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미장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778
- 미장 고가 마감 섹터는 금융, 바이오/헬스케어, 주택/부동산, 신재생, 자동차, 방산 등
- 전반적으로 기존 컨셉대로 1) 금리 인하 수혜, 2) 유동성 공급, 3) 경기둔화 대비 실적 방어 가능 등이 작용하는 듯.
- 한편, 미국의 성장이 이전 소비경제로 인한 성장이 아닌 투자로 인한 상승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소비 뿐 아니라 투자의 그로쓰 및 추세도 같이 봐야할 듯.
#미중분쟁
- 조선에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조선업 조사가 예상보다 빠르게 나올 수 있다는 보도. 미국에 불리하다면 예상보다 빠르게 낼까 싶음. 일본 엔진사 엔진 연비를 조작하다가 걸림. 중국은 대놓고 미국이 조지는중이기 때문에 한국에 유리한 환경 계속 만들어지는 듯.
- 생물보안법에서 미국 하원이 FDA에 중국 바이오 생태계에 대한 범위를 확장하고 있음. 임상시험 실시기관에 조사를 요청함. 기존 범위를 넘어 임상시험 및 특정 제약사 약물 등을 언급하면서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는 중.
- 전반적으로 중국에 대한 압박을 계속해서 강화하는 그림. 관련 수혜는 방향성 측면에서 지속성이 있음.
#크래프톤
- https://t.me/Nicker0122_1/2177
- 2Q 서프+3Q 서프 기대감을 공식적으로 준 상황에서 신작 인조이 트래픽이 매우 호조를 보이고 있음.
- 기존 배틀그라운드에서도 스팀차트 동접자 최근 3년 최고 기록.
#교촌에프앤비
- 2Q24 매출액 1,139억, 영업이익 -99억 기록. 적자전환의 원인은 2Q 유통망 효율화를 위한 가맹지역본부 전환 비용이 일시적으로 크게 반영된 것으로 판단. 이는 1) 점포당 매출액이 22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고, 2) 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 감소가 완화되고 있으며 3) 원부자재 가격 안정화 등으로 추정 가능.
- 3Q24는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며 4Q24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 3Q는 1) 2Q 전환된 가맹지역본부 효과 온기 반영, 2) 올림픽 및 성수기 효과 등에 기인. 또한 나머지 가맹지역본부 7개 전환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및 판관비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4Q에는 이것이 제거되며 더 큰 실적이 기대됨.
#CJCGV
- OTT는 제작비 규모를 떠나서 오랜 시간 소비자를 잡을 수 있는 시리즈물이 주된 상품. 영화의 경우 극장에서 관객을 충분히 모은 후 홀드백 기간을 거쳐 공개. 즉, 볼만한 영화들은 극장에서 관람 가능.
- 티켓가격은 20~22년 매년 1천원 인상했으나 21년은 특별 인상. 2Q23부터 당양한 프로모션으로 1Q24 ATP(Average Ticket Price)는 -19% 하락. 가구별 처분가능소득대비 ATP 기준으로는 오히려 4Q19보다 낮은 수준.
- 결국 티켓가격의 논쟁은 볼만한 영화가 많아지면 해결되는 부수적 요인. 2H24에는 신작 및 시리즈 위주(베테랑2/베놈3/글래디에이터2/조커2 등)의 개봉으로 극장 회복 가속도 전망.
- 현재 리스부채 등이 많은데, 금리인하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감소 가능. 매출이 성장한다는 것이 숫자로 나타날 시 매출액상승/비용감소 그림 가능.
- 현재 19년 대비 모객이 60%인점을 고려할 때 추가 모객이 가능하며 현재 기준으로도 주가 상승여력이 나올 수 있다는 생각.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미장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778
- 미장 고가 마감 섹터는 금융, 바이오/헬스케어, 주택/부동산, 신재생, 자동차, 방산 등
- 전반적으로 기존 컨셉대로 1) 금리 인하 수혜, 2) 유동성 공급, 3) 경기둔화 대비 실적 방어 가능 등이 작용하는 듯.
- 한편, 미국의 성장이 이전 소비경제로 인한 성장이 아닌 투자로 인한 상승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소비 뿐 아니라 투자의 그로쓰 및 추세도 같이 봐야할 듯.
#미중분쟁
- 조선에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조선업 조사가 예상보다 빠르게 나올 수 있다는 보도. 미국에 불리하다면 예상보다 빠르게 낼까 싶음. 일본 엔진사 엔진 연비를 조작하다가 걸림. 중국은 대놓고 미국이 조지는중이기 때문에 한국에 유리한 환경 계속 만들어지는 듯.
- 생물보안법에서 미국 하원이 FDA에 중국 바이오 생태계에 대한 범위를 확장하고 있음. 임상시험 실시기관에 조사를 요청함. 기존 범위를 넘어 임상시험 및 특정 제약사 약물 등을 언급하면서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는 중.
- 전반적으로 중국에 대한 압박을 계속해서 강화하는 그림. 관련 수혜는 방향성 측면에서 지속성이 있음.
#크래프톤
- https://t.me/Nicker0122_1/2177
- 2Q 서프+3Q 서프 기대감을 공식적으로 준 상황에서 신작 인조이 트래픽이 매우 호조를 보이고 있음.
- 기존 배틀그라운드에서도 스팀차트 동접자 최근 3년 최고 기록.
#교촌에프앤비
- 2Q24 매출액 1,139억, 영업이익 -99억 기록. 적자전환의 원인은 2Q 유통망 효율화를 위한 가맹지역본부 전환 비용이 일시적으로 크게 반영된 것으로 판단. 이는 1) 점포당 매출액이 22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고, 2) 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 감소가 완화되고 있으며 3) 원부자재 가격 안정화 등으로 추정 가능.
- 3Q24는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며 4Q24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 3Q는 1) 2Q 전환된 가맹지역본부 효과 온기 반영, 2) 올림픽 및 성수기 효과 등에 기인. 또한 나머지 가맹지역본부 7개 전환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및 판관비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4Q에는 이것이 제거되며 더 큰 실적이 기대됨.
#CJCGV
- OTT는 제작비 규모를 떠나서 오랜 시간 소비자를 잡을 수 있는 시리즈물이 주된 상품. 영화의 경우 극장에서 관객을 충분히 모은 후 홀드백 기간을 거쳐 공개. 즉, 볼만한 영화들은 극장에서 관람 가능.
- 티켓가격은 20~22년 매년 1천원 인상했으나 21년은 특별 인상. 2Q23부터 당양한 프로모션으로 1Q24 ATP(Average Ticket Price)는 -19% 하락. 가구별 처분가능소득대비 ATP 기준으로는 오히려 4Q19보다 낮은 수준.
- 결국 티켓가격의 논쟁은 볼만한 영화가 많아지면 해결되는 부수적 요인. 2H24에는 신작 및 시리즈 위주(베테랑2/베놈3/글래디에이터2/조커2 등)의 개봉으로 극장 회복 가속도 전망.
- 현재 리스부채 등이 많은데, 금리인하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감소 가능. 매출이 성장한다는 것이 숫자로 나타날 시 매출액상승/비용감소 그림 가능.
- 현재 19년 대비 모객이 60%인점을 고려할 때 추가 모객이 가능하며 현재 기준으로도 주가 상승여력이 나올 수 있다는 생각.
👍7✍5🫡1
Forwarded from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 폴란드 업데이트
*폴란드 군수청 피셜.
2차계약은 K2 180대, 지원차량 81대, 탄약보급품 포함. 8월 9일부터 최종협상 중..9월초 MSPO에서 체결 안될수도있지만 계약 자체는 여전히 유효하기 잘 진행 중인듯.
https://x.com/AgencjaUzbr/status/1826906666706637268
*그리고 지난 주 K9 12대, K2 5대 현지 퀵배송 완료.
https://x.com/AgencjaUzbr/status/1827656936692580418
*폴란드 군수청 피셜.
2차계약은 K2 180대, 지원차량 81대, 탄약보급품 포함. 8월 9일부터 최종협상 중..9월초 MSPO에서 체결 안될수도있지만 계약 자체는 여전히 유효하기 잘 진행 중인듯.
https://x.com/AgencjaUzbr/status/1826906666706637268
*그리고 지난 주 K9 12대, K2 5대 현지 퀵배송 완료.
https://x.com/AgencjaUzbr/status/1827656936692580418
投資, 아레테
- OTT는 제작비 규모를 떠나서 오랜 시간 소비자를 잡을 수 있는 시리즈물이 주된 상품. 영화의 경우 극장에서 관객을 충분히 모은 후 홀드백 기간을 거쳐 공개. 즉, 볼만한 영화들은 극장에서 관람 가능.
- 티켓가격은 20~22년 매년 1천원 인상했으나 21년은 특별 인상. 2Q23부터 당양한 프로모션으로 1Q24 ATP(Average Ticket Price)는 -19% 하락. 가구별 처분가능소득대비 ATP 기준으로는 오히려 4Q19보다 낮은 수준.
- 결국 티켓가격의 논쟁은 볼만한 영화가 많아지면 해결되는 부수적 요인. 2H24에는 신작 및 시리즈 위주(베테랑2/베놈3/글래디에이터2/조커2 등)의 개봉으로 극장 회복 가속도 전망.
- 현재 리스부채 등이 많은데, 금리인하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감소 가능. 매출이 성장한다는 것이 숫자로 나타날 시 매출액상승/비용감소 그림 가능.
- 현재 19년 대비 모객이 60%인점을 고려할 때 추가 모객이 가능하며 현재 기준으로도 주가 상승여력이 나올 수 있다는 생각
- 티켓가격은 20~22년 매년 1천원 인상했으나 21년은 특별 인상. 2Q23부터 당양한 프로모션으로 1Q24 ATP(Average Ticket Price)는 -19% 하락. 가구별 처분가능소득대비 ATP 기준으로는 오히려 4Q19보다 낮은 수준.
- 결국 티켓가격의 논쟁은 볼만한 영화가 많아지면 해결되는 부수적 요인. 2H24에는 신작 및 시리즈 위주(베테랑2/베놈3/글래디에이터2/조커2 등)의 개봉으로 극장 회복 가속도 전망.
- 현재 리스부채 등이 많은데, 금리인하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감소 가능. 매출이 성장한다는 것이 숫자로 나타날 시 매출액상승/비용감소 그림 가능.
- 현재 19년 대비 모객이 60%인점을 고려할 때 추가 모객이 가능하며 현재 기준으로도 주가 상승여력이 나올 수 있다는 생각
#CJCGV
연금의 롱매수
연금의 롱매수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환율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785
- 환율하락에 따른 수혜주들 올라오는 중. 대표적으로 한전 등의 유틸리티.
- 환율 관련해서 급락하는 애들은 뭐 펀더 문제라기보다는 그냥 뭔가 명분을 줘서 패는 느낌도 들긴 함.
- 근데 어째서 내가 빠지길 기도하는 수출주는 빠지지 않고 고고히 오른단 말인가....ㅠ
#금리인하
- 금리인하에서 중요한 것은 아래 정도로 생각 중.
- 아래 조건을 갖추게 되면 탑라인과 마진개선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주가도 좋을 듯)
1) 매출이 유지 or 성장할 수 있는지
2) 금리인하에 따라 실제 금융비용이 줄 수 있는지(무차입의 경우 제외)
3) 금리와 더불어 실제 비효율을 개선 or 외부요인으로 비용 관점에서 추가적 하락이 있을 수 있는지
#현대로템
- 자료참고: https://t.me/eugene2team/2571
- 핵심은 1) 수출계약이 진행되고 있는데 얘기되는 사이즈가 더 커진 것으로 보이며 2) 수급적으로도 우호적인 환경은 사실이라는 것.
#바이오
- 1) 에스티팜/SK바이오팜 등 드디어 바이오텍을 PER로 밸류에이션하는 방식이 공식적으로 나오기 시작했고, 2) 생물보안법은 미국에서 강력하게 드라이브 하면서 삼성바이오/에스티팜 등의 수혜가 지속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우시도 목표가 하향)되고, 3) 보로노이도 좋은 데이터 및 공시들을 통해 기대감을 키우고 있고, 4) 알테오젠도 물질특허 받고 구조적 성장 산업에서 독과점의 수혜를 누릴 수 있는 등(https://t.me/BarbarianBHC/103, https://t.me/BarbarianBHC/104) 바이오에 우호적인 환경이 만들어지는 중.
#생각
- 올해 증시의 주인공이었던 종목들을 제대로 먹지 못했는데 만족할만한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음.
- 계좌 수익률을 책임진 종목은 올해 4개로, 내 기준 나름 비중빵을 쳤덬 종목들인데 시장의 주인공은 아니었지만 시장의 관심 안에 있었으며 편하게 비중을 늘릴 수 있던 종목들.
- 투자자의 기질(https://t.me/mstaryun/6344)이라는 내용과 함께 생각했을 때 자신에게 Fit하지 않은 종목들은 비중도 싣지 못하고 먹더라도 많이 못먹었고 마음이 매일 불편함. 1) 시장에서 관심을 적당히 받으면서(유동성 공급원이 필요) 2) 나의 기질에 맞는 주식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환율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785
- 환율하락에 따른 수혜주들 올라오는 중. 대표적으로 한전 등의 유틸리티.
- 환율 관련해서 급락하는 애들은 뭐 펀더 문제라기보다는 그냥 뭔가 명분을 줘서 패는 느낌도 들긴 함.
- 근데 어째서 내가 빠지길 기도하는 수출주는 빠지지 않고 고고히 오른단 말인가....ㅠ
#금리인하
- 금리인하에서 중요한 것은 아래 정도로 생각 중.
- 아래 조건을 갖추게 되면 탑라인과 마진개선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주가도 좋을 듯)
1) 매출이 유지 or 성장할 수 있는지
2) 금리인하에 따라 실제 금융비용이 줄 수 있는지(무차입의 경우 제외)
3) 금리와 더불어 실제 비효율을 개선 or 외부요인으로 비용 관점에서 추가적 하락이 있을 수 있는지
#현대로템
- 자료참고: https://t.me/eugene2team/2571
- 핵심은 1) 수출계약이 진행되고 있는데 얘기되는 사이즈가 더 커진 것으로 보이며 2) 수급적으로도 우호적인 환경은 사실이라는 것.
#바이오
- 1) 에스티팜/SK바이오팜 등 드디어 바이오텍을 PER로 밸류에이션하는 방식이 공식적으로 나오기 시작했고, 2) 생물보안법은 미국에서 강력하게 드라이브 하면서 삼성바이오/에스티팜 등의 수혜가 지속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우시도 목표가 하향)되고, 3) 보로노이도 좋은 데이터 및 공시들을 통해 기대감을 키우고 있고, 4) 알테오젠도 물질특허 받고 구조적 성장 산업에서 독과점의 수혜를 누릴 수 있는 등(https://t.me/BarbarianBHC/103, https://t.me/BarbarianBHC/104) 바이오에 우호적인 환경이 만들어지는 중.
#생각
- 올해 증시의 주인공이었던 종목들을 제대로 먹지 못했는데 만족할만한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음.
- 계좌 수익률을 책임진 종목은 올해 4개로, 내 기준 나름 비중빵을 쳤덬 종목들인데 시장의 주인공은 아니었지만 시장의 관심 안에 있었으며 편하게 비중을 늘릴 수 있던 종목들.
- 투자자의 기질(https://t.me/mstaryun/6344)이라는 내용과 함께 생각했을 때 자신에게 Fit하지 않은 종목들은 비중도 싣지 못하고 먹더라도 많이 못먹었고 마음이 매일 불편함. 1) 시장에서 관심을 적당히 받으면서(유동성 공급원이 필요) 2) 나의 기질에 맞는 주식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
👍22💯3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82710470972755&type=2&sec=politics&pDepth2=Ptotal
#대왕고래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현재 해외 투자은행(IB)을 대상으로 주관사를 선정하는 입찰을 앞두고 있다. 한국석유공사는 엑손모빌 등 해외 메이저 업체 5곳 이상이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투자를 위해 접촉했다고 밝힌 바 있다
석유공사는 자체 분석 데이터를 개방해 유망성을 검증하게 하는 해외 메이저 기업 대상 '로드쇼'를 진행 중이다. 해외 기업 로드쇼가 끝나면 국내 기업을 상대로도 로드쇼를 진행할 계획이다.
#대왕고래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현재 해외 투자은행(IB)을 대상으로 주관사를 선정하는 입찰을 앞두고 있다. 한국석유공사는 엑손모빌 등 해외 메이저 업체 5곳 이상이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투자를 위해 접촉했다고 밝힌 바 있다
석유공사는 자체 분석 데이터를 개방해 유망성을 검증하게 하는 해외 메이저 기업 대상 '로드쇼'를 진행 중이다. 해외 기업 로드쇼가 끝나면 국내 기업을 상대로도 로드쇼를 진행할 계획이다.
머니투데이
산업장관 "대왕고래 주관사 곧 결정…기재부와 예타 협의중" - 머니투데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위한 '대왕고래' 프로젝트와 관련 "주관사가 조만간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지난 26일 정부세종청사 인근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9월 중 동해 심해 가스전 2차 개발전략회의를 하게 될텐데 그때 좀 더 상세하게 발표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왕고래 ...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바이오시밀러
- 미국 대형 의료기업 시그나 그룹 산하의 익스프레스 스크립트(미국 3대 PBM사)가 애브비(Abbvie)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를 제외하고 저가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환자 접근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힘. 앞서 24.01월 CVS(미국 3대 PBM사)도 휴미라를 제외하고 바이오시밀러를 넣겠다고 발표한 바 있음.
- 휴미라 뿐 아니라 바이오시밀러 전반적으로 이러한 수혜를 받을 수 있을지 관심. 바이오시밀러가 비용 절감으로 기존 블록버스터에 접근할 준비.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791
#휴메딕스
- 22년까지 휴온스 글로벌이 필러의 수출을 대행(중국 집중)했으나 22년부터 자체 해외사업팀을 통해 남미 등으로 판로개척 시작. 이후 브라질 성장 외 이라크 등으로 확장하여 2Q24 역대 최고 매출인 150억을 기록했으며(2Q24 기준 필러 수출 비중 60%) 2H24에는 CIS 3개국을 시작으로 테국/베트남 등 동남아 매출이 시작될 전망. 미국시장은 24.07월 CRO 업체와 계약하여 25~26년 임상 시작 계획.
- 24년 예상 실적 기준 P/E는 8~9배 수준으로 타 미용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매력적. 24.01월 전환사채 450억이 전량 상장되었기 때문에 오버행 리스크 역시 제한적.
#엠로
- 2Q24 매출액 192억(YoY+27.8), 영업이익 18억(YoY+50.7%) 기록. 1) 롯데케미칼 인니법인 SCM 클라우드 납품 등 신규 고객사 확보. 기존 고객사 중 24.05월 삼성전자향 494억 규모 차세대 시스템 개발 계약 일부 반영, 2) 비용 통제에 따른 수익성 확보 등에 기인. 특히 YoY로 급여가 40% 이상 증가했음에도 수익성이 개선된 점은 비용 통제를 지속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
- 24.05월 계약한 삼성전자향 494억 규모 계약은 역대 최대 수주 규모로, 2H24부터 본격 반영되어 3Q25까지 반영될 전망. 또한 24.08월 HL만도 국내외 8개 법인향 시스템 구축 수주한 것 역시 2H24 반영을 시작해서 25년 본격화 전망.
- 동사와 삼성SDS, 오나인솔루션즈의 통합 공급망 관리 SaaS 플랫폼은 정식 출시하였으며 현재 북미향으로 구체적 납품 논의 중. 24년 해외 첫 수주를 시작으로 25년 해외 매출 본격 확대를 기대.
- 기존 공급망 관리로 실적 올라오는 게 보이면서 해외 수주를 통해 탑라인과 고수익성 확보를 기대. 비용통제가 지속된다고 하면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도 기대 가능.
#방산
- KB는 1) 철도 적자 대부분 해소, 2) 후속수주(폴란드/루마니아) 모멘텀, 3) 2Q 서프에 이은 3Q 서프 전망 등으로 현대로템을 Top-Pick 제시
- 하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해 1) 하반기 K2 및 천무 인도가 지속되어 고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고 주식 수 감소 등을 고려할 때 존속회사 가치는 17조원을 상회(현재 14조)할 수 있으며(TP 37.5만원 유지 논거 마련), 2) 신설법인 TC본더 퀄테스트 기대감 및 과거 인적분할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존속회사 실적이 뒷받침되고 신설사업 기대감이 유효할 시 합산시총이 크게 증가했던 것을 고려할 때 분할 이벤트에 따른 본업가치 훼손 제한적이라고 판단.
#현대차
- 내일 인베스터데이. 주주환원 관련한 내용도 기대되지만 하이브리드 관련한 내용도 관심.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바이오시밀러
- 미국 대형 의료기업 시그나 그룹 산하의 익스프레스 스크립트(미국 3대 PBM사)가 애브비(Abbvie)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를 제외하고 저가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환자 접근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힘. 앞서 24.01월 CVS(미국 3대 PBM사)도 휴미라를 제외하고 바이오시밀러를 넣겠다고 발표한 바 있음.
- 휴미라 뿐 아니라 바이오시밀러 전반적으로 이러한 수혜를 받을 수 있을지 관심. 바이오시밀러가 비용 절감으로 기존 블록버스터에 접근할 준비.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791
#휴메딕스
- 22년까지 휴온스 글로벌이 필러의 수출을 대행(중국 집중)했으나 22년부터 자체 해외사업팀을 통해 남미 등으로 판로개척 시작. 이후 브라질 성장 외 이라크 등으로 확장하여 2Q24 역대 최고 매출인 150억을 기록했으며(2Q24 기준 필러 수출 비중 60%) 2H24에는 CIS 3개국을 시작으로 테국/베트남 등 동남아 매출이 시작될 전망. 미국시장은 24.07월 CRO 업체와 계약하여 25~26년 임상 시작 계획.
- 24년 예상 실적 기준 P/E는 8~9배 수준으로 타 미용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매력적. 24.01월 전환사채 450억이 전량 상장되었기 때문에 오버행 리스크 역시 제한적.
#엠로
- 2Q24 매출액 192억(YoY+27.8), 영업이익 18억(YoY+50.7%) 기록. 1) 롯데케미칼 인니법인 SCM 클라우드 납품 등 신규 고객사 확보. 기존 고객사 중 24.05월 삼성전자향 494억 규모 차세대 시스템 개발 계약 일부 반영, 2) 비용 통제에 따른 수익성 확보 등에 기인. 특히 YoY로 급여가 40% 이상 증가했음에도 수익성이 개선된 점은 비용 통제를 지속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
- 24.05월 계약한 삼성전자향 494억 규모 계약은 역대 최대 수주 규모로, 2H24부터 본격 반영되어 3Q25까지 반영될 전망. 또한 24.08월 HL만도 국내외 8개 법인향 시스템 구축 수주한 것 역시 2H24 반영을 시작해서 25년 본격화 전망.
- 동사와 삼성SDS, 오나인솔루션즈의 통합 공급망 관리 SaaS 플랫폼은 정식 출시하였으며 현재 북미향으로 구체적 납품 논의 중. 24년 해외 첫 수주를 시작으로 25년 해외 매출 본격 확대를 기대.
- 기존 공급망 관리로 실적 올라오는 게 보이면서 해외 수주를 통해 탑라인과 고수익성 확보를 기대. 비용통제가 지속된다고 하면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도 기대 가능.
#방산
- KB는 1) 철도 적자 대부분 해소, 2) 후속수주(폴란드/루마니아) 모멘텀, 3) 2Q 서프에 이은 3Q 서프 전망 등으로 현대로템을 Top-Pick 제시
- 하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해 1) 하반기 K2 및 천무 인도가 지속되어 고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고 주식 수 감소 등을 고려할 때 존속회사 가치는 17조원을 상회(현재 14조)할 수 있으며(TP 37.5만원 유지 논거 마련), 2) 신설법인 TC본더 퀄테스트 기대감 및 과거 인적분할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존속회사 실적이 뒷받침되고 신설사업 기대감이 유효할 시 합산시총이 크게 증가했던 것을 고려할 때 분할 이벤트에 따른 본업가치 훼손 제한적이라고 판단.
#현대차
- 내일 인베스터데이. 주주환원 관련한 내용도 기대되지만 하이브리드 관련한 내용도 관심.
👍9
Forwarded from AWAKE 플러스
📌 에스케이바이오팜(시가총액: 8조 8,259억)
📁 기업설명회(IR)개최(안내공시)
2024.08.28 13:30:08 (현재가 : 112,700원, +3.49%)
개최일자 : 2024-08-30
개최시각 : 10:00
개최장소 : -
참가대상 : 국내/외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 등
*IR 목적
RPT(방사성의약품) 사업관련 애널리스트 컨퍼런스콜
*IR 내용
- RPT(방사성의약품) 사업 경과 및 계획 - 애널리스트 Q&A 세션
*실시방법
컨퍼런스콜
후원기관 : 자사 주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82880015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26030
📁 기업설명회(IR)개최(안내공시)
2024.08.28 13:30:08 (현재가 : 112,700원, +3.49%)
개최일자 : 2024-08-30
개최시각 : 10:00
개최장소 : -
참가대상 : 국내/외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 등
*IR 목적
RPT(방사성의약품) 사업관련 애널리스트 컨퍼런스콜
*IR 내용
- RPT(방사성의약품) 사업 경과 및 계획 - 애널리스트 Q&A 세션
*실시방법
컨퍼런스콜
후원기관 : 자사 주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82880015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26030
👍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현대차
- 이번 현대차 인베스터데이에서 주목할 것은 1) 주주환원, 2) 하이브리드 2가지
- 주주환원의 경우 25~27년 향후 3년간 자사주 4조, 자사주 매입 및 주당 최소 1만원 이상 배당 지급 등을 통해 TSR 35% 이상 등을 제시. 기존 페이퍼 기준 3조원, TSR 30% 수준을 가정한 것 대비 꽤 우호적인 수준으로 발표하면서 주가는 좋은 반응을 이끔. 인도 IPO를 통한 유입 현금은 별도의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 예정으로, 기존 예상 수준으로 언급.
- 특히 자사주 매입 측면에서는 우선주의 보통주 대비 할인율 축소를 위한 자사주 매입 전략을 선택할 예정이라고 했는데, 자사주 매입 국면에서 우선주의 보통주 대비 초과수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부분. 밸류업 자체가 ROE 향상을 통한 PBR 상승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 쉽게 추진할 수 있는 행위가 우선주 매입 및 소각이라는 점을 고려.
- 하이브리드는 현재 대비 약 2배 차종으로 확대한다는 방침. 특히 고가 브랜드 제네시스를 전 차종 하이브리드 선택권을 놓는다는 것은 하이브리드 입장에서 긍정적.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를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
- 이 외 SDV 정책에 대해 25년 말 최초 SDV차를 출시한다고 언급하면서 관련 SW 기업들의 시외 반응이 좋았음.
#반도체
- NVDA에 달린 상황. 오후부터 대만/한국에서 NVDA 베팅에 들어온 것으로 보임.
- 궈밍치에 따르면 NVDA 컨센서스는 $33~35bn으로 알려져있으나 바이사이드는 $33~35bn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음.
- 오늘 한국 기준 5% 이상 상승한 주요 테크 종목들의 수급을 보면 기관이 급하게 채운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 수급은 대부분 투신/사모임을 알 수 있음.
- 숫자는 까보면 알겠지만 빅테크가 계속해서 CAPEX를 진행 중에 있고 관련한 벨류체인 매출 및 전망이 잘 나오는 중인 것을 보면 좋은 실적이 나올 확률이 높다고 보는게 맞긴 할 듯. 숫자와 함께 중요한 것은 젠슨황의 블룸버그 인터뷰 발언들.
#아이폰
- Wedbush Securities에서 아이폰16이 애플사상 최대 업그레이드가 예상되며 시리즈 초기 물량은 시장 예상치 8,400만대를 상회하는 9,000만대 수준을 전망한다고 함.
#SK바이오팜
- 8월 30일 엑스코프리를 이을 차세대 파이프라인으로 L/I한 방사성의약품과 관련한 사업 계획을 구체적으로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겠다고 공시함.
- 실적이 본격적으로 터지기 이전부터 언급되었던 주요 우려사항이 'One'이었는데 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한 계획을 통해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홍보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는 기회.
#엔터
- 최근 엔터 바닥인거 같은데 어떻게 보냐는 말에 대해 "사이클 산업은 선행지표 등을 통해 Up&Down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엔터의 악재는 선행지표 없이 독립시행입니다"로 답변했음.
#밸류업
- 수급은 급하게 땡긴거 같긴한데 1) 당분간 있는 불확실성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2) 수급적으로 비워지는 것들이 있는 것 같긴 함.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현대차
- 이번 현대차 인베스터데이에서 주목할 것은 1) 주주환원, 2) 하이브리드 2가지
- 주주환원의 경우 25~27년 향후 3년간 자사주 4조, 자사주 매입 및 주당 최소 1만원 이상 배당 지급 등을 통해 TSR 35% 이상 등을 제시. 기존 페이퍼 기준 3조원, TSR 30% 수준을 가정한 것 대비 꽤 우호적인 수준으로 발표하면서 주가는 좋은 반응을 이끔. 인도 IPO를 통한 유입 현금은 별도의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 예정으로, 기존 예상 수준으로 언급.
- 특히 자사주 매입 측면에서는 우선주의 보통주 대비 할인율 축소를 위한 자사주 매입 전략을 선택할 예정이라고 했는데, 자사주 매입 국면에서 우선주의 보통주 대비 초과수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부분. 밸류업 자체가 ROE 향상을 통한 PBR 상승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 쉽게 추진할 수 있는 행위가 우선주 매입 및 소각이라는 점을 고려.
- 하이브리드는 현재 대비 약 2배 차종으로 확대한다는 방침. 특히 고가 브랜드 제네시스를 전 차종 하이브리드 선택권을 놓는다는 것은 하이브리드 입장에서 긍정적.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를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
- 이 외 SDV 정책에 대해 25년 말 최초 SDV차를 출시한다고 언급하면서 관련 SW 기업들의 시외 반응이 좋았음.
#반도체
- NVDA에 달린 상황. 오후부터 대만/한국에서 NVDA 베팅에 들어온 것으로 보임.
- 궈밍치에 따르면 NVDA 컨센서스는 $33~35bn으로 알려져있으나 바이사이드는 $33~35bn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음.
- 오늘 한국 기준 5% 이상 상승한 주요 테크 종목들의 수급을 보면 기관이 급하게 채운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 수급은 대부분 투신/사모임을 알 수 있음.
- 숫자는 까보면 알겠지만 빅테크가 계속해서 CAPEX를 진행 중에 있고 관련한 벨류체인 매출 및 전망이 잘 나오는 중인 것을 보면 좋은 실적이 나올 확률이 높다고 보는게 맞긴 할 듯. 숫자와 함께 중요한 것은 젠슨황의 블룸버그 인터뷰 발언들.
#아이폰
- Wedbush Securities에서 아이폰16이 애플사상 최대 업그레이드가 예상되며 시리즈 초기 물량은 시장 예상치 8,400만대를 상회하는 9,000만대 수준을 전망한다고 함.
#SK바이오팜
- 8월 30일 엑스코프리를 이을 차세대 파이프라인으로 L/I한 방사성의약품과 관련한 사업 계획을 구체적으로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겠다고 공시함.
- 실적이 본격적으로 터지기 이전부터 언급되었던 주요 우려사항이 'One'이었는데 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한 계획을 통해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홍보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는 기회.
#엔터
- 최근 엔터 바닥인거 같은데 어떻게 보냐는 말에 대해 "사이클 산업은 선행지표 등을 통해 Up&Down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엔터의 악재는 선행지표 없이 독립시행입니다"로 답변했음.
#밸류업
- 수급은 급하게 땡긴거 같긴한데 1) 당분간 있는 불확실성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2) 수급적으로 비워지는 것들이 있는 것 같긴 함.
👍14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방산
- 폴란드 25년 예산안에는 487억 달러 수준의 기록적인 국방비 지출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힘,
- 이러한 금액은 GDP 대비 국방비 지출 4.7% 수준으로 EU 내에서 압도적으로 GDP 대비 많이 사용하는 국가가 됨.
#대왕고래
- https://naver.me/Fmf2CSHV
- 세계지질학과총해에서 한국석유공사가 대왕고래 프로제트에 대해 유망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최대 판매수익 11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언급.
#두산밥캣
- 두산그룹이 두산로보틱스와의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히면서 두산밥캣의 상장폐지 계획 철회.
- 가장 1차적으로는 대주주가 두산로보틱스가 되는 계획은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대주주가 R&D를 많이 해야하기 때문에 배당을 늘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음. 2차적으로는 두산밥캣 지분을 매각할 수도 있을 우려가 존재한다고 생각.
#파마리서치
- 미국/글로벌 모두 트래픽 ATH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방산
- 폴란드 25년 예산안에는 487억 달러 수준의 기록적인 국방비 지출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힘,
- 이러한 금액은 GDP 대비 국방비 지출 4.7% 수준으로 EU 내에서 압도적으로 GDP 대비 많이 사용하는 국가가 됨.
#대왕고래
- https://naver.me/Fmf2CSHV
- 세계지질학과총해에서 한국석유공사가 대왕고래 프로제트에 대해 유망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최대 판매수익 11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언급.
#두산밥캣
- 두산그룹이 두산로보틱스와의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히면서 두산밥캣의 상장폐지 계획 철회.
- 가장 1차적으로는 대주주가 두산로보틱스가 되는 계획은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대주주가 R&D를 많이 해야하기 때문에 배당을 늘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음. 2차적으로는 두산밥캣 지분을 매각할 수도 있을 우려가 존재한다고 생각.
#파마리서치
- 미국/글로벌 모두 트래픽 ATH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