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 오늘 노동절 참가 일정
- 오후 1시 파이낸스 빌딩 앞 전세사기 피해자 대책마련 촉구 발언대회
- 오후 2시 세종대로 노동절 총궐기
✊🏽플랫폼C 팜플렛 2종 판매와 대중교통요금인상반대서명 캠페인 가판도 진행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참석문의 : 010-7626-1210
- 오후 1시 파이낸스 빌딩 앞 전세사기 피해자 대책마련 촉구 발언대회
- 오후 2시 세종대로 노동절 총궐기
✊🏽플랫폼C 팜플렛 2종 판매와 대중교통요금인상반대서명 캠페인 가판도 진행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참석문의 : 010-7626-1210
다른 세계로 길을 내는 활동가 모임
2023-1차 쟁점토론회
사회운동 장소로서의 노동
- 윤석열 정부의 노동 정책 반대를 넘어
● 일시 : 2023년 5월 15일(월) 오후 7-10시
● 장소 : 민주노총 12층 대회의실
● 참가비 : 5천원 (납부계좌 : 카카오뱅크 3333266624032 최민)
● 참가신청 : https://bit.ly/1차쟁점토론회
'주69시간'과 '건폭', 노동 유연화와 노조 탄압의 드라이브를 건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은 전세계적 자본주의 위기 상황에서 노동규범을 재편하는 시도다. 윤석열 정부 반대를 넘어 어떤 변화를 만들어가야 할까. 사회운동의 과제로서 '노동'을 다시 자리매김하며 그 방향과 과제를 토론하자.
○ 사회 :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 발제
- 노동규범 현대화? 새로운 권리체계가 필요하다 - 최민(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 자본의 노동 분할 전략, 사회운동으로 넘자 - 홍명교 (플랫폼c)
○ 토론
- 박정훈 (라이더유니온)
-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곽이경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장귀연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2023-1차 쟁점토론회
사회운동 장소로서의 노동
- 윤석열 정부의 노동 정책 반대를 넘어
● 일시 : 2023년 5월 15일(월) 오후 7-10시
● 장소 : 민주노총 12층 대회의실
● 참가비 : 5천원 (납부계좌 : 카카오뱅크 3333266624032 최민)
● 참가신청 : https://bit.ly/1차쟁점토론회
'주69시간'과 '건폭', 노동 유연화와 노조 탄압의 드라이브를 건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은 전세계적 자본주의 위기 상황에서 노동규범을 재편하는 시도다. 윤석열 정부 반대를 넘어 어떤 변화를 만들어가야 할까. 사회운동의 과제로서 '노동'을 다시 자리매김하며 그 방향과 과제를 토론하자.
○ 사회 :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 발제
- 노동규범 현대화? 새로운 권리체계가 필요하다 - 최민(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 자본의 노동 분할 전략, 사회운동으로 넘자 - 홍명교 (플랫폼c)
○ 토론
- 박정훈 (라이더유니온)
-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곽이경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장귀연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5👍4👏2
청소 노동에 대한 구조조정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상시지속업무 정규직화라는 사회적 요구를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 재정 위기에 빠진 대학 안에서 "능력에 따른 차별은 정당하다"는 학생과 시민들 사이에서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학이라는 작은 커뮤니티, 철저하게 신분제 사회가 된 대학에서 저항과 연대를 조직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읽기: https://platformc.kr/2023/05/meaning-of-dwu-cleaning-workers-strike/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3/05/meaning-of-dwu-cleaning-workers-strike/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덕성여대 청소노동자 투쟁이 남긴 의미와 성과, 그리고 한계
오랜 투쟁으로 덕성여대 청소노동자들은 상처받고 지쳤다. 그런데도 이 싸움에서 이겼다고 주장하는 이유가 있다.
👍6👏2❤1
지난 4.30 세계노동절맞이 청년학생문화제는 150여 명의 청년들이 참가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참가자들은 앞으로도 체제를 넘어서는 운동들과 노학연대를 통해 우리 사회의 희망을 만들어가자고 결의했습니다.
❤14👍4
플랫폼C 페미니즘 공부모임 5월 일정 공지드립니다아🥳
📚『검은 시위』(정은희지음)을 읽습니다. 저자는 임신중지의 권리가 계급적 문제이자 체제와 직결된 이슈라며, “만약 당신이 임신중지로 눈물을 흘렸다면, 그것은 당신이 아니라 체제의 문제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임신중지 권리를 위해 억압에 맞서 싸운 세계 여성들의 이야기를 읽고 함께 토론해 봅시다.
📅일시 : 2023년 5월 18일(목) 오후7시30분
🌏장소 : 서울시 망원동 338-73, 2F (줌온라인 동시진행)
🧢참가신청 : 여기를 눌러주세욤!
✋ 문의 : 010-7930-0560
✍️ 지난 모임 후기 : 우리는 다르지만 같은 존재 - 『퀴어이론 산책하기』
📚『검은 시위』(정은희지음)을 읽습니다. 저자는 임신중지의 권리가 계급적 문제이자 체제와 직결된 이슈라며, “만약 당신이 임신중지로 눈물을 흘렸다면, 그것은 당신이 아니라 체제의 문제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임신중지 권리를 위해 억압에 맞서 싸운 세계 여성들의 이야기를 읽고 함께 토론해 봅시다.
📅일시 : 2023년 5월 18일(목) 오후7시30분
🌏장소 : 서울시 망원동 338-73, 2F (줌온라인 동시진행)
🧢참가신청 : 여기를 눌러주세욤!
✋ 문의 : 010-7930-0560
✍️ 지난 모임 후기 : 우리는 다르지만 같은 존재 - 『퀴어이론 산책하기』
👍5❤4
Forwarded from 플랫폼c
‘오월광주순례단: 역사를 잊지 않는 청년들의 들불기행’은 교과서 속에 박제된 5.18 광주민주화운동 아니라, 오늘의 의미로 살아 숨쉬는 민중 항쟁을 생각하고 실천하는 역사기행입니다.
🚩자세한 안내 : https://bit.ly/gj_wildfire
🏷 출발: 5월 13일(토) 오전 9시 서울
🏷 도착: 5월 14일(일) 저녁 7시경
🏷 이동: 28인승 전세버스
🔶 대상: 20대 청년, 학생
🔶 참가비(식비 포함): 3만원
🔶 입금: 카카오3333-19-3794945 이경희
📮 문의: 010-팔이이공-삼오공삼
🚩신청: https://bit.ly/gotogwangju
🚩자세한 안내 : https://bit.ly/gj_wildfire
🏷 출발: 5월 13일(토) 오전 9시 서울
🏷 도착: 5월 14일(일) 저녁 7시경
🏷 이동: 28인승 전세버스
🔶 대상: 20대 청년, 학생
🔶 참가비(식비 포함): 3만원
🔶 입금: 카카오3333-19-3794945 이경희
📮 문의: 010-팔이이공-삼오공삼
🚩신청: https://bit.ly/gotogwangju
👍5❤2👏2
"곧 세상에 나올 책 하나를 추천하고 싶다. 사회운동 혁신을 위해 함께 공부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의 모임 ‘플랫폼씨’에서 기획하고 ‘빨간소금’에서 펴낸 〈활동가들〉이다. 앞서 언급한 인터뷰를 포함한, 비관에 맞서 끊임없이 설득하고 세상을 흔드는 젊은 직업 활동가 11명의 이야기다. 우리는 모두 평범한 인간이기에 지치고 지겨운 순간이 찾아올 것이다. 그들도 나와 같은 사람인데 어떻게 그런 순간을 극복할지 무척 궁금했다. 이에 관한 내용이 책에 담겨 있다고 한다."
📑칼럼 읽기: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164
📑칼럼 읽기: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164
www.sisain.co.kr
어릴 땐 PD가 창작자인 줄만 알았지 [미디어 리터러시] - 시사IN
어릴 땐 기자나 PD가 창작자인 줄 알았다. 창작. ‘방안이나 물건 따위를 처음으로 만들어냄.’ 정의를 찾아 읽고 단어를 입에 굴려보니 헛웃음이 나온다. 뉴스 콘텐츠를 만드는 일의 실체는 언제나 빚을 지는 과...
❤8👍4
아시아에서 메이데이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되는 아시아 노동자계급 운동의 운명을 반영하는, 길고 고단한 역사를 갖고 있다. 아시아에서 그것은 식민주의와 내전, 반식민주의 혁명운동, 반혁명과 쿠데타, (국가)사회주의와 개발주의,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에 의해 탄생했고, 동원되거나 대항했어며, 혹은 중단됐다. 이 모든 시기에 메이데이는 노동-자본-국가 간, 노동운동과 정세의 다양한 흐름들 간, 미래 사회에 대한 대조적인 비전들 간 투쟁의 현장이었다.
📑읽기: https://platformc.kr/2023/05/mayday-in-asia/
💻채널: https://t.me/platformc
📑읽기: https://platformc.kr/2023/05/mayday-in-asia/
💻채널: https://t.me/platformc
플랫폼씨 platform.c
아시아 10개국 노동절의 역사와 현재
아시아에서 메이데이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되는 노동자계급 운동의 운명을 반영하는, 길고 고단한 역사를 갖고 있다.
👍6👏2
Forwarded from 플랫폼c
다른 세계로 길을 내는 활동가 모임
2023-1차 쟁점토론회
사회운동 장소로서의 노동
- 윤석열 정부의 노동 정책 반대를 넘어
● 일시 : 2023년 5월 15일(월) 오후 7-10시
● 장소 : 민주노총 12층 대회의실
● 참가비 : 5천원 (납부계좌 : 카카오뱅크 3333266624032 최민)
● 참가신청 : https://bit.ly/1차쟁점토론회
'주69시간'과 '건폭', 노동 유연화와 노조 탄압의 드라이브를 건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은 전세계적 자본주의 위기 상황에서 노동규범을 재편하는 시도다. 윤석열 정부 반대를 넘어 어떤 변화를 만들어가야 할까. 사회운동의 과제로서 '노동'을 다시 자리매김하며 그 방향과 과제를 토론하자.
○ 사회 :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 발제
- 노동규범 현대화? 새로운 권리체계가 필요하다 - 최민(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 자본의 노동 분할 전략, 사회운동으로 넘자 - 홍명교 (플랫폼c)
○ 토론
- 박정훈 (라이더유니온)
-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곽이경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장귀연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2023-1차 쟁점토론회
사회운동 장소로서의 노동
- 윤석열 정부의 노동 정책 반대를 넘어
● 일시 : 2023년 5월 15일(월) 오후 7-10시
● 장소 : 민주노총 12층 대회의실
● 참가비 : 5천원 (납부계좌 : 카카오뱅크 3333266624032 최민)
● 참가신청 : https://bit.ly/1차쟁점토론회
'주69시간'과 '건폭', 노동 유연화와 노조 탄압의 드라이브를 건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은 전세계적 자본주의 위기 상황에서 노동규범을 재편하는 시도다. 윤석열 정부 반대를 넘어 어떤 변화를 만들어가야 할까. 사회운동의 과제로서 '노동'을 다시 자리매김하며 그 방향과 과제를 토론하자.
○ 사회 :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 발제
- 노동규범 현대화? 새로운 권리체계가 필요하다 - 최민(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 자본의 노동 분할 전략, 사회운동으로 넘자 - 홍명교 (플랫폼c)
○ 토론
- 박정훈 (라이더유니온)
-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곽이경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장귀연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4👏2
🌽 윤석열 대통령의 첫 번째 거부권 행사로 논란이 되고 있는 양곡관리법 개정, 무엇이 문제일까요? 클릭 한 번에 새벽배송 되는 ‘편리한’ 농산물은 어디에서 누가 만들고 있을까요? 부족한 농업노동력을 메꾸는 이주노동자들은 비인간적 착취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날씨의존도가 높은 농⋅어업은 기후위기시대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등등 우리가 알아야 할 농업과 식량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글과 말로 쌀과 반찬을 구하는’ 농촌사회학자 정은정 님과 함께 합니다.
🕰 시간 : 5월 20일 토요일 오후 5시
🏠 장소 :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참가신청 : https://bit.ly/3LFV3t2
📱 문의 : 010-7626-1210
🕰 시간 : 5월 20일 토요일 오후 5시
🏠 장소 : 망원동 338-73, 2층 + 줌온라인
✏️ 참가신청 : https://bit.ly/3LFV3t2
📱 문의 : 010-7626-1210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