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루
2.24K subscribers
7.18K photos
125 videos
237 files
14.1K links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ownload Telegram
# 현중 그룹 컨콜 속보

=> 1회성 크게 없고, 매출 빠르게 진행되고, 이익 개선 지속될 것

1. 환효과 : 57원 4% 1396월에서 1453원으로 상승. 헤지비용이 높음. 크진 않음. 현중 조선과 엔진 부문 220억원 삼호 57억, 미포 40억

2. 강재효과 : 강재가격 떨어지고 있음. 소폭 하락. 이익 기여도 낮음

3. 일회성 : C/O가 140억원 들어온 것 외에 일회성 없음

4. 상당히 실적 좋게 나온 이유는 1) 외주비 증가폭 감소, 2) 가장 중요한 요인은 생산성 개선, 3) 외국인 능률 올라오고 있음

5. 공정 안정화 이후 개선 속도 오르고 있음

6. 매출이 빠르게 진행 중. 선표를 앞당길 정도로 진행 중

7. 이익 개선 계속될 것
# 미포 속보

- 피더 컨선 다수 협의 중
- LNG벙커링 수주 많을 것
# 컨콜 : 현중 상선 부문 실적 계속 개선될 것

1분기 마진 13% 나왔는데 계속 좋아질 것
# 컨콜 : 선표 앞당기는 것에 대해 빨리 인도해주면 선주들이 오히려 좋아한다
2025.04.24 14:46:01
기업명: HD현대마린솔루션(시가총액: 7조 1,45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856억(예상치 : 4,619억+/ 5%)
영업익 : 830억(예상치 : 760억/ +9%)
순이익 : 633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4,856억/ 830억/ 633억
2024.4Q 4,634억/ 659억/ 684억
2024.3Q 4,613억/ 834억/ 585억
2024.2Q 4,379억/ 710억/ 567억
2024.1Q 29억/ 1억/ 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4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43060
# 현중 컨콜 : 해양방산 하반기 많다~

1. 필리핀 2차사업 하반기 수주 준비 중

2. 페루 잠수함 사업 개발 중. 이번 주 MOA 체결 예상. 하반기 잠수함 사업 가시화

3. 사우디 호위함 사업 있음. 하반기 예상. 충남급 호위함과 수출용 호위함 가지고 수주 진행 예정

4. 무인체계가 대세될 것. 2030년대 해군 중요한 함선이 전투용 무인수상정(2차 개념연구 진행 중인데, 개념 설계 수주했음) 빠르면 2년 후 정도 사업화 판단. 향후 사업에서도 수주 가능성 높음

5. 미국 해양방산 : 헌팅턴잉갤스와 협약 체결. 기대 중
[HD한국조선해양 컨콜 Q&A]

선표조정
-생산성이 좋아서 조기생산 가능
-울산에 가면 일하시는 분들이 더 잘하고 계심(보너스 지급)
-특정 선박기준 3개월 빨리 인도했음. 빨리 인도할수록
그만큼 생산이 좋아지고 (이익이 좋아지는 부분)
-벌써부터(1분기인데) 전체적인 매출 개선속도가 빨라질수 있다

미포
-3분기까지 저수익성 선박 다 사라짐
-MIX개선으로 점진적인 개선이 있을것

OPM 지속성에 대한 의문
-구조적으로 개선된 수익성임
-선박인도가 빠르면 공정에 들어가는 비용은 같은데
매출이 늘어나는것. 생산성이 좋아졌기 때문에 수익이
좋아짐. 다른비용이 늘어나는 것이 아님

선가 관련 23년 수주 선박인지
-현대중공업 기준 25년 1분기 매출액 비중이 22년 수주 선박이 80%이다. (선가는 22년부터 24년까지 계속 올랐음 ㄷㄷ)
[HD한국조선해양 컨콜 Q&A 2]

미국의 중국제재안 관련 분위기 어떤지?
-지속적으로 견제하겠다는 정책방안임
-선사입장에서 필요한 만큼 중국산 기피 불가피
-가장큰 영향은 컨선부분. 올해 1분기에
작년 1분기 대비 역대급으로 많은 인콰리 받음.
그걸 바탕으로 협의중

29년 LNG 납기 슬랏 영업 언제?
-올해까지는 28년 영업할듯
-올해 하반기쯤 29년 납기를 팔수있을것 같음

외주비용, 엔진케파
-외인인력 능률 개선이 일어나고 있다. (8%?)
-현대중공업보다 삼호인력이 더 능률 오르고 있는것 같다
-외주비 증가 속도 안정되어 있다. 외주비용은 너무 높으면 안됨. 지금은 낮추고 있는 스탠스
-마린엔진 인수가 곧 증설이다. 마린엔진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는 90%까지 능률을 올리는것 목표. 중공업 기준
150% 가동율인데 마린엔진에서도 가동율을 올릴수 있고 추가 증설 가능하다.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음
-생산성을 위해 팔란티어와 개발 프로젝트를 하고 있음
Forwarded from 주식스타그램
#한화솔루션 (+4%)

2Q25 호실적 전망
Forwarded from 영리한 동물원
#한화솔루션 #컨콜 #1Q25

모듈 재고 상황
공식 수치는 없지만,
→ "수입량 감소 + 설치 수요 증가"
👉 재고는 정점 찍고 하락 추세
→ 2023~24년 산업 리포트에서는 미국 모듈 재고가 3~4개월치 수준까지 쌓였고, 이에 따른 가격 하락·현금흐름 리스크가 반복적으로 지적됨
이번 컨콜은 그 우려를 첫 해소 시그널로 간주 가능.

모듈 판매량 & 가격
→ 1Q 판매량 전분기 대비 -40%
→ 2Q는 +10% 증가 전망
→ 가격은 저점에서 반등 중, 관세 이슈로 추가 상승세 전망
→ AMPC 보조금: 1Q 1,839억 → 2Q 2,000억 초반
→ 동남아산 모듈에 대한 세이프가드 및 WRO(강제노동 수입제한) 해제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한화는 미국 내 생산체계를 갖춘 대표 업체로, IRA 수혜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



» 태양광 섹터 투자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보던 키 팩터는 미국 내 재고 현황
» 지금까지 IR을 통해 이야기를 나눠봐도 자기들도 제대로 된 재고를 파악할 수 없다는 답변만 나왔기 때문
» 이번 IR 답변은 미국내 재고 소진 트리거만 바라보던 투자자들의 니즈를 제대로 채워주는 트리거가 되었다고 생각
※ 2025년 1분기 한화솔루션 컨퍼런스콜 정리 (2025. 04. 24)

2025년 1분기 신재생에너지부문 영업이익은 1,362억원이었음.
신재생에너지 부문 영업이익은 주로 주택용 에너지사업 실적 개선에 따른 것이며, 1분기 주택용 사업에서의 영업이익률은 22%였음.


미국 주택용 에너지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음.
미국 주택용 에너지 시장은 금리부담으로 2024년 잠시 위축되었으나, 2025년부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음.

미국 주택용 에너지 시장은 2035년까지 연평균 약 8% 성장이 전망되고 있음.
한화솔루션 또한 미국 주택용 에너지 시장에서 시장 성장률에 준하는 성장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미국 태양광 모듈 재고 및 시장 상황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재고는 생산량, 설치수요, 수입량을 기반으로 재고수준을 유추할 수 있고 정확한 재고에 대한 데이터는 없음.

월별 모듈 수입이 감소 중이고, 설치수요도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어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재고부담은 완화되어가고 있음.
2024년 4분기에 설치량이 수입량을 상회하면서, 3분기 대비 재고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 됨.


미국 내 태양광 모듈 가격은 현재 저점에서 조금씩 상승하면서 추세전환을 하고 있음.
동남아 반덤핑/상계관세로 인해 미국에서 경쟁력을 잃어가는 기업들이 발생하고 있음.

한화솔루션은 미국 내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미국 관세정책에 대응이 가능함.

모듈 가격 상승 시 한화솔루션의 수익성 개선으로 연결됨.


○ 한화솔루션 미국 태양광 모듈 사업

2025년 1분기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모듈 판매량은 지난 4분기 대비 40% 감소하였음. (1분기는 비수기로 계절적 영향)
2024년 4분기 AMPC 반영금액은 1,900억 정도이며, 2025년 1분기의 AMPC 금액은 1,839억원임.

2025년 2분기 태양광 모듈 판매량은 1분기 대비 약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됨.
2분기 AMPC는 1분기 대비 증가한 2,000억 초반대를 예상하고 있음.
미국 내 AMPC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미국의 정책이 시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함
.

2025년 미국내 태양광 모듈 판매량 가이던스는 기존과 같은 9GW를 유지하고 있음.


○ 한화솔루션 미국 주택용 에너지 사업

한화솔루션의 주택용 에너지 사업은 경쟁업체 대비 장점을 지니고 있음.
경쟁사는 설치 및 영업중심의 사업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한화솔루션처럼 미국 내 모듈 제조시설을 갖고 있지 못함.
한화솔루션은 미국에 대규모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모듈 제조수익까지 포함하는 포트폴리오를 지니고 있음.


한화솔루션의 주택용 에너지사업의 수익률(1분기 OPM 22%)이 좋은 이유는 제조부터 판매, 설치까지 수직계열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임.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과거 누적되었던 대기수요의 본격적인 해소로 인해 미국 주택용 에너지 시장의 빠른 회복이 기대되고 있음.



○ 기타

2분기 개발자산 매각 및 EPC 매출은 4,000억에서 5,000억을 예상함.
관련 매출이 없다고 해도 이로 인해 수익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음.

미국 IRA정책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향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2분기 케미칼 부문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정기보수 기저효과 및 주요 제품의 견조한 시황으로 2분기 수익성 개전 전망

참단소재 부문도 2분기 주요 고객사 향 판매 증가 등의 영향으로 실적 개선이 전망됨.
삼성붙으면 다저러노
Forwarded from IH Research
텔레그램에 돌아다다니는 한화솔루션 컨콜 요약본보면 IR이 한적 없는 말이 많이 적혀있네요;; 이러니 IR이 점점 공개 컨퍼런스콜에서 말을 아끼게 되는거 아닐까 합니다. 미국처럼 컨퍼런스콜 공개를 바랄거면 바이사이드의 투자 문화도 많이 바뀌어야 할 거 같습니다.
미국 하원 공화당 의원들은 국방부 지출을 1,500억 달러 증액할 계획이며, 기존 목표치를 낮추고 상원의 국방 계획과 일치시킬 계획입니다.

이번 조치는 국방 강경파에게 유리한 조치입니다.
건보료정산 개같노
Forwarded from Brain and Body Research
LG디스플 '적자터널' 뚫었다…OLED 집중 투자

LG디스플레이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6조 653억 원, 영업이익 335억 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매출은 1년 전보다 1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LG디스플레이(034220)가 3년 만에 1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의 사업 구조 개편과 원가절감을 통해 큰 폭의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로 고객사의 선주문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지만 OLED 중심의 사업구조 개편이 효과를 봤다. 1분기 매출 중 OLED 제품 비중은 작년 동기 대비 8%포인트 확대된 55%를 기록했다. 미국 관세 정책에 대비한 고객사의 선주문이 증가한 것도 호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 광저우 LCD 공장을 2조2000억원에 매각을 완료, OLED 중심 사업 재편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LG디스플레이는 매각 대금을 재무구조 개선과 OLED 사업에 집중 투입할 방침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사업에선 기존 미국과 유럽 고객사에 더해 아시아 고객사들이 더해지면서 향후 3년간 OLED 매출이 3배 뛸 것으로 기대했다.

https://m.sedaily.com/NewsView/2GRNAHFF0C
https://www.ajunews.com/view/20250424133125778

허위사실 유포를 중단하라는 내용을 담은 내용증명을 한미반도체 고위 임원과 온라인 채널 운영자에게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내용증명 발송과 관련해 한미반도체 관계자는 "아직 한화 측에서 전달받은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일단 단독
Forwarded from 카이에 de market
중국 : 미국이 정말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중국에 대한 일방적 관세를 '모두' 해제하여야 한다

** 미국은 중국에 끌려다니는 상황을 스스로 만든듯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