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루
2.25K subscribers
7.24K photos
127 videos
238 files
14.2K links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ownload Telegram
몰?루
개인적인 생각은... 이번 오름테라퓨틱의 임상 중단 결정은 상당히 긍정적임. 위에서처럼 중단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접어야 되는 에셋은 빨리 접는게 진짜로 무조건 좋음. 가장 대표적인 예가 4세대 EGFR TKI임. ADC가 등장하고 나서 4세대 EGFR TKI가 포지셔닝 할 수 있는 영역은 거의 사라졌음. 또한, Lazertinib + Amivantamab 임상 결과를 보면, Secondary EGFR Resistance Mutation 발생 비율이…
가장 대표적인 예가 4세대 EGFR TKI임. ADC가 등장하고 나서 4세대 EGFR TKI가 포지셔닝 할 수 있는 영역은 거의 사라졌음.
또한, Lazertinib + Amivantamab 임상 결과를 보면, Secondary EGFR Resistance Mutation 발생 비율이 낮기 때문에 더더욱 힘들어짐.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비상장 회사중에서도 4세대 EGFR TKI를 개발하는 회사들이 종종 보임.

접어야 한다는 사실 조차 모르면 큰 문제임. 하지만, 대부분 알면서도 그 동안 투자했던 돈, 시간 등의 리소스가 아깝기도 하고, 이 에셋을 접으면 투자를 받을 수 있을까에 대한 두려움도 있어서 쉽사리 접지를 못함.
Forwarded from Nittany ATOM Land
나름 오랫동안 오름테라퓨틱을 보고 있는데,

대표님이 Sanofi 임원 출신이라 그런지 바이오텍을 Sanofi 처럼 운영하는 모습이 있음. 아무리 리드 파이프라인이라도 ROI 안 나올거 같으니 바로 쳐내는 것도 그러함.
Forwarded from 루팡
테슬라, 네바다 세미 트럭 공장 — 2025년 말 첫 생산 돌입 예정

테슬라(Tesla)는 세미(Semi) 전기 트럭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통해, 네바다 기가팩토리 캠퍼스에서 2025년 말까지 첫 번째 차량이 생산 라인에 투입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세미 프로그램을 이끄는 댄 프리슬리(Dan Priestley)는 월요일 유튜브에 게시된 영상에서

공장이 연간 5만 대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 몇 분기 동안 대량 생산 체제에 대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말에 첫 번째 차량이 라인에 올라갈 예정이며,
2026년까지 공장 가동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
입니다."
(프리슬리 발언)

https://finance.yahoo.com/news/teslas-semi-factory-nevada-first-225258071.html?ncid=twitter_yfsocialtw_l1gbd0noiom
2025.04.29 15:44:44
기업명: 크래프톤(시가총액: 17조 7,27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8,742억(예상치 : 7,969억+/ 10%)
영업익 : 4,573억(예상치 : 3,879억/ +18%)
순이익 : 3,720억(예상치 : 3,277억+/ 14%)

**최근 실적 추이**
2025.1Q 8,742억/ 4,573억/ 3,720억
2024.4Q 6,176억/ 2,155억/ 4,912억
2024.3Q 7,193억/ 3,244억/ 1,214억
2024.2Q 7,070억/ 3,321억/ 3,414억
2024.1Q 6,659억/ 3,105억/ 3,48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50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59960
이번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대규모 정전 사태는 우연이 아닌 “예고된 문제”였다는 것. 특히 스페인의 경우 국가 전력망이 평일 기준으로 처음 100% “재생에너지로만 가동되었다”는 성과를 보도한지 6일 만에 이런 대규모 정전이 발생

발생 상황:
• 4월 28일 현지시간 12시 35분경, 스페인, 포르투갈, 일부 프랑스 지역에서 동시에 정전
• 프랑스는 비교적 빠르게 복구됐지만,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복구에 최대 일주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

원인 분석:
• 처음에는 포르투갈 전력회사 REN이 “극한 기온 변화”나 “희귀한 대기 현상” 탓으로 돌렸지만, 실제 원인은 더 복합적
• 스페인 전력망 운영사 Red Eléctrica에 따르면, 전기 네트워크 내 극심한 진동(oscillation) 때문에 스페인 전력망이 유럽 본토 전력망에서 자동으로 차단되며 이베리아 반도(스페인+포르투갈) 전체가 단독으로 고립. 이 고립이 전체 전력 공급 붕괴로 이어짐

근본적인 문제:
• 과거에는 석탄, 가스, 원자력 같은 무거운 회전식 발전기가 전력망을 구성. 이들은 자체 “물리적 관성”이 있어 외부 충격이나 갑작스러운 변화에도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음
• 하지만 최근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는데, 태양광 패널과 현대식 풍력 터빈은 물리적 회전관성이 없음. 따라서 외부 충격(날씨 변화, 주파수 변동 등)에 매우 민감하고 불안정하게 반응

결론:
• 날씨가 계기가 될 수는 있었지만, 시스템 붕괴의 핵심 원인은 구조적인 전력망 불안정성
• 특히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나친 의존,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백업(열 발전기 등) 부족이 문제를 키웠다는 분석
• 유럽의 지도자들은 이런 위험성을 여러 차례 경고받았지만, 그동안 무시해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
Forwarded from 고투메
💡💡💡
[단독] 美국방부, 한화에어로 창원공장 극비 방문…MRO 사업자 선정 가능성↑
[원문링크]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AI 발전 시나리오. 나는 이 내용이 꽤나 현실성 있다고 생각한다. (여담으로 저자 중 한명은 OpenAI 출신이다.)

https://ai-2027.com/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세미텍은 한미반도체 고위임원 A 씨와 유튜버 B 씨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한화세미텍은 김앤장을 법률대리인으로 선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화세미텍은 A씨와 B씨에게 '허위사실 유포 중단과 시정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했다. 한화세미텍이 보다 강력한 법적 대응에 나선 건 내용증명을 요구한 후에도 별다른 답변을 받지 못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A 씨는 지난달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한화세미텍이 언론에 공식 배포한 TC본더 사진을 두고 “TC본더가 아닌 플립칩 본더”라고 주장했고 한화의 업력과 인력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화세미텍은 한화그룹 인수 이전인 삼성항공 시절인 1993년부터 반도체 개발을 해했고, TC본더가 포함된 반도체 후공정 개발과 서비스 관리 인력만 100여 명에 이른다고 반박해 왔다.

https://m.sedaily.com/NewsView/2GRPLMA3GP#cb
꼬숩노 끼숩노 뀨숩노 까숩노 꺼숩노 꾜숩노 깨숩노 껴숩노 꺄숩노 꾸숩노 꾸숩노 께숩노 끄숩노 꾸숩노 꺠숩노 꼬숩노 끼숩노 뀨숩노 까숩노 꺼숩노 꾜숩노 깨숩노 껴숩노 꺄숩노 꾸숩노 꾸숩노 께숩노 끄숩노 꾸숩노 꺠숩노 꼬숩노 끼숩노 뀨숩노 까숩노 꺼숩노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 이번주 남은 주요일정 체킹

▶️4/29(화)
-미 JOLT 구인인원 (23시)
-미 소비자 신뢰지수 (23시)
-트럼프 취임100일, 트럼프 자동차관세 완화 발표전망

▶️4/30(수)
-실적발표 : 삼성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두산에너빌리티, 에코프로, 엘앤에프, 키움증권, LG엔솔 등
-트럼프 아들 방한 (오후부터 1박2일)
-미 해군성 장관 방한

-미 ADP 비농업 취업자수 (21시15분)
-미 GDP 성장률 (21시30분)
-미 PCE 물가지수 (23시)

▶️5/1(목) 노동절 휴장
-실적발표 : MS, 메타 (새벽)
-한덕수 사퇴 및 출마여부
-일본은행 금리발표 (12시) 동결전망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위반 최종선고 (오후3시)

▶️5/2(금)
-실적발표 : 애플, 아마존 (새벽)
-미, 비농업 취업자수, 실업률 (22:30)

▶️5/3(토)
-국민의힘, 대선후보 최종선출
-버크셔 해셔웨이 주주총회
Forwarded from DY
SK 기존고객은 유심 예약대기지만
신규가입자와 타 통신사에서 넘어오는 사람들은 유심 쉽게준다는 얘기가 있네요

https://www.ledesk.co.kr/view.php?uid=12730
본인 도용방지서비스 해제 못해서 통신사 못 옮기는 중
Forwarded from 카이에 de market
삼성전자(005930)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부가 세계적인 반도체 설계 회사 퀄컴의 2㎚(나노미터·10억분의 1m) 칩 생산을 앞두고 있다. 올해 말 가동을 앞둔 최첨단 공정의 고객 확보가 가시화하면서 수율 및 실적 부진 등으로 침체된 분위기를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삼성파운드리

http://www.sedaily.com/NewsView/2GRPL6KJGM?OutLink=telegram
웨이퍼 장당 대충 Snapdragon Gen3 가 167mm^2,

그러면 대략 AP 장당 400개,

총 수율은 한 60-70% 계산시 240-280개

연 300만개 정도 칩을 얻을 수 있음.

폴드 플립 FE중 하나?

for galaxy로 찍혀서 팔건데

삼성은 찍어서 좋고
퀄컴은 T사 협박해서 좋고

보석상 빼고 손해보는 사람은 없네
Forwarded from 묻따방
GM : 1분기 컨콜 일정 이틀 연기 : 트럼프 정부와 관세 관련 건설적인 방향으로 협의 중

The automaker postponed its earnings call with analysts by two days after White House officials signaled that Trump was planning to ease tariffs on the auto industry. GM was involved in “productive conversations with the President and his Administration,” CEO Mary Barra said in an April 28 statement.

https://www.autonews.com/general-motors/an-general-motors-q1-2025-earnings-0429/
Forwarded from 프리라이프
[현대건설, 1Q25 실적 감소 속 안정적 수주와 수익성 개선 기대]

1분기 신규수주, 수주잔고 모두 양호한 흐름
• 신규수주 9.4조원(연간 가이던스의 30% 달성), 국내 7.8조원, 해외 1.6조원
• 건설부문 6.8조원(가이던스 39%), 엔지니어링 2.5조원
• 수주잔고 98.1조원(3.2년치 일감), 국내 74.8%, 해외 25.2%

매출 감소, 수익성도 일시적 부진
• 1분기 매출 7.5조원(-12.8% YoY), 연간 가이던스(30.4조원)의 25% 달성
• 영업이익 2137억원(OPM 2.9%), 세전이익 2053억원(-32.2%), 지배주주순이익 1204억원(-22.5%)
• 원가율 93.1%(YoY -0.7%p) → 하반기부터 저수익 프로젝트 종료로 수익성 개선 기대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부채비율 173.4%, 유동비율 144.2%, 자기자본비율 36.6%
• 총자산 26.8조원, 자본 9.8조원

수주 파이프라인 강화 → 하반기 수익성 개선 발판
• 2분기: 개포 주공 6-7단지, 부산 범천 4구역, 이라크 WIP 등
• 하반기: 파푸아뉴기니 LNG, 신안우이 해상풍력, 루마니아 원전 등 전략사업 확대

핵심 이슈에 대한 Q&A 요약
엔지니어링 사고 관련: 1Q 실적 미반영, 책임소재 조사 중. 추후 별도 공지 예정
미분양: 1분기 기준 3759세대, 전분기 대비 감소세. 분양률 70% 이하 현장도 감소
원전/SMR 추진현황:
- 불가리아, 슬로베니아, 핀란드 대형원전 프로젝트 추진 중
- 미국 펠리세이즈 부지 SMR 올해 착공 예정(2030년 상용화 목표)
- DOE 3.5세대 프로그램 신청 → 사업 실현성 높게 평가됨
수익성 개선 경로: 저수익 프로젝트 완료 → 믹스 개선. 26년 이후 전략상품 중심으로 본격 수익성 확대

기타 주요 내용
• 건축주택 부문 주택착공: 25년 1.2만세대, 26년 2만세대 목표
• 엔지니어링 수주잔고 기준 변경(환율 반영 방식 변경)
• 라군인테라스 2차 미분양 남았지만 손실 가능성 낮음
• 주주환원: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가능성 검토

#현대건설
연속혈당측정기

체험용으로 살라하는데

걍 싼거 사면댐?
오늘 아침 아마존은 각 제품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비용을 공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금 전 백악관은 이를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고 비난했습니다.

https://x.com/KobeissiLetter/status/1917202253053612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