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다올 의료기기/화장품 박종현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 화장품(Overweight) - 지금 잘하는 브랜드를 사자
▶ 인디 브랜드 > ODM > 대형 브랜드 선호도 제시. 인디 업체들 대형 브랜드 화장품 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저평가 국면으로 Upside 기대. 신규 상장하는 달바글로벌 또한 공모 밴드 상단 10.8배로 주목
▶ 인디 브랜드: 중장기적 OPM 목표는 20%. 반면 인디 브랜드 업체들 매출 확대를 통해 영업 레버리지 발생 중. 인디 브랜드 선호. 2024년 에이피알, 2025E 달바글로벌, 2026E 비나우 등 신규 상장으로 투자 대안 발생. 상장 이후에도 성장세 유지 기대. 에이피알 최선호(BUY, TP 9만원), 달바글로벌 상장 주목. 아모러피시픽 대비 밸류에이션 괴리 30% 수준으로 업사이드 기대
▶ ODM: ODM 양사는 이익 레버리지보다는 매출 확대를 통한 실적 성장이 목표로 판단. 수요 초과 구간이었던 2024년에도 연결 기준 OPM이 한국콜마 11.5%, 코스맥스 8.1%에 불과했음. 다만, 주요 해외 자회사들의 이익 개선이 또 다른 변곡점 제공 가능, 한국콜마 미국 2공장 및 코스맥스 중국 법인 주목. 한국콜마(BUY, TP 10만원) 선호 국면이나, 코스맥스(BUY, TP 21만원) 또한 밸류에이션 메리트 발생
▶ 대형 브랜드: 대형 화장품 기업들 턴어라운드 가능성 있으나, 중장기적 호흡 필요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3ShcTpP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 화장품(Overweight) - 지금 잘하는 브랜드를 사자
▶ 인디 브랜드 > ODM > 대형 브랜드 선호도 제시. 인디 업체들 대형 브랜드 화장품 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저평가 국면으로 Upside 기대. 신규 상장하는 달바글로벌 또한 공모 밴드 상단 10.8배로 주목
▶ 인디 브랜드: 중장기적 OPM 목표는 20%. 반면 인디 브랜드 업체들 매출 확대를 통해 영업 레버리지 발생 중. 인디 브랜드 선호. 2024년 에이피알, 2025E 달바글로벌, 2026E 비나우 등 신규 상장으로 투자 대안 발생. 상장 이후에도 성장세 유지 기대. 에이피알 최선호(BUY, TP 9만원), 달바글로벌 상장 주목. 아모러피시픽 대비 밸류에이션 괴리 30% 수준으로 업사이드 기대
▶ ODM: ODM 양사는 이익 레버리지보다는 매출 확대를 통한 실적 성장이 목표로 판단. 수요 초과 구간이었던 2024년에도 연결 기준 OPM이 한국콜마 11.5%, 코스맥스 8.1%에 불과했음. 다만, 주요 해외 자회사들의 이익 개선이 또 다른 변곡점 제공 가능, 한국콜마 미국 2공장 및 코스맥스 중국 법인 주목. 한국콜마(BUY, TP 10만원) 선호 국면이나, 코스맥스(BUY, TP 21만원) 또한 밸류에이션 메리트 발생
▶ 대형 브랜드: 대형 화장품 기업들 턴어라운드 가능성 있으나, 중장기적 호흡 필요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3ShcTpP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Forwarded from 현대차증권_리서치센터_채널 (S H Kim)
[현대차증권 에너지/화학/2차전지 강동진]
S-Oil(010950) M.PERFORM/TP 57,000원(유지/유지)
<무난한 실적, 당분간 주가 횡보 전망>
■투자포인트 및 결론
- 1Q25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 당사 전망치 수준으로 무난한 실적
- 2Q25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관련 손실로 적자폭 확대 전망
- 중국 Gasoline 수요 Peak out 및 Diesel 마진 부진으로 전반적인 수익구조 악화
- Valuation은 크게 내려왔으나, ‘26년 샤힌프로젝트 안정적 가동 확인 전까지 모멘텀 크지 않을 것. 향후 샤인프로젝트 안정적 가동과 배당 확대가 중요한 모멘텀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 1Q25 실적은 매출액 9.0조원(+0.8% qoq, -3.4% yoy), 영업적자 -215억원(적전 qoq, 적전 yoy) 기록하여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 전망
- 복합정제마진 하락과 OSP 강세 영향으로 정유부문 실적 적자 지속 전망. 최근 유가 급락에 따라, 2Q25 실적은 적자 추가 확대 전망
- PX 약세 지속. 분기별 등락은 있겠지만, 중국 Gasoline 수요 Peak out에 따라, 수요가 구조적으로 축소되어 공급과잉 지속. 구조적 개선은 당분간 쉽지 않을 전망
- PP 마진 소폭 개선. 지속 가능 여부는 확인 필요
- 윤활기유는 예상보다 선방. 다만, 추가적인 개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
- ‘26년 샤힌프로젝트의 안정적 가동과 수익성 확인 필요할 것. 또한, Capex가 ‘26년부터 급감하는 상황에서 차입금 축소 및 배당 정책이 중요한 모멘텀
■주가전망 및 Valuation
- 단기 투자매력은 높지 않음. ‘26년 이후 샤힌프로젝트 및 주주환원 정책 방향 중요
* URL: https://buly.kr/90anZJv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S-Oil(010950) M.PERFORM/TP 57,000원(유지/유지)
<무난한 실적, 당분간 주가 횡보 전망>
■투자포인트 및 결론
- 1Q25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 당사 전망치 수준으로 무난한 실적
- 2Q25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관련 손실로 적자폭 확대 전망
- 중국 Gasoline 수요 Peak out 및 Diesel 마진 부진으로 전반적인 수익구조 악화
- Valuation은 크게 내려왔으나, ‘26년 샤힌프로젝트 안정적 가동 확인 전까지 모멘텀 크지 않을 것. 향후 샤인프로젝트 안정적 가동과 배당 확대가 중요한 모멘텀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 1Q25 실적은 매출액 9.0조원(+0.8% qoq, -3.4% yoy), 영업적자 -215억원(적전 qoq, 적전 yoy) 기록하여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 전망
- 복합정제마진 하락과 OSP 강세 영향으로 정유부문 실적 적자 지속 전망. 최근 유가 급락에 따라, 2Q25 실적은 적자 추가 확대 전망
- PX 약세 지속. 분기별 등락은 있겠지만, 중국 Gasoline 수요 Peak out에 따라, 수요가 구조적으로 축소되어 공급과잉 지속. 구조적 개선은 당분간 쉽지 않을 전망
- PP 마진 소폭 개선. 지속 가능 여부는 확인 필요
- 윤활기유는 예상보다 선방. 다만, 추가적인 개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
- ‘26년 샤힌프로젝트의 안정적 가동과 수익성 확인 필요할 것. 또한, Capex가 ‘26년부터 급감하는 상황에서 차입금 축소 및 배당 정책이 중요한 모멘텀
■주가전망 및 Valuation
- 단기 투자매력은 높지 않음. ‘26년 이후 샤힌프로젝트 및 주주환원 정책 방향 중요
* URL: https://buly.kr/90anZJv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갠적으로 주가는 오르거나 내리거나 둘중에 하나임. 간혹 횡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더이상 떨어질곳이 없다고 누구나 인정하는 바닥 of 바닥. 지금 S-oil 차트는 그렇지는 않음.
Forwarded from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제목 : AMD(AMD), 중국 수출 라이선스 등 실적 부담 요인 많아 HSB *연합인포맥스*
AMD는 오는 5월 6일에 ‘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HSBC의 Frank Lee 애널리스트는 AMD 중국 수출 라이선스 이슈 등 실적 전망이 어둡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재를 한층 더 강화하면서, AMD가 중국으로 수출하는 인공지능 프로세서가 라이선스를 취득하여야 한다고 요구했으며, AMD는 이로 인해 8억 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고한 상태이다”고 전했다. “이러한 비용은 ‘25년 2분기 실적에 반영될 것이다. 월가는 2분기에 AMD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오히려 3% 감소할 수 있다. 비용 부담 또한 매출총이익률은 유의미하게 낮출 것이다”고 예상했다. “딥시크 등장 이후 ▲ 엔비디아(NVDA) 제품보다 저렴한 인공지능 프로세서가 주목받을 것이라고 예상되었으나, AMD가 이러한 수혜를 누렸다는 증거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나아가 “AMD의 CoWoS 생산량 감축을 고려하면, 차세대 프로세서인 MI355 제품의 ‘25년 하반기 양산 전망도 불투명하고, MI400 서버랙 또한충분한 공급을 확보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발언했다. 이어 “▲ 인텔(INTC)이 턴어라운드를 진행하며 추진하는 공격적인 가격전략 또한, AMD에 경쟁위협을 제기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을 매도로 유지했다.
AMD는 오는 5월 6일에 ‘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HSBC의 Frank Lee 애널리스트는 AMD 중국 수출 라이선스 이슈 등 실적 전망이 어둡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재를 한층 더 강화하면서, AMD가 중국으로 수출하는 인공지능 프로세서가 라이선스를 취득하여야 한다고 요구했으며, AMD는 이로 인해 8억 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고한 상태이다”고 전했다. “이러한 비용은 ‘25년 2분기 실적에 반영될 것이다. 월가는 2분기에 AMD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오히려 3% 감소할 수 있다. 비용 부담 또한 매출총이익률은 유의미하게 낮출 것이다”고 예상했다. “딥시크 등장 이후 ▲ 엔비디아(NVDA) 제품보다 저렴한 인공지능 프로세서가 주목받을 것이라고 예상되었으나, AMD가 이러한 수혜를 누렸다는 증거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나아가 “AMD의 CoWoS 생산량 감축을 고려하면, 차세대 프로세서인 MI355 제품의 ‘25년 하반기 양산 전망도 불투명하고, MI400 서버랙 또한충분한 공급을 확보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발언했다. 이어 “▲ 인텔(INTC)이 턴어라운드를 진행하며 추진하는 공격적인 가격전략 또한, AMD에 경쟁위협을 제기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을 매도로 유지했다.
Forwarded from DS 양형모의 중공업/미국
# 한화오션 블록딜
시점 문제였지 언젠가는 매각할 것을 알고 있던 상황이었죠. 어차피 한번 겪어야 하는 이슈였습니다.
시클리컬은 이런 뉴스가 아닌 큰 모멘텀이 변했는지 확인하고 투자의견 변경하는게 맞다고 판단합니다.
시점 문제였지 언젠가는 매각할 것을 알고 있던 상황이었죠. 어차피 한번 겪어야 하는 이슈였습니다.
시클리컬은 이런 뉴스가 아닌 큰 모멘텀이 변했는지 확인하고 투자의견 변경하는게 맞다고 판단합니다.
Forwarded from 서화백의 그림놀이 🚀
Rheinmetall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1. 실적 개요
- 2025년 1분기 매출과 EBITA(영업이익)는 시장 기대(Vara 컨센서스) 대비 각각 18%, 20% 상회.
- 방산 부문 수주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0% 급증하여 110억 유로 기록.
- 방산 부문 매출 73% 증가, 방산 EBITA 96% 증가.
- 전체 매출 46% 증가(2,305백만 유로), 전체 EBITA 49% 증가(199백만 유로).
- 단, 일부 2분기 예상분 작업이 1분기로 앞당겨 인식된 효과 존재.
2. 주가 및 평가
- 2025년 YTD(연초 이후) 독일 시장 대비 95% 초과 상승.
- 현재(4월 28일) 주가 1,350.5유로, 목표주가(2026년 12월) 1,400유로 제시.
- 2025E/2026E 예상 P/E는 각각 약 51배/35배 수준.
3. 전망 및 가이던스
- 2025년 연간 가이던스는 유지.
- 다만, 최근 지정학적 상황(국방 수요 증가)에 따른 추가 상향 여지는 아직 가이던스에 반영되지 않음.
- 일부 애널리스트는 상향을 반영해 추정치를 조정했지만, JPM은 아직 상세 분석 중.
4. 투자 포인트
- 독일의 국방비 증액의 최대 수혜 기업(독일 국방산업의 'National Champion').
- 글로벌 방산 수출 기회 확대 예상.
- 기존 설비의 가동률 증가에 따른 마진 확장 기대.
5. 리스크 요인
- 2027/28년 독일 특별방위기금 종료 이후 국방 예산 유지 여부 불확실.
- 장갑차 및 탄약 수요는 경기변동 민감도가 높아 멀티플(평가배수) 압박 가능성.
- 자동차 부문은 글로벌 경기 둔화, 공급망 차질, 비용 상승에 취약.
6. 재무 전망 요약
- 매출: 2025E 124억 유로 → 2027E 193억 유로 예상.
- EBIT: 2025E 19.3억 유로 → 2027E 34.6억 유로 예상.
- 조정 EPS: 2025E 27.69유로 → 2027E 51.97유로 예상.
- FCF(자유현금흐름) 개선 예상: 2025E 7.47억 유로 → 2027E 13.99억 유로.
- ROCE(자본수익률): 2025E 14.3% → 2027E 19.9%.
7. 밸류에이션 기준
- 목표주가 1,400유로는 2027E 예상 실적 기준 P/E 28배, EV/EBITA 21.5배 적용.
---
추가로
- Rheinmetall의 방산 수주잔고는 전년 대비 56% 증가한 626억 유로로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 방산 부문 EBITA 마진은 10.8%로 전년(9.5%) 대비 상승했습니다.
1. 실적 개요
- 2025년 1분기 매출과 EBITA(영업이익)는 시장 기대(Vara 컨센서스) 대비 각각 18%, 20% 상회.
- 방산 부문 수주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0% 급증하여 110억 유로 기록.
- 방산 부문 매출 73% 증가, 방산 EBITA 96% 증가.
- 전체 매출 46% 증가(2,305백만 유로), 전체 EBITA 49% 증가(199백만 유로).
- 단, 일부 2분기 예상분 작업이 1분기로 앞당겨 인식된 효과 존재.
2. 주가 및 평가
- 2025년 YTD(연초 이후) 독일 시장 대비 95% 초과 상승.
- 현재(4월 28일) 주가 1,350.5유로, 목표주가(2026년 12월) 1,400유로 제시.
- 2025E/2026E 예상 P/E는 각각 약 51배/35배 수준.
3. 전망 및 가이던스
- 2025년 연간 가이던스는 유지.
- 다만, 최근 지정학적 상황(국방 수요 증가)에 따른 추가 상향 여지는 아직 가이던스에 반영되지 않음.
- 일부 애널리스트는 상향을 반영해 추정치를 조정했지만, JPM은 아직 상세 분석 중.
4. 투자 포인트
- 독일의 국방비 증액의 최대 수혜 기업(독일 국방산업의 'National Champion').
- 글로벌 방산 수출 기회 확대 예상.
- 기존 설비의 가동률 증가에 따른 마진 확장 기대.
5. 리스크 요인
- 2027/28년 독일 특별방위기금 종료 이후 국방 예산 유지 여부 불확실.
- 장갑차 및 탄약 수요는 경기변동 민감도가 높아 멀티플(평가배수) 압박 가능성.
- 자동차 부문은 글로벌 경기 둔화, 공급망 차질, 비용 상승에 취약.
6. 재무 전망 요약
- 매출: 2025E 124억 유로 → 2027E 193억 유로 예상.
- EBIT: 2025E 19.3억 유로 → 2027E 34.6억 유로 예상.
- 조정 EPS: 2025E 27.69유로 → 2027E 51.97유로 예상.
- FCF(자유현금흐름) 개선 예상: 2025E 7.47억 유로 → 2027E 13.99억 유로.
- ROCE(자본수익률): 2025E 14.3% → 2027E 19.9%.
7. 밸류에이션 기준
- 목표주가 1,400유로는 2027E 예상 실적 기준 P/E 28배, EV/EBITA 21.5배 적용.
---
추가로
- Rheinmetall의 방산 수주잔고는 전년 대비 56% 증가한 626억 유로로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 방산 부문 EBITA 마진은 10.8%로 전년(9.5%) 대비 상승했습니다.
Forwarded from 서화백의 그림놀이 🚀
# PharmaResearch (214450.KQ)
## 1. 투자 포인트
- 1Q25 실적 서프라이즈 예상
- 의료관광 회복에 따른 국내 의료기기 수요 급증.
- Rejuran 수출 지속 호조 (일본, 중국, 싱가포르 중심).
- 1Q25 영업이익 430억 원 예상 (YoY +62%, 컨센서스 대비 +26%).
- 목표주가 61% 상향 (375,500 → 500,000원)
- Galderma를 비교기업으로 설정, 25배 FY26E P/E 적용.
- 브랜드 인지도 차이를 감안해 10% 할인 적용.
## 2. 주요 동향
- Rejuran, 의료관광 루틴화
- 1Q25 국내 의료기기 매출 440억 원 (YoY +56%).
- 피부과 의료관광 매출 1,900억 원 (YoY +128%) 증가.
- Olive Young 등에서 시술 후 소비 증가 → 화장품 매출도 동반 성장.
- 수출 지속 호조
- 1Q25 해외 의료기기 매출 220억 원 (YoY +12%).
- 일본, 중국, 싱가포르 수출 신기록.
- 대만·호주로의 신규 수출이 인도네시아 부진 상쇄.
- 거버넌스 개선
- 휴젤 출신 글로벌 인허가 전문가 영입 (Sohn 이사).
- CVC Capital 전문가 2명 사외이사 선임 → EU 확장 준비 강화.
- FY25-27 EU Rejuran 매출 90/280/370억 원 예상 (해외 매출의 10%/18%/19%).
## 3. 실적 및 밸류에이션
- FY24~27 주요 지표
- 매출: 3,501 → 4,944 → 6,526 → 7,974억 원
- 영업이익: 1,261 → 1,863 → 2,738 → 3,367억 원
- 순이익: 921 → 1,416 → 2,081 → 2,559억 원
- EPS: 8,828 → 13,471 → 19,798 → 24,348원
- 평가
- FY26 기준 P/E 19배 → 경쟁사 Galderma 대비 저평가.
- ROE: FY25 23.4% → FY26 27.0%
- OPM: FY25 38% → FY26 42% 예상.
- 변경사항
- FY25 예상 EPS -3% 하향 (비영업이익 감소 반영).
- FY26 예상 EPS +7% 상향 (의료기기 판매 강화 반영).
## 4. 투자 리스크
- 국내 제네릭 경쟁 심화.
- 시술 트렌드 변화(수술 선호 증가).
- 해외 시장 확장 부진 가능성.
- 미국 skinbooster 판매 둔화 리스크.
-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
## 5. 기타 주요 포인트
- Rejuran 글로벌 성장 가능성
- 최근 미국 FDA가 최초로 skinbooster를 승인 → 글로벌 skinbooster 시장 열림.
- 화장품 제품 확장을 통한 추가 매출원 기대.
- Quant 모델 평가
- Profitability 지표 매우 우수 (ROE, ROA 모두 상위권).
- Valuation 지표는 낮음 → 시장 평균 대비 고평가 상태.
- 주요 수치 요약
- 목표주가 상승률 (TSR): +33%
- 2025년 OPM: 38%, NPM: 29%
- 2026년 OPM: 42%, NPM: 32%
==========
- 오잉 뜬금없는 타이밍에 파마리서치 목표주가 +60% 상향
- 1분기 430억이 스트릿을 만족시켜줄지 어쩔지는
## 1. 투자 포인트
- 1Q25 실적 서프라이즈 예상
- 의료관광 회복에 따른 국내 의료기기 수요 급증.
- Rejuran 수출 지속 호조 (일본, 중국, 싱가포르 중심).
- 1Q25 영업이익 430억 원 예상 (YoY +62%, 컨센서스 대비 +26%).
- 목표주가 61% 상향 (375,500 → 500,000원)
- Galderma를 비교기업으로 설정, 25배 FY26E P/E 적용.
- 브랜드 인지도 차이를 감안해 10% 할인 적용.
## 2. 주요 동향
- Rejuran, 의료관광 루틴화
- 1Q25 국내 의료기기 매출 440억 원 (YoY +56%).
- 피부과 의료관광 매출 1,900억 원 (YoY +128%) 증가.
- Olive Young 등에서 시술 후 소비 증가 → 화장품 매출도 동반 성장.
- 수출 지속 호조
- 1Q25 해외 의료기기 매출 220억 원 (YoY +12%).
- 일본, 중국, 싱가포르 수출 신기록.
- 대만·호주로의 신규 수출이 인도네시아 부진 상쇄.
- 거버넌스 개선
- 휴젤 출신 글로벌 인허가 전문가 영입 (Sohn 이사).
- CVC Capital 전문가 2명 사외이사 선임 → EU 확장 준비 강화.
- FY25-27 EU Rejuran 매출 90/280/370억 원 예상 (해외 매출의 10%/18%/19%).
## 3. 실적 및 밸류에이션
- FY24~27 주요 지표
- 매출: 3,501 → 4,944 → 6,526 → 7,974억 원
- 영업이익: 1,261 → 1,863 → 2,738 → 3,367억 원
- 순이익: 921 → 1,416 → 2,081 → 2,559억 원
- EPS: 8,828 → 13,471 → 19,798 → 24,348원
- 평가
- FY26 기준 P/E 19배 → 경쟁사 Galderma 대비 저평가.
- ROE: FY25 23.4% → FY26 27.0%
- OPM: FY25 38% → FY26 42% 예상.
- 변경사항
- FY25 예상 EPS -3% 하향 (비영업이익 감소 반영).
- FY26 예상 EPS +7% 상향 (의료기기 판매 강화 반영).
## 4. 투자 리스크
- 국내 제네릭 경쟁 심화.
- 시술 트렌드 변화(수술 선호 증가).
- 해외 시장 확장 부진 가능성.
- 미국 skinbooster 판매 둔화 리스크.
-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
## 5. 기타 주요 포인트
- Rejuran 글로벌 성장 가능성
- 최근 미국 FDA가 최초로 skinbooster를 승인 → 글로벌 skinbooster 시장 열림.
- 화장품 제품 확장을 통한 추가 매출원 기대.
- Quant 모델 평가
- Profitability 지표 매우 우수 (ROE, ROA 모두 상위권).
- Valuation 지표는 낮음 → 시장 평균 대비 고평가 상태.
- 주요 수치 요약
- 목표주가 상승률 (TSR): +33%
- 2025년 OPM: 38%, NPM: 29%
- 2026년 OPM: 42%, NPM: 32%
==========
- 오잉 뜬금없는 타이밍에 파마리서치 목표주가 +60% 상향
- 1분기 430억이 스트릿을 만족시켜줄지 어쩔지는
Forwarded from 실버만삭스의 메모장
Q)
- 이글을 읽는 당신은 과연 무리로부터 멀어져도 자신이 있는 투자자인가?
- 혹은 무리에 소속되어야지만 안정감을 느끼는 투자자인가?
- 이글을 읽는 당신은 과연 무리로부터 멀어져도 자신이 있는 투자자인가?
- 혹은 무리에 소속되어야지만 안정감을 느끼는 투자자인가?
묻따방
Q) - 이글을 읽는 당신은 과연 무리로부터 멀어져도 자신이 있는 투자자인가? - 혹은 무리에 소속되어야지만 안정감을 느끼는 투자자인가?
우리 불쌍한 중생들을 이끌어주시던 선도자께서도 최근에 이렇게 되셨습니다.
Forwarded from AWAKE 플러스
📌 SOOP(시가총액: 9,667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9 08:52:14 (현재가 : 84,100원, 0%)
매출액 : 1,077억(예상치 : 1,055억+/ 2%)
영업익 : 327억(예상치 : 303억/ +8%)
순이익 : 267억(예상치 : 259억+/ 3%)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1,077억/ 327억/ 267억/ +8%
2024.4Q 1,017억/ 278억/ 260억/ -1%
2024.3Q 1,100억/ 239억/ 240억/ -15%
2024.2Q 1,065억/ 333억/ 277억/ +9%
2024.1Q 949억/ 285억/ 247억/ +1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04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7160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9 08:52:14 (현재가 : 84,100원, 0%)
매출액 : 1,077억(예상치 : 1,055억+/ 2%)
영업익 : 327억(예상치 : 303억/ +8%)
순이익 : 267억(예상치 : 259억+/ 3%)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1,077억/ 327억/ 267억/ +8%
2024.4Q 1,017억/ 278억/ 260억/ -1%
2024.3Q 1,100억/ 239억/ 240억/ -15%
2024.2Q 1,065억/ 333억/ 277억/ +9%
2024.1Q 949억/ 285억/ 247억/ +1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04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7160
현대차 : 수요일 백악관 ceo 회동에 참석
Last month, South Korea's Hyundai Motor (005380.KS), announced a $21 billion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at the White House, including a new $5.8 billion Hyundai Steel (004020.KS)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rump-tout-us-investments-nvidia-jj-hyundai-toyota-2025-04-28/
Last month, South Korea's Hyundai Motor (005380.KS), announced a $21 billion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at the White House, including a new $5.8 billion Hyundai Steel (004020.KS)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rump-tout-us-investments-nvidia-jj-hyundai-toyota-2025-04-28/
Reuters
Trump to tout US investments from Nvidia, J&J, Hyundai, Toyota
CEOs and senior executives from Nvidia , Johnson & Johnson , Hyundai Motor , Toyota Motor , and SoftBank Group are among the more than two-dozen business leaders slated to visit the White House on Wednesday for an event highlighting U.S. investments, offic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