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운동에 대한 깊은 이해에 있어서, 우리는 두 종류의 서사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지식인중심론’과 고별하고 노동자·시민의 참여를 중시해 살펴보면, ‘민주’를 승인하는 것이 확실히 노동자와 시민 참여운동의 핵심 요구였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중요했던 것은 노동자와 시민 전반이 이해했던 ‘민주’와 학생 및 지식인들이 받아들였던 민주에 대한 관념은 매우 달랐다는 사실이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two-movement-in-tiananmen-1/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two-movement-in-tiananmen-1/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천안문항쟁 ① | 1989년 봄‧여름의 항쟁은 ‘두 개의 운동’이었다
1989년 천안문광장에서 벌어진 6·4운동에 관한 비주류적 서술 ①
👍4
지난 3월 27일 동성결혼 합법화 법안이 하원을 통과한데 이어, 6월 18일 태국 상원에서 동성결혼법이 찬성 130표, 반대 3표의 압도적 표 차로 통과되었다. 이 법안은 내각과 국왕 승인 후 120일 후인 10월경 발효될 예정이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challenge-of-sexual-minority-movement/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challenge-of-sexual-minority-movement/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태국 | 동성결혼 합법화 이후 성소수자 운동에게 남은 과제
동성결혼 합법화는 성소수자 운동의 명확한 성과다. 그러나 동시에 핑크워싱, 즉 태국 의료산업과 국가의 이윤 증식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6👏3❤2
🤓 체제전환운동 조직위원회 Q&A
'체제전환운동 조직위원회', 어디로 어떻게 가야 함께 할 수 있죠...?
1차 전체회의를 앞두고 조직위원회가 아직 조금 더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목적지까지 경로를 안내합니다! 🚇
👀 체제전환운동 조직위원회가 뭔가요?
🧐 연초에 이미 만들었던 것 아닌가요? '체제전환운동 정치대회 조직위원회'와는 무엇이 다른가요?
😻 뭘 할 예정인가요?
🧤단체만 가입할 수 있나요?
🚩언제 본격적으로 시작되나요?
Q&A 자세히 보기
https://www.gosystemchange.kr/post/start-qna
'체제전환운동 조직위원회', 어디로 어떻게 가야 함께 할 수 있죠...?
1차 전체회의를 앞두고 조직위원회가 아직 조금 더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목적지까지 경로를 안내합니다! 🚇
👀 체제전환운동 조직위원회가 뭔가요?
🧐 연초에 이미 만들었던 것 아닌가요? '체제전환운동 정치대회 조직위원회'와는 무엇이 다른가요?
😻 뭘 할 예정인가요?
🧤단체만 가입할 수 있나요?
🚩언제 본격적으로 시작되나요?
Q&A 자세히 보기
https://www.gosystemchange.kr/post/start-qna
👍3
<21세기 전쟁>
세계 도처에서 수백만의 사람들이 희생당하고 떠돌아다녀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우크라이나, 팔레스타인, 타이완, 그리고 한반도 역시 예외가 되진 않는다. 우리는 미국 편에 설 것인가, 중국 편에 설 것인가,
아니면 전략적 모호성으로 대처할 것인가... 그러나 전술적인 선택이 다는 아니다. 이 긴급한 정세에서 일말의 주저함도 없는 실천이란 무엇일지를 캐묻고자 한다. 외연적으로는 글로벌 사우스에서 강조하는 대안적 체제를 짚어보고 내포적으로는 정동적 연대를 창출할 문화적 논리들에 대해 토론해보자.
사회 | 박자영_ 협성대
패널
• 김성윤 _ 동아대, “오늘날의 ‘파국’을 읽는 방법” 글쓴이
• 홍명교 _ 플랫폼C, “이것이 모든 것을 파괴한다 : 동아시아 전쟁 위기 고조를 극복하기 위한 평화체제 구축의 실천 과제” 글쓴이
• 권창규 _ 조선대, “팬데믹 이후 전쟁의 더딘 기록, 평화와 기후의 정의에 대해” 글쓴이
• 심소미 _ 독립큐레이터, “전쟁에 대응하는 동시대 시각예술의 증언” 글쓴이
토론
• 차태서 _ 성균관대, 『30년의 위기 : 탈단극 시대 미국과 세계질서』 저자
참가 신청
세계 도처에서 수백만의 사람들이 희생당하고 떠돌아다녀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우크라이나, 팔레스타인, 타이완, 그리고 한반도 역시 예외가 되진 않는다. 우리는 미국 편에 설 것인가, 중국 편에 설 것인가,
아니면 전략적 모호성으로 대처할 것인가... 그러나 전술적인 선택이 다는 아니다. 이 긴급한 정세에서 일말의 주저함도 없는 실천이란 무엇일지를 캐묻고자 한다. 외연적으로는 글로벌 사우스에서 강조하는 대안적 체제를 짚어보고 내포적으로는 정동적 연대를 창출할 문화적 논리들에 대해 토론해보자.
사회 | 박자영_ 협성대
패널
• 김성윤 _ 동아대, “오늘날의 ‘파국’을 읽는 방법” 글쓴이
• 홍명교 _ 플랫폼C, “이것이 모든 것을 파괴한다 : 동아시아 전쟁 위기 고조를 극복하기 위한 평화체제 구축의 실천 과제” 글쓴이
• 권창규 _ 조선대, “팬데믹 이후 전쟁의 더딘 기록, 평화와 기후의 정의에 대해” 글쓴이
• 심소미 _ 독립큐레이터, “전쟁에 대응하는 동시대 시각예술의 증언” 글쓴이
토론
• 차태서 _ 성균관대, 『30년의 위기 : 탈단극 시대 미국과 세계질서』 저자
참가 신청
👍7👌2❤1👎1
존재가 저항이다 티셔츠 마지막 주문
이번을 마지막으로 티셔츠 판매는 마무리합니다. 서울 주소지로도 배송해 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신청폼을 확인해 주세요.
https://form.naver.com/response/px9i6trPxB_NlieN8LGNLg
다음 20차 집회는 7/27(토) 오후 5시, 이스라엘 대사관 인근 SK서린빌딩 청계천변에서 열립니다. 달력에 저장해 주세요.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
이번을 마지막으로 티셔츠 판매는 마무리합니다. 서울 주소지로도 배송해 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신청폼을 확인해 주세요.
https://form.naver.com/response/px9i6trPxB_NlieN8LGNLg
다음 20차 집회는 7/27(토) 오후 5시, 이스라엘 대사관 인근 SK서린빌딩 청계천변에서 열립니다. 달력에 저장해 주세요.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
👍6🔥2
2018년경 시작된 간사이레미콘 탄압 사건은 오사카와 교토를 비롯해 간사이 지역에서 활동해온 전일본건설운수연대노조(이하 연대노조) 간사이레미콘지부를 파괴하기 위한 대규모 공안 사건이었다. 노동조합의 활동을 ‘위력을 동원한 업무 방해’, ‘강요’, ‘공갈’ 등으로 몰아가며 조합원의 탈퇴를 유도하던 노조탄압은 작년 한국에서 정부가 주도해 진행된 건설노조 파괴와 무척이나 유사한 모습이었다. 정당한 노조 활동을 ‘건폭’으로 몰아가며 노동자에게 극심한 압박감과 모멸감을 강요하고 심지어 죽음으로까지 내몰았던 한국 공권력의 행태와 겹쳐 보였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kansai-remicon-documentary/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kansai-remicon-documentary/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노조 탄압에 맞선 한·일 건설노동자들의 투쟁은 바로 「여기서부터」
개별화를 강요하는 공권력의 폭력, 공동체 상영회에서 함께 대안을 고민하다.
👍4❤3👏2
지난 6월 4일 사바주 당국이 “보안 강화와 국경 범죄 퇴치”를 명목으로 셈포르나 해양공원 내 바자우족 가옥들을 무자비하게 철거했다. 이 지역 7개 섬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강제철거로 인해 200여 채 이상의 집들과 138개의 구조물이 파괴됐고, 500여 명이 평생 살던 집을 잃어버렸다. 또, 해안가에 재배하던 농작물도 마구 짓밟혔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sama-bajau-people/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sama-bajau-people/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바다 집시 ‘바자우족’에게는 쫓겨나지 않을 권리가 있다
지난 6월 4일 사바주 당국이 “보안 강화와 국경 범죄 퇴치”를 명목으로 셈포르나 해양공원 내 바자우족 가옥들을 무자비하게 철거했다. 그러나 이들의 운동은 무너지지 않았다.
👍5😢4🙏2
지난 6월 24일(월)부터 26일(수)까지 3일간 진행된 2024 반빈곤연대활동(이하 빈활)에는 50여 명의 청년, 학생, 시민이 참가했다. '이윤에 떠밀리는 도시를 구출하라!'는 구호와 함께 철거민, 노점상, 동자동 주민들과 빈활단이 함께한 활동들과 플랫폼C 청년 회원들의 후기를 전한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review-of-anti-poverty-2024/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review-of-anti-poverty-2024/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이윤에 떠밀리는 도시를 구출하라! 2024 반빈곤연대활동 참가기
2024 반빈곤연대활동에서 함께한 활동들과 플랫폼C 청년·학생 회원들의 후기를 전한다.
👍7👏5❤3🥰2👌2
건국대학교 측은 우유와 햄을 팔아 남긴 수익을 건국대 학생들의 장학금에 사용한다고 선전하고 있다. 하지만 이 돈이 노동자들을 부당하게 착취해 벌어들인 돈이라면 어떨까? 그 이윤의 수혜자인 학생들이 흔쾌히 학업에 임할 수 있을까?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truth-of-konkuk-milk/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truth-of-konkuk-milk/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노동자 착취해 만든 건국우유 비즈니스의 비밀
"건국우유의 수익금의 전액은 건국대학교 장학금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우리는 건국대학교 학생으로서 노동자를 착취해 만들어지는, 이런 부정의한 성분표로 가득찬 우유를 팔아서 나온 장학금을 거부한다!"
❤🔥7🔥3❤2👍2
<이스라엘의 가자공격 규탄 한국시민사회 20차 긴급행동>
🇵🇸외쳐, 집단학살, 중단!🇵🇸
이스라엘은 300일에 가까운 시간동안 7만톤 이상의 폭탄을 팔레스타인에 쏟아부었습니다. 빌딩의 절반이상이 파괴되고, 물과 전기를 차단해 수많은 가자주민들이 기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연대운동은 계속되고 있고 이스라엘 국내에서도 학살반대의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어 이스라엘 당국은 진퇴양란에 빠져있습니다. 힘을 내어 함께 외칩시다. 집단학살, 중단!!!
☀️하절기를 맞아 집회 시작 시간이 변경되었습니다!
⏰일시: 7월 27일 (토) 오후 5시
🕌장소: 서울시 종로 26 SK서린빌딩 뒤쪽, 청계천변 (주한 이스라엘대사관 인근)
🐕1시간 집회 후 광화문-미대사관-이스라엘 대사관 방면 행진
🇵🇸외쳐, 집단학살, 중단!🇵🇸
이스라엘은 300일에 가까운 시간동안 7만톤 이상의 폭탄을 팔레스타인에 쏟아부었습니다. 빌딩의 절반이상이 파괴되고, 물과 전기를 차단해 수많은 가자주민들이 기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연대운동은 계속되고 있고 이스라엘 국내에서도 학살반대의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어 이스라엘 당국은 진퇴양란에 빠져있습니다. 힘을 내어 함께 외칩시다. 집단학살, 중단!!!
☀️하절기를 맞아 집회 시작 시간이 변경되었습니다!
⏰일시: 7월 27일 (토) 오후 5시
🕌장소: 서울시 종로 26 SK서린빌딩 뒤쪽, 청계천변 (주한 이스라엘대사관 인근)
🐕1시간 집회 후 광화문-미대사관-이스라엘 대사관 방면 행진
👏5❤3
서울에서 파리까지, 어디에도 올림픽은 필요없다
de Séoul à Paris, NO JOP ni ici ni ailleurs
포용, 개방, 친환경을 표방하는 2024 파리하계올림픽은 7월 26일에 시작됩니다. 그러나 지난 모든 올림픽 개최지와 마찬가지로 파리에서는 올림픽으로 인한 배제와 차별, 억압과 파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평창올림픽반대연대는 파리올림픽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올림픽반대활동 연대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이야기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올림픽 문제를 알리기 위해 ‘Saccage 2024’와 ‘à la criée에서 제작한 '2024 파리 올림픽·패럴림픽 약탈의 지도’ 한국어판을 중심으로 파리올림픽의 문제를 알아보고, 올림픽을 멈추기 위한 여러 지역의 활동을 살펴봅니다.
▶️︎ 일시 : 2024년 7월 25일 목요일, 저녁 7시
▶️︎ 장소 : 플랫폼C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2층)
* 주최. 평창올림픽반대연대
* 문의. noolympic2018@gmail.com
de Séoul à Paris, NO JOP ni ici ni ailleurs
포용, 개방, 친환경을 표방하는 2024 파리하계올림픽은 7월 26일에 시작됩니다. 그러나 지난 모든 올림픽 개최지와 마찬가지로 파리에서는 올림픽으로 인한 배제와 차별, 억압과 파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평창올림픽반대연대는 파리올림픽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올림픽반대활동 연대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이야기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올림픽 문제를 알리기 위해 ‘Saccage 2024’와 ‘à la criée에서 제작한 '2024 파리 올림픽·패럴림픽 약탈의 지도’ 한국어판을 중심으로 파리올림픽의 문제를 알아보고, 올림픽을 멈추기 위한 여러 지역의 활동을 살펴봅니다.
▶️︎ 일시 : 2024년 7월 25일 목요일, 저녁 7시
▶️︎ 장소 : 플랫폼C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2층)
* 주최. 평창올림픽반대연대
* 문의. noolympic2018@gmail.com
👍10
『페미니스트, 퀴어, 불구』는 장애학과 여성학, 퀴어 이론을 함께 연구하는 미국의 연구자 앨리슨 케이퍼의 책이다. 제목에서 보이는 것처럼 차별과 억압에 맞서는 ‘연합 정치’를 제안하는데, 그러기 위해 우리가 그리는 이상적인 세상에 장애가 포함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feminist-queer-crip/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feminist-queer-crip/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페미니스트, 퀴어, 불구, 그리고 좌파
나의 권리를 찾는 데 그치지 않고, 전혀 다르지만 연결되어 있는 우리의 해방을 함께 도모하기. 같은 정체성으로 묶여 있는 우리 가운데서도 ‘더 소외되는 사람’은 누구인지 무엇 때문에 소외받는지, 자칫 운동 방식이 그 사람의 언어를 힘없게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하기.
❤9👍2🔥2👏2
Forwarded from 플랫폼c
<국민연금 가치선언> 플랫폼C 7월 책읽기 모임
매달 연금을 받는 노인이 더 많아지고 있는 지금, 국민연금은 실제로 미래 세대에게 엄청난 빚인가? ‘연기금 고갈’이라는 공포가 일상을 뒤덮고 있는 지금, 불안을 넘어 연대와 공존으로 함께갈 연금개혁 방안은 무엇일까? 모든 세대가 다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세상을 위해서 연금개혁 패러다임 전환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지금, <국민연금 가치선언>을 함께 읽으며 토론합시다!
🎰 시간 : 7월 24일 수요일 오후 7시
🌏 장소 : 서울 마포구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문의 : 010-칠육이육-1210
✍️ 참가: https://bit.ly/national_pension
매달 연금을 받는 노인이 더 많아지고 있는 지금, 국민연금은 실제로 미래 세대에게 엄청난 빚인가? ‘연기금 고갈’이라는 공포가 일상을 뒤덮고 있는 지금, 불안을 넘어 연대와 공존으로 함께갈 연금개혁 방안은 무엇일까? 모든 세대가 다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세상을 위해서 연금개혁 패러다임 전환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지금, <국민연금 가치선언>을 함께 읽으며 토론합시다!
🎰 시간 : 7월 24일 수요일 오후 7시
🌏 장소 : 서울 마포구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문의 : 010-칠육이육-1210
✍️ 참가: https://bit.ly/national_pension
👍4👏2
2024 올림픽 반대 도서관 NOlympics Library 이용 안내
1988년 하계올림픽 개최지이자 2036년 하게올림픽 유치가 추진되고 있는 서울 지역에서 올림픽 문제에 대한 자료, 저항의 목소리를 담은 도서와 인쇄물을 공유하기 위해 파리 올림픽 개최 기간 동안 ‘올림픽 반대 도서관’이 한시적으로 운영됩니다.
▶️︎ 운영 기간 : 7월 26일 ~ 8월 11일 / 8월 28일 ~ 9월 8일
▶️︎ 이용 시간 : 화요일 ~ 금요일 11~18시 / 토, 일, 월요일 휴관
▶️︎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망원동 338-73) 2층
[분류별 이용 안내]
- 배포용 : 비치되어 있는 배포용 자료는 누구나 무료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 판매용 : 무인판매함에 해당 가격 만큼의 현금을 넣고 구입할 수 있습니다. 견본 도서는 도서관 내에서 자유롭게 볼 수 있습니다.
- 열람용 : 도서관 내에서 자유롭게 볼 수 있습니다. '올림픽 반대 도서관 열람용 도서•인쇄물 목록'에서 보고 싶은 자료를 찾은 다음, 분류색과 번호를 참고하여 해당 자료를 찾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올림픽 반대 도서관 열람용 도서•인쇄물 해설서'에서 각 자료의 상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난 자료는 다음 이용자를 위해 서가에 다시 올려놓아 주세요.
[장소 안내]
- 도서관이 위치한 곳은 플랫폼C, 현대정치철학연구회,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등 단체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방문하실 때 기존 공간 이용자와 서로 존중하고 배려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의 2층이라 휠체어 이용자의 출입이 어렵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문의 : 평창올림픽반대연대 noolympics2018@gmail.com
1988년 하계올림픽 개최지이자 2036년 하게올림픽 유치가 추진되고 있는 서울 지역에서 올림픽 문제에 대한 자료, 저항의 목소리를 담은 도서와 인쇄물을 공유하기 위해 파리 올림픽 개최 기간 동안 ‘올림픽 반대 도서관’이 한시적으로 운영됩니다.
▶️︎ 운영 기간 : 7월 26일 ~ 8월 11일 / 8월 28일 ~ 9월 8일
▶️︎ 이용 시간 : 화요일 ~ 금요일 11~18시 / 토, 일, 월요일 휴관
▶️︎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망원동 338-73) 2층
[분류별 이용 안내]
- 배포용 : 비치되어 있는 배포용 자료는 누구나 무료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 판매용 : 무인판매함에 해당 가격 만큼의 현금을 넣고 구입할 수 있습니다. 견본 도서는 도서관 내에서 자유롭게 볼 수 있습니다.
- 열람용 : 도서관 내에서 자유롭게 볼 수 있습니다. '올림픽 반대 도서관 열람용 도서•인쇄물 목록'에서 보고 싶은 자료를 찾은 다음, 분류색과 번호를 참고하여 해당 자료를 찾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올림픽 반대 도서관 열람용 도서•인쇄물 해설서'에서 각 자료의 상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난 자료는 다음 이용자를 위해 서가에 다시 올려놓아 주세요.
[장소 안내]
- 도서관이 위치한 곳은 플랫폼C, 현대정치철학연구회,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등 단체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방문하실 때 기존 공간 이용자와 서로 존중하고 배려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의 2층이라 휠체어 이용자의 출입이 어렵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문의 : 평창올림픽반대연대 noolympics2018@gmail.com
❤8👍3
"1980년대 내내 학생·지식인 집단과 노동자계급의 분화 과정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화는 마오쩌둥 시대와 덩샤오핑 시대 두 차례에 걸친 사회주의민주 운동의 탄압으로 인해 결국 계급적 담론이 정치 현안에서 소외된 데서 비롯되었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two-movement-in-tiananmen-2/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two-movement-in-tiananmen-2/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천안문항쟁 ② | 분할통치가 계급동맹을 가로막았다
1990년대 지식인 집단과 도시 노동자계급의 서로 다른 운명은 6·4운동 이후 시대의 단절된 사회 구조를 형성했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런 분할통치 전략은 중국공산당의 권력체제를 유지하는 데 핵심 요인이 됐다.
👍3👏2
정전 71년 7.27 한반도 평화대회💡
일시: 2024년 7월 27일(토) 오후 2시
장소: 파주 임진각 평화의종 앞 광장 ~ 통일대교
☀️프로그램
- 음악 공연 : 극단 청명, 소프라노 이재은
- 이야기 : 우리가 평화를 외치는 이유
- 대회사와 접경지역의 목소리
- 평화를 향한 힘찬 행진 (평화의종 ~ 통일대교)
😎 준비물
- 더운 날씨에 맞설 물, 손수건, 선글라스 등 준비해주세요.
- 비 예보가 있습니다. 우산, 우비 챙기기!
- 소리나는 물건 가져오시면 좋아요!
📄 참여 가능한 분은 @mkmodus 에게 메시지 부탁드립니다.
일시: 2024년 7월 27일(토) 오후 2시
장소: 파주 임진각 평화의종 앞 광장 ~ 통일대교
☀️프로그램
- 음악 공연 : 극단 청명, 소프라노 이재은
- 이야기 : 우리가 평화를 외치는 이유
- 대회사와 접경지역의 목소리
- 평화를 향한 힘찬 행진 (평화의종 ~ 통일대교)
😎 준비물
- 더운 날씨에 맞설 물, 손수건, 선글라스 등 준비해주세요.
- 비 예보가 있습니다. 우산, 우비 챙기기!
- 소리나는 물건 가져오시면 좋아요!
📄 참여 가능한 분은 @mkmodus 에게 메시지 부탁드립니다.
👍3🔥2👏2
저자와 함께 하는 『기후위기 시대에 춤을 추어라』 북토크
‘기후위기’는 자연의 재앙으로만 이해되곤 합니다. 하지만 『기후위기 시대에 춤을 추어라』의 저자 이송희일은 그것이 가부장제, 자본주의, 인종주의가 낳은 정치적인 재앙이라고 말합니다.
공간을 넘나드는 방대한 자료와 풍부한 현장 사례, 치밀한 분석으로 논증하고 이 재앙에 어떻게 대처할지 이야기합니다. 파국론에서 벗어나, 압도되지 않고 기후위기를 정면으로 마주봅시다.
이 책은 자본주의의 어두운 진실들을 객관적 수치로써 드러내고, 지금 시급한 것이 기후위기에 대한 대안보다 그 대안으로 나아갈 용기임을 절감하게 합니다.
이번 북토크에는 저자 이송희일 영화감독이 함께 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됩니다.
🎰 시간 : 2024년 8월 21일(수) 오후 7시
🌏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문의 : 010-팔칠일칠-2561
✍️ 참가: https://bit.ly/dance-with-heeyil
‘기후위기’는 자연의 재앙으로만 이해되곤 합니다. 하지만 『기후위기 시대에 춤을 추어라』의 저자 이송희일은 그것이 가부장제, 자본주의, 인종주의가 낳은 정치적인 재앙이라고 말합니다.
공간을 넘나드는 방대한 자료와 풍부한 현장 사례, 치밀한 분석으로 논증하고 이 재앙에 어떻게 대처할지 이야기합니다. 파국론에서 벗어나, 압도되지 않고 기후위기를 정면으로 마주봅시다.
이 책은 자본주의의 어두운 진실들을 객관적 수치로써 드러내고, 지금 시급한 것이 기후위기에 대한 대안보다 그 대안으로 나아갈 용기임을 절감하게 합니다.
이번 북토크에는 저자 이송희일 영화감독이 함께 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됩니다.
🎰 시간 : 2024년 8월 21일(수) 오후 7시
🌏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문의 : 010-팔칠일칠-2561
✍️ 참가: https://bit.ly/dance-with-heeyil
👍6👌2
윤석열 정부는 그동안 멈춰있던, 재난 규정을 둘러싼 계급투쟁을 다시 시작했다. 행정력은 한정되어 있고, 우리는 잦은 재난을 맞닥뜨리고 있다. 노동 탄압의 우회로로 재난안전법을 구상하고 적용하면서 정작 필요한 곳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자원을 배치하지 못할 때, 우리가 잃게 될 것이 무엇일지는 자명하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class-struggle-disaster-definition/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4/07/class-struggle-disaster-definition/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재난 규정을 둘러싼 계급투쟁이 재개되다
한국은 2004~07년 파업을 재난으로 규정해 개입하려는 시도를 계속했으나, 2007년 단서조항이 시행령에 삽입된 이후에는 재난안전법이나 시행령을 우회로 삼아 노동운동과 사회운동을 탄압하려는 시도가 진행되지는 않았다. 특히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제대로 보호하기 위해 법‧제도가 진전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가 만들어지면서 탄압의 우회로로 ‘재난’ 혹은 ‘안전’이라는 개념을 활용하려는 시도는 노골화되기 어려웠다. 윤석열 정부는…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