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루
2.24K subscribers
7.17K photos
125 videos
237 files
14K links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ownload Telegram
대략적인 제품별 Bandwidth / 용량
친구가 교촌치킨 선물을 보냈어요.
지금까지 660,729명이 선물을 받았어요.

https://events.toss.family/_m/ltyOiEw?c=ZeG5Z0
이거머임 ㄷㄷ
Forwarded from 루팡
제약업계 CEO들, 관세 위협에 대응해 유럽 내 약가 인상 촉구

유럽 주요 제약사 CEO들이 EU 내 약가를 미국 수준으로 인상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들은 혁신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위해 가격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노바티스(Novartis)의 CEO 바스 나라심한(Vas Narasimhan)과 사노피(Sanofi)의 CEO 폴 허드슨(Paul Hudson)은 파이낸셜 타임즈에 보낸 서한에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의약품 및 백신에 대한 지출 목표를 설정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미국은 유럽 등 다른 선진국 대비 약 3배 비싼 약값을 지불하고 있으며, 이들은 유럽 역시 “미국의 순 가격 범위”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CEO들의 주요 주장 요약:
EU의 낮은 약가는 바이오제약 산업의 성장을 인위적으로 억제하고 있으며,
미국 승인 후 2년 내 유럽에서는 30%의 약품이 아직도 출시되지 않는다는 데이터를 인용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복귀 이후, 미국 내 대규모 제약 투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유럽은 조속히 대응하지 않으면 기업의 이탈과 경쟁력 약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미국의 제약 정책 변화:
트럼프 행정부는 고약가 문제 해결을 공언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미국 약가를 다른 선진국 가격에 연동시키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최근 행정명령에는 해당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미국 정부 관계자는 "미국과 타국 간 약가 격차 해소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제약사들에게 큰 위협이며, 미국은 글로벌 매출의 40~50%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
입니다.

주요 제약사 미국 투자 현황:
로슈(Roche): 미국에 500억 달러 투자 발표

노바티스(Novartis): 230억 달러 규모의 생산 및 R&D 투자 약속

존슨앤존슨, 일라이 릴리(Eli Lilly): 모두 대규모 투자 계획 발표

사노피(Sanofi): 아직 미국 내 대규모 투자 발표 없음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유럽 기업에 미국 투자 일시 중단을 촉구 중


EU 측 반응 및 전망:
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은 이달 제약사 CEO들과 만나 관세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EU 관계자는 “제약업계와의 대화는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https://www.ft.com/content/8c66daf4-4b87-447b-b4f5-25fd6a3c37a2
https://www.facebook.com/100005155420190/posts/2907517362763416/?mibextid=cr9u03

CATL Tech Day 발표를 봤다.
한숨이 나왔다. 몇 번 눈을 감았다. '하아' 소리가 절로 나왔다. 보면서 몇 번을 세웠다가 다시 돌려봤는지 모른다.

4월 15일 중국 정부는 말도 안되는 수준의 2차 전지 안전 기준을 발표했다. 세부 기준을 보면서, 얘들은 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나 했다.

강화된 안전 기준으로는 1) 열 폭주 현상이 사실상 없어야 된다, 2) 어떠한 외부 충격도 견뎌야 된다, 3) 300회 이상의 초급속 충전에도 아무 문제가 없어야 된다.

말도 안되는 얘기다. 전기차에 추가 설비를 엄청 달아야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중국에서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나? 그런 생각도 했다. 이 정도로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이었다.

CATL Tech Day를 보고 알았다. 딱 1주일 후에 알았다. 중국 정부와 기업 간의 섬세한 조율 속에 강화된 안전 기준이 발표된 것이었다.

2025년 12월 CATL은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아직 LFP 배터리도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데, 중국은 Sodium 배터리를 만든다.

Sodium?
에너지 밀도는 LFP보다 더 낮고, 무겁다. 충전 속도도 느리다. CATL이 해결했다. 에너지 밀도를 175 Wh/kg까지 높였다. LFP 배터리와 차이가 없다. 충전 속도도 5C까지 나온다(우리나라 삼원계도 4C다). 나트륨 특성 상 부피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지만,부피 활용율을 극대화하는 CTP, CTC 등의 기술로 해결했다.

이종 배터리 간 결합/융합 기술로 Chemistry별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Sodium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했다. 2019년 CATL은 LFP Cell의 단점인 낮은 에너지 밀도를 Cell To Pack 방식으로 해결했다.

이제 CATL은 '이종 배터리 결합'이라는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최적의 배터리 Chemistry 간 조합을 찾는 Breakthrough를 이뤄냈다.

근데 어떻게 에너지 밀도를 높인걸까? CATL의 발표를 보면, Nano 기술 얘기가 계속 나온다. 배터리 소재를 나노 기술을 이용해 가공해서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제 단점은 해결했다.

장점만 남았다.

Sodium은 일단 리튬보다 훨씬 싸다. 말그대로 소금이다. 진짜 소금이다. CATL의 CTO도 '여러분의 부엌에 있는 소금으로 에너지 문제가 해결된다'고 언급한다.

아울러 Sodium은 리튬보다 반응성이 낮다. 안정성이 높다는 얘기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고, 특히 LFP 배터리의 약점으로 꼽히는 낮은 온도에서의 가동 역시 Sodium은 문제가 없다. CATL은 영하 40도에서도 아무 문제 없이 작동된다고 시연 영상을 틀었다.

마지막으로 지난주 중국 정부가 내놓은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을 Sodium 배터리는 다 통과한다. 영상에는 양쪽에서 누르고(압착), 바늘과 드릴로 뚫고(천공), 전기톱으로 자르고(절단)을 해도 '불'도 나지 않고, '폭발'도 하지 않는게 나온다. 딱, 지난주 중국 정부가 발표한 내용이다.

2025년 12월부터 CATL은 'Naxin'이라는 브랜드로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값싼 LFP 배터리를 무기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인 중국은 이제 거의 완벽한 안전성까지 확보한 Sodium 배터리까지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

향후 현재 구축되어 있는 모든 배터리 소재 Value Chain이 무너질 수 있다. 호주를 비롯해 남미 국가들에서 생산되는 리튬,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되는 니켈 등등 아무 필요가 없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자재를 가공해서 생산되는 각종 배터리 소재의 수요 역시 사라질 수 있다.

어지럽다.

P.S CATL의 TECH DAY 발표를 보지 않으신 분이 있다면 꼭 보시라. 꼭꼭 보시라. 꼭꼭꼭 보시라. Tesla의 Battery Day는 장난이었다.
링크 : https://www.youtube.com/live/J6gaDQL64AY?feature=shared
https://www.guru3d.com/story/amd-rx-9070-xt-update-transition-to-samsung-gddr6-memory-for-improved-thermal-performance/

AMD는 9070XT 제품의 GDDR을 SK하이닉스에서 삼성으로 벤더 교체

지속적으로 고온현상이 있는 하이닉스는 부품의 스펙에 가까운 85도까지 메모리의 온도가 상승하였으나, 삼성으로 교체 후엔 75도를 유지하였다 하네요

이후 AMD의 하이엔드 브랜드도 삼성의 GDDR을 지속적으로 책정 예정

현재 Nvidia는 대부분이 삼성의 GDDR을 사용하고 있고, AMD 또한 동일하게 삼성의 GDDR을 채택하였기에 GDDR은 삼성이 최고로 보이네요
(제품은 아마 1y , 1z, 1a GDDR 일듯..)
2025.04.23 15:36:59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8,7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2,983억(예상치 : 12,108억+/ 7%)
영업익 : 4,867억(예상치 : 3,550억/ +37%)
순이익 : 3,756억(예상치 : 2,843억+/ 3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2,983억/ 4,867억/ 3,756억
2024.4Q 12,564억/ 3,257억/ 3,215억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8003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라인메탈, 155mm 포탄 생산 1500% 확대 계획…독일, 군수산업 대확장 시동

독일의 방산 대기업 라인메탈(Rheinmetall)이 155mm 포탄 생산량을 2022년 대비 2027년까지 무려 1500% 증가시킬 계획.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40222?sid=101

양산 염두에 둔 7세대 D램 TF 새롭게 꾸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 메모리사업부는 10나노 7세대 D램(1d) 양산 막바지인 프로세스아키텍처(PA) 단계를 담당하는 TF를 새로 꾸리고, 내부적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 현재 반도체연구소 내 D램 기술개발(TD) 조직이 있고, D1d 개발을 담당하는 팀은 이미 운영되고 있다. 이번 TF를 통해선 제품 완성도를 높이기에 총력을 다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TF를 통해 차세대 D램 양산에 속도를 붙이겠다는 구상이다. 고밀도·고성능 D램은 HBM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6세대 HBM4' 양산에 필수적인 제품이다. D1d는 일부 메모리사가 개발에 성공했다고 언급한 D1c보다 더 미세한 기술력이 필요한 공정으로 불린다. 10나노급 D램 공정은 1x(1세대)-1y(2세대)-1z(3세대)-1a(4세대)-1b(5세대)-1c(6세대) 순으로 개발되고 있다. 다음 세대로 넘어갈수록 반도체 회로 선폭이 좁아져 성능 및 에너지 효율이 높아진다. 1d D램은 1c 다음 세대 제품이다.

과연 sub 10nm 이전 마지막 제품에서 삼성이 역전 가능할지
$GEV | GE Vernova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 주당순이익(EPS): $0.91 (예상 $0.63) 🟢
🔹 매출: $80.3억 (예상 $75.5억) 🟢
🔹 순이익: $2.64억 (예상 $1.868억) 🟢
🔹 조정 자유현금흐름: $9.75억 (예상 $2.095억) 🟢

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
🔹 연간 매출: $360억–$370억 (예상 $367.6억) 🟡
🔹 조정 자유현금흐름: $20억–$25억 (예상 $20.9억) 🟢

1분기 부문별 실적:
🔹 Power 부문 매출: $44.2억 (예상 $40억) 🟢
🔹 Wind 부문 매출: $18.5억 (예상 $16.9억) 🟢
🔹 Electrification 부문 매출: $18.8억 (예상 $19.2억) 🔴

전략 및 자본 관련 업데이트:
🔸 29 GW 규모의 가스 발전 장비 백로그
🔸 추가로 21 GW 규모의 슬롯 예약 계약 존재 (백로그 미포함)
🔸 연간 가이던스는 인플레이션 및 관세 관련 비용 $3억~$4억(완화 조치 후 순효과) 반영
Forwarded from Fundeasy_최이지
#LNG

60년 이상 동안 쉘은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개발해 왔습니다. 에너지 및 석유화학 기업인 쉘의 최신 분석은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 순제로 전환부터 무역 장벽과 에너지 안보에 대한 집중으로 인한 글로벌 분열의 지속적 증가까지 다양한 상황을 고려합니다.

“모든 시나리오에 공통된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요? 가장 중요한 것은... 2050년까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셸의 CEO인 와엘 사완은 3월 26일 골드만삭스 자산운용과의 토론에서 말했습니다.

화석 연료 중에서는 액화천연가스(LNG)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가 될 것이라고 사완은 설명했습니다. 쉘은 천연가스 시장이 2040년까지 연간 1%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 기간 동안 LNG는 3% 이상 증가해 향후 15년간 6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LNG는 전통적으로 중공업과 일정 부분 전력 생산에 중요했습니다. 사완은 앞으로 LNG가 풍력이나 태양광과 같은 간헐적이고 항상 전력을 생산할 수 없는 재생 에너지의 보완 역할을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아시아의 중공업 분야에서 석탄의 대체재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LNG는 전 세계 가스 판매량의 약 13%를 차지하며, 사완은 2040년까지 이 비율이 약 20%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주요 수요 중심지는 단연 아시아입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사완은 인도와 중국이 전력 공급에서 LNG의 비중을 늘릴 것으로 예상하며, ‘이것은 양적으로 엄청난 변화를 의미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완은 석유가 에너지 전환의 핵심 요소로 남아있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탄소 배출 제로 달성을 위해 석유 수요는 현재 수준에서 약간 감소할 뿐입니다. 석유 생산량이 연간 약 5%씩 감소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빠르게 움직여야 합니다”라고 사완은 말했습니다. 이는 산업이 “상당한 양의 신규 생산”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사완은 전기화가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 중 일부 전력은 태양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에서 공급될 것이지만, 천연가스 및 원자력 발전에서도 공급될 것입니다.
Forwarded from 큐코노미
Forwarded from 머지노의 Stock-Pitch
Nintendo tells customers in Japan to expect Switch 2 hardware shortage at launch [닌텐도 스위치 2 쇼티지 경고]

닌텐도 사장 후루카와 슌타로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Switch 2 콘솔에 대한 수요가 예상을 크게 넘어섰으며 일부 소비자는 출시 시점에 하드웨어를 확보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경고

닌텐도는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여 현재 생산 라인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힘.

소비자는 2025년 4월 24일부터 제3자 소매업체를 통해 사전 예약이 가능한 상황.

https://www.gamedeveloper.com/business/nintendo-tells-customers-in-japan-to-expect-switch-2-hardware-shortage
또 속노 한번 할듯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