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4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전력기기 섹터 업데이트 - 24. 11. 17

1. 트럼프 이슈
트럼프 승리로 인한 수혜 여부는 복합적. 중장기적으로는 높은 확률로 수혜를 입겠으나, 시장에서 우려중인 신재생 발전시설 건설 축소로 인한 전방 시장규모 축소 우려는 제시 가능한 의문.
다만 전력인프라 업사이클의 핵심을 담당한 북미에서 수요의 핵심을 담당해왔던 것은 신재생 수요보다는 데이터센터를 필두로 한 그리드 자체에 대한 투자.
2022~23년 구간에서 북미 신재생 투자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PPI는 급등.
오히려 신재생 관련 투자가 회복하기 시작한 2024년 들어 북미 전력인프라 관련 PPI가 플랫해졌는데 22~23년이 신재생으로 촉발된 사이클의 시작이 아니라 그리드 투자와 관련해 정말 급한 물량들이 나가는 구간이었기 때문으로 판단. 2024년 상반기 이후의 그리드 투자는 2022~23 이후 신규로 창출된 AI / 데이터센터 관련 전력수요에 대한 투자 성격에 가까워보임.

전력기기 투자를 이어나가는 데에 있어서 착각해서는 안 되는 사실이 있다면, 신재생 인프라 투자는 "수요는 없지만 신재생을 일단 깔고 보자" 의 성격을 띈 게 아니라 "앞으로 증가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신규 그리드 투자는 신재생으로 대응하자" 에 가까웠다는 것.
트럼프에 대한 우려는 이러한 신재생 그리드 투자를 억제하려 할테니 전력인프라 발주수요에 문제가 생기는 게 아닌가? 일텐데, 단기적으로는 지연이 있을 수 있겠으나 중장기적으로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전력수요의 총량 변화라고 생각.
전력수요의 총량이 축소된다면 전력인프라 투자총량 또한 중장기적으로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당히 위협적인 문제가 될 수 있겠으나 지금 우려하고 있는 신재생 수요의 축소는 이와는 다른 문제.
상술한대로 단기적으로 센티에 대한 우려는 있을 수 있겠으나 이미 진행중인 신재생 사업에 대해 주문 취소 등이 대규모로 나오지 않는 이상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

2. 기업별 업데이트
#HD현대일렉트릭
3Q24 매출은 컨센서스 하회. 하지만 예상보다 높은 OPM으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수준 시현. 분기 환율 우호적이지 않았음에도 OPM 2Q 수준이었던 점이 매우 고무적.
현재 수준보다 OPM 더 나올 수 있을 가능성도 있었는데, 실제로는 마진률 높은 배전기기 매출 부진으로 그렇게 되지는 못하였음.
4Q의 경우 9월 - 10월 수출데이터 모두 매우 양호한 상황, 환율도 양호하고 성과급의 경우에도 분기 안분하는 업체라 현재 컨센서스인 21~22% 수준 영업이익률은 충분히 달성 가능하다고 판단.

수주 면에서는 슬로우했으나 이미 2년 이상의 리드타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수주 채우지 않았기 때문이고, 컨콜에서는 북미 / 유럽 / 중동 가리지 않고 여전히 수주단가 상승이 일어나고 있다고 코멘트. 실제로 10월 북미 PPI 상승한 모습.

#효성중공업
3Q24 실적은 현일렉보다 1년 늦은 회사가 맞다는 점을 인식시켜준 분기실적 및 수주.
사실 전년 대비 수출데이터상 단가상승은 별로 없었고 실제로도 OPM은 딱 매출 올라간 만큼 영업레버리지만 반영된 것으로 보임. 수출데이터상 단가 나쁘지 않은 4Q24에는 이 부분이 추가로 반영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3Q24의 YoY OPM 개선폭보다 4Q24의 YoY OPM 개선폭이 더 클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전 분기 기저가 상당히 높았기에 큰 기대는 없었으나 3분기 시작하자마자 받은 노르웨이향 3,000억 수주를 빼고 봐도 3Q24 수주가 생각보다 많이 나왔음. 이렇다보니 통상 4분기가 수주 상으로 가장 좋은 것과 별개로 QoQ로 수주는 큰 기대는 안 하는 게 나을 것. 2025년 기준 중공업 부문에서 3조 중반대 CAPA 가진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데 수주가 7조를 넘어섬. 뒤늦었지만 효성중공업도 선별수주하며 고단가 장기계약분을 채우는 구간에 본격적으로 진입한 것으로 보임.

QoQ로 슬로우할 수주와 반대로 실적은 반대로 4Q24가 좋아야 하는 상황. 9월 수출총액 / 단가가 모두 좋았고 10월 수출도 전년 대비해서는 나쁘지 않았음. 결국 문제는 일회성 비용. 나올 계정은 이것저것 있는데 실제로 얼마나 나올지를 모르겠음.

#LS ELECTRIC
3Q24 실적 미스. 원인은 고단가 전력기기 매출 공백 및 저마진의 국내 한전향 물량 인식. 정상적이라면 10% 초중반대 OPM 기록해야 했으나 실제로는 8% 수준.
초고압 변압기 수주는 나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타 업체들에 비해 시작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YoY 수주가 아쉬운 상황 (배전기기 YoY 7% / 배전반 11% / 변압기 8% / 신재생 -51%)
초고압 변압기의 경우에도 현일렉 / 효성중공업 대비 마진률이 높지는 않은 상황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높은 미국향 수주비중을 기반으로 효성중공업과 6개월~1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따라갈 것으로 예상.
다만 동사가 가진 문제는 증가하는 초고압변압기 수주 및 매출과 별개로 타 업체 대비 전사 내 초고압변압기 비중이 크지 못하다는 점과 너무 다종다양한 사업분야.

동사 변압기 매출은 국내 한전향 / 국내 민수용 / 북미향으로 나누어지는데 북미 초고압의 경우 거의 전부 신재생 전력사업향. 대규모 증설 (2,000억 -> 8,000억) 을 결정하게 된 것 또한 미국 신재생 사업자향 수요에 확신이 있었기 때문. 이 덕에 예상보다 빠른 26년 정도에 증설분 매출이 상당 부분 반영될 예정. 다만 이를 감안해도 타 업체 대비 전사 내 초고압 전력기기향 매출비중이 낮은 것이 사실. 대부분이 배전기기 / 배전반으로 이루어져있어 OPM 레버리지가 쉽게 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임.
동사에서는 이를 커버하기 위해 북미 진출을 노리는 중. 배전기기 등 또한 수요가 충분한 상황이기에 각 그리드별 딜러망 구축해 영업할 계획으로 딜러와의 계약은 내년 상반기 내 완료할 계획.
2030년까지 8.3조 매출 및 해외 매출비중 70%를 목표하고 있는데, 성공한다면 해당 기간 중 매출 증가의 상당폭이 북미향 배전기기 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자회사 / 자동화사업은… NO COMMENT

#산일전기
3Q24 제대로 서프라이즈. 시장 기대치 / 개인 기대치 모두 넘어선 모습. 수출데이터상으로는 이 정도의 수치가 나올 수가 없는 상황인데 (특히 매출) 기대를 뛰어넘는 수치 시현했음.
OPM은 송배전향 소형 변압기 비중 늘어나면서 올해 추가 상승 있었는데, 수주 내 송배전향 소형 변압기 비중 늘어나는 구간이라 현재 수준 OPM 유지에는 큰 문제 없을 가능성이 높음.
미국향 수출 늘어나면서 배전변압기 업체의 경우 분기 계절성이 크게 줄어든 모습인데 이러한 부분과 올 4분기부터 2공장 증설 반영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의 4,,200억 매출 가이던스는 여유 있는 수준으로 판단

다만 걸리는 점이 있다면 신재생향 수주로 실제로 트럼프 당선 전후로 신재생 인프라 사업자의 사업 계획 자체가 보수적으로 바뀐 것으로 보임. 아직 수주 내 신재생 비중 50% 가량 차지하는 상황.
전력기기 업체 내 2025년 Q 증가가 가장 명확한 업체지만 초고압 변압기와 달리 리드타임 길지 않은 편이라 상대적으로 납기지연 / 물량 축소 등의 변동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아 이 부분은 리스크라고 봐야 할 듯.
송배전향 변압기의 경우 사측 코멘트대로라면 고객사 신규 진입 후 물량 증가 초기~중기 구간으로 파악되며 25~26년까지는 해당 기조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임.

특이사항으로, 10월 수출데이터 매우 양호했음.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