재는 일본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일본의 자본주의를 어떻게 인식하여 변혁하고자 했는지, 전후 일본공산당의 패착이 마르크스주의 운동 및 전체 사회운동에 어떠한 굴곡을 초래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일본에 마르크스주의가 처음으로 도입된 시기부터 1960년 안보투쟁 이후의 정세에 이르기까지, 정치적 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온 일본 마르크스주의가 사상사적으로 어떠한 전개 과정을 거쳤는지 돌아보고자 한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3/01/japanese-marxism-history/
💻채널: https://t.me/platformc
앞서 본 연재는 일본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일본의 자본주의를 어떻게 인식하여 변혁하고자 했는지, 전후 일본공산당의 패착이 마르크스주의 운동 및 전체 사회운동에 어떠한 굴곡을 초래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일본에 마르크스주의가 처음으로 도입된 시기부터 1960년 안보투쟁 이후의 정세에 이르기까지, 정치적 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온 일본 마르크스주의가 사상사적으로 어떠한 전개 과정을 거쳤는지 돌아보고자 한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3/01/japanese-marxism-history/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③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실패가 남긴 과제
고야마 히로타케 저, 한상구·조경란 역, 『일본 마르크스주의사 개설』 서평
🔥4👍2
지난해 10월 윤석열 대통령은 국방부를 아예 ‘방위산업부’로 바꾸고, “우크라이나 전쟁과 그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 중동 국가들의 원전 건설 추진 등을 기회로 삼아, 원전과 방산 패키지 수출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며 노골적인 방위산업의 진흥을 주장했다. 💸🔫🔥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korean-arms-industry/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3/02/korean-arms-industry/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K-방위산업'은 이윤을 위한 피묻은 도박이다
한국은 2017년~2021년 무기수출에서 세계 8위를 기록했으며, 점유율은 1.0%에서 2.8%로 빠른 속도로 확대됐다. 자랑스러워 하면 되는 일인가? 누구를 위한 방위산업인가?
👍5👏2
안녕하세요. 플랫폼c입니다. 지난 1년 간의 플랫폼c 활동을 돌아보고, 향후 활동을 기획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합니다. 플랫폼c 회원들과 플랫폼c 활동에 참여해주신 비회원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설문조사 참여
https://bit.ly/evaluate-2022
👇설문조사 참여
https://bit.ly/evaluate-2022
👍8❤3💯3
오늘 저녁 플랫폼c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편집위원회 주최로 <초토화 작전> 상영회와 씨네토크를 진행했습니다. 열아홉분 정도가 오셔서 생각보다 성황리에 진행했고요. 이 다큐멘터리와 한국전쟁 시기 미 공군의 폭격, 전간기 이후 전쟁에서의 민간인 피해 등 여러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씨네토크동동’은 앞으로 비정기적으로 동아시아 현대사와 동아시아 사회운동에 대한 다큐를 상영할 예정입니다.
👍6👏2🎉1
점거를 주제로 한 연극을 함께 보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말을 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 일시
2023년 3월 5일 일요일 15시
* 모이는 장소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 참가비(별도 문의)
티켓값 + 뒤풀이 비용
* 신청
공일공-이공삼육-칠칠칠공
혹은 https://bit.ly/extra-chronicle
* 주최
플랫폼C 문화소모임 [오프라인]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말을 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 일시
2023년 3월 5일 일요일 15시
* 모이는 장소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 참가비(별도 문의)
티켓값 + 뒤풀이 비용
* 신청
공일공-이공삼육-칠칠칠공
혹은 https://bit.ly/extra-chronicle
* 주최
플랫폼C 문화소모임 [오프라인]
👍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