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4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밸류업 조선/LNG 화장품/미용 전력 방산 밸류업
- 상대강도: 바이오 2차전지 테크 방산 우주항공 전력 조선/LNG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미용 테크 조선/LNG 음식료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테크 방산 전력 조선/LNG

#하나투어 #현대엘리베이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66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2800334
- 하나투어는 4Q 해외 패키지 송출객은 QoQ 올라오는 중. 배당기준일은 1월 8일이기에 12월부터 배당 수급 가능. 시가배당률 약 4%
- 현대엘리베이는 연말로 배당 기준일이 확정되었는데 시가배당률 약 8%로 매력적. 추가적으로 자산유동화로 특별배당도 가능한 상황.

#효성중공업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70
- 특수가스사업은 효성티앤씨가 인수. 다들 어느정도 알고있었는데 안사고 있던 사람만 좀 채우는 느낌
- 회사에서 이제 마진 20% 프로젝트들은 받기 전에 검토를 해볼 수 있다 정도로 마진에 대한 톤이 높아지는 중. 해당 수주가 매출로 반영되는 데까지 시간은 걸리겠으나 마진 방향성을 알 수 있음.

#디엔에이링크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2900350
- 대금 납입 이후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영구자석 사업. 신규사업 진행을 위한 설비투자로, 관련 장비 구입 계약 체결.
- 25.07월까지 예산 공장에 설치되어 연간 1,0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될 것. 최근 비중국 중심의 밸류체인 구축에 따라 수혜 가능한 구조.

#녹십자
- 미국 내 안정적인 혈액원 공급을 위해 미국 혈액원 ABO 홀딩을 1,380억 인수. ABO홀딩은 혈액원 8개를 보유하고 있는데, 6개는 현재 운영 중이며 2개는 26년 가동 예정. 이번 인수를 통해 혈액제제 수직계열화로 알리글로 원가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
- 혈액원 인수효과는 26년부터 반영될 것. 현재 오창공장의 혈액제제 생산CAPA는 4,500억 수준인데, 미국 혈액원 확보로 25년 내 증설발표가 예상됨. 공장증설 이후 녹십자는 33년까지 알리글로 매출 1조원 타겟.
- 현재 미국 사보험 시장의 80% 이상 확보를 완료했고 대형SP 11개사와도 계약 완료. 특히 대형 PBM사 한곳인 Cigna에서 PID 환자 중 두가지 만성질환을 동시에 앓는 상태일 경우 알리글로 우선 처방을 권고하는 등 미국 혈액제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시장이 되는 중이기에 장기적인 매출성장 가능.
- 1) 알리글로 미국 진출, 2)헌터라제 정상화, 3) 신규 백신 출시 등 3가지 신규 매출원을 통해 녹십자 25년 구조적 턴어라운드 돌입한 것으로 판단. 특히 가장 핵심인 1번 투자포인트가 보다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

#방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63
- 유의미한 증익 섹터가 4~5개 정도로 추려지는 상황이기에 매수 수요는 강할 것으로 기대. 참고로 계엄 이슈는 과거 Case study 결과 이전 계엄, 이전 탄핵 정국에서도 사업은 크게 변동 없이 수출 및 내수 양산 사업이 진행되었음을 파악해볼 수 있었음.
- 현대로템의 노이즈는 로템의 문제가 아닌 폴란드의 문제. 폴란드의 욕심과 공장 문제가 가격 이슈를 만들었음. 그것을 고려하더라도 P/E 8~9배 수준은 방산 기준 전쟁 이전과 유사한 수준까지 멀티플이 빠짐.
- 한화에어로는 노이즈도 크게 없고 4Q 실적도 좋을 것이고 25년에도 K9과 레드백에서 베트남, 브라질, 인도, 루마니아 등이 계속해서 나올 수 있음. 현재 P/E는 11~12배 수준으로 전쟁 초기 수준까지 하락한 상황.
- LIG넥스원도 25년 미국으로 나갈 수 있는 가장 가시적인 파이프라인을 갖고 있으며 무난한 매출 확대가 기대됨. P/E도 현재 많이 가벼워짐.

#조선
- 최근 급등으로 인해 수급이 찬 모습이 보이긴 해서 각자 대응하는 부분은 자율적으로.
- 24년 글로벌 2,451억 신조 선박이 발주되었음. 이는 23년 대비 감소한 수치이나, 계약가치는 YoY+44% 상승. 이는 1) 신조 가격 상승, 2) 선박 톤수 증가에 기인함. 신조 가격 상승 요인을 제외하고도, 이는 대형 선박 발주 증가, 2) 이중 연료 추진 시스템 설계 업그레이드 등에 따른 수요 증가로 분석.
- 25년은 글로벌 신규 발주량은 약 1.57억 CG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여전히 인도량(1.46억 CGT)를 초과할 전망.
- IMO 암모니아 뉴스까지 고려하면 앞선 내용에서 VLAC까지 사이클 강화를 생각할 듯.
- HD현대, 삼성, 한화엔진, 세진중공업, 동성화인텍 등.

#방한
- 자료참고: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963622?sid=103&id=news
- 문체부는 한국 방문의 해를 맞아 관광산업 활성화 차원에서 시행했던 무비자 여행을 24년=>25년까지 연장하기로 결정.
- 해당 뉴스를 통해 1) 방한 외국인 관련된 관광 수혜, 2) 방한 외국인 미용 수요 증가 수혜 2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

#중국
- 미국이 중국을 규제하기 위해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음. 최대한 연내 생물보안법 타결을 위해 미 하원의장이 힘을 쓰고 있으며 미 상무부는 중국에 대한 AI칩을 추가로 제한하는 새로운 규제를 발표할 예정. 방산, 조선, 반도체, 바이오 등 전방위적으로 관련 유불리를 잘 따질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해야 할 것.
- 반면, 최근 중국에서 언급하는 강력한 완화와 함께 강한 경기부양을 핵심어로 내걸면서, 중국 내에서 소비경기와 관련있는 것들은 긍정적으로 바라볼 여지가 발생함.
👍17
#브로드컴
- 4Q24 매출 $14.05B(est 14.08B), EPS $1.42(est $1.39), AI매출 YoY+220%
- 1Q25 매출 ~$14.6B(est 14.55B), 조정 EBITDA 추정 매출의 66% 수준.
- 전반적으로 실적 비트와 함께 가이던스로 예상치를 비트하면서 좋은 모습 보여줌. 특히 AI쪽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NVDA 이외 후발주자들의 AI 매출 본격 확대 구간이 나올 수 있음. 향후 ASIC 투자포인트로도 연결될 수 있는 지점.

#코스트코
- 1Q25FY 매출 $62.15B(est 61.98B), EPS $4.04(est $3.79), 순이익 $1.8B(est 1.68B)
- 동일매장 성과: 글로벌 5.2%(est 5.66%), 미국 5.2%(est 5%), 캐나다 5.8%(est 5.65%)
- 1Q25FY에서 대부분 주요 지표를 초과 달성하면서 강력한 성장을 달성함. 미국 내에서 가성비 트렌드로 대표되는 주식들의 성과가 좋고 향후 전망치가 우수하다는 점과 겹쳐서 보면 임플리케이션이 있음.
👍10
12일 재계에 따르면 11월 28일 열린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두고 기업인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법은 국회로부터 서류 제출 및 증인 출석 등 요구를 받았을 때 기업이나 개인이 개인정보보호 또는 영업비밀보호 등의 이유로 거부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은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김용민, 박주민 의원 발의안 등이 포함된 대안법안으로 21일까지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우 이대로 확정된다.

진짜 말이 되는 소리 좀 하십쇼...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27039
👍21😁1
#코아스템켐온
이것도 일정 얼마 안남은 걸로 알고있는데 어제 증여를 했었네요
👍10❤‍🔥3
https://t.me/fpqjflwlaos
좋아하는 학회형이 텔레를 시작했습니다 만관부!
🫡18👍112😁1
#파마리서치
- 파마리서치 강릉 수출데이터 기존 ATH 대비 56%가량 뚫어버리며 ATH 기록
- 분기 합산 데이터 역시 10~11월만으로도 역대 ATH 분기 이미 경신
- 국가별 데이터를 보면 태국 원툴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 런칭 이후 수출데이터가 유의미하게 올라오면서 많은 국가에서 레벨업되면서 수출데이터 레벨업 나오는 모습.
- 이번에 유의미하게 올라온 곳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호주, 미국, 우크라이나
😁13
#삼양식품
공장별 합산 기준 다시 ATH 기록중.
CAPA가 차있음에도 개속해서 물량 뽑아내고 있음. 이 그림에서 Mix 개선까지
👍9
#필러 #휴메딕스
- 성남시 필러 수출데이터가 매우 독보적인 ATH 기록.
- 성남시 필러가 휴메딕스 외 다른 기업들도 섞여있어서 4Q 브라질 물량을 보기 위해 성남-브라질 데이터 확인 결과 물량이 11월에 크게 튀긴 함.
- 휴메딕스, 바이오플러스 물량
👍8
#티에스이
프로브카드 수출데이터 역대 2번째.
테크에서 수출데이터 좋은 몇 안되는 흐름.
👍2
나머지 유의미한 데이터들은 Daily정리글에 공유드리겠습니다. 이만 기말과제하러 총총
👍16
投資, 아레테
특히 AI쪽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NVDA 이외 후발주자들의 AI 매출 본격 확대 구간이 나올 수 있음. 향후 ASIC 투자포인트로도 연결될 수 있는 지점.
https://v.daum.net/v/20241215165103499
#AI #ASIC #유리기판
- ASIC이 국내에서 워킹할 수 있는 이슈는 유리기판 외 크게 없는 것으로 보임.
- 유리기판은 국내 주요 업체들 내용을 들어보면 수요처가 크게 없는 상황에서 일단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ASIC쪽에서 단기간 내 격차를 줄이기 위해 도입 가능.
- 유리기판은 1) 기판 소재 변화 속 유리가 가지는 강점이 명확하고, 2) AI칩 대면적화에 따른 Net Die 감소의 해결책이 될 수 있고, 3) ASIC 시장 확대에 따라 도입 요인이 커지고 있음.

내용도 도입을 검토한다는 정도이니 내용 업데이트 차원에서 보시길
👍1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화장품/미용 조선/LNG 바이오 밸류업 방산 엔터/미디어 AISW
- 상대강도: 조선/LNG 화장품/미용 바이오 전력 방산 음식료 밸류업 엔터/미디어 AISW
- 신고가(60일 기준): 화장품/미용 바이오 테크 전력 밸류업 게임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화장품/미용 바이오 방산 엔터/미디어 밸류업 AISW

#수출데이터
- QoQ 유의미: 파마리서치, 휴메딕스, 바이오플러스, 대웅제약, 코스맥스, 한국콜마, 원텍, 삼양식품, 주성엔지니어링, 티에스이, 두산, 셀트리온, 경동나비엔
- 기존 K-엣지의 데이터가 매우 좋음. 다들 국가 다변화 및 Mix 개선 등을 통해 데이터 상향 안정화.
- 셀트리온 미국향 데이터가 크게 증가한 것은 짐펜트라인 것으로 추정됨.
- 주성/티에스이 데이터를 보면서 진짜 중국이 메모리 존나 찍어내나 생각함.
- 전력쪽은 전반적으로 데이터 우상향+단가 높아지는 중.

#현대엘리베이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2800334
- 현대엘리베이는 연말로 배당 기준일이 확정되었는데 시가배당률 약 8%로 매력적. 추가적으로 생각보다 많은 자산유동화로 특별배당까지 가능.

#HD현대미포(CGSI)
- 수주잔고가 FY25까지 견조한 흐름을 보일 것. 최근 LPGC 수주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FY27 인도 예정 선박 중 LPGC 비중이 높아 수익성 개선 기대 커지고 있음. 2H25부터 22년 이후 고가치 선박 계약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수익성 개선이 커질 것.
- FY25까지 수주잔고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 시장의 추가 수주와 고마진 선박 비중을 고려할 때 긍정적 신호로 파악됨. 이익률의 추가 개선 여지는 추가 상승여력을 제공함.
- 추가: 금요일 밸류업 공시. 주주환원으로 별도 기준 배당성향 30% 이상 추진(이전 미지급), 27년 기준 매출액 5.4조/ROE 14% 이상 타겟(CAGR+7.8%), 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 확대 등을 제시.

#노머스
- 자료참고: https://t.me/upper_limit_price/2789
- 가이던스 하향 썰이 돌았다고 하네요. 근데 회사에서는 극구부인이시라고 함.
- 가이던스 유지한다고 하면 25E P/E 10배 초반 수준 정도이니 급락 기회 가능한 구간.
- 최근 엔터쪽에서 비상장 중소형 힘이 좋다고 하니 띰+오해 측면이라면 보는 정도.

#두산
- 12월부터 NVDA향 B100 CCL 양산 시작 추정. B100모델은 단독 공급으로 이미 상당한 규모의 발주가 이뤄진 것으로 추정됨.
- 동사는 NVDA뿐 아니라 AI칩 자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미국 빅테크로의 확장에 주력하고 있음. 두산전자 BG 사업은 빅테크향 제품 중 한 곳과 퀄 진행한 것으로 파악되며 통과 시 본격 25년 발주 시작. 25년 빅테크의 AI전략은 수익화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최적화되어있고 가성비 있는 ASIC의 내재화로 AI 수익화 가능.
- 25년은 1) NVDA B모델 본격 양산, 2) 빅테크 ASIC 내재화에 따른 추가 발주, 3) NVDA 차세대 R모델 조기 출시 가능성 등이 혼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우호적인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한편, 지배구조 측면에서 보유 자사주 18% 중 일부가 25년 소각될 것이며 해당 시점에서는 Full CAPA에 따라 CAPA 증설도 필요한 상황. 이에 전자 BG 사업에 대한 가치 재부각 가능.
- 최근 주가가 강한 것은 MLB와 CCL은 모두 같이 가야하는 애들인데, MLB 이수페타 똥볼로 관련 수혜로 플레이 할 수 있는 선택지가 1개로 좁혀져서인듯. 내용은 둘다 좋은데 주주 배신은 그나마...

#방한
- 자료참고: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963622?sid=103&id=news
- 문체부는 한국 방문의 해를 맞아 관광산업 활성화 차원에서 시행했던 무비자 여행을 24년=>25년까지 연장하기로 결정.
- 해당 뉴스를 통해 1) 방한 외국인 관련된 관광 수혜, 2) 방한 외국인 미용 수요 증가 수혜 2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

#방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63
- 유의미한 증익 섹터가 4~5개 정도로 추려지는 상황이기에 매수 수요는 강할 것으로 기대. 참고로 계엄 이슈는 과거 Case study 결과 이전 계엄, 이전 탄핵 정국에서도 사업은 크게 변동 없이 수출 및 내수 양산 사업이 진행되었음을 파악해볼 수 있었음.
- 현대로템의 노이즈는 로템의 문제가 아닌 폴란드의 문제. 그것을 고려하더라도 P/E 8~9배 수준은 방산 기준 전쟁 이전과 유사한 수준까지 멀티플이 빠짐.
- 한화에어로는 노이즈도 크게 없고 4Q 실적도 좋을 것이고 25년에도 K9과 레드백에서 베트남, 브라질, 인도, 루마니아 등이 계속해서 나올 수 있음. 현재 P/E는 11~12배 수준으로 전쟁 초기 수준까지 하락한 상황.
- LIG넥스원도 25년 미국으로 나갈 수 있는 가장 가시적인 파이프라인을 갖고 있으며 무난한 매출 확대가 기대됨. P/E도 현재 많이 가벼워짐.
- 수급적으로 기관 매도/외인 매수 성격을 보이는데, 실적시즌 다가오면서 다시 매수하려는 수요 있을 수 있을 듯.

#전력
- 자료참고: https://t.me/Joorini34/7480
- 4Q 수주잔고는 모든 전력기기가 우수할 것이나, 수주 자체는 HD현대일렉트릭, 산일이 괜찮은 모습을 보일 것.
- 초고압 2사의 26년 OPM 20% 달성은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보임. LS일렉트릭은 변동 가능.
- 관세는 전반적으로 고객사와 협상 가능한 정도로 소통하고 있으며 일부 업체들은 실적이 보수적으로 추정된 상황이라 상쇄 가능.
- HD현대일렉트릭 1H25 내 증설 가능. 이 외 최근 효성중공업, 히타치 등의 증설발표가 있었으나 셀러마켓 시장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
👍21
#엠앤씨솔루션 금일 상장 예정인 방산 소부장으로 간단하게 브리프.
- 무기체계 부품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지상 53%, 유도 27%, 해상항공 4% 등으로 매출 구성.
- 간단하게 K9, 레드백, FA-50 등에 모두 들어가고 있고 이에 따라 수출비중도 21년 약 5%에서 3Q24 누적으로 50%까지 확대.
- 수주잔고 3Q35 기준 약 8,000억 보유해 매출액 기준 3~4년 이상 확보했고 OPM도 추세적 상승 가능. 다만, K2 수출에 따라 성장폭은 변동 발생 가능.
- 유통물량은 상장일 기준 20%대 초중반. 공모는 밴드 하단 미만으로 결정되었으며 공모 물량의 50%가 구주매출로 진행되었다는 점이 아쉬움.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