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따방
14.8K subscribers
26.2K photos
318 videos
72 files
27.1K links
(방장한테)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 방

Boost :
https://t.me/mootda?boost
Download Telegram
다음은 Macquarie의 전략 보고서 「Rights, Wrongs & Returns: Investing in the Revolutionary Maelstrom (2025.4.20)」**의 한글 요약입니다:

**1. 보고서 핵심 인식: 세상은 이제 '제한된 혼란'이 아니라 '구조적 혁명기'에 접어들었다


- 기존 경제, 정치, 사회 질서가 붕괴되고 있으며 단기적인 교란이 아닌 근본적인 체제 전환**이 진행 중이다.
- 이 변화는 **정보화 시대 + 금융화(Fujiwara 효과)**라는 구조적 충돌에서 비롯되며, 이는 노동, 자본, 화폐의 본질적 역할 변화로 이어진다.

**2. 4가지 핵심 전략 아이디어


Fujiwara 효과: 정보 혁명과 과도한 금융화가 결합되어 사회적 양극화, 지정학적 단절, 산업 붕괴를 초래
주기 소멸 + 금융 팽창: 실물 대비 5배 이상 팽창한 '금융의 구름'이 시장 신호 왜곡 및 리스크 확대 유발
모든 산업이 하나로 수렴: 산업 간 경계 붕괴 → 승자 독식 심화
신자유주의 붕괴: 기존 정치·경제·사회 시스템에 대한 합의 소멸 → 새로운 합의 도출까지 장기 혼란 예상

3. 미국은 이제 '질서 수호자' 아닌 '체제 붕괴자'로 전환

- 트럼프 2.0 시대의 미국은 전통적 제도·규제 파괴, 고립주의 강화, 글로벌 공공재 공급 거부**를 통해 세계 질서 교란
- 보호무역 강화 → 전세계 공급망 붕괴 위험 증가
- 미국의 **불확실성 프리미엄 상승
→ 글로벌 자산 전반에 리프라이싱 압력 가중


4. 혼란기에서 투자 전략은?

- 안정성·예측 가능성은 환상: 더 이상 ‘안전 자산’은 존재하지 않음
- 주식 투자전략은 ‘종목 선별’ 중심으로: 구조적 성장, 생산성, 리쇼어링 수혜 업종에 집중
- 시장 시그널은 고수익 회사채(HY), 변동성 지표, 유동성 흐름 등에서 확인

5. 주요 리스크 및 시사점

- 정책·무역·지정학 불확실성: GFC, COVID 수준으로 상승
- 소프트 지표 급락: 소비자·기업 신뢰지수 하락, 자산 가격 상승 기대 후퇴
- 자본시장 균열: 그림자 금융, 고위험 채권, 레버리지 시장 중심으로 붕괴 신호 감지

6. 미국 중심 세계체제의 균열과 USD 지위

- USD 지배력은 여전히 강력하나 디지털 통화(CBDC) 및 지역화**가 서서히 위협
- 달러 비중 감소하더라도, **유로·엔화·위안화가 이를 대체하기엔 역부족

- 그러나 글로벌 공공재 공급 거부 지속 시 달러 패권 약화 가능

7. 결론

> "혼돈은 버그가 아니라 핵심 기능이다."
> 기존 체제 붕괴와 새로운 질서로의 이행은 필연적이며, 단기 교란에 흔들리지 말고 구조적 변화를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함.
기사 삭제됨.

램프사업 누가 사가려나?

내 느낌은
1. 만도
2. 한온시스템
3. 한국앤컴퍼니

ㅋㅋㅋ?ㅋㅋㅋ?
천조국 개장 15분전
제목 : [美특징주]록히드마틴, 1Q 깜짝 실적·항공 미사일 사업 부문 호조…개장 전↑ *이데일리FX*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미국 최대 방위산업체 록히드마틴(LMT)은 지난 1분기에 전반적으로 모든 사업 부문이 성장하면서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22일(현지시간) 오전 9시 20분 기준 록히드마틴의 주가는 개장 전 거래에서 전일대비 2% 상승한 471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록히드마틴은 지난 1분기 순이익이 17억1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7.28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15억5000만달러, 6.39달러 대비 상승했다고 전했다. 월가 예상치인 6.30달러 역시 상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79억6000만달러로 지난해 기록한 172억달러 대비 성장했으며, 시장 전망치인 177억8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사업 부문별로는 항공, 미사일 및 화력 통제, 임무 시스템 부문은 모두 전년 대비 성장했다. 반면 우주 사업 부문은 약 2% 감소한 32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록히드마틴은 2025년 연간 매출 전망치를 737억5000만달러~747억5000만달러, 연간 EPS 전망치를 27달러~27.30달러로 유지했다. 짐 타이클렛 록히드마틴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분기 실적이 역동적인 지정학적 및 기술적 환경에서 2025년 전망을 달성할 수 있다는 믿음을 더욱 확고히 했다”고 말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나스닥 일별 변동성보면 어안이 벙벙
Tsla 3.7% after hours
HD현대일렉트릭 : DOWN TO neutral, Tp cut
나선 /
[테슬라 1Q25실적 Quick Review: 그가 돌아온다]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크레딧 매출이 아니었으면, 적자가 날 뻔했던 최악의 실적입니다.

주가는 반등을 했는데요, 일론머스크가 5월부터 테슬라에 더 집중하겠다고 코멘트한 것과 저가모델인 모델Q가 올해 출시된다고 코멘트 한 것이 투자 심리 회복을 이끌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돌아오는 만큼 주가는 최악의 국면을 지나 회복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가 돌아와서 해결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특히, 엄청난 속도로 추격해오는 중국 전기차를 어떻게 따돌릴수 있을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중국 시장에서 모델Y 쥬니퍼는 출시된 지 2달 만에 5년 무이자 할부에 돌입했습니다.

테슬라는 여전히 AI 부문의 최고 회사이지만, 소비자는 눈에 보이는 예쁜 차도 원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1분기 실적

- 매출 193억 달러(-24.8%QoQ/-9.2%YoY)로, 컨센서스(블룸버그)대비 -9.5% 하회

- 영업이익 3.9억 달러(-74.8%QoQ/-65.9%YoY)로, 컨센서스 대비 64.8% 하회.
  영업이익률 2.1% 기록으로, 2019년 3분기 흑자 전환 이후 가장 낮은 수익성 기록.
  크레딧 매출 5.95억 달러(-14%QoQ/+34.6%YoY)로, 연결 매출의 3% 비중

- 조정 EPS는 0.27달러(-63%QoQ/-40%YoY)로, 컨센서스 대비 -37.8% 하회


■ 사업부별 실적

- 자동차: 매출 139억 달러(-29.5%QoQ/-19.6%YoY) 및 매출총이익률 16.2%(-2.3%pQoQ/-0.4%pYoY)

- 에너지: 매출 27억 달러(-10.8%QoQ/ +67%YoY) 및 매출총이익률 28.8%(+3.5%pQoQ/+4.1%pYoY)

- 서비스: 매출 26억 달러(-7.4%QoQ/+15.3%YoY) 및 매출총이익률 3.8%(-0.3%pQoQ/+0.3%pYoY) 

(2025/4월/23일 공표자료)
현대모비스에서 램프사업 매각한다고 에스엘 수혜로 본거야??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긴하네. 이제 현대기아차에서 현대모비스 램프를 더 채택할 명분은 사라졌으니...
옛날에는 유학생이나 여행객들이 물건 싸게 들여와서 차익을 남기다가 어느 시점에 직구가 활발해지니깐 직구 대행몰이 생기고 이제는 미국제품을 한국에서 구입하는데 가격도 안비싸게 빠르게 구매 가능해짐.

반대로 요즘 한국제품이 인기가 많아지니 역직구가 많아지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인데 화장품 같은 경우는 이미 몇년전부터 역직구를 개인사업으로 하는 몰들이 꽤나 있었음. 우리는 필요가없으니 잘 모르지만 은근 많았음. 가정집에 택배상자 쌓아두고 역직구몰 운용하는 아줌마들도 많음. 시장이 커지면서 이걸 기업화해서 더 저렴하게 해외 수출을 하는 업체가 생길거고 개입사업으로 하기엔 수익 남기기 쉽지 않을거임. 이 기사보고 성급하게 역직구 해볼까하는 사람들은 없겠지?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80872?cds=news_media_pc&type=editn
왜?
묻따방
왜?
고아 이슈
난 머스크 횽아가 뭔 짓을 해도 응원합니다 ㅋㅋㅋ

https://blog.naver.com/ranto28/223843469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