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LNG, 화장품/미용, 로봇, 전력, 방산
- 상대강도: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음식료, 전력, LNG, 방산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방산
- 거래대금: 바이오, 테크, 미용, 음식료, 방산, 2차전지, 로봇
- 유동성&상대강도: 바이오, 테크, LNG, 화장품/미용, 전력, 방산
- 거래대금&신고가: 바이오, 테크, 미용, 방산
- 특이적인 유동성: 컴투스, 두산에너빌리티, CJ
#수출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768
- 파마리서치, 삼양식품, 대상
#실적
- 곧 2Q 시작이고 공매도가 본격화된다는 점에서 1Q 실적 시즌에 대비해 실적이 좋은 애들 중 주가레벨 낮은 것들에 대해 관심 및 환기.
- 관심에서 멀어졌었던 변압기, 화장품 등에서도 이러한 일이 나오는지에 대한 스크리닝이 필요.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LNG, 화장품/미용, 로봇, 전력, 방산
- 상대강도: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음식료, 전력, LNG, 방산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방산
- 거래대금: 바이오, 테크, 미용, 음식료, 방산, 2차전지, 로봇
- 유동성&상대강도: 바이오, 테크, LNG, 화장품/미용, 전력, 방산
- 거래대금&신고가: 바이오, 테크, 미용, 방산
- 특이적인 유동성: 컴투스, 두산에너빌리티, CJ
#수출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768
- 파마리서치, 삼양식품, 대상
#실적
- 곧 2Q 시작이고 공매도가 본격화된다는 점에서 1Q 실적 시즌에 대비해 실적이 좋은 애들 중 주가레벨 낮은 것들에 대해 관심 및 환기.
- 관심에서 멀어졌었던 변압기, 화장품 등에서도 이러한 일이 나오는지에 대한 스크리닝이 필요.
❤🔥43👍15😁4
投資, 아레테
5년째 계속 롱이었음. 전쟁 전부터 방산주 세일즈한 미친놈이 접니다 공식 콜 드리고 주가 2배 오름 올라서 최근에 언급 줄임 국뽕 경계하자 했지만 1주도 안팔았음 세일즈하다가 아니니까 돌아선다고 하는데 한번도 돌아선적이 없고 이정도 세일즈 했으면 1주씩이라도 사주세요
과도한 긍정 및 오해소지가 있는 내용들도 돌아다니는 것으로 보이고, 4월되고 1Q 실적에 대한 관심 및 시장 변화는 내가 알 수 없지만 일단 오늘까진 감사합니다.
내일부터는 안감사할 수도 있어요.
내일부터는 안감사할 수도 있어요.
👍45😁13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방산, 테크, 화장품/미용, 밸류업, 조선/LNG,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방산, 테크, 밸류업, 조선/LNG, 전력, 음식료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테크, 밸류업, 중국소비
- 거래대금: 바이오, 방산, 테크, 조선/LNG, 전력
- 유동성&상대강도: 바이오, 방산, 테크, 밸류업, 조선/LNG, 전력
- 거래대금&신고가: 바이오, 방산, 테크, 조선/LNG, 전력
- 특이적인 유동성: CJ, 크래프톤, 하이브, 두산에너빌리티, 삼양식품, HD현대인프라코어
#알테오젠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775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799447978
- 2건의 공시(총 3건의 L/O)에서 계약금이 약 600억, 마이스톤이 1.8조 수준으로 금액이 매우 큰 상황. 머크, 다이찌산쿄, AZ 등 대형 고객사 모두 잡아내고 계약이 진행될수록 규모가 더 커진다는 점에서 우위 간접 확인.
- 곧 나올 키트루다 SC 3상 데이터 역시도 관심. 개별 딜을 관심가지는 것이 아닌, 기존 경쟁사가 못가진 M/S를 다 가져오는 그림이라는 관점이 긍정적. 시외 종가 기준 역사전 신고가 근접.
- 3월 내 회사에서 계약 나온다고 했던거 지켜졌기 때문에 회사에서 공유해주는 다수 빅팜 MTA 및 다수 L/O 등의 내용을 계속해서 관심있게 보면 좋을 것.
- 자세한 내용은 열심히 주시는 알테주주분들이 많이 공유하고 있어 갈음하고 감사드림.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7801016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7801027
- 자료참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79935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의 자회사 HAA No.1 대상 3자 배정 유상증자. 총 금액은 3,378억원이며 목적은 호주 등의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해양 시스템 기술력과의 시너지 확대 목적. 해당 지분은 한화시스템이 60%,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40% 보유.
- 과거 오스탈이 거절했던 것이 당국 승인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10% 이상 확보하지 않는 선에서 유의미한 주주 등극 및 향후 승인을 통해 단독 최대주주 등극 가능. 뉴스에서 보도되는 수준의 금액으로 매입한다면 유상증자 자금으로 충분히 단독 최대주주 될 수 있음.
- 오스탈 미국 법인 초계함, 고속정, 호위함 등 2,000~3,000t급 군합 제조. 필리가 상선중심+일부 구축함(미국 기준 호위함), 오스탈이 전투 및 작전 지원 성격의 연안전투함으로 사업 전문화 가능.
- 1st급 조선소는 현실적으로 인수 불가한 상황. 필리와 오스탈은 2nd급 조선소에 해당.
#에이피알
- 메디큐브 아마존 데이터가 QoQ로 흐름이 매우 좋음.
- 아마존 내 Top100 등극 SKU가 4Q24 2~3개>1Q25 7~8개로 확대.
- 주가로 기대감 반영 중.
#제닉
- 자료참고: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305000782&docno=&viewerhost=&viewerport=
- 19일 투경해제판단일. 1Q25 실적 톤은 추가 확인해봐야겠으나 최근 리포트 기준으로 수요 견조하고 아마존 순위, 신규 고객사 확보 및 증설 등이 이어지고 있음.
#원전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63448?sid=101
- 체코와의 협상이 세부 조율 단계에 진입했다는 내용. 본계약은 4월이 될 가능성이 높음.
- 원전 2기 사업비로 약 25조원을 제시했고 해당 수준 내에서 계약이 이뤄질 시 1기당 사업비가 09년 UAE 대비 2배 이상에 해당하는 규모. 수익성 역시 이전 사업 대비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
#중국
- 경기 지표 호조+소비촉진을 위한 공연 관련 인센티브 추진.
- 중국 소비 회복 관련 및 22일 한중일 외교장관회담 등을 고려할 때 관심 가져보는 것도 좋을 듯.
- 중국향 혹은 중국 건설기계 업종 역시 판매량이 턴어라운드하는 것이 포착되고 일부 기업들은 ASP 인상이 시도되고 있으나, 종전 이슈로 인해 과하게 오른 점 정도가 아쉽.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방산, 테크, 화장품/미용, 밸류업, 조선/LNG,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방산, 테크, 밸류업, 조선/LNG, 전력, 음식료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테크, 밸류업, 중국소비
- 거래대금: 바이오, 방산, 테크, 조선/LNG, 전력
- 유동성&상대강도: 바이오, 방산, 테크, 밸류업, 조선/LNG, 전력
- 거래대금&신고가: 바이오, 방산, 테크, 조선/LNG, 전력
- 특이적인 유동성: CJ, 크래프톤, 하이브, 두산에너빌리티, 삼양식품, HD현대인프라코어
#알테오젠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775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799447978
- 2건의 공시(총 3건의 L/O)에서 계약금이 약 600억, 마이스톤이 1.8조 수준으로 금액이 매우 큰 상황. 머크, 다이찌산쿄, AZ 등 대형 고객사 모두 잡아내고 계약이 진행될수록 규모가 더 커진다는 점에서 우위 간접 확인.
- 곧 나올 키트루다 SC 3상 데이터 역시도 관심. 개별 딜을 관심가지는 것이 아닌, 기존 경쟁사가 못가진 M/S를 다 가져오는 그림이라는 관점이 긍정적. 시외 종가 기준 역사전 신고가 근접.
- 3월 내 회사에서 계약 나온다고 했던거 지켜졌기 때문에 회사에서 공유해주는 다수 빅팜 MTA 및 다수 L/O 등의 내용을 계속해서 관심있게 보면 좋을 것.
- 자세한 내용은 열심히 주시는 알테주주분들이 많이 공유하고 있어 갈음하고 감사드림.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7801016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7801027
- 자료참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79935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의 자회사 HAA No.1 대상 3자 배정 유상증자. 총 금액은 3,378억원이며 목적은 호주 등의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해양 시스템 기술력과의 시너지 확대 목적. 해당 지분은 한화시스템이 60%,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40% 보유.
- 과거 오스탈이 거절했던 것이 당국 승인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10% 이상 확보하지 않는 선에서 유의미한 주주 등극 및 향후 승인을 통해 단독 최대주주 등극 가능. 뉴스에서 보도되는 수준의 금액으로 매입한다면 유상증자 자금으로 충분히 단독 최대주주 될 수 있음.
- 오스탈 미국 법인 초계함, 고속정, 호위함 등 2,000~3,000t급 군합 제조. 필리가 상선중심+일부 구축함(미국 기준 호위함), 오스탈이 전투 및 작전 지원 성격의 연안전투함으로 사업 전문화 가능.
- 1st급 조선소는 현실적으로 인수 불가한 상황. 필리와 오스탈은 2nd급 조선소에 해당.
#에이피알
- 메디큐브 아마존 데이터가 QoQ로 흐름이 매우 좋음.
- 아마존 내 Top100 등극 SKU가 4Q24 2~3개>1Q25 7~8개로 확대.
- 주가로 기대감 반영 중.
#제닉
- 자료참고: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305000782&docno=&viewerhost=&viewerport=
- 19일 투경해제판단일. 1Q25 실적 톤은 추가 확인해봐야겠으나 최근 리포트 기준으로 수요 견조하고 아마존 순위, 신규 고객사 확보 및 증설 등이 이어지고 있음.
#원전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63448?sid=101
- 체코와의 협상이 세부 조율 단계에 진입했다는 내용. 본계약은 4월이 될 가능성이 높음.
- 원전 2기 사업비로 약 25조원을 제시했고 해당 수준 내에서 계약이 이뤄질 시 1기당 사업비가 09년 UAE 대비 2배 이상에 해당하는 규모. 수익성 역시 이전 사업 대비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
#중국
- 경기 지표 호조+소비촉진을 위한 공연 관련 인센티브 추진.
- 중국 소비 회복 관련 및 22일 한중일 외교장관회담 등을 고려할 때 관심 가져보는 것도 좋을 듯.
- 중국향 혹은 중국 건설기계 업종 역시 판매량이 턴어라운드하는 것이 포착되고 일부 기업들은 ASP 인상이 시도되고 있으나, 종전 이슈로 인해 과하게 오른 점 정도가 아쉽.
👍30
投資, 아레테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7801016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7801027
- 자료참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79935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의 자회사 HAA No.1 대상 3자 배정 유상증자. 총 금액은 3,378억원이며 목적은 호주 등의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해양 시스템 기술력과의 시너지 확대 목적. 해당 지분은 한화시스템이 60%,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40% 보유.
- 과거 오스탈이 거절했던 것이 당국 승인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10% 이상 확보하지 않는 선에서 유의미한 주주 등극 및 향후 승인을 통해 단독 최대주주 등극 가능. 뉴스에서 보도되는 수준의 금액으로 매입한다면 유상증자 자금으로 충분히 단독 최대주주 될 수 있음.
- 오스탈 미국 법인 초계함, 고속정, 호위함 등 2,000~3,000t급 군합 제조. 필리가 상선중심+일부 구축함(미국 기준 호위함), 오스탈이 전투 및 작전 지원 성격의 연안전투함으로 사업 전문화 가능.
- 1st급 조선소는 현실적으로 인수 불가한 상황. 필리와 오스탈은 2nd급 조선소에 해당.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7801016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7801027
- 자료참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79935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의 자회사 HAA No.1 대상 3자 배정 유상증자. 총 금액은 3,378억원이며 목적은 호주 등의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해양 시스템 기술력과의 시너지 확대 목적. 해당 지분은 한화시스템이 60%,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40% 보유.
- 과거 오스탈이 거절했던 것이 당국 승인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10% 이상 확보하지 않는 선에서 유의미한 주주 등극 및 향후 승인을 통해 단독 최대주주 등극 가능. 뉴스에서 보도되는 수준의 금액으로 매입한다면 유상증자 자금으로 충분히 단독 최대주주 될 수 있음.
- 오스탈 미국 법인 초계함, 고속정, 호위함 등 2,000~3,000t급 군합 제조. 필리가 상선중심+일부 구축함(미국 기준 호위함), 오스탈이 전투 및 작전 지원 성격의 연안전투함으로 사업 전문화 가능.
- 1st급 조선소는 현실적으로 인수 불가한 상황. 필리와 오스탈은 2nd급 조선소에 해당.
#한화시스템
- 9.91%로 일단 상법으로 안걸리게 매수.
- 9.91%로 일단 상법으로 안걸리게 매수.
👍17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조선/LNG, 방산,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조선/LNG, AI SW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중국 소비
- 거래대금: 바이오, 테크, 조선/LNG, AI SW, 방산
- 유동성&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조선/LNG
- 거래대금&신고가: 바이오, 방산
- 특이적인 유동성: LS ELECTRIC, 코오롱티슈진, 지엔씨에너지, CJ,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시스템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조선/LNG, 방산,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조선/LNG, AI SW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중국 소비
- 거래대금: 바이오, 테크, 조선/LNG, AI SW, 방산
- 유동성&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조선/LNG
- 거래대금&신고가: 바이오, 방산
- 특이적인 유동성: LS ELECTRIC, 코오롱티슈진, 지엔씨에너지, CJ,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시스템
😁33👍28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청주 M15X에 들어가는 장비 반입 시기를 2개월 가량 앞당긴다. 당초 12월로 예정된 일정을 10월로 조정한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주문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생산능력 확대에 속도를 높이는 셈이다.
청주 M15X 공장은 SK하이닉스가 신규 D램 생산기지로 점찍은 곳이다. HBM3E 코어 다이로 쓰이는 1b D램을 주로 생산할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M15X의 1b D램 생산능력(CAPA)은 기존 월 3만5000장 규모로 계획됐다"며 "최근 장비 반입 시기를 앞당기면서 생산능력도 늘리는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브로드컴 물량이 생각보다 많아서 올 연말 기준으로 하이닉스 HBM 전체 물량의 30%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3829
SK하이닉스가 청주 M15X에 들어가는 장비 반입 시기를 2개월 가량 앞당긴다. 당초 12월로 예정된 일정을 10월로 조정한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주문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생산능력 확대에 속도를 높이는 셈이다.
청주 M15X 공장은 SK하이닉스가 신규 D램 생산기지로 점찍은 곳이다. HBM3E 코어 다이로 쓰이는 1b D램을 주로 생산할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M15X의 1b D램 생산능력(CAPA)은 기존 월 3만5000장 규모로 계획됐다"며 "최근 장비 반입 시기를 앞당기면서 생산능력도 늘리는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브로드컴 물량이 생각보다 많아서 올 연말 기준으로 하이닉스 HBM 전체 물량의 30%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3829
www.thelec.kr
SK하이닉스, 청주 M15X 장비 반입 2개월 앞당긴다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SK하이닉스가 청주 M15X에 들어가는 장비 반입 시기를 2개월 가량 앞당긴다. 당초 12월로 예정된 일정을 10월로 조정한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주문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생산능력 확대에 속도를 높이는 셈이다....
👍13
投資, 아레테
동성화인텍 - 저 06~07년 넘어설겁니다 맞습니다. 근데 신사업도 붙을겁니다 #동성화인텍 - 실발 기다려두고 써둔 글 공개전환입니다 https://m.blog.naver.com/arete0101/223763428303
#동성화인텍
사업보고서가 올라와 확정 분기 시트 공유드립니다.
확정치 기준 영업이익은 201억원으로, 잠정치 177억을 상회했습니다. 이에 컨센서스 대비 30% 가량 상회했습니다. 이익률도 점진적으로 우상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주잔고는 4Q 높은 수주를 통해 급증하며 최근 3년 내 최고 수준의 수주잔고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수주단가 역시 지속적으로 우상향 추세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업보고서가 올라와 확정 분기 시트 공유드립니다.
확정치 기준 영업이익은 201억원으로, 잠정치 177억을 상회했습니다. 이에 컨센서스 대비 30% 가량 상회했습니다. 이익률도 점진적으로 우상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주잔고는 4Q 높은 수주를 통해 급증하며 최근 3년 내 최고 수준의 수주잔고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수주단가 역시 지속적으로 우상향 추세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4💯11
#LNG
미국 에너지부는 수요일에 루이지애나주 카메론 패리시에 계획된 Venture Global의 CP2 LNG 프로젝트에 대한 수출 허가 요청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취임하고 신규 수출 허가 동결 해제 후 5번째 LNG 관련 승인
https://www.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us-department-of-energy-approves-venture-global-cp2-export-permit-3936968
미국 에너지부는 수요일에 루이지애나주 카메론 패리시에 계획된 Venture Global의 CP2 LNG 프로젝트에 대한 수출 허가 요청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취임하고 신규 수출 허가 동결 해제 후 5번째 LNG 관련 승인
https://www.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us-department-of-energy-approves-venture-global-cp2-export-permit-3936968
Investing.com
U.S. Department of Energy approves Venture Global CP2 export permit By Reuters
👍4
Forwarded from 간절한 투자스터디카페
😁17
#감성코퍼레이션
회사랑 소통해보니 일본은 S/S까지는 조금 더 테스트 해보면서 준비 더 하려는 듯 합니다
베인에서 주는 일본 숫자가 쎄긴한데 계속 F/U 해봐야할 사항 중 하나.
https://blog.naver.com/tgh1120/223803217194
회사랑 소통해보니 일본은 S/S까지는 조금 더 테스트 해보면서 준비 더 하려는 듯 합니다
베인에서 주는 일본 숫자가 쎄긴한데 계속 F/U 해봐야할 사항 중 하나.
https://blog.naver.com/tgh1120/223803217194
NAVER
감성코퍼레이션 스노우피크 재팬 공홈 S/S 개시
감성코퍼레이션 : 일본 ③ : 네이버 블로그
👍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산
[결론]
- 투자 방향성에 대해 동의하고 사업적으로 EU 재무장에서 수혜를 볼 수 있도록 사업을 가장 빠르고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또한 중동 및 유럽에 대한 구체적으로 지정된 파트너와의 투자 혹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러나 규모, 방식, 시점 등 에쿼티 관점에서는 최악의 선택을 한 것으로 보임. 최대주주가 회사를 하나의 단위가 아니라 그룹 단위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EU 증설 별거 아니고 당분간 수혜받을 수밖에 없다는 과도한 긍정논리를 경계하고 빠른 생산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방식으로 나온다는 점이 아쉬움. 다만, 한화그룹에 대한 이러한 리스크들을 인지한 상태에서 투자했던 부분이기에 이번 결정에 대해 아쉬움은 있어도 크게 후회가 있지는 않음.
[주요 투자]
#지상방산
- 방위비 확대 추세. 글로벌 방위비 수요 증가에 따라 K9외 다른 무기체계 역시 핵심 제품으로 육성할 것.
- 최근 무기 도입 시 현지 생산을 통한 협력 모델을 선호하고 있음. 동사는 현지 생산시설 직접 투자 및 JV 등의 거점 호가보를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 동유럽 및 중동 국가들과 파트너십을 활발히 논의 중.
- 현재 라인메탈과 비교했을 때 동사 이익은 80% 수준이나 시가총액은 40% 언더. 이는 생산 거점 격차에 따른 글로벌 방위 수혜 차이로 인식. 이에 해외 방산 투자로 글로벌 거점을 확보하고자 함. 유럽, 중동, 북아프리카 등을 전략 거점으로 검토하고 있고 공장, JV, 투자 등을 고려하고 있음.
- 무기체계 뿐 아니라 155mm 장약 확대를 위한 생산 확대 및 원가 경쟁력 개선을 진행할 것.
#조선
- 지상방산 뿐 아니라 글로벌 해양방산 및 조선해양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조선 거점 확보를 적극 추진.
- 미 의회 발의된 조선업 강화법 등으로 틀이 마련되고 있고 트럼프를 비롯해 한국 조선업 역량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
-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옥포, 필리, 싱가폴 조선소를 연계한 멀티야드 전략을 시행하고 있고 호주 오스탈 인수를 통해 글로벌 해양 방산 수요에 대응할 것. 해군함정 신조 및 MRO 역량을 확보할 것.
#무인기
- 항공엔진 및 부품 역량을 통해 독자적인 무인기 엔진을 확보하고 글로벌 업체 협력을 확대할 것.
- 자체적인 엔진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진행할 것.
[Q&A]
Q. 해외 방산 1.6조 투자에 대해 해외 생산거점 및 지분투자를 얘기하는데, 과거 호주 공장 투자 규모? 해외 지분투자는?
- 호주 공장 당시 2,000억 진행.
- 해외 투자는 중동 및 유럽에서 다양한 형태로 계획. 그 형태가 직접 투자가 될 수도 있고 지분 혹은 JV 모두 가능. 아직 파트너들과 구체적인 논의를 하는 중. 투자 건들이 마무리되면 적극적으로 소통할 것.
Q. 투자 확정된게 어느정도?
- 당사 진행 투자 건들이 여러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어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는 없음. 다만 중동 및 유럽 파트너들과 구체적 논의 진행 중.
- 전일 유럽 방위 계획을 발표한 바와 같이 현지화 투자에 나선 당위성을 강화하고 있음. 그런 부분에서 디테일이 나오고 가시성이 생기면 시장과 소통할 것.
Q. 사우디 협력이 구체적으로 증권신고서에 나와있는데, 물품 및 지분 등 계획?
- MOU 맺을 사항에 대해 기재했고 지상방산 무기체계들에 대해 협의를 진행.
Q. 굳이 투자기간이 길다면 유상증자를 큰 규모로 해야되는지?
- 상당 부분이 25~28년에 집중되어 있음. 3년 후부터 매출과 이익으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 자본성 조달은 고심을 많이 했지만 시장 지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진행하고자 함.
Q. 이번 결정으로 라인메탈과 시총 차이가 더 나지 않을지?
- 재무 안전성을 가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유럽 재무장 등의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음.
Q. 투자가 예상대비 빨라질 수 있는지?
- 투자 중 M&A도 있고 현지 파트너에 대한 지분 및 JV 등 내용이 있음.
- 무기수요 자체가 급성장하고 있고 혀지화 수요 트렌드를 고려할 때 빠른시일 내 투자가 이뤄질 수 있음.
Q. 조선 8,000억에 오스탈 인수도 포함?
- 일부 들어가 있음.
Q. 향후 현금은?
- 현금흐름과 함께 자본성 조달도 투자를 같이 할 것.
Q. 구체적인 JV?
- 숏리스트 형태가 아닌 확정된 파트너와 입장을 좁혀가는 과정.
Q. 핵심 기자재들도 사전 협의가 있었는지?
- 현지화 체계 외 직수출도 같이 진행. 현지 로컬 룰을 맞추는 과정
- 현지화한다고 해서 직수출 수요가 줄지는 않음.
- 해외투자를 하면서 로컬 룰이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투자를 할 것.
Q. 현재 CAPEX로 유럽 재무장 관련 잠재 리스크 해소?
- 10년 이상의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해소하려고 하는 것.
Q. 장기적인 지배구조 그림?
- 방산, 조선, 우주 카테고리 내에서 지속 투자를 하는 그림.
Q. 장기 매출 내 해외 비중?
- 해외 매출도 향후 3개년 집중적으로 하고 해외 매출이 본격 발생할텐데, 해외 매출이 넘어서는 시점은 그 이후가 될 것.
- 35년 30조 지상방산, 20조 해양방산, 20조 그 외 전망.
[결론]
- 투자 방향성에 대해 동의하고 사업적으로 EU 재무장에서 수혜를 볼 수 있도록 사업을 가장 빠르고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또한 중동 및 유럽에 대한 구체적으로 지정된 파트너와의 투자 혹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러나 규모, 방식, 시점 등 에쿼티 관점에서는 최악의 선택을 한 것으로 보임. 최대주주가 회사를 하나의 단위가 아니라 그룹 단위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EU 증설 별거 아니고 당분간 수혜받을 수밖에 없다는 과도한 긍정논리를 경계하고 빠른 생산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방식으로 나온다는 점이 아쉬움. 다만, 한화그룹에 대한 이러한 리스크들을 인지한 상태에서 투자했던 부분이기에 이번 결정에 대해 아쉬움은 있어도 크게 후회가 있지는 않음.
[주요 투자]
#지상방산
- 방위비 확대 추세. 글로벌 방위비 수요 증가에 따라 K9외 다른 무기체계 역시 핵심 제품으로 육성할 것.
- 최근 무기 도입 시 현지 생산을 통한 협력 모델을 선호하고 있음. 동사는 현지 생산시설 직접 투자 및 JV 등의 거점 호가보를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 동유럽 및 중동 국가들과 파트너십을 활발히 논의 중.
- 현재 라인메탈과 비교했을 때 동사 이익은 80% 수준이나 시가총액은 40% 언더. 이는 생산 거점 격차에 따른 글로벌 방위 수혜 차이로 인식. 이에 해외 방산 투자로 글로벌 거점을 확보하고자 함. 유럽, 중동, 북아프리카 등을 전략 거점으로 검토하고 있고 공장, JV, 투자 등을 고려하고 있음.
- 무기체계 뿐 아니라 155mm 장약 확대를 위한 생산 확대 및 원가 경쟁력 개선을 진행할 것.
#조선
- 지상방산 뿐 아니라 글로벌 해양방산 및 조선해양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조선 거점 확보를 적극 추진.
- 미 의회 발의된 조선업 강화법 등으로 틀이 마련되고 있고 트럼프를 비롯해 한국 조선업 역량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
-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옥포, 필리, 싱가폴 조선소를 연계한 멀티야드 전략을 시행하고 있고 호주 오스탈 인수를 통해 글로벌 해양 방산 수요에 대응할 것. 해군함정 신조 및 MRO 역량을 확보할 것.
#무인기
- 항공엔진 및 부품 역량을 통해 독자적인 무인기 엔진을 확보하고 글로벌 업체 협력을 확대할 것.
- 자체적인 엔진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진행할 것.
[Q&A]
Q. 해외 방산 1.6조 투자에 대해 해외 생산거점 및 지분투자를 얘기하는데, 과거 호주 공장 투자 규모? 해외 지분투자는?
- 호주 공장 당시 2,000억 진행.
- 해외 투자는 중동 및 유럽에서 다양한 형태로 계획. 그 형태가 직접 투자가 될 수도 있고 지분 혹은 JV 모두 가능. 아직 파트너들과 구체적인 논의를 하는 중. 투자 건들이 마무리되면 적극적으로 소통할 것.
Q. 투자 확정된게 어느정도?
- 당사 진행 투자 건들이 여러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어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는 없음. 다만 중동 및 유럽 파트너들과 구체적 논의 진행 중.
- 전일 유럽 방위 계획을 발표한 바와 같이 현지화 투자에 나선 당위성을 강화하고 있음. 그런 부분에서 디테일이 나오고 가시성이 생기면 시장과 소통할 것.
Q. 사우디 협력이 구체적으로 증권신고서에 나와있는데, 물품 및 지분 등 계획?
- MOU 맺을 사항에 대해 기재했고 지상방산 무기체계들에 대해 협의를 진행.
Q. 굳이 투자기간이 길다면 유상증자를 큰 규모로 해야되는지?
- 상당 부분이 25~28년에 집중되어 있음. 3년 후부터 매출과 이익으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 자본성 조달은 고심을 많이 했지만 시장 지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진행하고자 함.
Q. 이번 결정으로 라인메탈과 시총 차이가 더 나지 않을지?
- 재무 안전성을 가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유럽 재무장 등의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음.
Q. 투자가 예상대비 빨라질 수 있는지?
- 투자 중 M&A도 있고 현지 파트너에 대한 지분 및 JV 등 내용이 있음.
- 무기수요 자체가 급성장하고 있고 혀지화 수요 트렌드를 고려할 때 빠른시일 내 투자가 이뤄질 수 있음.
Q. 조선 8,000억에 오스탈 인수도 포함?
- 일부 들어가 있음.
Q. 향후 현금은?
- 현금흐름과 함께 자본성 조달도 투자를 같이 할 것.
Q. 구체적인 JV?
- 숏리스트 형태가 아닌 확정된 파트너와 입장을 좁혀가는 과정.
Q. 핵심 기자재들도 사전 협의가 있었는지?
- 현지화 체계 외 직수출도 같이 진행. 현지 로컬 룰을 맞추는 과정
- 현지화한다고 해서 직수출 수요가 줄지는 않음.
- 해외투자를 하면서 로컬 룰이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투자를 할 것.
Q. 현재 CAPEX로 유럽 재무장 관련 잠재 리스크 해소?
- 10년 이상의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해소하려고 하는 것.
Q. 장기적인 지배구조 그림?
- 방산, 조선, 우주 카테고리 내에서 지속 투자를 하는 그림.
Q. 장기 매출 내 해외 비중?
- 해외 매출도 향후 3개년 집중적으로 하고 해외 매출이 본격 발생할텐데, 해외 매출이 넘어서는 시점은 그 이후가 될 것.
- 35년 30조 지상방산, 20조 해양방산, 20조 그 외 전망.
👍3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