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루
2.25K subscribers
7.28K photos
134 videos
239 files
14.2K links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Narrative Economics
이번 반등에서 흥미로운 점: 대부분의 헤지펀드는 이번 랠리를 추격하지 않고 있습니다.

- [그림 1] 보라색: 헤지펀드 등 대형 트레이더들 자금 흐름, 하얀색: S&P500로 여전히 유의미한 매수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이들은 일단 단기 랠리를 예상 못했기 때문에 틀렸습니다. 그들은 타이밍을 놓친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편 보통 놓쳤다면 추격매수를 하는 데 FOMO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전과 같이 패시브 주도의 장기적인 강세가 아니면 헤지펀드는 성과 측면에서 항상 승리해 왔습니다. 무엇을 기다릴까요? 이미 예상되어 있는 그레이 스완일까요?
확실한 건 그들은 개인투자자들이 접근하지 못하는 파생상품으로 뒤에서 무언가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실적 시즌과 자사주 매입기간이 끝나고 고민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그 때는 곰들이 쓴 내러티브 혹은 Distressed/Opportunistic 전략 매니저들이 지배할 수도 있겠습니다.

#NARRATIVE
몰?루
블랙웰 대규모 배치 시작 엔비디아의 Blackwell(B100/GB200)의 대량 생산 및 초기 배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차세대 GPU들은 전력당 성능이 더 우수하고 총소유비용(TCO)이 더 낮아, 네오클라우드 고객들에게는 H100이 이제 '어제의 뉴스'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 결과, 많은 네오클라우드 업체들이 H100 물량을 시장에 대거 할인 덤핑하고 있습니다.
숫자·가이던스 핵심
AI 관련 매출: “수 십억 달러 규모 연간 런‑레이트, 전년 대비 세 자릿수(100%+) 성장” – Andy Jassy.
별도 세그먼트로 쪼개서 보고하지 않고 AWS에 통합.
CapEx: 1Q 25 현금 CapEx 243억 달러 중 “대부분이 AI 인프라 투자” – CFO.
올해 하반기에 GPU·Trainium 물량 대거 도입 예정 → 공급 병목 완화 전망.



그래서 “GPU 대여냐?” → 절반만 맞다
1. 하드웨어 임대(Compute‑as‑a‑Service)
AI 매출의 저수준 레이어이며 여전히 최대 볼륨.
2. 관리형 모델·플랫폼
Bedrock, SageMaker 자동튜닝·RAG 툴킷 등이 바로 ‘AI 사업’의 실질 확장 파트. 고객은 “GPU 세팅‑운영‑업데이트”를 신경 쓰지 않고 API 호출만 하면 되기 때문.
3. SaaS+에이전트
Amazon Q 같은 구독형 서비스는 GPU 임대보다 평균‑판매‑단가(ARPU)가 훨씬 높고, 고객 락‑인도 강함.

즉,
GPU 리스는 토대일 뿐이고, 아마존이 노리는 진짜 마진 풀은 ②·③이다. 이번 분기 실적 코멘트도 “GPU 캐파 부족 → 매출 제한” 뒤에 바로 “Bedrock·Q 이용 폭증”을 붙여 강조한 이유가 여기 있다.
hw대여가 대부분일거라 생각했는데 일단 대여가 큰 부분은 맞고, 자사 서비스 등의 매출도 올라가네요
칼침(?)을 맞은 적 있는 이재명의 경호 수위는 이전 한덕수 권한 대행보다 경호수위가 높았다고..
김문수가 국힘 대통령 후보가 됐네요
김문수덕한 vs 이재명
25년을 대비하며 게임 업종을 강하게 비중 확대하자는 의견을 드립니다. 내년 업종에 불어닥칠 수 있는 가장 큰 변화는 플랫폼 수수료 인하입니다. 해당 시나리오에 대한 숫자적인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금번 인뎁스를 작성하였습니다.

앱 수수료가 17%로 인하될 경우 업종의 시가총액은 50% 이상 상승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플랫폼 수수료 인하는 전체 게임 시장 신작 공급의 13~26% 수준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앱 수수료가 17%로 인하되면 개별 게임사의 영업이익률은 약 7% 상승, 전체 플랫폼 수수료가 동일하게 인하될 경우 영업이익률은 약 10%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가정이 많이 들어간 만큼 실제 시나리오와는 괴리가 클 수 있지만 같이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미나를 통해 많은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게임 - 플랫폼 수수료 붕괴는 무슨 변화를 야기할까?

I. Investment Summary

- 수수료 인하로 게임 산업은 어떻게 변화하나?
- 게임사 이익 민감도 분석: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순
- 개발사도 크나큰 수혜. 업종 Top Pick 시프트업 유지 

II. 앱수수료 인하 시 수혜 양상


- 만약 수수료가 17%가 된 세상이 온다면?
- 국내 게임사 수혜 양상
- 순수 게임 개발사도 상당한 수혜

III. 밸류에이션

- 전체 게임 시장 성장 가속화
- 비용의 구조적 개선 지속
- 멀티플 증가 구간으로의 진입

IV. 연쇄적인 플랫폼 수수료 인하 예상

- 30% 수수료 체제의 고착화
- 커져만가는 수수료 인하 요구
- 실효성 낮은 현 외부결제 체제
- 이번에는 정말로 다를 가능성이 높은 이유
- PC, 콘솔 수수료 인하까지 이어질 것

<종목>
시프트업 (매수/95,000원/유지)
넥슨게임즈 (매수/20,000원/유지)
넷마블(매수/62,000원/투자의견 상향)
카카오게임즈(매수/22,000원/유지)
위메이드(매수/53,000원/목표주가 상향)

보고서 전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41121153648103_154

인터넷/게임 텔레: https://t.me/mirae_internet
Forwarded from 🌸Crypto Judy🐰🌸
중국, 미국과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 남부 국경의 펜타닐 문제를 해결 하겠다 선언
[팔] 노보노 리벨서스가 FDA 신청승인되었으며 수수료법에 의거해서 4분기까지 결정을 내릴것이라고 했으니까요 리벨서스가 비만치료제 경구용 적응증 획득하면 최초의 경구용 비만치료제가 되겠네요
AI가 패턴이라는 것을 배우고나서 그 이후에는 패턴과 확률을 고려해서 질문을 던지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게 과거 전쟁사를 보면

풀플레이트아머 중장갑기병 <- 이게ㅜ존나 쎈건 맞는데

머스킷 <- 이거는 길가던 농노 한명 걍 쥐어줘도 중장갑기병 효율의 80-90% 가 나옴

그래서 바로 기사들 정상화 ㅋㅋ

그 이후 총기를 활용하여 누가 써도 어느정도 확률 높은 게임으로 변해버림

쓰면 개나소나 다 효율이 80-90% 나오는데 안쓰는게 이상한거 ㅋㅋ
https://youtu.be/zj0olAzBpwA?si=Er8ORudJ25-8qG61

2019년 미국 투자회사 중 한 곳인 Cerberus Capital Management가 필리핀 정부 관리들과 접촉합니다. 그리고 이 투자회사는 필리핀의 한 조선소를 인수하겠다는 계획을 필리핀 정부에게 전달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미국이 중국과의 갈등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적 행동 중 극히 일부에 불과했습니다.

필리핀 내의 조선소를 인수하려던 중국의 계획과 이를 알고 대응한 미국의 이야기

대통령이 바뀌어도 대외정책 기조는 안바뀜
밈을 써도 고죠를..
Forwarded from 대길이춘식이춘삼이
이타도리 덕수가 이긴다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