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8. 21(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기판) PCB 대기업 Zhen Ding, AI 공급망 지원을 위해 11억 달러 규모 확장 계획
- PCB 대기업 Zhen Ding, AI 공급망 지원을 위해 11억 달러 규모 확장 계획을 발표. AI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해 빠르게 증가하는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2025년 하반기부터 2028년까지 80억 위안(약 11억 달러)을 투자하여 고급 PCB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
https://han.gl/3YqUX (Digitimes, 8.20)
(스마트폰) 중국 6월 외국 브랜드 휴대폰 판매량 31.3% 감소
- 중국정보통신기술원(CAICT)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계산에 따르면, 외국 브랜드 휴대폰의 출하량은 6월에 197만 1천 대로 감소했는데, 이는 작년 같은 달의 286만 9천 대보다 감소한 수치임
https://han.gl/oRCO6 (Reuters, 8.20)
(MLCC) 삼성전기, 차세대 부품 MLCC에 AI 날개 단다
- MLCC 사업에 공을 들이는 삼성전기가 제조공정에 AI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으로 확인됨. 삼성전기는 최근 MLCC 제조 공정에 '샘코 엑스포트'를 적용해 양품을 판단하고 있으며, 이는 범용 AI 기능이 아닌 특정 분야에 최적화된 자체 개발 AI 솔루션
https://han.gl/COyPL (SBS Biz, 8.20)
(AI) AI 수요 급증으로 태국 데이터 센터 용량 3배 증가할 듯
- 클라우드 컴퓨팅과 인공지능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약 65억 달러의 투자가 해당 부문에 쏟아지면서 태국의 데이터 센터 용량은 향후 3년 안에 3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Google, Amazon, Microsoft, Nvidia는 태국과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AI 인프라에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는 기술 거대 기업
https://han.gl/uqik0 (Bloomberg, 8.20)
(반도체) 메모리 현물 가격 업데이트: DDR5, DDR4 소폭 하락으로 DRAM 거래가 점차 활기를 잃다
- 트렌드포스의 최신 메모리 현물 가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DRAM과 관련하여 3분기 25%의 주요 관심은 고정 가격 반등에 집중되었지만, 최근 거래 모멘텀이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DDR5와 DDR4 제품 가격은 소폭 하락함. NAND의 경우 현물 시장은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수요는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음
https://han.gl/ajtsM (Trendforce, 8.20)
■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단독] 삼성전자, 머크서 미국 QD 특허 53건 매입
- 삼성전자가 Merck Patent로부터 미국 퀀텀닷(QD) 특허 53건을 매입했음. 삼성전자가 현재 양산 중인 LCD 제품 'QLED' TV와 QD-OLED TV는 물론, 아직 개발 중인 자발광 무기 디스플레이 기술 QD-전계발광 등에 해당 특허를 활용할 것이란 전망
https://han.gl/FwQGY (TheElec, 8.20)
감사합니다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8. 21(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기판) PCB 대기업 Zhen Ding, AI 공급망 지원을 위해 11억 달러 규모 확장 계획
- PCB 대기업 Zhen Ding, AI 공급망 지원을 위해 11억 달러 규모 확장 계획을 발표. AI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해 빠르게 증가하는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2025년 하반기부터 2028년까지 80억 위안(약 11억 달러)을 투자하여 고급 PCB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
https://han.gl/3YqUX (Digitimes, 8.20)
(스마트폰) 중국 6월 외국 브랜드 휴대폰 판매량 31.3% 감소
- 중국정보통신기술원(CAICT)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계산에 따르면, 외국 브랜드 휴대폰의 출하량은 6월에 197만 1천 대로 감소했는데, 이는 작년 같은 달의 286만 9천 대보다 감소한 수치임
https://han.gl/oRCO6 (Reuters, 8.20)
(MLCC) 삼성전기, 차세대 부품 MLCC에 AI 날개 단다
- MLCC 사업에 공을 들이는 삼성전기가 제조공정에 AI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으로 확인됨. 삼성전기는 최근 MLCC 제조 공정에 '샘코 엑스포트'를 적용해 양품을 판단하고 있으며, 이는 범용 AI 기능이 아닌 특정 분야에 최적화된 자체 개발 AI 솔루션
https://han.gl/COyPL (SBS Biz, 8.20)
(AI) AI 수요 급증으로 태국 데이터 센터 용량 3배 증가할 듯
- 클라우드 컴퓨팅과 인공지능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약 65억 달러의 투자가 해당 부문에 쏟아지면서 태국의 데이터 센터 용량은 향후 3년 안에 3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Google, Amazon, Microsoft, Nvidia는 태국과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AI 인프라에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는 기술 거대 기업
https://han.gl/uqik0 (Bloomberg, 8.20)
(반도체) 메모리 현물 가격 업데이트: DDR5, DDR4 소폭 하락으로 DRAM 거래가 점차 활기를 잃다
- 트렌드포스의 최신 메모리 현물 가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DRAM과 관련하여 3분기 25%의 주요 관심은 고정 가격 반등에 집중되었지만, 최근 거래 모멘텀이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DDR5와 DDR4 제품 가격은 소폭 하락함. NAND의 경우 현물 시장은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수요는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음
https://han.gl/ajtsM (Trendforce, 8.20)
■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단독] 삼성전자, 머크서 미국 QD 특허 53건 매입
- 삼성전자가 Merck Patent로부터 미국 퀀텀닷(QD) 특허 53건을 매입했음. 삼성전자가 현재 양산 중인 LCD 제품 'QLED' TV와 QD-OLED TV는 물론, 아직 개발 중인 자발광 무기 디스플레이 기술 QD-전계발광 등에 해당 특허를 활용할 것이란 전망
https://han.gl/FwQGY (TheElec, 8.20)
감사합니다
DIGITIMES
PCB giant Zhen Ding plans US$1.1 billion expansion to support AI supply chain
Zhen Ding Technology, the world's largest printed circuit board (PCB) manufacturer, announced that its Chinese subsidiary, Avary Holding, has approved a major investment plan for its Huaian campus. The company will invest CNY8 billion (approximately US$1.1…
❤3
2025년 8월 1~20일 수출 금액 잠정치
- 스마트폰: 191,770,196 달러
(+4.9% YoY, +24.6% MoM)
* 스마트폰 수출 단가: 1,673 $/kg
(-7.2% YoY, -7.0% MoM)
- 스마트폰 부분품: 83,599,935 달러
(-53.6% YoY, +7.0% MoM)
* 스마트폰 부분품 수출 단가: 713 $/kg
(-56.0% YoY, +11.8% MoM)
- MLCC: 76,892,346 달러
(+14.9% YoY, -0.7% MoM)
* MLCC 수출 단가: 248 $/kg
(-5.8% YoY, +6.4% MoM)
- PCB: 156,114,148 달러
(+33.3% YoY, -2.5% MoM)
* PCB 수출 단가: 221 $/kg
(+10.0% YoY, +7.8% MoM)
- FPCB: 112,738,112 달러
(-8.6% YoY, +5.9% MoM)
* FPCB 수출 단가: 620 $/kg
(-5.8% YoY, +10.5% MoM)
- 리드프레임: 20,023,780 달러
(-7.9% YoY, -2.2% MoM)
* 리드프레임 수출 단가: 78 $/kg
(-18.2% YoY, -0.5% MoM)
- MCP: 2,537,953,492 달러
(+40.1% YoY, +46.1% MoM)
* MCP 수출 단가: 45,318 $/kg
(+22.1% YoY, +26.6% MoM)
- PI필름: 1,158,124 달러
(-10.7% YoY, -33.8% MoM)
* PI필름 수출 단가: 30 $/kg
(-10.1% YoY, -20.9% MoM)
- 이미지센서: 528,447,484 달러
(+5.6% YoY, -1.4% MoM)
* 이미지센서 수출 단가: 3,682 $/kg
(+7.8% YoY, +2.4% MoM)
- 카메라모듈: 572,608,363 달러
(-0.5% YoY, +110.0% MoM)
* 카메라모듈 수출 단가: 3,949 $/kg
(-7.0% YoY, +63.4% MoM)
- CCL: 34,464,017 달러
(+0.8% MoM)
* CCL 수출 단가: 89 $/kg
(+1.1% MoM)
- OLED TV: 55,157,142 달러
(+18.1% YoY, +7.0% MoM)
* OLED TV 수출 단가: 97 $/kg
(+3.1% YoY, -3.0% MoM)
- OLED 패널: 710,058 달러
(-48.5% YoY, +13.0% MoM)
* OLED 패널 수출 단가: 142 $/kg
(+42.1% YoY, +35.7% MoM)
- OLED 유기재료: 11,035,527 달러
(+38.1% YoY, +78.5% MoM)
* OLED 유기재료 수출 단가: 23,159 $/kg
(-20.2% YoY, +2.4% MoM)
- 스마트폰: 191,770,196 달러
(+4.9% YoY, +24.6% MoM)
* 스마트폰 수출 단가: 1,673 $/kg
(-7.2% YoY, -7.0% MoM)
- 스마트폰 부분품: 83,599,935 달러
(-53.6% YoY, +7.0% MoM)
* 스마트폰 부분품 수출 단가: 713 $/kg
(-56.0% YoY, +11.8% MoM)
- MLCC: 76,892,346 달러
(+14.9% YoY, -0.7% MoM)
* MLCC 수출 단가: 248 $/kg
(-5.8% YoY, +6.4% MoM)
- PCB: 156,114,148 달러
(+33.3% YoY, -2.5% MoM)
* PCB 수출 단가: 221 $/kg
(+10.0% YoY, +7.8% MoM)
- FPCB: 112,738,112 달러
(-8.6% YoY, +5.9% MoM)
* FPCB 수출 단가: 620 $/kg
(-5.8% YoY, +10.5% MoM)
- 리드프레임: 20,023,780 달러
(-7.9% YoY, -2.2% MoM)
* 리드프레임 수출 단가: 78 $/kg
(-18.2% YoY, -0.5% MoM)
- MCP: 2,537,953,492 달러
(+40.1% YoY, +46.1% MoM)
* MCP 수출 단가: 45,318 $/kg
(+22.1% YoY, +26.6% MoM)
- PI필름: 1,158,124 달러
(-10.7% YoY, -33.8% MoM)
* PI필름 수출 단가: 30 $/kg
(-10.1% YoY, -20.9% MoM)
- 이미지센서: 528,447,484 달러
(+5.6% YoY, -1.4% MoM)
* 이미지센서 수출 단가: 3,682 $/kg
(+7.8% YoY, +2.4% MoM)
- 카메라모듈: 572,608,363 달러
(-0.5% YoY, +110.0% MoM)
* 카메라모듈 수출 단가: 3,949 $/kg
(-7.0% YoY, +63.4% MoM)
- CCL: 34,464,017 달러
(+0.8% MoM)
* CCL 수출 단가: 89 $/kg
(+1.1% MoM)
- OLED TV: 55,157,142 달러
(+18.1% YoY, +7.0% MoM)
* OLED TV 수출 단가: 97 $/kg
(+3.1% YoY, -3.0% MoM)
- OLED 패널: 710,058 달러
(-48.5% YoY, +13.0% MoM)
* OLED 패널 수출 단가: 142 $/kg
(+42.1% YoY, +35.7% MoM)
- OLED 유기재료: 11,035,527 달러
(+38.1% YoY, +78.5% MoM)
* OLED 유기재료 수출 단가: 23,159 $/kg
(-20.2% YoY, +2.4% MoM)
👍2
IDC 2Q25 PC 출하량 전망 업데이트
- 글로벌 PC 전망은 2025년 성장률 +4.1% YoY에서 +5.6% YoY로 상향 조정, 2026년은 -1.3%로 하향 조정
- 2025년 상반기 +6.8% YoY의 강한 성장을 기록한 후, 연간 PC 출하량은 2억 7,800만 대(+5.6% YoY)에 이를 것으로 예상
- 2026년 출하량은 2억 7,400만 대(-1.3% YoY)로 전망되며, 이는 강한 2025년 실적에 따른 기저효과가 주요 원인
- 수입 관세는 유지되고 있으나, PC는 대부분 면제 혜택을 받고 있음. 다만, 중국산 PC 출하량은 20%의 관세를 부담
- 벤더들은 2025년 하반기에 대해 대체로 낙관적이지만, 교육 및 소비자 부문에서는 여전히 리스크가 존재
- 상업용 PC 부문의 2025년 성장률 전망은 기존 +6.7% YoY에서 크게 변동 없이 +7.0% YoY로 유지
- 윈도우 10 교체 주기는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며, 관세와 거시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기업 IT 예산 내 PC 교체 예산은 대체로 유지되고 있음
- 2027년부터 2029년까지 PC 시장은 매년 +1% 성장률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
- 글로벌 PC 전망은 2025년 성장률 +4.1% YoY에서 +5.6% YoY로 상향 조정, 2026년은 -1.3%로 하향 조정
- 2025년 상반기 +6.8% YoY의 강한 성장을 기록한 후, 연간 PC 출하량은 2억 7,800만 대(+5.6% YoY)에 이를 것으로 예상
- 2026년 출하량은 2억 7,400만 대(-1.3% YoY)로 전망되며, 이는 강한 2025년 실적에 따른 기저효과가 주요 원인
- 수입 관세는 유지되고 있으나, PC는 대부분 면제 혜택을 받고 있음. 다만, 중국산 PC 출하량은 20%의 관세를 부담
- 벤더들은 2025년 하반기에 대해 대체로 낙관적이지만, 교육 및 소비자 부문에서는 여전히 리스크가 존재
- 상업용 PC 부문의 2025년 성장률 전망은 기존 +6.7% YoY에서 크게 변동 없이 +7.0% YoY로 유지
- 윈도우 10 교체 주기는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며, 관세와 거시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기업 IT 예산 내 PC 교체 예산은 대체로 유지되고 있음
- 2027년부터 2029년까지 PC 시장은 매년 +1% 성장률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
❤2👍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8. 22 (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칼 갈더니 삼성 겨눴다…구글, '비밀 병기' 장착 하더니 결국
- 구글은 20일(현지시간) 뉴욕에서 폴더블을 포함한 스마트폰 신제품 ‘픽셀 10’ 시리즈 4종을 공개했음. 구글은 스마트폰에 힘을 주기 위해 지난해 8월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모토로라 출신’의 릭 오스터 수석 부사장이 안드로이드, 크롬 등 운영체제(OS) 사업까지 총괄하도록 조직을 개편
https://han.gl/axK1r (한국경제, 8.21)
(기판) AI 수요가 공급량을 초과함에 따라 고급 PCB 소재 부족이 예상
- AI는 PCB 소재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가격과 물량을 모두 상승시키고 있음. 공급 압박은 더 이상 CoWoS 기판에 사용되는 저CTE 유리섬유 직물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구리박막적층판(CCL), 고용량 저프로파일(HVLP) 구리박, PCB 드릴링에 필요한 코팅 마이크로드릴용 저Dk 유리섬유 직물로 확산
https://han.gl/Vr1Dc (Digitimes, 8.21)
(로봇) 대만의 주요 광학 제조업체들은 스마트폰을 넘어 성장을 모색하며 로봇공학으로 전환
- 스마트 안경과 로봇에 대한 수요는 아직 대중 시장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가시성과 장기적인 잠재력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음. Largan Precision, Genius Electronic Optical, Asia Optical, Ability Enterprise, Unique Opto-Electronics 등 대만의 5대 광학 제조업체가 모두 이 분야에 진출
https://han.gl/diLrl (Digitimes, 8.21)
(XR) Vivo의 1,400달러 Apple Vision Pro 복제품이 중국 전역에 출시
-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비보는 목요일에 최초의 혼합 현실 헤드셋인 "비보 비전"을 공개. 이 기기는 오늘 중국 본토 전역의 매장에서 체험용으로 출시되었으며, Apple의 Vision Pro의 디자인 요소를 모방한 것이 특징
https://han.gl/GwYIZ (MacRumors, 8.21)
(유리기판) 인텔, 반도체 유리기판 라이선싱 추진…'자체 생산'서 '외부 조달' 선회
- 인텔이 반도체 유리기판 기술 라이선싱에 나섰으며, 인텔 유리기판 기술을 다른 업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판매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음. 인텔은 그동안 자체 상용화를 추진해왔는데, 사업 전략 변화로 외부에서 유리기판을 공급 받을 가능성이 존재
https://han.gl/qhiMy (전자신문, 8.21)
■ 디스플레이
(OLED) LGD, '게임스컴'서 크래프톤과 OLED 마케팅
- LG디스플레이가 20일부터 24일까지(현지시간)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게임스컴 2025'에서 국내 게임사인 크래프톤과 손잡고 게이밍 OLED 패널 체험존을 운영. LG디스플레이는 23일 크래프톤이 진행하는 '펍지 핫 드롭 쾰른 2025' 토너먼트 행사에도 480㎐ 27인치 게이밍 OLED 패널이 탑재된 모니터를 지원할 계획
https://han.gl/For2e (전자신문, 8.21)
감사합니다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8. 22 (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칼 갈더니 삼성 겨눴다…구글, '비밀 병기' 장착 하더니 결국
- 구글은 20일(현지시간) 뉴욕에서 폴더블을 포함한 스마트폰 신제품 ‘픽셀 10’ 시리즈 4종을 공개했음. 구글은 스마트폰에 힘을 주기 위해 지난해 8월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모토로라 출신’의 릭 오스터 수석 부사장이 안드로이드, 크롬 등 운영체제(OS) 사업까지 총괄하도록 조직을 개편
https://han.gl/axK1r (한국경제, 8.21)
(기판) AI 수요가 공급량을 초과함에 따라 고급 PCB 소재 부족이 예상
- AI는 PCB 소재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가격과 물량을 모두 상승시키고 있음. 공급 압박은 더 이상 CoWoS 기판에 사용되는 저CTE 유리섬유 직물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구리박막적층판(CCL), 고용량 저프로파일(HVLP) 구리박, PCB 드릴링에 필요한 코팅 마이크로드릴용 저Dk 유리섬유 직물로 확산
https://han.gl/Vr1Dc (Digitimes, 8.21)
(로봇) 대만의 주요 광학 제조업체들은 스마트폰을 넘어 성장을 모색하며 로봇공학으로 전환
- 스마트 안경과 로봇에 대한 수요는 아직 대중 시장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가시성과 장기적인 잠재력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음. Largan Precision, Genius Electronic Optical, Asia Optical, Ability Enterprise, Unique Opto-Electronics 등 대만의 5대 광학 제조업체가 모두 이 분야에 진출
https://han.gl/diLrl (Digitimes, 8.21)
(XR) Vivo의 1,400달러 Apple Vision Pro 복제품이 중국 전역에 출시
-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비보는 목요일에 최초의 혼합 현실 헤드셋인 "비보 비전"을 공개. 이 기기는 오늘 중국 본토 전역의 매장에서 체험용으로 출시되었으며, Apple의 Vision Pro의 디자인 요소를 모방한 것이 특징
https://han.gl/GwYIZ (MacRumors, 8.21)
(유리기판) 인텔, 반도체 유리기판 라이선싱 추진…'자체 생산'서 '외부 조달' 선회
- 인텔이 반도체 유리기판 기술 라이선싱에 나섰으며, 인텔 유리기판 기술을 다른 업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판매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음. 인텔은 그동안 자체 상용화를 추진해왔는데, 사업 전략 변화로 외부에서 유리기판을 공급 받을 가능성이 존재
https://han.gl/qhiMy (전자신문, 8.21)
■ 디스플레이
(OLED) LGD, '게임스컴'서 크래프톤과 OLED 마케팅
- LG디스플레이가 20일부터 24일까지(현지시간)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게임스컴 2025'에서 국내 게임사인 크래프톤과 손잡고 게이밍 OLED 패널 체험존을 운영. LG디스플레이는 23일 크래프톤이 진행하는 '펍지 핫 드롭 쾰른 2025' 토너먼트 행사에도 480㎐ 27인치 게이밍 OLED 패널이 탑재된 모니터를 지원할 계획
https://han.gl/For2e (전자신문, 8.21)
감사합니다
한국경제
AI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일정 앞당긴 구글…하드웨어 야심, 삼성도 위협하나
AI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일정 앞당긴 구글…하드웨어 야심, 삼성도 위협하나, 박의명 기자, 경제
❤2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39350?sid=101
SK온 조지아 2개 라인 전환
(NCM 파우치 > LFP 각형)
- 기존 밸류체인을 활용한 라인 개조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판단
- 파우치에서 각형 전환 시 탭 멜딩 & 패키징 장비가 최대 수혜 예상
(NCM 파우치 > LFP 각형)
- 기존 밸류체인을 활용한 라인 개조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판단
- 파우치에서 각형 전환 시 탭 멜딩 & 패키징 장비가 최대 수혜 예상
❤3👍1
폭스콘: AR 안경 25년 대량 생산 시작 가능성
- 폭스콘 디지털 헬스 디비전 총괄 매니저 장즈슝은 최근 자사의 증강현실(AR) 안경이 빠르면 내년에 양산에 들어갈 수 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언급
- 폭스콘은 근안(near-eye) 디스플레이와 시선 추적 기술을 통합한 AR 안경이 AI 시대에서 가장 유망한 솔루션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고 있음
- 폭스콘은 Nobel Vision Optics와 협력을 시작했으며, 안과 및 검안학 분야에 집중하고 있음
- 이번 협력이 의료 시나리오에서의 AR 안경 응용 기반을 마련할 뿐 아니라 소비자 시장 진출을 위한 길을 열어준다고 설명
- 또한 초기 AR 안경은 의료용이 아닌 차세대 소비자 HMI 수요를 목표로 할 것이며, 현재 가격 책정 논의가 진행 중이라 언급
- 향후 웨이퍼 레벨 디스플레이 기술과 마이크로 LED를 더욱 통합할 계획이며, 기술부터 응용까지 포괄적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
- 웨이퍼 레벨 디스플레이와 마이크로 LED는 매우 정밀한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 한 핵심 기술이며, 전 세계적으로 해당 분야의 양산이 가능한 기업이 많지 않음
- 폭스콘은 단순 위탁 제조를 넘어 부품, 모듈, 시스템, 애플리케이션까지 포괄하는 전체적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전략적 행보를 보일 것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8/22/news-foxconn-ar-glasses-could-enter-mass-production-as-early-as-next-year/
- 폭스콘 디지털 헬스 디비전 총괄 매니저 장즈슝은 최근 자사의 증강현실(AR) 안경이 빠르면 내년에 양산에 들어갈 수 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언급
- 폭스콘은 근안(near-eye) 디스플레이와 시선 추적 기술을 통합한 AR 안경이 AI 시대에서 가장 유망한 솔루션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고 있음
- 폭스콘은 Nobel Vision Optics와 협력을 시작했으며, 안과 및 검안학 분야에 집중하고 있음
- 이번 협력이 의료 시나리오에서의 AR 안경 응용 기반을 마련할 뿐 아니라 소비자 시장 진출을 위한 길을 열어준다고 설명
- 또한 초기 AR 안경은 의료용이 아닌 차세대 소비자 HMI 수요를 목표로 할 것이며, 현재 가격 책정 논의가 진행 중이라 언급
- 향후 웨이퍼 레벨 디스플레이 기술과 마이크로 LED를 더욱 통합할 계획이며, 기술부터 응용까지 포괄적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
- 웨이퍼 레벨 디스플레이와 마이크로 LED는 매우 정밀한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 한 핵심 기술이며, 전 세계적으로 해당 분야의 양산이 가능한 기업이 많지 않음
- 폭스콘은 단순 위탁 제조를 넘어 부품, 모듈, 시스템, 애플리케이션까지 포괄하는 전체적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전략적 행보를 보일 것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8/22/news-foxconn-ar-glasses-could-enter-mass-production-as-early-as-next-year/
TrendForce
[News] Foxconn: AR Glasses Could Enter Mass Production as Early as Next Year
Chiang Chih-Hsiung, General Manager of Foxconn’s Business Group B and Digital Health Division, recently stated that the company’s AR (Augmented Realit...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