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은 뇌를뽑아가지
엠앤씨솔루션이 내일 실발기대감도 잇고 방산에서 신규상장에 유통물량 적어서 실적만 잘 나온다면 하이젠알앤엠처럼 랠리가 나올수도있지않을까 싶습니다
#엠앤씨솔루션
언급한 바와 같이 K2, K9, 레드백, FA-50 등등 주요 무기체계 모두 들어감.
현대로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마진으로 K2, K9 등에 대한 실적을 보여줌
무기체계 마진이 상당했기 때문에 부품 업체 역시 기대감 가능.
25년 K2 2차, L-SAM 수출에 따른 수출 파이프라인 확대>CAGR 성장 추이 유지
신규주+적은 유통물량
언급한 바와 같이 K2, K9, 레드백, FA-50 등등 주요 무기체계 모두 들어감.
현대로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마진으로 K2, K9 등에 대한 실적을 보여줌
무기체계 마진이 상당했기 때문에 부품 업체 역시 기대감 가능.
25년 K2 2차, L-SAM 수출에 따른 수출 파이프라인 확대>CAGR 성장 추이 유지
신규주+적은 유통물량
👍36
#조선 #방산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12_0003061831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나 미국과 상호 방위조약을 맺은 인도태평양 국가들에서 미 해군 함정을 건조하거나 부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비용을 줄이고 건조 시간을 단축해 해군 역량과 전략적 수요 사이 격차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함정 건조가 가능한 인도태평양 동맹국은 한국과 일본 정도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12_0003061831
뉴시스
美상원 동맹국서 해군 선박 부품 건조 허용 법안 발의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조선 협력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가운데, 미국 해군 함정 건조와 부품 조달을 한국 등 동맹국에서 가능하도록 허용하려는 움직임이 미국 정치권에서 진행 중이다. 11일(현지 시간) 미 의회에 따르면 마이크 리(공화·유타)·존 커티스(공화·유타) 상원의원은 지난 5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
👍16💯5
#LNG #전력
2010년대 말부터 LNG 수요는 전력수요가 난방수요를 역전해 상당한 격차를 보여주고 있음
큰 흐름의 트렌드는 지엽적으로 보기보단 흐름과 추세가 유지되고 있는지 느끼는 것이 중요. 무거운 주식들의 공통점.
https://m.blog.naver.com/groom_ym/223758024620
2010년대 말부터 LNG 수요는 전력수요가 난방수요를 역전해 상당한 격차를 보여주고 있음
큰 흐름의 트렌드는 지엽적으로 보기보단 흐름과 추세가 유지되고 있는지 느끼는 것이 중요. 무거운 주식들의 공통점.
https://m.blog.naver.com/groom_ym/223758024620
NAVER
정해진 미래, 미국의 LNG수출
딥시크 사태이후로 많은 것이 변화하고 있지만, 현재 정해진 미래라고 볼 수 있는 미국의 LNG수출에 대...
👍24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방산, 조선, 테크, 밸류업, 전력, 엔터, 바이오
- 상대강도: 전력, 조선, 방산, 우주항공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 방산, 밸류업, 엔터/미디어, 삼양식품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방산, 조선, 전력
- 특이적인 유동성: 제이앤티씨, 이마트, 올릭스, 레인보우로보틱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4Q24 방산 일회성 없고 25년 물량 땡겨온 것 아님. 환 영향 10% 언더. 즉, 마진이 우호적으로 형성되며 물량 증가한 수준으로 이익이 확대된 결과.
- 25년 전체 수출 물량은 24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마진은 호주와 이집트 등 상대적 저마진 해외 물량 반영에도 불구하고 현재 수준 유지 가능. 즉, 전체 매출액 상승만큼 이익 상승이 가능. 현재 동사는 방산 기준 YoY+20% 이상 제시. 25년 실적은 계절성이 희석될 예정이기에 상대적으로 고른 실적 레벨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방산 수출 비중도 지속 확대 유지. 결과적으로 25E OP 2조 초반 이상은 무난해보임.
- 현재 조기 인도 관련된 특별한 업데이트는 없고 계획된 일정대로 물량 납품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25년까지 폴란드 1차 물량이 반영됨. 또한 한화오션 인수 관련해 자본조달 계획은 크게 없고 나머지 지분 추가 인수 역시 현재 계획 없음.
- 2Q24~4Q24 F/U 하면서 지속적으로 추정이 잘못되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1) 4Q24의 경우 괴리가 큰 부분은 이집트 개발 매출 반영, 호주, 노르웨이 등의 해외 매출 반영이 있었다는 것, 2) 탄 관련 이슈 2가지라고 생각. 탄의 경우 1) 해외 어닝콜에서 탄 쇼티지 및 탄 매출 비중이 크게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있고, 2) 동사 역시 3Q24 시설투자 공시를 하고 해외 기타 매출을 제외했을 때에도 숫자가 좀 괴리가 나온다는 점에서 해당 부분을 탄이 차지하고 있고 물량 때문에 시설투자 공시를 한 것 아닌가 생각. 마진 역시 기본적으로 꽤 높아보여 해외 업체 어닝콜을 통해 지속 F/U를 해봐야 한다고 생각. 탄이 25년에는 중요한 화두가 될 수 있을 듯.
#LSELECTRIC
- 자료참고: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2083400003?input=1195m
- xAI, 버티브, 아마존, 에퀴닉스 등 글로벌 빅테크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AI데이터센터 전력 배전 업체.
- 미국 리쇼어링이 전력 수요 폭발로 이어질 것이며 미국 시장에서 더 큰 성과를 낼 것이라는 대표의 인터뷰.
#이수페타시스
- 실적 쇼크설이 돌았으나 결국 부합하며 리스크 해소.
- 25년 주요 고객사별 사업 현황을 보면 무난하게 잘 진행되고 있고 범용 GPU 및 ASIC 관련 빅테크들과 지속적으로 사업 확대 진행 중.
- 데이터센터 업스케일링을 위한 네트워크 가속기 역시 우호적 상황. 이는 해외 Peer의 어닝콜 내용과 일치.
#덕산네오룩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2900985
- 예상한대로 실적은 서프라이즈. 중국 관련 모바일 수요가 살아나는 최근 모습에 맞는 우호적인 실적.
- 실적은 25년 신규 패널 및 소재 등으로 QoQ로 증익이 안정적으로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2Q25 동사 모멘텀이 될 부분이 몰려있는 것으로 보임.
#LNG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16
- 전력수요가 난방수요를 역전한지 오래. 흐름과 추세를 느끼는 것이 중요.
- 미국이 하고자 하고 한국이 잘 도와줄 수 있는 것에 집중.
#조선
- 개인적으로 오늘 동맹국 함정 건조 관련 발의 뉴스는 현실화될 시(물론 그 시장을 한국이 모두 먹지 못하겠지만) 상선 시장 하나가 열리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함.
-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특수선 야드를 확보하고 있거나 증설하고 있어 수혜가 가능하며 HJ중공업의 경우에도 라이선스의 이슈이지 레퍼런스는 훌륭하기 때문에 수혜가 가능. 다만, 관련 이슈로 상관 없는 업체들이 급등하는 것은 옥석가리기가 필요해보임.
#테크
- 미디어텍, 마이크론 등 글로벌 테크들이 이구환신 수요를 강하게 느끼는 중으로 보이며 국내 업체 역시 가동률이 급증하는 등 모바일 수요로 인한 기존 재고 소화 간접 확인 가능. 특히 이구환신 수혜가 중국 로컬 업체에 집중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관련된 내용도 지속적으로 관심.
- 마이크론은 봄 시즌까지 PC와 모바일 관련 재고가 건강한 수준까지 진정될 것으로 전망했으녀 데이터센터 D램은 여전히 강세를 보인다고 언급.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방산, 조선, 테크, 밸류업, 전력, 엔터, 바이오
- 상대강도: 전력, 조선, 방산, 우주항공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 방산, 밸류업, 엔터/미디어, 삼양식품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방산, 조선, 전력
- 특이적인 유동성: 제이앤티씨, 이마트, 올릭스, 레인보우로보틱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4Q24 방산 일회성 없고 25년 물량 땡겨온 것 아님. 환 영향 10% 언더. 즉, 마진이 우호적으로 형성되며 물량 증가한 수준으로 이익이 확대된 결과.
- 25년 전체 수출 물량은 24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마진은 호주와 이집트 등 상대적 저마진 해외 물량 반영에도 불구하고 현재 수준 유지 가능. 즉, 전체 매출액 상승만큼 이익 상승이 가능. 현재 동사는 방산 기준 YoY+20% 이상 제시. 25년 실적은 계절성이 희석될 예정이기에 상대적으로 고른 실적 레벨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방산 수출 비중도 지속 확대 유지. 결과적으로 25E OP 2조 초반 이상은 무난해보임.
- 현재 조기 인도 관련된 특별한 업데이트는 없고 계획된 일정대로 물량 납품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25년까지 폴란드 1차 물량이 반영됨. 또한 한화오션 인수 관련해 자본조달 계획은 크게 없고 나머지 지분 추가 인수 역시 현재 계획 없음.
- 2Q24~4Q24 F/U 하면서 지속적으로 추정이 잘못되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1) 4Q24의 경우 괴리가 큰 부분은 이집트 개발 매출 반영, 호주, 노르웨이 등의 해외 매출 반영이 있었다는 것, 2) 탄 관련 이슈 2가지라고 생각. 탄의 경우 1) 해외 어닝콜에서 탄 쇼티지 및 탄 매출 비중이 크게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있고, 2) 동사 역시 3Q24 시설투자 공시를 하고 해외 기타 매출을 제외했을 때에도 숫자가 좀 괴리가 나온다는 점에서 해당 부분을 탄이 차지하고 있고 물량 때문에 시설투자 공시를 한 것 아닌가 생각. 마진 역시 기본적으로 꽤 높아보여 해외 업체 어닝콜을 통해 지속 F/U를 해봐야 한다고 생각. 탄이 25년에는 중요한 화두가 될 수 있을 듯.
#LSELECTRIC
- 자료참고: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2083400003?input=1195m
- xAI, 버티브, 아마존, 에퀴닉스 등 글로벌 빅테크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AI데이터센터 전력 배전 업체.
- 미국 리쇼어링이 전력 수요 폭발로 이어질 것이며 미국 시장에서 더 큰 성과를 낼 것이라는 대표의 인터뷰.
#이수페타시스
- 실적 쇼크설이 돌았으나 결국 부합하며 리스크 해소.
- 25년 주요 고객사별 사업 현황을 보면 무난하게 잘 진행되고 있고 범용 GPU 및 ASIC 관련 빅테크들과 지속적으로 사업 확대 진행 중.
- 데이터센터 업스케일링을 위한 네트워크 가속기 역시 우호적 상황. 이는 해외 Peer의 어닝콜 내용과 일치.
#덕산네오룩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2900985
- 예상한대로 실적은 서프라이즈. 중국 관련 모바일 수요가 살아나는 최근 모습에 맞는 우호적인 실적.
- 실적은 25년 신규 패널 및 소재 등으로 QoQ로 증익이 안정적으로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2Q25 동사 모멘텀이 될 부분이 몰려있는 것으로 보임.
#LNG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16
- 전력수요가 난방수요를 역전한지 오래. 흐름과 추세를 느끼는 것이 중요.
- 미국이 하고자 하고 한국이 잘 도와줄 수 있는 것에 집중.
#조선
- 개인적으로 오늘 동맹국 함정 건조 관련 발의 뉴스는 현실화될 시(물론 그 시장을 한국이 모두 먹지 못하겠지만) 상선 시장 하나가 열리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함.
-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특수선 야드를 확보하고 있거나 증설하고 있어 수혜가 가능하며 HJ중공업의 경우에도 라이선스의 이슈이지 레퍼런스는 훌륭하기 때문에 수혜가 가능. 다만, 관련 이슈로 상관 없는 업체들이 급등하는 것은 옥석가리기가 필요해보임.
#테크
- 미디어텍, 마이크론 등 글로벌 테크들이 이구환신 수요를 강하게 느끼는 중으로 보이며 국내 업체 역시 가동률이 급증하는 등 모바일 수요로 인한 기존 재고 소화 간접 확인 가능. 특히 이구환신 수혜가 중국 로컬 업체에 집중되고 있어 중국 모바일 관련된 내용도 지속적으로 관심.
- 마이크론은 봄 시즌까지 PC와 모바일 관련 재고가 건강한 수준까지 진정될 것으로 전망했으녀 데이터센터 D램은 여전히 강세를 보인다고 언급.
👍65💯14😁5🫡2
Forwarded from PLUS ETF 리서치룸
중동은 LIG넥스원의 천궁II 수주가 다수 발생한 지역으로 1) LIG넥스원과 한화가 합작한 차세대 지대공 유도무기 L-SAM 양산에 따른 관련 중동 계약 논의 여부, 2) 엔진과 파워팩을 STX엔진, SNT다이내믹스를 통해 국산화한 K2전차와 K9자주포의 중동 수주 여부(중동 노후 전차 교체 시기 도래) 이 두 가지가 중동에서 나올 수 있는 수주 내용입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8
PLUS ETF 리서치룸
폭탄제조실에서 만든 한화자산운용 ETF 방산 내용 확인들~
👍31😁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조선/LNG, 바이오, 방산, 밸류업, 엔터
- 상대강도: 자동차, 2차전지, 테크, 전력, 조선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 전력, 테크, 밸류업, 건설기계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테크, 조선
- 특이적인 유동성: HD현대인프라코어, 레드캡투어, 덕산네오룩스, 제이앤티씨
#레드캡투어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3900270
- 비과세 배당 22% 폭탄. 기준일 25.03.12
- 비과세 배당 재원 480억 중 약 330억을 한번에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향후 배당 유지는 어렵겠으나, 고배당 기조+안정적 실적 띰.
- 이 배당은 시세 차익뿐 아니라 22%라는 점에서 관심있게 봐야할 것.
#바이오플러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3900710
- 4Q24 실적은 이미 이전에 소통한 바와 같이 사업 구조 변경으로 이익이 크게 올라오는 것으로 소통. 해당 부분이 컨센에 반영되어 있었으나 실적 서프는 1) 예상보다 매출액이 높았고, 2) 일회성도 있는 것으로 보임.
- ODM>직판 사업구조 변경이 OPM에 주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25년부터는 꾸준한 월평균 매출을 보여주면서 마진 올라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할 것. 다만, 지금까지는 잘 안믿어줬는데 이번 실적으로 믿어줄 구석이 생긴 듯.
- 음성공장은 2월 사용 승인 후 25.08~09월 내 의료기기 및 의약품 GMP 승인 계획. 중국도 조만간 GMP 관련 업데이트 기대.
- 25년 숫자가 공격적으로 보이긴했는데, 현재 수준의 월매출과 마진이 유지된다고 하면 다시 생각해볼수도.
#인포바인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3001328
- 자사주 3개월 간 100만주(시총 대비 10%) 매입하겠다고 공시. 25.01월에도 102만주 매입한 것에 이어 다시 100만주 매입 진행.
#디엔에이링크
- 자료참고: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3210
- 호주 희토류 생산기업 아이오닉이 동사와 희토류 영구자석 재활용 및 희토류산화물 공급 등을 협력하는 MOU 체결. 이를 통해 중국이 독과점하고 있는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 중국이 독과점하고 있는 희토류는 지속적으로 중국의 있을 것이기에 지속적으로 화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1) 희토류 대체, 2) 비중국 희토류 2가지에 관심을 계속 가질 필요 있을 것.
#이수페타시스
- 4Q24 매출액 2,261억, 영업이익 278억 기록. 이로히성을 제외하면 300억대 이익 기록한 수준.
- 고부가가치 고다층 MLB 수요가 매우 높은 상황으로 보임. 분기 수주액이 1Q24 1,563억>4Q24 2,268억으로 급증. 현재 동사 설비 규모를 고려할 때 2,000억이 넘는 수주는 증설 필요성이 매우 높은 상황. 실제 동사는 이번 실적 발표 및 소통을 통해 1Q25 투자금액을 800억> 1,500억으로 상향조정함.
- 25년 네트워크 스위치 매출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1Q24 북미 빅테크 내 네트워크 비중 19%>4Q24 63% 급증한 것은 AI 가속기 수가 늘어나면서 네트워크 기술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
- 빅테크의 AI CAPEX가 계속 상향되고 있고 국가 주도 AI 투자 프로젝트가 공식화되는 상황. 글로벌 네트워크 Peer 역시 유의미한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주가 신고가 레벨이라는 점도 긍정적.
#테크
- 자료참고: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2/13/IEQ672BYDRDRHBZPKDOHLK44CE/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43255?sid=101
- 삼성파운드리 가동률 높인다는 내용과 함께 관련 우호적인 뉴스들 계속 나오는 중.
#종전 #방산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45740
- 종전도 힘의 논리로 진행되는 중. 트럼프도 트루소셜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음.
- 다만, 현재 국내방위산업은 종전 이슈로 빠질 건 아니기 때문에 이것으로 빠진다면 기회 관점.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조선/LNG, 바이오, 방산, 밸류업, 엔터
- 상대강도: 자동차, 2차전지, 테크, 전력, 조선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 전력, 테크, 밸류업, 건설기계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테크, 조선
- 특이적인 유동성: HD현대인프라코어, 레드캡투어, 덕산네오룩스, 제이앤티씨
#레드캡투어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3900270
- 비과세 배당 22% 폭탄. 기준일 25.03.12
- 비과세 배당 재원 480억 중 약 330억을 한번에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향후 배당 유지는 어렵겠으나, 고배당 기조+안정적 실적 띰.
- 이 배당은 시세 차익뿐 아니라 22%라는 점에서 관심있게 봐야할 것.
#바이오플러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3900710
- 4Q24 실적은 이미 이전에 소통한 바와 같이 사업 구조 변경으로 이익이 크게 올라오는 것으로 소통. 해당 부분이 컨센에 반영되어 있었으나 실적 서프는 1) 예상보다 매출액이 높았고, 2) 일회성도 있는 것으로 보임.
- ODM>직판 사업구조 변경이 OPM에 주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25년부터는 꾸준한 월평균 매출을 보여주면서 마진 올라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할 것. 다만, 지금까지는 잘 안믿어줬는데 이번 실적으로 믿어줄 구석이 생긴 듯.
- 음성공장은 2월 사용 승인 후 25.08~09월 내 의료기기 및 의약품 GMP 승인 계획. 중국도 조만간 GMP 관련 업데이트 기대.
- 25년 숫자가 공격적으로 보이긴했는데, 현재 수준의 월매출과 마진이 유지된다고 하면 다시 생각해볼수도.
#인포바인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3001328
- 자사주 3개월 간 100만주(시총 대비 10%) 매입하겠다고 공시. 25.01월에도 102만주 매입한 것에 이어 다시 100만주 매입 진행.
#디엔에이링크
- 자료참고: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3210
- 호주 희토류 생산기업 아이오닉이 동사와 희토류 영구자석 재활용 및 희토류산화물 공급 등을 협력하는 MOU 체결. 이를 통해 중국이 독과점하고 있는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고자 함.
- 중국이 독과점하고 있는 희토류는 지속적으로 중국의 있을 것이기에 지속적으로 화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1) 희토류 대체, 2) 비중국 희토류 2가지에 관심을 계속 가질 필요 있을 것.
#이수페타시스
- 4Q24 매출액 2,261억, 영업이익 278억 기록. 이로히성을 제외하면 300억대 이익 기록한 수준.
- 고부가가치 고다층 MLB 수요가 매우 높은 상황으로 보임. 분기 수주액이 1Q24 1,563억>4Q24 2,268억으로 급증. 현재 동사 설비 규모를 고려할 때 2,000억이 넘는 수주는 증설 필요성이 매우 높은 상황. 실제 동사는 이번 실적 발표 및 소통을 통해 1Q25 투자금액을 800억> 1,500억으로 상향조정함.
- 25년 네트워크 스위치 매출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1Q24 북미 빅테크 내 네트워크 비중 19%>4Q24 63% 급증한 것은 AI 가속기 수가 늘어나면서 네트워크 기술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
- 빅테크의 AI CAPEX가 계속 상향되고 있고 국가 주도 AI 투자 프로젝트가 공식화되는 상황. 글로벌 네트워크 Peer 역시 유의미한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주가 신고가 레벨이라는 점도 긍정적.
#테크
- 자료참고: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2/13/IEQ672BYDRDRHBZPKDOHLK44CE/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43255?sid=101
- 삼성파운드리 가동률 높인다는 내용과 함께 관련 우호적인 뉴스들 계속 나오는 중.
#종전 #방산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45740
- 종전도 힘의 논리로 진행되는 중. 트럼프도 트루소셜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음.
- 다만, 현재 국내방위산업은 종전 이슈로 빠질 건 아니기 때문에 이것으로 빠진다면 기회 관점.
👍41💯6😁2
投資, 아레테
관세는 너무 나이브하게 생각만 안하면 좋을 것 같읍니다.
#관세 #맞춤형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44712i
그는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맞춤형으로 책정할 것이며 국가별 관세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불공정하고 차별적인 세금 또는 역외의 세금"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또 "관세 장벽, 비관세 장벽, 보조금과 부담스러운 규제 요건을 포함해 불공정하거나 해로운 조처, 정책이나 관행 때문에 미국 기업과 노동자, 소비자에 초래하는 비용"도 평가 대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환율 정책,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불공정하다고 판단한 다른 기타 관행도 상호관세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인이 된다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다.
그는 상호관세 부과 시점에 대해 "매우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면서 "수주나 수개월보다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들이 미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냐는 질문에는 "우리가 바라는 것은 기존 구조 때문에 교역 환경이 얼마나 불균형한지에 대해 세계 국가들과 대화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은 각 나라들이 관세를 내리고 싶다면 관세를 내리겠다는 의향이 충분하다(more than happy)"고 답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44712i
한국경제
[속보]트럼프 상호관세 '맞춤형 부과'...백악관 "韓 같은 동맹도 우리 이용"
[속보]트럼프 상호관세 '맞춤형 부과'...백악관 "韓 같은 동맹도 우리 이용", 이상은 기자, 국제
👍17✍1
#SK하이닉스 #HBM #M15X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4/2025021400079.html
SK하이닉스가 다음달 청주 M15X 팹(Fab)에 가동 준비 엔지니어를 본격 투입한다. M15X는 오는 4분기 가동을 목표로 세팅에 속도를 내고 있다.
14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다음주 중 내부적으로 M15X 파견 인력 규모를 확정짓고 다음달 초 해당 인력들이 출근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4/2025021400079.html
뉴데일리
[단독] SK하이닉스, 청주 신규 공장 인력 본격 배치 … HBM 특수 극대화
SK하이닉스가 다음달 청주 M15X 팹(Fab)에 가동 준비 엔지니어를 본격 투입한다. M15X는 오는 4분기 가동을 목표로 세팅에 속도를 내고 있다.14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다음주 중 내부적으로 M15X 파견 인력 규모를 확정짓고 다음달 초 해당 인력들이 출근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앞서 지난해 하반기 SK하이닉스는 M15X에 차출할 인력 규모와 담당자 선정 등을 두고 내부 의견 수렴에도 나섰다. 이후 차출 지원자를 선정하는 ...
😁11🫡5👍2
#수출데이터 1월 확정치
- 파마리서치: YoY+330%, MoM-11%. 영업일이 15% 감소한 것을 고려할 시 우수한 수준이며 수출단가는 개선.
- 삼양식품: YoY+39%, MoM-5%. 수출단가는 환율 고려 시 ATH. 지속적으로 글로벌 및 품목 Mix가 좋아지면서 단가 및 물량 확대 중.
- 일진전기: 전체 데이터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변압기는 ATH 기록.
- 대웅제약: 전체 데이터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수출단가도 최고 수준 유지 중.
- 리노공업: 소켓 데이터 24.10월 이후 지속적으로 우상향 중.
- 티앤엘: 잠정치에서도 이미 나왔지만 높은 ATH 기록.
-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대로템: 잠정치에서도 이미 나왔지만 폴란드향 수출 중심으로 견조한 수출데이터.
- 파마리서치: YoY+330%, MoM-11%. 영업일이 15% 감소한 것을 고려할 시 우수한 수준이며 수출단가는 개선.
- 삼양식품: YoY+39%, MoM-5%. 수출단가는 환율 고려 시 ATH. 지속적으로 글로벌 및 품목 Mix가 좋아지면서 단가 및 물량 확대 중.
- 일진전기: 전체 데이터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변압기는 ATH 기록.
- 대웅제약: 전체 데이터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수출단가도 최고 수준 유지 중.
- 리노공업: 소켓 데이터 24.10월 이후 지속적으로 우상향 중.
- 티앤엘: 잠정치에서도 이미 나왔지만 높은 ATH 기록.
-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대로템: 잠정치에서도 이미 나왔지만 폴란드향 수출 중심으로 견조한 수출데이터.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