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c
1.3K subscribers
1.82K photos
32 videos
13 files
1.38K links
Download Telegram
이 글은 홍콩의 좌파 활동가·연구자 그룹 라우산(Lausan)이 지난 8월 28일 게재한 마이클 렁(梁志剛, Michael Leung) 소설 <세 마을: 왕차우 이야기(Three Villages: A Wang Chau Story)>에 대한 비평이다. 해당 소설은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았지만, 이 비평만으로도 2019년 홍콩 범죄인 송환조례 반대운동 이후 홍콩 사회운동에 대한 고민들을 엿볼 수 있어 소개한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10/autonomy-conviviality-Indigeneity/
🎤채널: https://t.me/platformc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2
😐 혼란의 시대, 전태일 흉상의 얼굴은 우리에게 어떤 질문을 던지는 걸까요? 우리는 그 질문에 사회운동답게 응답해야 합니다. 체제에 맞서고 도전하는 투쟁의 자리에서 잊혀지고 단절됐던 이야기들을 연결해야 합니다.

👀 돌이켜보면 전태일 정신은 결국 ‘평등을 향한 정신’이었습니다. 차별에 맞선 투쟁, 반빈곤과 반전평화, 기후위기에 맞선 정의로운 전환 등 새로운 세계를 여는 실천들이 곳곳에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신자유주의 보수양당이 주도하는 정치 속에 지워진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연결해야 합니다. 그것은 가장 정세적이고 동시대적인 실천을 통해서만 새롭게 갱신되고 규명될 수 있습니다.

✈️ 전국노동자대회가 열리는 11월 9일(토) 당일 오후 1시30분, 독립문 앞에서 전태일 정신의 의미를 되묻고, '체제전환'의 이름으로 전국노동자대회에 참가합시다. 전태일 정신 ‘평등’을 향해, 가자! 체제전환!

👌 일시: 11월 9일(토) 오후1시30분
🔥 장소: 독립문 앞 (독립문역 4번출구)

🍄 <가자, 체제전환!> 집회에 함께 하자는 메시지를 인증샷으로 남기고, 각자의 SNS 계정에 #체제전환 해시태그와 함께 업로드해 주세요!
🔜 인증샷 다운로드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11월 9일,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전국노동자대회가 열리기 전인 오후 1시30분, 독립문 앞에서 열리는 '가자, 체제전환!' 집회에 함께 하자. 이곳에서 전태일 정신의 동시대적 의미를 되묻고, 노동자대회 장소로 함께 행진하자. 노조 바깥의 목소리들을 조직된 노동자들의 투쟁과 연결하자.

⚡️읽기: https://platformc.kr/2024/11/go-system-change-movement/
🎤채널: https://t.me/platformc
👍32🙏2
👀 돌이켜보면 전태일 정신은 결국 ‘평등을 향한 정신’이었습니다. 차별에 맞선 투쟁, 반빈곤과 반전평화, 기후위기에 맞선 정의로운 전환 등 새로운 세계를 여는 실천들이 곳곳에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신자유주의 보수양당이 주도하는 정치 속에 지워진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연결해야 합니다. 그것은 가장 정세적이고 동시대적인 실천을 통해서만 새롭게 갱신되고 규명될 수 있습니다.

✈️ 전국노동자대회가 열리는 11월 9일(토) 당일 오후 1시30분, 독립문 앞에서 전태일 정신의 의미를 되묻고, '체제전환'의 이름으로 전국노동자대회에 참가합시다.

👌 일시: 11월 9일(토) 오후1시30분
🔥 장소: 독립문 앞 (독립문역 4번출구)

🍄 <가자, 체제전환!> 집회에 함께 하자는 메시지를 인증샷으로 남기고, 각자의 SNS 계정에 #체제전환 해시태그와 함께 업로드해 주세요!
🔜 인증샷 다운로드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3
Collective Survival in post-2019 Hong Kong
2019년 이후 홍콩의 집단적 생존


What happens in the times after the Revolution of Our Times? In this sharing, Daikon takes a more personal approach to touch upon the labour, environmental, and land movements that continue even after the draconian National Security Law. Let us discuss ways people have come together to grieve, process, and organize in even in these Bad Times.

우리 시대의 혁명 이후 무슨 일이 있었는가. 이 공유회에서 다이콘(가명)은 국가보안법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는 노동, 환경, 토지 운동에 대해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 어려운 시대에 어떻게 사람들이 함께 기억하고, 기획하고, 조직할 수 있을지 함께 나눠봅시다.
※ 본 공유회의 참가는 신원이 확인된 분들만 참가할 수 있습니다.

🎰 시간: 2024년 11월 15일(금) 오후7시
🌏 장소: 참가자 별도 공지
📲 문의: platformc@proton.me
✍️ 참가: https://bit.ly/sharing-post2019-hongkong
👍92👏2
#플랫폼c #월례포럼
디지털 성폭력, 구조적 문제로 접근하기

💬 연사 : 이효린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사무국장)
🎰 일시: 2024년 11월 30일(토) 오후 5시
🌏 장소: 서울시 마포구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문의: 공일공-칠구삼공-공오육공 / platformc@proton.me
✍️ 참가: https://bit.ly/online-sexual-harassment-south-korea
👍9👌2
민주노조운동에서의 이주노동자 차별과 배제에 관한 토론회

민주노조 운동에서의 이주노동자 차별과 배제 문제를 짚고, 앞으로 가야할 길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일시 : 11월 16일(토) 오후 2시
🚀장소 : 민주노총 12층 중회의실

[발제] 운동사회 내부의 이주노동자 배제와 차별, 그리고 대안(전망)
- 김희정 (금속노조 성서공단지회)

[토론] 민주노조의 이주노동자 조직 경험과 과제
- 박정직 (민주일반연맹 민주일반노조)
- 이김춘택 (금속노조 거통고조선하청지회)
- 김호세아 (공공운수노조)
- 우다야 라이 (이주노동자노동조합)
- 배진경 (한국여성노동자회)
- 이미숙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집단학살 규탄 한국 시민사회 28차 긴급행동
<이스라엘은 가자 북부 초토화 즉각 중단하라!>

이스라엘의 가자지역 초토화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전부터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집단학살에 대한 '자위권' 인정을 분명히 밝혔으며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과 레바논으로 공세를 더 강화할 것임을 발표했습니다. 저들은 무슬림 혐오 등 인종차별을 더욱 부추겨 팔레스타인을 세상에서 지우는 것을 정당화하려 합니다. 그럴수록 우리는 팔레스타인의 목소리를 더 크게 전합시다. 함께 모여 우리가 곧 팔레스타인임을 외칩시다!

🕰일시: 11월 16일 (토) 오후 2시
🕌장소: 청계천 SK서린빌딩 남측
🐾1시간 집회 후 행진

🎯다음 집회는 11/30 오후 2시입니다!
👍5
지난 9월 플랫폼C 책읽기모임에서는 로리 파슨스의 『재앙의 지리학』을 함께 읽고 토론했다. 이 책은 친환경물건들을 구매하는 것 등의 개인적 실천을 넘어 좀 더 효과적인 기후정의 운동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는 책이다.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탄소배출 책임에 대한 숨겨진 진실을 드러내고 ‘녹색성장’의 허상을 잘 폭로하는 이 책을 읽고, 탄소식민주의에 맞선 실천에 함께할 수 있길 바란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11/carbon-colonialism-review/
🚀채널: https://t.me/platformc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2👌2
지금 필요한 것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이 즉각 휴전을 이루는 동시에 러시아가 철수하도록 압박하고, 평범한 사람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현 상황을 해결하도록 돕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11/north-korea-troops-to-russia/
🚀채널: https://t.me/platformc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4👏2
🗞 #플랫폼c #사회운동뉴스레터 69호가 발송됐습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2
플랫폼c pinned a photo
👻플랫폼C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공동상영회
〈조선인 여공의 노래〉 상영회 및 감독과의 대화

“자 우리 여공들이여, 우린 또 하루를 살아가네”
일제강점기,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오사카의 방적 공장에서 일했던 조선의 소녀들, 먹을 것이 없으면 돼지 내장이라도 구워 먹고 글을 몰라 억울하면 직접 야학을 열어 한글을 익힌다!
‘조선인 여공의 노래’를 부르며 삶을 지켜온 여공들, 우리가 몰랐던 강인한 여성들의 삶과 노래.

🔜일시 : 2024년 12월 13일(금) 오후 7시
🔥장소 : 플랫폼C (서울 마포구 동교로 41, 2층)
🙃초청 : 이원식 (영화 감독)
😉대담 : 김경훈 (플랫폼C 회원)
🍄주최 :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플랫폼C
✈️후원 : 한국연구재단

😀사전 신청 https://bit.ly/song-of-female-worker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2
12월 페미니즘 공부모임에서는 모이라 와이글의 『사랑은 노동』을 읽습니다. 이 책은 사적이고 주변적이라고 여겨지는 낭만적 의례로서 데이트에 얽힌 경제적, 사회적 이해관계를 탐구합니다. 와이글은 열 개의 키워드를 통해 데이트가 산업혁명의 발명품이며, 자본주의와 공진화했다는 사실을 설명합니다. 또한 현대 사회가 강요하는 유일한 사랑의 모습, 일부일처제, 이성애, 결혼 및 출산 지향적 사랑을 비판하고 '사랑하기의 노동'으로 바꿀 수 있는 미래를 제시합니다. 현대 데이트 문화를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의 관점에서 다루는 『사랑은 노동』을 함께 읽고 토론합시다!

🎰 시간 : 12월 18일 수요일 오후 7시
🌏 장소 : 서울 마포구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문의 : 010-이오공공-4614
✍️ 참가: https://bit.ly/platformc-labor-of-love
👍64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집단학살 규탄 한국 시민사회 29차 긴급행동
<그들이 가자를 지울수록 우리는 가자가 된다>

🕰일시: 2024년 11월 30일 (토) 오후 2시
🕌장소: 청계천 SK서린빌딩 뒤 (종로26, 청계천변)
🐾1시간 집회 후 행진

☕️ 1시간 집회 후 행진 / 행진 후 함께 팔레스타인 차를 마시고
팔레스타인 전통 춤 답케를 배울 수 있습니다.
🔥6
Forwarded from 플랫폼c
#플랫폼c #월례포럼
디지털 성폭력, 구조적 문제로 접근하기

💬 연사 : 이효린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사무국장)
🎰 일시: 2024년 11월 30일(토) 오후 5시
🌏 장소: 서울시 마포구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문의: 공일공-칠구삼공-공오육공 / platformc@proton.me
✍️ 참가: https://bit.ly/online-sexual-harassment-south-korea
👍5🙏2
플랫폼c pinned a ph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