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8개월째 투자 자금을 뺀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록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9/0002949824?sid=101
https://n.news.naver.com/article/029/0002949824?sid=101
Naver
외국인, 8개월째 `셀코리아`…2008년 이후 최장기 `순유출`
한은 '3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8개월째 투자 자금을 뺀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록이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Forwarded from 키움증권 해외선물 톡톡
제목 : "한국 자사주, 글로벌 거버넌스 무시…소각 의무화해야" *연합인포*
"한국 자사주, 글로벌 거버넌스 무시…소각 의무화해야"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 새 정부 제언 발표 "상법 개정,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첫 단추" (서울=연합인포맥스) 노요빈 기자 = 자사주 등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상장사 정책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유발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새 정부에 바라는 자본시장의 7가지 제언'을 발표하면서 "기업 거버넌스 개선을 통해 증시 선진화를 꾀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를 살리자는 대원칙"을 공개했다.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22일 ▲상법 개정 및 디스커버리 제도 도입 ▲자사주 소각 의무화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및 세율 인하 ▲자회사 상장 원칙적 금지 ▲집중투표제 의무화 ▲상장사 모자 회사 간 합병 시 공정가치 평가 ▲벨류업 계획 발표 및 실천 상장기업 의무화 등을 7대 과제로 제시했다. 이 회장은 국제금융계에서 한국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투자자 보호 제도가 부재한 점이라고 지적했다. 주요 대기업 이사회가 주주 가운데 특정한 지배주주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현상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두산, SK, 한화 사례같이 이사회가 지배주주 의지대로 움직이는 것이 문제"라며 "'G20/OECD 기업거버넌스 원칙'에 따르면 좋은 거버넌스는 주주권리가 제대로 행사되고 일반주주 등 모든 주주가 공평하게 대우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4월 17일 국회 재표결에서 아깝게 부결된 상법 개정안이 새 정부 출범 후 바로 국회에서 재발의돼 입법화되면 좋겠다"며"상법 개정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첫 단추를 끼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법 개정과 함께 디스커버리 제도 및 배당소득 분리과세 필요성도 제기했다. 디스커버리 제도는 재판에 앞서 피고가 증거를 공개하도록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 회장은 연 금융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할 시 장기투자자에 최고세율인 50%를 부과하는 것은 장기 투자를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이에 대해 "안정적인 기업에 배당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중장년층에는 가혹한 세금"이라며 "현실적으로는 지배주주가 대부분 최고세율 적용을 받는데 이는 높은 배당을 꺼리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자사주의 경우 기본 보유분을 기업이 즉시 소각할 것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자사주는 경영권 방어 수단이 될 수 없다"며 "자사주가 금고주의 형태로 장부에 남아있으면 대규모 주가 디스카운트 요소가된다"고 말했다. 그는 "임직원 주식보상 등 투명한 사용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괄 소각하는 것이 일반주주 입장에서 합리적이다"며 "향후 매입분에대해서는 3개월 내 소각을 모범정관에 도입하길 권한다"고 덧붙였다. 기업의 구조적인 자회사 상장 금지 및 합병 시 공정가치 평가도 정당한 주주의 주주가치를 보호하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한국은 세계에서 모회사와 자회사가 모두 상장된 "중복 상장" 케이스가 가장 많은 국가"라며 "예외적으로 자회사 상장이 불가피한 경우 모회사 주주 이익이 침해되지 않도록 법 제도가 뒷받침되고 이사회가 제대로 작동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령 중복으로 상장된 자회사 주식을 모회사 주주에게 비례적으로 현물로 배분하는 방법이 검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시행하는 벨류업 계획도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밸류업에 진심을 보인 금융사들은 대부분 계획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고 주가 밸류에이션도 레벨-업 되었다"면서도 "한화그룹은 전혀 참여하지 않았고 삼성그룹은 수많은 상장사 중 삼성화재가 유일하게 계획을 발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밸류업의 주체는 이사회"라며 "이사회가 중심이 되어서 자본비용, 자본수익률, 밸류에이션 등 분석하고 구체적인 액션플랜 수립해 발표,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기업거버넌스 개선을 통해 자본시장의 선진화를 추구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현재 금융인, 법조인, 학자 등 120여명의 국내외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그림1* ybnoh@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한국 자사주, 글로벌 거버넌스 무시…소각 의무화해야"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 새 정부 제언 발표 "상법 개정,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첫 단추" (서울=연합인포맥스) 노요빈 기자 = 자사주 등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상장사 정책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유발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새 정부에 바라는 자본시장의 7가지 제언'을 발표하면서 "기업 거버넌스 개선을 통해 증시 선진화를 꾀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를 살리자는 대원칙"을 공개했다.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22일 ▲상법 개정 및 디스커버리 제도 도입 ▲자사주 소각 의무화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및 세율 인하 ▲자회사 상장 원칙적 금지 ▲집중투표제 의무화 ▲상장사 모자 회사 간 합병 시 공정가치 평가 ▲벨류업 계획 발표 및 실천 상장기업 의무화 등을 7대 과제로 제시했다. 이 회장은 국제금융계에서 한국 투자의 최대 걸림돌은 투자자 보호 제도가 부재한 점이라고 지적했다. 주요 대기업 이사회가 주주 가운데 특정한 지배주주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현상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두산, SK, 한화 사례같이 이사회가 지배주주 의지대로 움직이는 것이 문제"라며 "'G20/OECD 기업거버넌스 원칙'에 따르면 좋은 거버넌스는 주주권리가 제대로 행사되고 일반주주 등 모든 주주가 공평하게 대우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4월 17일 국회 재표결에서 아깝게 부결된 상법 개정안이 새 정부 출범 후 바로 국회에서 재발의돼 입법화되면 좋겠다"며"상법 개정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첫 단추를 끼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법 개정과 함께 디스커버리 제도 및 배당소득 분리과세 필요성도 제기했다. 디스커버리 제도는 재판에 앞서 피고가 증거를 공개하도록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 회장은 연 금융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할 시 장기투자자에 최고세율인 50%를 부과하는 것은 장기 투자를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이에 대해 "안정적인 기업에 배당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중장년층에는 가혹한 세금"이라며 "현실적으로는 지배주주가 대부분 최고세율 적용을 받는데 이는 높은 배당을 꺼리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자사주의 경우 기본 보유분을 기업이 즉시 소각할 것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자사주는 경영권 방어 수단이 될 수 없다"며 "자사주가 금고주의 형태로 장부에 남아있으면 대규모 주가 디스카운트 요소가된다"고 말했다. 그는 "임직원 주식보상 등 투명한 사용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괄 소각하는 것이 일반주주 입장에서 합리적이다"며 "향후 매입분에대해서는 3개월 내 소각을 모범정관에 도입하길 권한다"고 덧붙였다. 기업의 구조적인 자회사 상장 금지 및 합병 시 공정가치 평가도 정당한 주주의 주주가치를 보호하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한국은 세계에서 모회사와 자회사가 모두 상장된 "중복 상장" 케이스가 가장 많은 국가"라며 "예외적으로 자회사 상장이 불가피한 경우 모회사 주주 이익이 침해되지 않도록 법 제도가 뒷받침되고 이사회가 제대로 작동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령 중복으로 상장된 자회사 주식을 모회사 주주에게 비례적으로 현물로 배분하는 방법이 검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시행하는 벨류업 계획도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밸류업에 진심을 보인 금융사들은 대부분 계획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고 주가 밸류에이션도 레벨-업 되었다"면서도 "한화그룹은 전혀 참여하지 않았고 삼성그룹은 수많은 상장사 중 삼성화재가 유일하게 계획을 발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밸류업의 주체는 이사회"라며 "이사회가 중심이 되어서 자본비용, 자본수익률, 밸류에이션 등 분석하고 구체적인 액션플랜 수립해 발표,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기업거버넌스 개선을 통해 자본시장의 선진화를 추구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현재 금융인, 법조인, 학자 등 120여명의 국내외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그림1* ybnoh@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글로벌 거버넌스 드립을 치면서 다른나라에는 존재하지도 않는 악법들을 만들라고 난리치는 아저씨. 아재요 ~~ 어떤 나라에서 자사주 소각을 의무합니까?? 난 모르겄는디??
묻따방
브릿지바이오 : 태초마을 1452원 깨고 1432원 신저가 기록후 소폭 반등(?)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美상무부, 中 겨냥 동남아 태양광에 최대 3521% 관세 부과
- 한화큐셀 등 청원에 상무부 최종 결정…6월 확정
- 캄보디아 조사 비협조에 3400% 상계 관세 폭탄
- 美업체 잠재적 수혜 예상…“정책 불확실성 우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14406642138744
- 한화큐셀 등 청원에 상무부 최종 결정…6월 확정
- 캄보디아 조사 비협조에 3400% 상계 관세 폭탄
- 美업체 잠재적 수혜 예상…“정책 불확실성 우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14406642138744
이데일리
美상무부, 中 겨냥 동남아 태양광에 최대 3521% 관세 부과
미국 정부가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제품에 대해 3521%의 최대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 1년 간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미 텍사스주의 태양광 패널.(사진=AFP)21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
묻따방
브릿지바이오 : 영화도 이렇게 만들면 현실성 없다고 할 듯. 진짜 불꽃엔딩이구나😵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나이아가라 폭포도 위로 반등하는 물기가 있는데 .....
└ 6월 3일이 마지막입니다. 그날 부산 점령하고 적화통일 엔딩일지 인천상륙작전 성공일지 모든게 다 결정됩니다. 대선을 이겨도 여전히 공산당이 180석입니다. ㅋㅋㅋㅋ
└└ 더불어공산당놈들이 형평성 드립을 치는데 지금 대한민국 재판받는 피의자들 중에 찢재명급으로 혜택받은 닝겐이 있습니까? 일반인이었으면 이미 구속재판 진행중입니다.
Forwarded from AWAKE 플러스
📌 상지건설(시가총액: 1,288억)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거래계획보고서
2025.04.22 16:05:08 (현재가 : 32,350원, 0%)
* 보고자
이름 : 글로벌 제1호조합
관계 : 10%이상주주
지분율 변동
거래전 : 11.0%
거래후 : -
* 거래목적
투자자금 회수
시작일 : 2025-05-26
종료일 : 2025-06-24(30일간)
* 거래계획
(거래방법/ 주식종류/ 주식수/ 금액/ 비고)
장내매도(-)/ 보통주/ 700,000주/ 199억/ 취득/처분 단가는 4월 21일 종가 기준으로기재하였으며, 실제 취득/처분 단가는장내내도 가격이므로,본 공시서류에 기재된 취득/처분 단가와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200036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940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거래계획보고서
2025.04.22 16:05:08 (현재가 : 32,350원, 0%)
* 보고자
이름 : 글로벌 제1호조합
관계 : 10%이상주주
지분율 변동
거래전 : 11.0%
거래후 : -
* 거래목적
투자자금 회수
시작일 : 2025-05-26
종료일 : 2025-06-24(30일간)
* 거래계획
(거래방법/ 주식종류/ 주식수/ 금액/ 비고)
장내매도(-)/ 보통주/ 700,000주/ 199억/ 취득/처분 단가는 4월 21일 종가 기준으로기재하였으며, 실제 취득/처분 단가는장내내도 가격이므로,본 공시서류에 기재된 취득/처분 단가와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200036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940
Forwarded from 🌸Crypto Judy🐰🌸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재용아…. 준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