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것들 **주가와 내용은 별개**
#서진시스템
- 플루언스가 마진 확보를 위해 배터리 가격을 1년 고정가로 잡았고 매출 가이던스와 내년 물량 높게 잡아놨음. 이쪽 성장률을 따라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리스타향으로 데이터센터쪽 매출도 이제 나오는 상황. 5G쪽도 고정비로 고생하다가 나아지는 중. 고객사 확대 움직임도 기대해볼 만.
- CB가 시총의 30% 있다는 점과 지금까지 거짓말 회사였다는 점이 리스크였는데 CB의 경우 주가 오르면서 자연스럽게 소화되는 그림을 그려야 할 것이고 거짓말 회사 오명은 이제 바뀔 수 있는 구간이 아닐까 하는 생각.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 23년 말 주목받으면서 저점 대비 2배 가까이 올랐지만 텔레그램에 소리소문없이 사라지며 고점 대비 32% 가량 조정을 받는 중. 저점 대비 약 25% 정도 오른 수준의 주가.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성공여부와 별개로 시장에서 논리를 인정하면서 주가를 올린 그 스토리는 유지 중.
#2차전지
- 중국 산업계에 따르면 3월 생산량 전망은 2월 대비 70~80% 증가를 전망. 탄산리튬 가격이 반등하면서 동시에 바닥론이 나오는 중.
- 25년 완성차 업체와 셀 업체간 JV 공장이 급증하는 시기, 기존 광산 리튬 채굴이 지속되면서 채산성 높은 광산이 소진되는 상황에서 현재 리튬광산 감산 기조 유지 등 단기적으로 아직 좋지 않은 국면이지만 주가적으로는 좋아질 룸이 더 많이 남은 섹터긴 함.
- 가장 직접적으로 양극재 기업들이 많이 올랐고 기억이 강하기 때문에 오르겠지만 캐즘 이후에는 역사적으로 과거만큼의 성장률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양극재 말고 확대될 기술, 밸류체인의 변화 등에 주목해봐도 괜찮겠다는 생각.
#MSCI
- 기준을 충족하는 회사는 알테오젠.
- 그 외 30~40% 범위 내에서 후보: HD현대일렉트릭, HPSP, 엔켐, 현대로템, 리노공업,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신성델타테크 등.
#실적 및 수출
- 금요일 실발에서 주목할 만한 주식: 삼영/토니모리/애니플러스/글로벌텍스프리
- 개인적으로 보이는 수출 품목: 치과용 X레이, 임플란트, 위성통신안테나, LCD/OLED 패널, 변압기, 가정용 미용기기, 창상피복재, 수산화칼륨, H형강, 보일러/온수기, 여행가방, 라면, 굴삭기, 유압실린더
#DELL
- AI 최적화 서버 주문이 40% 가량 증가. AI 최적화 백로그가 2배 증가.
- 델 마저 AI 수요를 체감하고 있다고 확인. AI발 실적 확대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는 게 보이는 중.
#서진시스템
- 플루언스가 마진 확보를 위해 배터리 가격을 1년 고정가로 잡았고 매출 가이던스와 내년 물량 높게 잡아놨음. 이쪽 성장률을 따라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리스타향으로 데이터센터쪽 매출도 이제 나오는 상황. 5G쪽도 고정비로 고생하다가 나아지는 중. 고객사 확대 움직임도 기대해볼 만.
- CB가 시총의 30% 있다는 점과 지금까지 거짓말 회사였다는 점이 리스크였는데 CB의 경우 주가 오르면서 자연스럽게 소화되는 그림을 그려야 할 것이고 거짓말 회사 오명은 이제 바뀔 수 있는 구간이 아닐까 하는 생각.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 23년 말 주목받으면서 저점 대비 2배 가까이 올랐지만 텔레그램에 소리소문없이 사라지며 고점 대비 32% 가량 조정을 받는 중. 저점 대비 약 25% 정도 오른 수준의 주가.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성공여부와 별개로 시장에서 논리를 인정하면서 주가를 올린 그 스토리는 유지 중.
#2차전지
- 중국 산업계에 따르면 3월 생산량 전망은 2월 대비 70~80% 증가를 전망. 탄산리튬 가격이 반등하면서 동시에 바닥론이 나오는 중.
- 25년 완성차 업체와 셀 업체간 JV 공장이 급증하는 시기, 기존 광산 리튬 채굴이 지속되면서 채산성 높은 광산이 소진되는 상황에서 현재 리튬광산 감산 기조 유지 등 단기적으로 아직 좋지 않은 국면이지만 주가적으로는 좋아질 룸이 더 많이 남은 섹터긴 함.
- 가장 직접적으로 양극재 기업들이 많이 올랐고 기억이 강하기 때문에 오르겠지만 캐즘 이후에는 역사적으로 과거만큼의 성장률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양극재 말고 확대될 기술, 밸류체인의 변화 등에 주목해봐도 괜찮겠다는 생각.
#MSCI
- 기준을 충족하는 회사는 알테오젠.
- 그 외 30~40% 범위 내에서 후보: HD현대일렉트릭, HPSP, 엔켐, 현대로템, 리노공업,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신성델타테크 등.
#실적 및 수출
- 금요일 실발에서 주목할 만한 주식: 삼영/토니모리/애니플러스/글로벌텍스프리
- 개인적으로 보이는 수출 품목: 치과용 X레이, 임플란트, 위성통신안테나, LCD/OLED 패널, 변압기, 가정용 미용기기, 창상피복재, 수산화칼륨, H형강, 보일러/온수기, 여행가방, 라면, 굴삭기, 유압실린더
#DELL
- AI 최적화 서버 주문이 40% 가량 증가. AI 최적화 백로그가 2배 증가.
- 델 마저 AI 수요를 체감하고 있다고 확인. AI발 실적 확대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는 게 보이는 중.
👍6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MSCI
- 8월 MSCI에는 LS일렉트릭이 편입될 것으로 전망. 곧 8월 MSCI 편출입이 결정되기 때문에 MSCI의 눈은 11월을 향해 갈 것. 그렇게 되면 현대로템, LIG넥스원, 삼양식품 등에게 관심이 가게 됨. 하반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 퀄리티 있는 수출데이터에 몰리거나 2) 수출 이외의 모멘텀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MSCI는 좋은 모멘텀이라고 생각.
- 이중 현재 주가 기준으로 최우선 후보군은 현대로템. 현대로템은 1) 폴란드/루마니아 등 수주 관련 모멘텀, 2) MSCI 최우선 후보군, 3) 현재 수급상 우호적 등의 긍정적인 점이 있음. 가장 보수적으로 보는 다올투자증권에서도 폴란드 수주가 나오게 될 경우 적정주가 크게 상승할 것이라고 코멘트한 바 있음(나오면 MSCI 안정권?)
- LIG넥스원은 하반기로 갈수록 비궁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올라올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11월 MSCI를 맞이할 수 있고 삼양식품은 안정적인 실적으로 맞이할 수 있을 것.
#경동나비엔
- 2Q24 매출액 3,076억, 영업이익 295억(YoY+180%)을 기록하며 컨센 대비 62% 슈퍼 서프라이즈 기록. 비수기임에도 성수기에 준하는 실적을 보여 인상적. 운임은 물류비 헷지 및 내부 원가관리 등으로 어느정도 방어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며 주요한 것은 북미향 콘덴싱 순간식 온수기 현지에서 시장 M/S 1위를 달성한 뒤로 실적이 올라온다는 것. 특히 미국 IRA로 인해 친환경, 고효율 온수기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음. 즉, 슈퍼서프라이즈의 중요한 것은 1) 비용 관리, 2) 순간식 온수기 본격 모멘텀 2가지. 이를 통해 3개 분기 연속 300억 가량의 이익을 보여줬으며 하반기 계절성을 고려하면 연간으로 1,200~1,300억이익체력이 가능(현재 컨센서스 845억)할 것으로 전망. 현재 시점으로 일회성은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익과 순이익 간 괴리가 거의 없다는 것을 고려하면 동사의 밸류는 7.x배 수준으로 밸류 매력도가 나온다고 생각. 특히나 하반기로 갈수록 동사의 계절적 성수기이기 때문에 향후 실적은 더욱 기대. 여기서 2H24 HVAC(글로벌 보일러 시장 대비 3~4배 수준)가 본격적으로 반응을 얻게 되면 엄청난 모멘텀이 되지 않을까 전망.
- 1) 온수기, 퍼니스, 히트펌프 등 북미 포트폴리오 확대, 2) 여야 관계 없는 친환경 미국 정책에 부합하는 흐름 등으로 신한에서 수출 Top-Pick으로 8.2만원 커버리지 개시한 바 있음.
- 미국 주택경기지수도 계속 좋으며 유틸리티 및 부동사 주식이 상승 추세에 있음.
#크래프톤
- 2Q24 매출액 7,070억, 영업이익 3,321억 기록하며 컨센 대비 60% 이상 슈퍼 서프라이즈 기록. 역대 최대 반기 매출을 기록. 특히 2Q는 비수기에 해당하며 항상 2Q에 실적이 역성장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번에는 오히려 성장했다는 점이 매우 인상적. PC와 모바일 모두 트래픽 증가로 IP 성장이 매우 잘 되고 있음.
- 1H24 PUBG YoY+40%를 기록했으며 Paying 유저도 130% 성장함. PC/콘솔에서도 다양한 콜라보 컨텐츠를 통해 트래픽 및 매출 증가 발생. MAU는 YoY+40% 이상 증가했으며 하반기에도 다양한 컨텐츠 업데이트로 성장세 이어갈 것. 모바일 역시 YoY+100% 이상 성장하였으며 성장형 의상스킨이 큰 호흥을 얻음. 향후 1년 정도의 파이프라인 미리 계획 중인데 기대가 많음. 주요 하반기 라인업으로 다크앤다커 모바일, 인조이 등이 있음.
- IR에서 흥미로웠던 것은 뉴진스 아이템 환불/보상 유저들이 대부분 재구매를 했다는 점인데, 이는 컨텐츠 락인 효과가 상당함을 의미한다고 생각. 실적이 3Q, 4Q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공유한 점 역시 인상적인데 이렇게 되면 현재 컨센서스가 2Q 대비 3~4Q가 낮기 때문에 실적 추정치 상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렇게 되었을 경우 10배 수준까지 밸류에이션이 내려옴. 게임업체 밸류에이션으로 매력적인 밸류에 해당하며 다른 게임업체를 굳이 선택할 이유가 없을 듯. 해당 실적 기반으로 P/E를 15~20배를 논한다?
- 심지어 7월 모바일만 봐도 역대급 실적이 예상된다고?
#밸류업
- 금융위원장은 한국거래소에서 8개 상장사 및 유관기관 등과 함께 기업 밸류업 상장기업 간담회 진행.
- 9월 중 코리아 밸류업 지수 발표 및 4Q24 연계 ETF 출시 등의 계획을 다시 한번 언급.
- 해당 행사에 참여한 기업은 키움증권, 메리츠금융지주, HK이노엔, 유한양행, LG, POSCO홀딩스, 현대차, 엠로 등이 있음.
- 8~9월 밸류업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4Q24 역시 밸류업 모멘텀이 유지될 수 있음. 다양한 모멘텀 중 정부가 주도하는 주요 모멘텀 중 하나.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MSCI
- 8월 MSCI에는 LS일렉트릭이 편입될 것으로 전망. 곧 8월 MSCI 편출입이 결정되기 때문에 MSCI의 눈은 11월을 향해 갈 것. 그렇게 되면 현대로템, LIG넥스원, 삼양식품 등에게 관심이 가게 됨. 하반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 퀄리티 있는 수출데이터에 몰리거나 2) 수출 이외의 모멘텀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MSCI는 좋은 모멘텀이라고 생각.
- 이중 현재 주가 기준으로 최우선 후보군은 현대로템. 현대로템은 1) 폴란드/루마니아 등 수주 관련 모멘텀, 2) MSCI 최우선 후보군, 3) 현재 수급상 우호적 등의 긍정적인 점이 있음. 가장 보수적으로 보는 다올투자증권에서도 폴란드 수주가 나오게 될 경우 적정주가 크게 상승할 것이라고 코멘트한 바 있음(나오면 MSCI 안정권?)
- LIG넥스원은 하반기로 갈수록 비궁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올라올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11월 MSCI를 맞이할 수 있고 삼양식품은 안정적인 실적으로 맞이할 수 있을 것.
#경동나비엔
- 2Q24 매출액 3,076억, 영업이익 295억(YoY+180%)을 기록하며 컨센 대비 62% 슈퍼 서프라이즈 기록. 비수기임에도 성수기에 준하는 실적을 보여 인상적. 운임은 물류비 헷지 및 내부 원가관리 등으로 어느정도 방어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며 주요한 것은 북미향 콘덴싱 순간식 온수기 현지에서 시장 M/S 1위를 달성한 뒤로 실적이 올라온다는 것. 특히 미국 IRA로 인해 친환경, 고효율 온수기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음. 즉, 슈퍼서프라이즈의 중요한 것은 1) 비용 관리, 2) 순간식 온수기 본격 모멘텀 2가지. 이를 통해 3개 분기 연속 300억 가량의 이익을 보여줬으며 하반기 계절성을 고려하면 연간으로 1,200~1,300억이익체력이 가능(현재 컨센서스 845억)할 것으로 전망. 현재 시점으로 일회성은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익과 순이익 간 괴리가 거의 없다는 것을 고려하면 동사의 밸류는 7.x배 수준으로 밸류 매력도가 나온다고 생각. 특히나 하반기로 갈수록 동사의 계절적 성수기이기 때문에 향후 실적은 더욱 기대. 여기서 2H24 HVAC(글로벌 보일러 시장 대비 3~4배 수준)가 본격적으로 반응을 얻게 되면 엄청난 모멘텀이 되지 않을까 전망.
- 1) 온수기, 퍼니스, 히트펌프 등 북미 포트폴리오 확대, 2) 여야 관계 없는 친환경 미국 정책에 부합하는 흐름 등으로 신한에서 수출 Top-Pick으로 8.2만원 커버리지 개시한 바 있음.
- 미국 주택경기지수도 계속 좋으며 유틸리티 및 부동사 주식이 상승 추세에 있음.
#크래프톤
- 2Q24 매출액 7,070억, 영업이익 3,321억 기록하며 컨센 대비 60% 이상 슈퍼 서프라이즈 기록. 역대 최대 반기 매출을 기록. 특히 2Q는 비수기에 해당하며 항상 2Q에 실적이 역성장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번에는 오히려 성장했다는 점이 매우 인상적. PC와 모바일 모두 트래픽 증가로 IP 성장이 매우 잘 되고 있음.
- 1H24 PUBG YoY+40%를 기록했으며 Paying 유저도 130% 성장함. PC/콘솔에서도 다양한 콜라보 컨텐츠를 통해 트래픽 및 매출 증가 발생. MAU는 YoY+40% 이상 증가했으며 하반기에도 다양한 컨텐츠 업데이트로 성장세 이어갈 것. 모바일 역시 YoY+100% 이상 성장하였으며 성장형 의상스킨이 큰 호흥을 얻음. 향후 1년 정도의 파이프라인 미리 계획 중인데 기대가 많음. 주요 하반기 라인업으로 다크앤다커 모바일, 인조이 등이 있음.
- IR에서 흥미로웠던 것은 뉴진스 아이템 환불/보상 유저들이 대부분 재구매를 했다는 점인데, 이는 컨텐츠 락인 효과가 상당함을 의미한다고 생각. 실적이 3Q, 4Q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공유한 점 역시 인상적인데 이렇게 되면 현재 컨센서스가 2Q 대비 3~4Q가 낮기 때문에 실적 추정치 상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렇게 되었을 경우 10배 수준까지 밸류에이션이 내려옴. 게임업체 밸류에이션으로 매력적인 밸류에 해당하며 다른 게임업체를 굳이 선택할 이유가 없을 듯. 해당 실적 기반으로 P/E를 15~20배를 논한다?
- 심지어 7월 모바일만 봐도 역대급 실적이 예상된다고?
#밸류업
- 금융위원장은 한국거래소에서 8개 상장사 및 유관기관 등과 함께 기업 밸류업 상장기업 간담회 진행.
- 9월 중 코리아 밸류업 지수 발표 및 4Q24 연계 ETF 출시 등의 계획을 다시 한번 언급.
- 해당 행사에 참여한 기업은 키움증권, 메리츠금융지주, HK이노엔, 유한양행, LG, POSCO홀딩스, 현대차, 엠로 등이 있음.
- 8~9월 밸류업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4Q24 역시 밸류업 모멘텀이 유지될 수 있음. 다양한 모멘텀 중 정부가 주도하는 주요 모멘텀 중 하나.
👍20💯3🫡2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경동나비엔 #크래프톤 #현대로템 #밸류업
- 자료 참고: https://t.me/mstaryun/6728
#풍력(에너지)
- 최근 미국 내 설문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70%가 청정 에너지 제조에 계속 투자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정당 간 견해를 초월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정치 내에서 청정 에너지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
- 또한 유권자의 68%가 해리스의 청정에너지를 지지하는데, 이러한 지지는 청정 에너지 전환이 가져오는 경제적 이점 등이 주요한 이유이며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유권자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킨 것.
- 오늘 동국S&C 실적도 매출액 1,342억, 영업이익 97억(컨센 9억) 컨센서스 대비 말이 안되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함. 1Q에 발생한 신재생 매출이 2Q로 130억 가량 이연되었다가 반영되었는데 신재생쪽이 가동률도 올라오면서 마진 자체가 상당히 턴한 것으로 보임. 전체 섞여서 마진이 7% 가량 나왔는데 풍력을 하는 별도를 보면 10% 이상임(1Q는 적자였음). 즉, 풍력에서 서프라이즈가 나왔다는 것을 의미.
- 씨에스윈드와 동국S&C 등 풍력 관련 업체들의 마진이 돌아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1) 미국이 정치에 관계없이 친환경을 지지하고 있고 2) 금리가 내려가는 상황은 신재생에게 유리하며 3) 신재생 중 숫자를 보여주는 쪽이 지금 풍력이라는 점에서 풍력쪽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 4Q에 50조 규모 해상풍력 입찰 관련한 설명회 등 모멘텀이 아예 없지도 않음.
#대주전자재료
- 2Q24 매출액 582억, 영업이익 82억 기록하면서 컨센 대비 38% 서프라이즈 기록. OPM도 23년부터 V자 반등중.
- 회사를 보는 것은 실리콘음극재 때문. 1H24 실리콘음극재 매출은 261억으로 23년 235억을 이미 상회. 실리콘음극재가 QoQ로 100% 가량 성장한 것이 인상적.
- 2차전지에 우호적인 시장이 되면 양극재 외 CNT도전재/실리콘음극재 같은 애들이 1) 상대적으로 새거, 2) 성장이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향후 기대됨.
#백산
- 최근 부진했던 아디다스를 시작으로 전방업체들의 턴어라운드 시작. 신발사업부 매출 증가율은 이에 따라 23년에는 YoY -13~-8%를 기록했던 반면 4Q23 +10%를 시작으로 1Q24 +22%, 2Q24+29%를 기록하면서 YoY 신발사업부 매출성장이 가파르게 올라오는 중. 나이키 외 브랜드가 선전하고 있고 재고확충은 계속되고 있음.
- 동사 신발 매출의 50% 가까이 차지하는 나이키의 가이던스 하향 영향이 2Q24까지도 없는 것으로 보이며 회사에서도 크게 없는 것으로 소통 중. 3Q24는 성수기이고 스포츠이벤트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존의 컨센서스를 다시 상회할 수 있는 호실적 가능성을 전망.
- 자사주 역시 7월 19일~10월 18일까지 26만주 매입 및 소각 진행 공시. 누적으로 81.5만주 소각했고 10월 18일까지 정상적으로 소각하면 총 107.5만주 소각. 이러한 꾸준한 소각은 24년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 현재까지 1H24 영업이익 382억, 순이익 304억을 기록했는데 하반기 서프 가능성을 배제하고 컨센서스만 적용하더라도 P/E 5배 수준(오늘 7% 올라서). 수주잔고도 QoQ로 성장(1Q24 279억=>2Q24 293억)하고 있고 주주환원도 강력하게 하기 때문에 밸류에이션이 좀 올라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메디톡스
- 대표이사 평단 19만원에 1,000주 장내매수.
- 24년 들어서 6회 장내매수 실시(그 중 4회가 2~3분기)했으며 총 7,300주 가량 장내매수 진행.
#지어소프트
- 사실상 오아시스 플레이긴한데, 오아시스 성장이 이번에도 좋음.
- 매출액도 두자릿수 성장 나오고 마진도 순이익 기준으로 22년 0%=>23년 3%=>1H24 5% 수준.
- 지어소프트 실적에 오아시스 영향이 크다는 것을 고려할 때 지어소프트 영업이익이 YoY +190% 가량 나왔다는 점은 유의미.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경동나비엔 #크래프톤 #현대로템 #밸류업
- 자료 참고: https://t.me/mstaryun/6728
#풍력(에너지)
- 최근 미국 내 설문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70%가 청정 에너지 제조에 계속 투자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정당 간 견해를 초월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정치 내에서 청정 에너지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
- 또한 유권자의 68%가 해리스의 청정에너지를 지지하는데, 이러한 지지는 청정 에너지 전환이 가져오는 경제적 이점 등이 주요한 이유이며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유권자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킨 것.
- 오늘 동국S&C 실적도 매출액 1,342억, 영업이익 97억(컨센 9억) 컨센서스 대비 말이 안되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함. 1Q에 발생한 신재생 매출이 2Q로 130억 가량 이연되었다가 반영되었는데 신재생쪽이 가동률도 올라오면서 마진 자체가 상당히 턴한 것으로 보임. 전체 섞여서 마진이 7% 가량 나왔는데 풍력을 하는 별도를 보면 10% 이상임(1Q는 적자였음). 즉, 풍력에서 서프라이즈가 나왔다는 것을 의미.
- 씨에스윈드와 동국S&C 등 풍력 관련 업체들의 마진이 돌아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1) 미국이 정치에 관계없이 친환경을 지지하고 있고 2) 금리가 내려가는 상황은 신재생에게 유리하며 3) 신재생 중 숫자를 보여주는 쪽이 지금 풍력이라는 점에서 풍력쪽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 4Q에 50조 규모 해상풍력 입찰 관련한 설명회 등 모멘텀이 아예 없지도 않음.
#대주전자재료
- 2Q24 매출액 582억, 영업이익 82억 기록하면서 컨센 대비 38% 서프라이즈 기록. OPM도 23년부터 V자 반등중.
- 회사를 보는 것은 실리콘음극재 때문. 1H24 실리콘음극재 매출은 261억으로 23년 235억을 이미 상회. 실리콘음극재가 QoQ로 100% 가량 성장한 것이 인상적.
- 2차전지에 우호적인 시장이 되면 양극재 외 CNT도전재/실리콘음극재 같은 애들이 1) 상대적으로 새거, 2) 성장이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향후 기대됨.
#백산
- 최근 부진했던 아디다스를 시작으로 전방업체들의 턴어라운드 시작. 신발사업부 매출 증가율은 이에 따라 23년에는 YoY -13~-8%를 기록했던 반면 4Q23 +10%를 시작으로 1Q24 +22%, 2Q24+29%를 기록하면서 YoY 신발사업부 매출성장이 가파르게 올라오는 중. 나이키 외 브랜드가 선전하고 있고 재고확충은 계속되고 있음.
- 동사 신발 매출의 50% 가까이 차지하는 나이키의 가이던스 하향 영향이 2Q24까지도 없는 것으로 보이며 회사에서도 크게 없는 것으로 소통 중. 3Q24는 성수기이고 스포츠이벤트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존의 컨센서스를 다시 상회할 수 있는 호실적 가능성을 전망.
- 자사주 역시 7월 19일~10월 18일까지 26만주 매입 및 소각 진행 공시. 누적으로 81.5만주 소각했고 10월 18일까지 정상적으로 소각하면 총 107.5만주 소각. 이러한 꾸준한 소각은 24년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 현재까지 1H24 영업이익 382억, 순이익 304억을 기록했는데 하반기 서프 가능성을 배제하고 컨센서스만 적용하더라도 P/E 5배 수준(오늘 7% 올라서). 수주잔고도 QoQ로 성장(1Q24 279억=>2Q24 293억)하고 있고 주주환원도 강력하게 하기 때문에 밸류에이션이 좀 올라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메디톡스
- 대표이사 평단 19만원에 1,000주 장내매수.
- 24년 들어서 6회 장내매수 실시(그 중 4회가 2~3분기)했으며 총 7,300주 가량 장내매수 진행.
#지어소프트
- 사실상 오아시스 플레이긴한데, 오아시스 성장이 이번에도 좋음.
- 매출액도 두자릿수 성장 나오고 마진도 순이익 기준으로 22년 0%=>23년 3%=>1H24 5% 수준.
- 지어소프트 실적에 오아시스 영향이 크다는 것을 고려할 때 지어소프트 영업이익이 YoY +190% 가량 나왔다는 점은 유의미.
Telegram
投資, 아레테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MSCI
- 8월 MSCI에는 LS일렉트릭이 편입될 것으로 전망. 곧 8월 MSCI 편출입이 결정되기 때문에 MSCI의 눈은 11월을 향해 갈 것. 그렇게 되면 현대로템, LIG넥스원, 삼양식품 등에게 관심이 가게 됨. 하반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 퀄리티 있는 수출데이터에…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MSCI
- 8월 MSCI에는 LS일렉트릭이 편입될 것으로 전망. 곧 8월 MSCI 편출입이 결정되기 때문에 MSCI의 눈은 11월을 향해 갈 것. 그렇게 되면 현대로템, LIG넥스원, 삼양식품 등에게 관심이 가게 됨. 하반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 퀄리티 있는 수출데이터에…
👍7💯2✍1🫡1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전력기기 방산 조선 밸류업 우주 엔터 SW
- 상대강도: 전력기기 엔터 조선 바이오 밸류업 우주 SW
- 신고가 영역(60일 기준): 방산 미용 전력기기 엔터
- 전반적으로 금투세/대선 전후로 대금이 조금씩 올라오는 모습이 보여서 긍정적. 올라오는 것과 현재 유동성이 공급되고 있는 곳이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체크를 하면 좋을 듯.
#생각
-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은 머스크가 머리를 굉장히 잘 썼다고 생각함. 우선, 전기차 관련해 부정적인 내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에 대해 트럼프를 지지하면서 헷지를 해볼 수 있었고 스페이스X 관련해서는 트럼프가 NASA의 예산을 줄여서 다른 곳에 투입할 수 있는 여력이 나오는데 NASA를 줄이는 대안으로 스페이스X를 키울 수 있음.
- 매크로 영향은 16년 트럼프1기 때보다는 급격한 움직임이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함. 이는 1기 당시에는 트럼프가 역배였다면 2기 선거 기간에는 트럼프가 매우 정배였기 때문. 당장은 매크로 영향을 받는 섹터들의 주가도 미장 프리장 기준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근데 사실 프리장 기준 트럼프 피해주 빼고는 크게 오르는 중.
- 트럼프 수혜로 언급되는 섹터는 방산, 우주, 조선, 제약/바이오, 원전, 재건/기계, 은행 정도인 것 같음. 최소한 여기에 언급되는 섹터들이 트럼프 정책이 완전히 드러나기 전까지 상대적으로 불확실성에서 자유로울 것으로 보임.
- 4년째 방산맨으로서 방산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 요즘 채널 중에서 나 빼고 모두가 병신이다 내가 한건 투자고 너가 한건 투기/세일즈다 하는 채널이 몇 보이는데 미국으로 떠나신 분들은 미국 얘기나 하던가 하세요. 국장 투자하는 사람들이 머저리라서 그냥 그거 듣고만 있는게 아닙니다
#디지털교과서
- 자료참고: https://t.me/survival_DoPB/9578
- 국내 상장사는 2곳인데 산출시장규모는 비상교육이 훨씬 더 크다고 나옴.
- 금일 나왔던 뉴스는 1차 심사결과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았지만 승인하지 않았다는 것이고 1차를 통과한 업체들이 합격 여부를 기다리고 있다는 내용.
#지누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85
- 매트리스 업체 중에 거의 유일하게 미국 내 공장 보유. 미국 PB 브랜드 오프라인 제품들에 대한 주문이 향후 더욱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과거 트럼프 1기 당시 수혜를 봤던 회사.
#휴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6900147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mosma_1982/223649460163
-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모두 서프라이즈 기록하면서 매우 인상적인 실적을 보여줌.
- 수출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실적이 성장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북미 비중이 증가하면서 OPM이 40%대 중반에서 50%를 넘어서게 됨. 북미 톡신의 수출마진이 도대체 얼마인지 궁금할 정도로 실적이 잘 나옴.
- 파트너사에 대한 의문과 정확한 사업계획이 아직 시장에 공유되지 못한 상황이지만 이번 실적으로 통해 실제 미국 매출이 성장할 경우 어디까지 실적이 상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상방 룸을 크게 열어둬도 괜찮지 않나 생각함.
#전력기기
- 트럼프 캠프에서 나온 이야기 중에 전력망 현대화 부분이 있음.
- 전력수요 증가와 함께 전력망 현대화를 진행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전력기기 업체들의 수출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트럼프는 AI도 미국 중심의 성장을 그릴 것이 유력하고, 이를 위해 전력을 뽑아내는데 거리낌이 없을 것으로 생각함. 그 과정에서 수혜가 있을 것
- 트럼프 당선 이후 미장 프리장 기준 ETN을 중심으로 전력기기 업체들 강세를 보이고 있음.
#MSCI
- 다음 거래일 MSCI 정기변경 종목 공개.
- 시장은 이제 2월 MSCI 가능권에 관심을 둘 것으로 생각함.
- LIG넥스원, 리가켐바이오, HD현대미포, 삼양식품, 효성중공업, 휴젤 등이 있을 것으로 생각.
#우주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moon020101/223634622895
- 우주 예전에 비공개로 적어둔 글이 있어서 공개전환함.
- 근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펀더가 있고 글로벌 트렌드를 잘 따라가는 회사는 거의 없는데 현재 상황이 우주섹터를 사게 만드는 느낌.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전력기기 방산 조선 밸류업 우주 엔터 SW
- 상대강도: 전력기기 엔터 조선 바이오 밸류업 우주 SW
- 신고가 영역(60일 기준): 방산 미용 전력기기 엔터
- 전반적으로 금투세/대선 전후로 대금이 조금씩 올라오는 모습이 보여서 긍정적. 올라오는 것과 현재 유동성이 공급되고 있는 곳이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체크를 하면 좋을 듯.
#생각
-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은 머스크가 머리를 굉장히 잘 썼다고 생각함. 우선, 전기차 관련해 부정적인 내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에 대해 트럼프를 지지하면서 헷지를 해볼 수 있었고 스페이스X 관련해서는 트럼프가 NASA의 예산을 줄여서 다른 곳에 투입할 수 있는 여력이 나오는데 NASA를 줄이는 대안으로 스페이스X를 키울 수 있음.
- 매크로 영향은 16년 트럼프1기 때보다는 급격한 움직임이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함. 이는 1기 당시에는 트럼프가 역배였다면 2기 선거 기간에는 트럼프가 매우 정배였기 때문. 당장은 매크로 영향을 받는 섹터들의 주가도 미장 프리장 기준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근데 사실 프리장 기준 트럼프 피해주 빼고는 크게 오르는 중.
- 트럼프 수혜로 언급되는 섹터는 방산, 우주, 조선, 제약/바이오, 원전, 재건/기계, 은행 정도인 것 같음. 최소한 여기에 언급되는 섹터들이 트럼프 정책이 완전히 드러나기 전까지 상대적으로 불확실성에서 자유로울 것으로 보임.
-
- 요즘 채널 중에서 나 빼고 모두가 병신이다 내가 한건 투자고 너가 한건 투기/세일즈다 하는 채널이 몇 보이는데 미국으로 떠나신 분들은 미국 얘기나 하던가 하세요. 국장 투자하는 사람들이 머저리라서 그냥 그거 듣고만 있는게 아닙니다
#디지털교과서
- 자료참고: https://t.me/survival_DoPB/9578
- 국내 상장사는 2곳인데 산출시장규모는 비상교육이 훨씬 더 크다고 나옴.
- 금일 나왔던 뉴스는 1차 심사결과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았지만 승인하지 않았다는 것이고 1차를 통과한 업체들이 합격 여부를 기다리고 있다는 내용.
#지누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85
- 매트리스 업체 중에 거의 유일하게 미국 내 공장 보유. 미국 PB 브랜드 오프라인 제품들에 대한 주문이 향후 더욱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과거 트럼프 1기 당시 수혜를 봤던 회사.
#휴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6900147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mosma_1982/223649460163
-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모두 서프라이즈 기록하면서 매우 인상적인 실적을 보여줌.
- 수출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실적이 성장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북미 비중이 증가하면서 OPM이 40%대 중반에서 50%를 넘어서게 됨. 북미 톡신의 수출마진이 도대체 얼마인지 궁금할 정도로 실적이 잘 나옴.
- 파트너사에 대한 의문과 정확한 사업계획이 아직 시장에 공유되지 못한 상황이지만 이번 실적으로 통해 실제 미국 매출이 성장할 경우 어디까지 실적이 상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상방 룸을 크게 열어둬도 괜찮지 않나 생각함.
#전력기기
- 트럼프 캠프에서 나온 이야기 중에 전력망 현대화 부분이 있음.
- 전력수요 증가와 함께 전력망 현대화를 진행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전력기기 업체들의 수출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트럼프는 AI도 미국 중심의 성장을 그릴 것이 유력하고, 이를 위해 전력을 뽑아내는데 거리낌이 없을 것으로 생각함. 그 과정에서 수혜가 있을 것
- 트럼프 당선 이후 미장 프리장 기준 ETN을 중심으로 전력기기 업체들 강세를 보이고 있음.
#MSCI
- 다음 거래일 MSCI 정기변경 종목 공개.
- 시장은 이제 2월 MSCI 가능권에 관심을 둘 것으로 생각함.
- LIG넥스원, 리가켐바이오, HD현대미포, 삼양식품, 효성중공업, 휴젤 등이 있을 것으로 생각.
#우주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moon020101/223634622895
- 우주 예전에 비공개로 적어둔 글이 있어서 공개전환함.
- 근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펀더가 있고 글로벌 트렌드를 잘 따라가는 회사는 거의 없는데 현재 상황이 우주섹터를 사게 만드는 느낌.
👍49🫡4✍3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바이오 조선/LNG 화장품/미용 AISW 밸류업(금자지) 음식료 전력
- 상대강도: 조선/LNG 화장품/미용 음식료 밸류업(금자지) 2차전지 테크 엔터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테크 조선/LNG 밸류업(금자지)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테크 조선/LNG 화장품/미용 음식료 밸류업(금자지)
#삼양식품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6801348
- 자료참고: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41218000338&docno=&viewerhost=&viewerport=
- 이전 타법인취득공시 이후 중국 투자에 대한 구체화된 내용이 담긴 공시. 내용은 다들 알고있듯 중국 현지 내수 시장을 대응하기 위한 현지 공장 설립에 대한 부분. 1) 싱가폴 유한회사 취득 후 2) 그곳에서 중국 생산법인을 설립해 6개 생산라인을 증설할 것.
- 삼양식품은 이미 밀양 2공장으로 CAPA를 확장 중에 있는데, 기존 Q 업사이드룸이 더 높아지고 시계열이 길어질 수 있음. 현재 CAPA에 대한 정확한 소통을 하고 있지 않지만, 밀양보다는 큰 규모로 추정되며 이렇게 될 경우 24년 18억=>2Q25 25개에서, 24년 18억=>1Q27 32억 이상까지 확대 가능한 수준으로 높아짐.
- 매출 기준 2Q25 매출액 2조 중반/OPM 20% 타겟을 한 뒤, 27년에는 3조 초반/OPM 20%를 기대해볼 수 있는 내용. 중국 사업 수익성 확대(Q 상승&C 감소가 기대됨. 현지 수요를 고려할 때밀양 2공장 뿐 아니라 중국 현지 공장의 가동률도 빠르게 상승하면서 BEP 라인을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토비스
- 자료참고: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17900126
- 회사에서 전장쪽 12월 정도에 증설 발표 나올 것이라고 했는데 공시로 나옴. 고객사 물량 대응을 위한 전장 증설로 2Q25쯤 완공되어 가동될 것으로 예상됨. 이것을 통해 예상되는 매출액 증가는 1,000억(23년 매출액 대비 약 20%) 수준.
- 카지노쪽도 필리핀 투자, 태국과 일본의 합법화, UAE 등 산업적으로 성장이 나오는 모습인데 전장쪽이 계속 물량 대응이 나오면서 카지노 전장 모두 성장하는 모습. 이러한 상황에서 25E P/E 6배 언더인 경우는 매력적인 내용 대비 저평가 요소로 판단해볼 수 있음.
#방산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8800236
- 자료참고: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62XOM3I?OutLink=telegram
- 금일 공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방사청 대상 K21 보병장갑차 수주로 약 7,000억 규모. 연말에는 예산 다 쓰기 위해 국내 관련 수주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음.
- 방사청장이 방산업계 CEO들과 간담회를 하고 노르웨이, 필란드 등 북유럽 국가에서 천무 수주에 대한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언급함. 이들은 대표적으로 K9을 기도입한 국가들로, K9에 대한 수주 이후 락인효과로 사거리가 더 긴 무기체계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중. 또한 유럽 탄약 공급난으로 인해 스웨덴 군과 추진장약 공급계약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남.
- K2 역시 폴란드 외 루마니아에서도 25년 계약에 대한 언급되었으며 LIG넥스원의 천궁과 L-SAM은 패키지 수출을 추진하고 있음. 최근 무기체계 개발 후 국내 양산배치보다 해외 계약이 먼저 나오는 경향성을 고려할 때 이르면 25년 내 내용을 기대해볼 수 있을 듯.
#LNG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519629
- 트럼프가 임기 첫날 시추 확대 행정명령 내린다고 함.
- EIA에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US의 LNG 수출 용량이 24년 이후로 급격하게 커지면서 28년에는 24년 대비 50% 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됨. 즉, LNG와 관련된 다양한 부품 및 선박 필요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
- 한국가스공사도 미국 LNG 도입을 위한 우선협상 진행. 트럼프 이후 예상되는 미국 LNG 도입 그림과 함께 상대적으로 이전 장기계약 대비 저변동성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또한 기존 거래처들과의 협상력도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MSCI
- 가장 최우선 후보는 삼양식품, HD현대미포. MSCI 2월 편입에서 1) 시가총액, 2) 유동시가총액 2가지 조건에서 두 회사 모두 2번은 충족되며 1번을 위해서는 2월까지 약 20% 가량 올라야 하는 상황.
- HD현대미포는 PC선 비중 확대/생산성 개선으로 수익성 개선 확대 및 LNG 발주와 함께 LNG 벙커링 수주 확대, 삼양식품은 실적과 공시를 통해 보이는 Full CAPA 자신감 및 Q의 업사이드 확대 등을 고려할 때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
#배당
- 연말이 배당기준일인 종목들은 다음주까지 매수를 해둬야 하는 상황. 수익률 좋은 종목들 중심으로 선별.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바이오 조선/LNG 화장품/미용 AISW 밸류업(금자지) 음식료 전력
- 상대강도: 조선/LNG 화장품/미용 음식료 밸류업(금자지) 2차전지 테크 엔터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테크 조선/LNG 밸류업(금자지)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테크 조선/LNG 화장품/미용 음식료 밸류업(금자지)
#삼양식품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6801348
- 자료참고: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41218000338&docno=&viewerhost=&viewerport=
- 이전 타법인취득공시 이후 중국 투자에 대한 구체화된 내용이 담긴 공시. 내용은 다들 알고있듯 중국 현지 내수 시장을 대응하기 위한 현지 공장 설립에 대한 부분. 1) 싱가폴 유한회사 취득 후 2) 그곳에서 중국 생산법인을 설립해 6개 생산라인을 증설할 것.
- 삼양식품은 이미 밀양 2공장으로 CAPA를 확장 중에 있는데, 기존 Q 업사이드룸이 더 높아지고 시계열이 길어질 수 있음. 현재 CAPA에 대한 정확한 소통을 하고 있지 않지만, 밀양보다는 큰 규모로 추정되며 이렇게 될 경우 24년 18억=>2Q25 25개에서, 24년 18억=>1Q27 32억 이상까지 확대 가능한 수준으로 높아짐.
- 매출 기준 2Q25 매출액 2조 중반/OPM 20% 타겟을 한 뒤, 27년에는 3조 초반/OPM 20%를 기대해볼 수 있는 내용. 중국 사업 수익성 확대(Q 상승&C 감소가 기대됨. 현지 수요를 고려할 때밀양 2공장 뿐 아니라 중국 현지 공장의 가동률도 빠르게 상승하면서 BEP 라인을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토비스
- 자료참고: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17900126
- 회사에서 전장쪽 12월 정도에 증설 발표 나올 것이라고 했는데 공시로 나옴. 고객사 물량 대응을 위한 전장 증설로 2Q25쯤 완공되어 가동될 것으로 예상됨. 이것을 통해 예상되는 매출액 증가는 1,000억(23년 매출액 대비 약 20%) 수준.
- 카지노쪽도 필리핀 투자, 태국과 일본의 합법화, UAE 등 산업적으로 성장이 나오는 모습인데 전장쪽이 계속 물량 대응이 나오면서 카지노 전장 모두 성장하는 모습. 이러한 상황에서 25E P/E 6배 언더인 경우는 매력적인 내용 대비 저평가 요소로 판단해볼 수 있음.
#방산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8800236
- 자료참고: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62XOM3I?OutLink=telegram
- 금일 공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방사청 대상 K21 보병장갑차 수주로 약 7,000억 규모. 연말에는 예산 다 쓰기 위해 국내 관련 수주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음.
- 방사청장이 방산업계 CEO들과 간담회를 하고 노르웨이, 필란드 등 북유럽 국가에서 천무 수주에 대한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언급함. 이들은 대표적으로 K9을 기도입한 국가들로, K9에 대한 수주 이후 락인효과로 사거리가 더 긴 무기체계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중. 또한 유럽 탄약 공급난으로 인해 스웨덴 군과 추진장약 공급계약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남.
- K2 역시 폴란드 외 루마니아에서도 25년 계약에 대한 언급되었으며 LIG넥스원의 천궁과 L-SAM은 패키지 수출을 추진하고 있음. 최근 무기체계 개발 후 국내 양산배치보다 해외 계약이 먼저 나오는 경향성을 고려할 때 이르면 25년 내 내용을 기대해볼 수 있을 듯.
#LNG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519629
- 트럼프가 임기 첫날 시추 확대 행정명령 내린다고 함.
- EIA에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US의 LNG 수출 용량이 24년 이후로 급격하게 커지면서 28년에는 24년 대비 50% 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됨. 즉, LNG와 관련된 다양한 부품 및 선박 필요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
- 한국가스공사도 미국 LNG 도입을 위한 우선협상 진행. 트럼프 이후 예상되는 미국 LNG 도입 그림과 함께 상대적으로 이전 장기계약 대비 저변동성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또한 기존 거래처들과의 협상력도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MSCI
- 가장 최우선 후보는 삼양식품, HD현대미포. MSCI 2월 편입에서 1) 시가총액, 2) 유동시가총액 2가지 조건에서 두 회사 모두 2번은 충족되며 1번을 위해서는 2월까지 약 20% 가량 올라야 하는 상황.
- HD현대미포는 PC선 비중 확대/생산성 개선으로 수익성 개선 확대 및 LNG 발주와 함께 LNG 벙커링 수주 확대, 삼양식품은 실적과 공시를 통해 보이는 Full CAPA 자신감 및 Q의 업사이드 확대 등을 고려할 때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
#배당
- 연말이 배당기준일인 종목들은 다음주까지 매수를 해둬야 하는 상황. 수익률 좋은 종목들 중심으로 선별.
👍29💯3✍2
《하나 주식전략》 이재만과 김두언 그리고 이경수
Photo
#MSCI
MSCI 안정권 종목들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15% 안쪽으로 들어왔네요 LIG넥스원이 32% 정도
MSCI 안정권 종목들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15% 안쪽으로 들어왔네요 LIG넥스원이 32% 정도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로봇, 조선/LNG, 바이오, 방산, 화장품/미용
- 상대강도: 바이오, 2차전지, 테크, AISW, 전력, 로봇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전력, 테크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테크, 로봇
#경동나비엔
- 3Q24 매출액 3,227억, 영업이익 368억 기록하며 컨센 상회. 동사 해외 매출은 비중은 70% 수준으로, 3Q 환율이 하락했음에도 매출이 증가했다는 것은 판매 물량(Q)의 확대로 매출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
- 순이익의 경우 1) 환율 관련 일회성, 2) 기타비용 등으로 추정되는데, 환율 하락으로 인한 영업외 평가손실로 인한 순이익 감소분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통해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비용 측면에서 운임비 하락에 따른 물류비 감소와 함께 물량 개선으로 인한 개선도 존재할 것. 4Q24 QoQ 평균 운임비용이 하락한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기대할 만한 요소로 작용 가능.
- 시장 노이즈가 많았지만, 수출데이터가 월별 실적과 연관이 있다기보다 연간 방향성을 바라보는게 맞다는 것이 이번에도 입증되었음. 1) 4Q 성수기, 2) HVAC 첫 성수기 시즌 도래, 3) 환율 상승 및 운임비 감소에 따른 수혜 등 우호적인 부분이 존재하며 25E 기준 매력적인 밸류. 장기적으로도 DOE 정책으로 인해 동사 제품 사용 니즈가 필연적으로 증가.
- 19년 당시에 중국 보일러 사업으로 20배 받았었고 19~23년 5년 평균 P/E 13배 수준이니 현재 주가는 부담없는 듯. 신사업 성공하면 멀티플 확장.
#이수페타시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99
- AI 빅테크와 직접 연관된 기업 중 노이즈로 인해 유일하게 주가 회복을 못하고 있음.
- 노이즈 회복이 된다면 회사의 내용을 생각했을 때 높은 상승여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
#하이브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3000259
- 연금 지분 확대(6.5%=>7.6%). 악재에 더 이상 하방 압력을 받지 않는 모습.
- 25년 YoY로 실적 크게 올라올 수 있는데, 1) BTS, 2) 저연차라인업 성장, 3) 위버스 유료화, 4) 신사업 손익 개선 등의 포인트가 있음.
#제닉
- 자료참고: https://m.blog.naver.com/lepain-/223715227415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88
- 트래픽 ATH 유지하는 가운데, 10~11월 아마존 빅딜데이 및 사이버 먼데이 모두 데이터가 올라오고 있음.
- 코스트코 오프라인을 시작으로 얼타, 타겟, 세포라 등으로 입점 확대되고 있는 Phase 2 단계.
- 의외로 마스크팩에서겔패드 등으로 제품이 확장되고 있음(출시 당일 올영 전체 1위).
- 라인 증설도 기존 4Q24 600만/월 스케줄에서 24.10월 600만장으로 가능한 상황이며 12월 초 설비 생산 투입 추가될 것으로 전망됨. 3Q 실적도 일회성 대손 5억은 4Q24~1Q25 정도에 환입될 것이며 그 외 정상적으로 이익이 인식될 예정.
#테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01
- 자료참고: https://t.me/survival_DoPB/9941
- MSFT가 25년 CAPEX를 $80bn으로 제시하면서 예상치를 크게 상회. 그뿐 아니라 다양한 빅테크들이 CAPEX 늘리는 중.
- HBM을 포함해 AI빅테크와 직접 연관되어 있는 국내 주식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긍정적 관점 유지.
- 이오테크닉스, 파크시스템스, 이수페타시스, 두산 등이 AI빅테크 및 직접벤더와 연관된 회사 관점에서 관심.
#조선
- 전일 급락은 1) 바이든 이슈, 2) HD현대그룹의 계획치, 3) 타 업종 상승에 다른 수급 등이 겹친게 아닐까 생각.
- 바이든 이슈는 트럼프 취임하기 전에 최대한 막으려고 노력하는 정도의 노이즈라고 생각.
- HD현대그룹의 계획치는 1) 수주가 아쉽다고 생각하는 것의 경우 21년 이후 평균적으로 수주 대비 40% 가량 초과 달성을 했었다는 것, 2) 매출 그로쓰가 아쉽다는 것의 경우 별도와 연결의 매출액 성장 폭이 다르고 이익 성장률은 이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을 생각.
- 타 업종 상승 수급 이슈는 많이 올랐으니까 합리적이라고 생각.
#전력기기
- 자료참고: https://t.me/ym_research/4281
- 빅테크들도 원하는 AI확대를 위한 전력기기 뒷받침.
#로봇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84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86
- 대금이 터지면서 시세를 유지한건 레인보우로보틱스 1개. 다만, 휴머노이드 관련 중소형주 역시 지속 관심.
#MSCI
- 현재 상황 속 순위권 Top3는 삼양식품, LIG넥스원, HD현대미포. 각 약 16~20% 수준의 상승이 나와야 함.
- 편입 불발되는 종목군들이 나오더라도 현재 시점에서는 5월 MSCI 최우선 후보군이 될 수 있기 때문에 MSCI 기대감에 대한 부분은 계속 가져갈 수 있을 듯.
- 특별한 펀더멘탈 상 악재가 없다는 전제 하에서 편입 불발 이슈로 변동성이 높아지는 종목들에 대해서는 매수 관점에서 지켜볼 필요 있음.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로봇, 조선/LNG, 바이오, 방산, 화장품/미용
- 상대강도: 바이오, 2차전지, 테크, AISW, 전력, 로봇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전력, 테크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테크, 로봇
#경동나비엔
- 3Q24 매출액 3,227억, 영업이익 368억 기록하며 컨센 상회. 동사 해외 매출은 비중은 70% 수준으로, 3Q 환율이 하락했음에도 매출이 증가했다는 것은 판매 물량(Q)의 확대로 매출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
- 순이익의 경우 1) 환율 관련 일회성, 2) 기타비용 등으로 추정되는데, 환율 하락으로 인한 영업외 평가손실로 인한 순이익 감소분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통해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비용 측면에서 운임비 하락에 따른 물류비 감소와 함께 물량 개선으로 인한 개선도 존재할 것. 4Q24 QoQ 평균 운임비용이 하락한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기대할 만한 요소로 작용 가능.
- 시장 노이즈가 많았지만, 수출데이터가 월별 실적과 연관이 있다기보다 연간 방향성을 바라보는게 맞다는 것이 이번에도 입증되었음. 1) 4Q 성수기, 2) HVAC 첫 성수기 시즌 도래, 3) 환율 상승 및 운임비 감소에 따른 수혜 등 우호적인 부분이 존재하며 25E 기준 매력적인 밸류. 장기적으로도 DOE 정책으로 인해 동사 제품 사용 니즈가 필연적으로 증가.
- 19년 당시에 중국 보일러 사업으로 20배 받았었고 19~23년 5년 평균 P/E 13배 수준이니 현재 주가는 부담없는 듯. 신사업 성공하면 멀티플 확장.
#이수페타시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99
- AI 빅테크와 직접 연관된 기업 중 노이즈로 인해 유일하게 주가 회복을 못하고 있음.
- 노이즈 회복이 된다면 회사의 내용을 생각했을 때 높은 상승여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
#하이브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3000259
- 연금 지분 확대(6.5%=>7.6%). 악재에 더 이상 하방 압력을 받지 않는 모습.
- 25년 YoY로 실적 크게 올라올 수 있는데, 1) BTS, 2) 저연차라인업 성장, 3) 위버스 유료화, 4) 신사업 손익 개선 등의 포인트가 있음.
#제닉
- 자료참고: https://m.blog.naver.com/lepain-/223715227415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88
- 트래픽 ATH 유지하는 가운데, 10~11월 아마존 빅딜데이 및 사이버 먼데이 모두 데이터가 올라오고 있음.
- 코스트코 오프라인을 시작으로 얼타, 타겟, 세포라 등으로 입점 확대되고 있는 Phase 2 단계.
- 의외로 마스크팩에서겔패드 등으로 제품이 확장되고 있음(출시 당일 올영 전체 1위).
- 라인 증설도 기존 4Q24 600만/월 스케줄에서 24.10월 600만장으로 가능한 상황이며 12월 초 설비 생산 투입 추가될 것으로 전망됨. 3Q 실적도 일회성 대손 5억은 4Q24~1Q25 정도에 환입될 것이며 그 외 정상적으로 이익이 인식될 예정.
#테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01
- 자료참고: https://t.me/survival_DoPB/9941
- MSFT가 25년 CAPEX를 $80bn으로 제시하면서 예상치를 크게 상회. 그뿐 아니라 다양한 빅테크들이 CAPEX 늘리는 중.
- HBM을 포함해 AI빅테크와 직접 연관되어 있는 국내 주식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긍정적 관점 유지.
- 이오테크닉스, 파크시스템스, 이수페타시스, 두산 등이 AI빅테크 및 직접벤더와 연관된 회사 관점에서 관심.
#조선
- 전일 급락은 1) 바이든 이슈, 2) HD현대그룹의 계획치, 3) 타 업종 상승에 다른 수급 등이 겹친게 아닐까 생각.
- 바이든 이슈는 트럼프 취임하기 전에 최대한 막으려고 노력하는 정도의 노이즈라고 생각.
- HD현대그룹의 계획치는 1) 수주가 아쉽다고 생각하는 것의 경우 21년 이후 평균적으로 수주 대비 40% 가량 초과 달성을 했었다는 것, 2) 매출 그로쓰가 아쉽다는 것의 경우 별도와 연결의 매출액 성장 폭이 다르고 이익 성장률은 이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을 생각.
- 타 업종 상승 수급 이슈는 많이 올랐으니까 합리적이라고 생각.
#전력기기
- 자료참고: https://t.me/ym_research/4281
- 빅테크들도 원하는 AI확대를 위한 전력기기 뒷받침.
#로봇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84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86
- 대금이 터지면서 시세를 유지한건 레인보우로보틱스 1개. 다만, 휴머노이드 관련 중소형주 역시 지속 관심.
#MSCI
- 현재 상황 속 순위권 Top3는 삼양식품, LIG넥스원, HD현대미포. 각 약 16~20% 수준의 상승이 나와야 함.
- 편입 불발되는 종목군들이 나오더라도 현재 시점에서는 5월 MSCI 최우선 후보군이 될 수 있기 때문에 MSCI 기대감에 대한 부분은 계속 가져갈 수 있을 듯.
- 특별한 펀더멘탈 상 악재가 없다는 전제 하에서 편입 불발 이슈로 변동성이 높아지는 종목들에 대해서는 매수 관점에서 지켜볼 필요 있음.
🫡17👍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