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3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69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서화백의 그림놀이 🚀
개새끼야
제가 서화백님보다는 고백받은 횟수가 더 많네요 ^^
😁8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조선/LNG, 바이오, 화장품/미용, 방산, 2차전지
- 상대강도: 자동차, 2차전지, 테크, 화장품, 조선
- 신고가(60일 기준): 테크, 바이오, 조선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테크, 화장품, 조선, 2차전지
- 특이적인 유동성: 덕산네오룩스

#덕산네오룩스
- 자료참고: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2201
- 26년 출시할 갤럭시S26 울트라에 CoE를 적용할 계획으로 보도. CoE는 OLED 평관판을 컬러필터로 대체하고 일반 PDL을 블랙PDL로 바꾼 기술.
- 해당 뉴스에서 볼 인사이트는 26년이 블랙PDL이 바타입으로 확대되는 원년이 될 수 있다는 점.

#방산
- 자료참고: https://v.daum.net/v/20250108174737052?from=newsbot&botref=KN&botevent=e
- 폴란드가 계엄을 기점으로 방한을 무기한 보류해서 폴란드 2차 수출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 일단 단독이라는 점.
- 우선 1) 24.10월에 폴란드가 방한을 했었는데 24.12월에 추가 방한에 대한 계획을 급하게 다시 세웠다는 부분은 맞지 않는 부분으로 생각함. 2) 폴란드 언론에서도 해당 내용이 크게 보이지 않으며 . 3) 현재 협상은 현지 생산에 대한 부분과 기술이전 등 기술적인 부분 및 가격 부분에 대한 협의가 진행 중임. 4) 책임자가 없다는 것은 여당에서 인사 요청을 해놓은 상태.
- 오히려 최근에는 폴란드 언론이 한국 언론을 보고 후행해서 쓰는 기사가 증가한만큼 해당 내용은 노이즈로 퍼질 것으로 전망됨. 정치적 리스크로 인한 계약 이슈들의 경우 가시적으로 세부 협의가 남은 부분들이 훨씬 더 중요할 것으로 생각.
- 현재 수준의 단계는 계엄으로 인해 협상이 파기되는 단계는 넘어선 수준. 과거 정치 리스크로 계약이 뒤집히던 케이스는 1) 적대국으로 인식되는 두 국가의 무기체계를 혼용하면서 생기는 정보 유출, 2) 혁명으로 정부가 점거당한 경우, 3) 한 국가가 다른 2개 국가와 모두 계약을 맺어서 발생하는 마찰 등이 있음. 해당 리스크들과 현재 상황은 경우가 다르다고 생각.
- 계약 파기 시 폴란드의 리스크가 더 클 것으로 보이고 해당 뉴스는 중간 노이즈 제기하는 뉴스인데 계엄이 발생해서 계엄과 연결시키는 것으로 보임.

#조선
- 자료참고: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8068700071?input=1195m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33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35
- 1) 트럼프가 시추 할거라고 하고 2) 탱커 발주 증가할 수 있는 내용들이 있고 3) 산업부 장관이 미국 가서 조선업 협력 협의한다고 함.
💯14👍7❤‍🔥4
投資, 아레테

#경동나비엔
- 3Q24 매출액 3,227억, 영업이익 368억 기록하며 컨센 상회. 동사 해외 매출은 비중은 70% 수준으로, 3Q 환율이 하락했음에도 매출이 증가했다는 것은 판매 물량(Q)의 확대로 매출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
- 순이익의 경우 1) 환율 관련 일회성, 2) 기타비용 등으로 추정되는데, 환율 하락으로 인한 영업외 평가손실로 인한 순이익 감소분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통해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비용 측면에서 운임비 하락에 따른 물류비 감소와 함께 물량 개선으로 인한 개선도 존재할 것. 4Q24 QoQ 평균 운임비용이 하락한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기대할 만한 요소로 작용 가능.
- 시장 노이즈가 많았지만, 수출데이터가 월별 실적과 연관이 있다기보다 연간 방향성을 바라보는게 맞다는 것이 이번에도 입증되었음. 1) 4Q 성수기, 2) HVAC 첫 성수기 시즌 도래, 3) 환율 상승 및 운임비 감소에 따른 수혜 등 우호적인 부분이 존재하며 25E 기준 매력적인 밸류. 장기적으로도 DOE 정책으로 인해 동사 제품 사용 니즈가 필연적으로 증가.
- 19년 당시에 중국 보일러 사업으로 20배 받았었고 19~23년 5년 평균 P/E 13배 수준이니 현재 주가는 부담없는 듯. 신사업 성공하면 멀티플 확장.
띵~동 나비!엔~
👍10
Forwarded from 전자공시생 X 29PER (범송공자)
👍8
전자공시생 X 29PER
Photo
#방산
결국 방산은 풍문은 참지 않아~
네요
👍11🫡2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실적 예상치 상회와 TP상향을 참지 않아~
👍1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조선/LNG, 바이오, 화장품/미용, 전력, 밸류업, 방산, 자동차, 유리기판, 로봇, 테크
- 상대강도: 바이오, 2차전지, 화장품/미용, 음식료, 전력, 조선/LNG, 우주항공, 유리기판, 로봇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LNG, 전력, 유리기판, 로봇, 바이오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조선/LNG, 화장품/미용, 전력, 유리기판, 로봇
- 특이적인 유동성: 에스오에스랩, 감성코퍼레이션

#제닉
- 자료참고: https://t.me/WoosanXNNN/95
- 바이오던스 미국 선적 데이터가 놀라울 정도의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음.
- 트래픽 ATH 유지하는 가운데, 코스트코 오프라인을 시작으로 얼타, 타겟, 세포라 등으로 입점 확대되고 있는 Phase 2 단계.
- 의외로 마스크팩에서 겔패드 등으로 제품이 확장되고 있음(출시 당일 올영 전체 1위).

#SNT에너지
- 12.23일 BECHTEL과 약 719억 규모의 에어쿨러 공급계약 공시. 트럼프 2기를 맞아 미국 내 기존 펜딩되었던 LNG 프로젝트들이 재개되기 시작한 후 첫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25년 본격화될 미국 내 LNG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 가능.
- 23년 말부터 증가하고 있는 중동 LNG 프로젝트 지속과 더불어 신규 시장인 미국에서 급증하는 AI발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LNG 수요 가속화 기대. 미국에서 EU LNG 수입 압박을 지속하는 점 역시 추가 기대 요소.
- 최근 투경 지정으로 주가 변동성이 높지만 변동성을 조금씩 좁히고 있는 상황. 투경 해제 여부 최초판단일이 16일로 거래일 기준 5일 남음. 최근 AI와 관련한 인프라 및 에너지 등이 지속적으로 부각받고 있다는 점에서 투경 해제 전후 움직임 관심. 또한 20일이 트럼프 취임.

#HD현대일렉트릭
- 자료참고: https://kind.krx.co.kr/external/2025/01/09/000596/20250109001481/68809.htm
- 투경지정. AI 인프라 관련 및 실적시즌 도래에 따라 전력쪽 관심이 지속된다면 이외 종목들로 온기가 퍼질 수 있을지 관심.

#유한양행
- 렉라자 병용요법의 전체 생존기간 중간값이 1년 이산 개선이 예상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개선 진행.
-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개선이라는 표현이 상업화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국산 신약을 도입한 다국적 제약사가 이러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번이 최초.
- SC제형 CRL은 약효 이슈가 아닌 제조시설 점검 등의 이슈이며 주가에 어느정도 반영된 상황. 또한 24.12.31일 유럽 승인에 따른 마일스톤 440억 유입 등으로 호실적 가능.
- 지속 관심 가져볼 수 있는 제약/바이오 기업.

#방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38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40
- 코멘트 드린 바와 같이 현실성이 높지 않은 노이즈 기사라고 생각했고 방위사업청에서 엄중한 문구로 경고하는 보도 정정자료를 게시함. 이슈는 일단락.
- 업체들별로 실적 예상치 상회 및 수출 파이프라인 훼손 일단락 등의 이슈로 TP 레이즈 혹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일부 업체들의 경우 영업외 이슈로 손익 훼손이 발생 가능한 상황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매력도는 유지되는 상황.

#로봇
- 미국, 한국, 일본, 중국 등 글로벌리 시세가 나오고 있어서 띰 자체는 엄중한 건 맞는 듯.
- 한국에서 로봇 시세를 촉발시킨 대장주 레인보우로보틱스, 2~3등주로 인식될 수 있으나 휴머노이드 액츄에이터 관련해서 엣지를 보여주고 있는 하이젠알앤엠, 로보티즈 정도 관심.
- 레인보우로보틱스, 하이젠알앤엠, 로보티즈
👍27
#실적시즌 #실적 #서프라이즈 #모멘텀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실적 시즌이 도래함에 따라 최근 컨센서스가 형성되는 기업 중 추정치 상향이 이뤄지고 있어 실적 시즌에서 유리할 수 있는 모멘텀을 보유한 곳을 스크리닝했습니다.

- 현재까지 유의미한 모습을 보이는 곳은 HD현대(조선/변압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삼양식품, JYP, 펌텍코리아입니다.
👍262
꾸준히 증가하는 트렌드와 그란란드/아프리카를 제외한 전 지역을 아우르는 지역 관심도

#파마리서치
👍8
#수출데이터(10일치 기준)
- 초고압: 10일치 기준 미국향 데이터가 특이하게 튀었던 4Q24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수출데이터를 상회하는 데이터.
- 창상피복재: 데이터가 크게 튀면서 일평균 ATH. 미국과 독일 등 데이터도 같이 튀는 모습.
- 톡신: 10일치 기준 전체 및 미국향 일평균 기준 수출데이터 최고 수준.
- 엔진: 10일치 기준 기존 월별 대비 절반 이상 기록.
- 쿼츠: 일평균 데이터 크게 증가해서 ATH 수준.
- CCL: 일평균 기준 수출데이터 최고 수준 유지.
- 지혈제: 데이터 준수하게 나옴.
- 기초화장: 일본향 및 일평균 수출데이터 크게 튀는 모습.
- 열교환기: 역대급으로 튀었던 12월 이후에도 일평균, 10일치 데이터 모두 높은 수준 유지 중.
👍26
#대만 #테크
- TSMC 무난하게 잘 성장.
- Wiwynn은 글로벌 빅테크향 비중이 높고 현재 생산라인 최대로 가동 중. 4Q26부터 오픈AI ASIC AI서버 출하 시작 가능.
#천연가스 #변압기 #전력 #데이터센터 #AI
-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크게 증가하고 있음. 특히 미국에 주목. AI데이터센터는 높은 전력 밀도를 필요로 함. 기존 데이터센터의 전력 밀도는 4~6kW인 것 대비 CSP용은 10~14kW, AI는 20~40kW가 필요함. 최근 하이퍼스케일러들은 60kW 용량 확보를 목표하기 때문에 기존 데이터센터가 필요로 하는 전력 공급 대비 10배 이상 필요. 이에 전력 쇼티지가 심해질 수 있음.

- AI의 발달로 HPC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높은 전력이 요구되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함. 전력은 1년 내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태양광 및 풍력은 일정하지 않고 ESS저장장치를 필요로 함. 현실적인 대안은 천연가스. 트럼프는 천연가스 터미널 프로젝트를 부활시키고자 함. 유럽을 미국 에너지 의존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서도 천연가스는 효과적인 선택지.

- 실제 전망을 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수요에 대응해 천연가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석유의 M/S를 가져오고 있음.

- 전력의 경우 AI 서버 확장 과정에서 초고압 중심의 변압기 쇼티지 발생. 미국의 오래된 전력망과 전기차 태동, AI발전 등에 발전소가 잇어도 송전선로에 쓸 변압기가 쇼티지가 난 것. 전선도 결국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선 역시 호황을 누리고 있음.
https://blog.naver.com/centum_tiger/223723298097
👍22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조선/LNG, 화장품/미용, 테크, 밸류업, 로봇, 엔터, 자동차
- 상대강도: 밸류업, 조선/LNG, 엔터, 원전, 자동차
- 신고가(60일 기준): 자동차, 조선/LNG, 로봇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조선/LNG, 밸류업, 엔터, 자동차

#수출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47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49
- 초고압(미국향), 창상피복재(전체/미국), 톡신(전체/미국), 엔진, 쿼츠, CCL, 지혈제, 기초화장(일본향), 열교환기, 전차 및 장갑차(폴란드향)

#HD현대미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45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35
- MSCI 가시권. 현재 조선쪽에서 유의미한 실적추정치 상향 나오는게 HD현대그룹밖에 없음.
- 조선 자체는 업황이 우호적으로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탱커쪽도 긍정적인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서 동사에게 우호적인 환경 개선 중.

#SNT에너지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centum_tiger/223723298097
- LNG는 트럼프의 에너지 통제 및 향후 정책 방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키.
- 12.23일 BECHTEL과 약 719억 규모의 에어쿨러 공급계약 공시. 트럼프 2기를 맞아 미국 내 기존 펜딩되었던 LNG 프로젝트들이 재개되기 시작한 후 첫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25년 본격화될 미국 내 LNG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 가능.
- 23년 말부터 증가하고 있는 중동 LNG 프로젝트 지속과 더불어 신규 시장인 미국에서 급증하는 AI발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LNG 수요 가속화 기대. 미국에서 EU LNG 수입 압박을 지속하는 점 역시 추가 기대 요소.
- 최근 투경 지정으로 주가 변동성이 높지만 변동성을 조금씩 좁히고 있는 상황. 투경 해제 여부 최초판단일이 16일로 거래일 기준 5일 남음. 최근 AI와 관련한 인프라 및 에너지 등이 지속적으로 부각받고 있다는 점에서 투경 해제 전후 움직임 관심. 또한 20일이 트럼프 취임.
- 수출데이터 측면에서도 12월이 유독 잘나온 것을 고려해도 1월 역시 우수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브이티
- 내수 부진까지 감안했을 때 고점 대비 약 20% 하락하며 주가 반영. 다만, 일본/비중국 수요로 4Q24 실적이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보임. 강승곤 코인 이슈는 본업단에서의 이슈는 아닌 것으로 보임.
- 1월 중국, 1Q25 미국 얼타 온라인/중국 본격화, 2Q 미국 코스트코 오프라인, 3Q 미국 얼타 오프라인 전점 입점 등 미국과 중국쪽 확장을 고려하면 현재 시가총액은 크게 부담스럽지 않다고 생각.

#이마트
- 자료참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089217
- 정용진 회장이 이명희 총괄회장 지분을 전량 매수하기로 결정. 단가는 7.68만원으로 총 278만주 매수.
- 정용진의 이마트 지분이 18.56%=>28.56%로 확대.

#하이브
- 자료참고: https://weverse.io/bts/notice/24616?hl=ko
- 연금 지분 확대(6.5%=>7.6%). 악재에 더 이상 하방 압력을 받지 않는 모습.
- 25년 YoY로 실적 크게 올라올 수 있는데, 1) BTS, 2) 저연차라인업 성장, 3) 위버스 유료화, 4) 신사업 손익 개선 등의 포인트가 있음.
- 제이홉 월드투어 오피셜 공지. 악재의 끝을 어느정도 반영한 이후 25년 메인 IP와 함께 다양한 포인트가 부각되면서 긍정적인 흐름 기대.

#로봇
- 미국, 한국, 일본, 중국 등 글로벌리 시세가 나오고 있어서 띰 자체는 엄중한 건 맞는 듯.
- 한국에서 로봇 시세를 촉발시킨 대장주 레인보우로보틱스, 2~3등주로 인식될 수 있으나 휴머노이드 액츄에이터 관련해서 엣지를 보여주고 있는 하이젠알앤엠, 로보티즈 정도 관심.
- 레인보우로보틱스, 하이젠알앤엠, 로보티즈
👍31
의료기기_다올_4Q_프리뷰.pdf
1.1 MB
#클래시스 #휴젤 #파마리서치 #대웅제약, #덴티움

공통
계엄 이후 내한 관광객 감소 우려가 있었으나 실제 출입국자수는 기존 계절성을 제외하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음. 이에 방한 관광객 감소에 대한 우려는 제한적.

클래시스(TP 7만, 유지) 컨센서스 소폭 상회 전망
- 24년 말 출시한 볼뉴머 효과가 기대되며 1H25 유럽 슈링크 유니버스 및 볼뉴머 CE-MDR 출시 목표. 특히 북미 볼뉴머에 대한 효과성 및 증거 입증에 따라 KOL 위주의 영업확대 전망.

휴젤(TP 45만, 하향) 컨센서스 하회 전망
- 1Q25 중 북미 정식 런칭 및 2Q25 중 선적 재개 전망. 브라질 신규 파트너사향 1H25 선적 발생 전망. 중국 및 호주 등 지역도 높은 성장세 기대.

파마리서치(TP 30만, 상향), 컨센서스 부합 전망.
- 콘쥬란 급여 정책 변화로 콘쥬란 내수 매출액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 수출 의료기기는 시장 기대 대비 빠른 CE-MDR 허가로 2H25부터 유럽 출시 기대.

대웅제약(TP 21만, 유지), 컨센서스 상회 전망.
- 나보타 북미 매출액이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허가는 지연. 펙수클루와 나보타 중국허가는 1H25, 2H25 전망.

덴티움(TP 9만, 유지), 컨센서스 하회 전망.
- 4Q 임플란트 성수기에도 중국이 감소해 25년도 쉽지 않을 것. 26년 2차 VBP 시행 예정.
🫡4
Forwarded from 선수촌
Bank of Aerospace 리폿
👍10
Forwarded from MZ타뇽 긴축모드 ON
위잉치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012203
#방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방위비 인상을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폴란드가 가장 먼저 “지지”를 선언하며 호응했다.

코시니악-카미츠 장관은 폴란드가 러시아와 가까워 다른 다른 선택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이미 많은 것을 구매했지만 위치를 고려하면 군사비 투자와 장비 구매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