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루
2.24K subscribers
7.14K photos
123 videos
237 files
14K links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DART Story - 나만의 주식 정보 일기 (수짱도약)
코스맥스비티아이
현재가 10790원

서성석 회장 1.3억 추가 매수.

오늘 숏 스피큘 특허 취득 공시를 함.

딱봐도
리들샷 대항마 출현.🙏🏻
⚡️⚡️⚡️⚡️⚡️⚡️
중국, 트럼프가 제안한 미중 정상·외교장관 간 통화 모두 거절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시진핑 주석에게 직접 전화 통화를 원한다는 의사를 전달했고, 미 정부는 중국 외교부장 왕이와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 간 통화도 제안했으나, 중국 측은 두 제안 모두 거절한 것으로 알려짐.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76629?sid=101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최근 중국 본토, 홍콩, 대만 등 세 국가의 AI 산업 전반에 투자하는 ‘TIMEFOLIO 차이나AI테크액티브’ ETF의 표준 코드 발급을 마쳤다.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샤오미·알리바바 등 중국 10개 빅테크 기업 ‘테리픽10(Terrific10)’ 중심의 테마형 ETF 출시를 검토 중이다.
Forwarded from Gromit 공부방
원문 아무리 찾아봐도 안 나옴
올해 1월부터 대만 코아시아일렉트로닉스 매출이 작년 연말 대비 63% 급증했습니다.

화웨이가 미국 제재를 피해 삼성전자 HBM을 조달할 목적으로, 패러데이로부터 HBM이 포함된 ASIC을 대량 구매한 게 원인이라는 분석입니다. 이 패러데이에 삼성전자 HBM을 공급하는 회사가 코아시아일렉트로닉스고요.

그러자면 ASIC에 패키지 되어 있는 HBM을 '살살 녹여' 떼어 내야 하는데...이게 기술적으로 가능한걸까요?

세미애널리시스의 원문은 아래 링크.

https://semianalysis.com/2025/04/16/huawei-ai-cloudmatrix-384-chinas-answer-to-nvidia-gb200-nvl72/
몰?루
올해 1월부터 대만 코아시아일렉트로닉스 매출이 작년 연말 대비 63% 급증했습니다. 화웨이가 미국 제재를 피해 삼성전자 HBM을 조달할 목적으로, 패러데이로부터 HBM이 포함된 ASIC을 대량 구매한 게 원인이라는 분석입니다. 이 패러데이에 삼성전자 HBM을 공급하는 회사가 코아시아일렉트로닉스고요. 그러자면 ASIC에 패키지 되어 있는 HBM을 '살살 녹여' 떼어 내야 하는데...이게 기술적으로 가능한걸까요? 세미애널리시스의 원문은 아래 링크.…
코아시아세미 타이완 SEC HBM2E 납품
-> 페러데이 칩에 부착
-> 중국 16나노 페러데이 칩 구매
-> SEC HBM2E 디어태치
-> A910C 탑재

최첨단 외국 의존도는 여기서 방정식의 일부이지만, 중국은 HBM에 훨씬 더 의존하고 있다. 중국은 CXMT와 함께 이것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없습니다. 다행히 삼성은 화웨이가 HBM 금지 전에 160만 개의 Ascend 910C 패키지에 사용할 수 있는 총 1,300만 개의 HBM 스택을 비축할 수 있었던 중국의 HBM의 최고의 공급업체가 되어 구조에 나왔다.

게다가, 이 금지된 HBM은 여전히 중국으로 재수출되고 있다. HBM 수출 금지는 특히 원시 HBM 패키지에 대한 것입니다. HBM이 있는 칩은 FLOPS 규정을 초과하지 않는 한 여전히 배송될 수 있습니다. CoAsia Electronics는 중화권에서 삼성용 HBM의 단독 유통업체이며 HBM2E를 ASIC 설계 서비스 회사인 Faraday에 배송하고 있으며, Faraday는 저렴한 16nm 로직 다이와 함께 SPIL을 "포장"합니다.

그런 다음 패러데이는 이 시스템을 중국으로 패키지로 배송하는데, 이는 기술적으로 허용되지만, 중국 회사는 납땜을 제거하여 HBM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매우 약한 저온 솔더 범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HBM을 패키지에서 매우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기술을 사용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포장"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이것을 가능한 한 가장 느슨한 방법으로 의미합니다.

이러한 수출 통제가 발효된 직후인 2025년 이후 CoAsia의 매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러시아, 2025년 유가 전망 하향…재정 압박 현실화

러시아 경제개발부가 2025년 브렌트유 평균 가격 전망을 배럴당 81.7달러 → 68달러로 약 17% 하향 조정함. 이는 작년 9월 발표된 예측보다 크게 낮아진 수치임.

러시아의 주요 수출 원유인 우랄산 원유(Urals crude) 전망도 69.7달러 → 56달러로 하향되었으며, 이는 2025년 국가 예산에 반영된 가격보다 크게 낮은 수준임.

러시아 예산에서 석유·가스 수입이 전체 재정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만큼, 이번 전망치는 재정적자 확대 및 예산 조정 압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큼.

앞서 러시아 중앙은행도 글로벌 수요 둔화로 인해 유가가 장기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무를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음.

출처: Reuters
Forwarded from 여고생 코쨩👉🔕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025년 4월 10일~11일을 기점으로 지속되고 있는 매우 이례적인 크로스마켓(cross-market) 움직임을 시장은 미국 자산에 대한 이탈 현상으로 해석 중

저는 장기적으로는 이에 동의하지 않지만 단기 관점에서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음

1️⃣ 채권 수익률 상승 + 달러 하락 (Bonds & DXY falling together)

4월 10~11일에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40bp 상승. 동시에 달러는 3% 하락. 이 조합은 2000년 이후 단 12일만 발생

• 일반적으로 금리가 급등하면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데, 이번에는 동시에 하락 (시장 불안 반영)

2️⃣ 채권 + 달러 + S&P500 동반 하락

• 이 조합도 매우 희귀함. 보통 위험선호(risk-on) 국면에서 채권과 달러가 하락하고 주식은 상승. 단, 이번에는 세 자산 모두 하락. 이는 안전자산(달러, 미국채)으로 몰렸던 자금이 이탈하고 있음을 의미

• 과거 유사 사례로는 2009년(금융위기 직후)과 2011년(미국 신용등급 강등)

3️⃣ 금 상승 + 나머지 자산 하락 (Gold ↑ + Bonds/DXY/SPX ↓)

• 이 조합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GFC) 당시 리먼 사태 직후에서만 볼 수 있었던 매우 이례적인 상황

• 당시에는 모든 자산이 하락하고, 금만 상승했는데, 이는 금이 유일한 무위험(counterparty-free) 자산으로 여겨졌기 때문

• 이번에도 금값은 달러 기준으로는 상승, 그러나 CHF(스위스 프랑), JPY(엔화) 기준으로는 하락, EUR(유로) 기준으로는 보합. 즉, 달러 약세에 따른 금값 상승이었을 뿐. 이는 달러 기반 자산에서 이탈이 있었음을 시사

4️⃣ 결론: 진짜 달러 자산 이탈 (Exodus from USD assets)

• 이는 단순한 포지션 정리(디레버리징)나 베이시스 트레이드 청산이 아닌, “리얼머니(real money)” 투자자들의 매도였다고 볼 수 있음

• 또한, 통화 흐름과 금 가격으로 볼 때, 매도 주체는 선진국 투자자들로 추정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MEXICO'S PRESIDENT SHEINBAUM: I DIDN'T REACH FINAL AGREEMENT IN TRUMP CALL. ...
250422_1Q25(F) SK하이닉스 Preview - CITI

(1) CITI는 견조한 HBM3E 수요 증가에 힘입어 1Q25 SK하이닉스 영업이익을 7.3조 예상 vs. 6.6조

(2) 1Q25 레거시 DRAM 가격 약세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실적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업

(3) SK하이닉스는 HBM 효과로 인해 Blended ASP가 QoQ 대비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추정

(4) 반면 업계 전반의 DRAM Blended ASP는 QoQ -7%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

(5) HBM의 매출 믹스는 4Q24 40% → 1Q25(F) 50% 이상 전망하며, 제품 믹스 개선세 지속

(6) NAND ASP의 경우 QoQ -25% 수준으로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하며, 이는 모바일 NAND 수요 부진에 기인

(7) 최근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2Q25(F)의 ASP 또한 보합세를 전망

(8) 2Q25에도 메모리 업체들은 DRAM/NAND 가격 인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며 잠재적인 미국 관세 Headwind는 최소화 될 것

(9) 특히 2분기는 업계 대비해서도 SK하이닉스의 흐름이 더 좋을 것으로 예상

(10) 이는 전체 HBM 내에서도 HBM3E 12hi의 크로스 오버가 예견되기 때문이며 해당 제품은 8hi 가격 대비 약 +12% 프리미엄을 지니고 있기 때문

(11) 한편, 미국은 반도체와 장비 수입에 대해 Section 232 국가 안보 조사를 진행 중이며 이는 섹터별 관세 부과를 위한 절차

(12)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기업에 대해서는 케이스별로 유연한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상무장관 루트닉은 관세 시행 시점을 1~2개월 이내로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음

(13) 현재 SK하이닉스의 대미 익스포져는 약 40% 이상(Direct로는 약 20%)에 달하기 때문에, 만약 관세가 부과될 경우 영향이 적지는 않을 것

(14) 다만, 이에 대한 대응으로 중국 내에서 생산된 칩을 국내 또는 Non-US 지역에 우선 공급하고 미국 내에서는 AVP 공장을 확대할 계획

(15) 여전히 Buy 의견을 유지하며, 1) 하이퍼스케일러들의 AI 투자 지속, 2) NVIDIA의 B300 출시, 3) 하반기 Apple의 모바일 12GB 채택 등의 모멘텀을 지니고 있어 대외적인 매크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연간 단위의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
【LNG】 곧 40~65척 발주

# 향후 발주되는 LNG선은 한국 조선소가 전체 수주 가능할 전망
아마존 역시 신규 데이터센터 계약체결을 일시 중단. MSFT & AWS 모두 같은 방향
[한투증권 강경태] 한화엔진(082740)

텔레그램: http://t.me/enc210406
보고서 링크: https://vo.la/qHWQwc

1Q25 Review: 선박엔진 순항, 친환경 개조 사업까지 진출

■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8% 상회, 선박엔진 ASP 상승 및 고마진 AM 매출 증가

- 여전히 순항. 1분기 매출액은 3,182억원(+8.5% YoY, -2.5% QoQ), 영업이익은 223억원(+14.8% YoY, +22.6% QoQ, OPM +7.0%)을 기록. 컨센서스와 비교해 매출액은 부합, 영업이익은 7.7% 상회하는 것

- 사업 부문별 실적: 1분기 매출액은 선박엔진 2,731억원(+9.6% YoY, -2.3% QoQ), 비선박엔진 451억원(+1.9% YoY, -3.8% QoQ)으로 구성. 1분기 영업이익률은 선박엔진 4.9%, 비선박엔진 20.0%로 추정

- 호실적은 두 가지에 기인. 첫째, 선박엔진 가격 효과 발현. 1분기에 인도한 엔진 수량은 총 30대이며, 인도한 엔진의 평균 가격은 1대당 91억원(+16.9% YoY, +4.3% QoQ)으로 추정. 월 평균 속도(10~11대)에 비해 부족한 인도 수량에도 불구하고, 높은 선가에 연동해서 2022년 하반기에 수주한 엔진들이 1분기에 인도되면서 매출 유지. 매출 mix 개선 효과로 선박엔진 영업이익률 4.9%(+1.7%p QoQ) 기록

- 둘째, 회사 계획 대비 초과 성장한 엔진 AM(After Market) 매출. 1분기 AM 매출은 전년동기와 비교해 14.4% 증가했으며, 정비 예산 집행이 많은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도 1.0% 증가. 회사에서 내다본 2025년 성장폭(10% YoY)을 넘어섰는데, 1분기에 서비스한 부품들의 단가가 상승한 영향일 것

■ AM 매출 성장기 진입, 선박엔진 ASP 2028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

- 수익성 좋은 AM 매출은 2025년부터 본격적인 성장기에 진입. PAN OCEAN 등 주요 선사들과 맺은 장기유지보수계약(LTSA) 잔고가 늘어나고 있으며, MSC와 맺은 엔진 부분 부하 최적화(EPLO, 터보 차저 업그레이드 등) 서비스계약을 시작으로 친환경 개조 매출 또한 발생할 것이기 때문

- 메탄올 D/F 엔진 인도 효과(분기 평균 2대)에 힘입어 2분기 이후에도 ASP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

- 선박엔진 수주잔고 4.0조원의 83%가 D/F 엔진인 점을 감안하면, ASP 상승세는 2028년까지 지속

- 기자재 최선호 매수의견과 목표주가 30,000원(2027년 목표 P/B 3.3배, ROE 23.3%, COE 7.1%)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