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DRAMeXchange 11월 서버 DRAM 고정가 발표]
- 서버 DRAM 시장은 이번 달 두 가지 상반된 가격 흐름을 보였음. DDR4는 채널 내 과도한 재고로, 한국 공급업체들이 수익성을 포기하고 구매 의욕을 자극하려는 움직임으로 이번 분기 ASP 8-15% 하락하였음. 반면, DDR5는 미국 기반 CSP업체들의 수요 덕분에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적
- 이번 달 협상에서, 대부분의 수요는 DDR5 64GB 모듈에 집중되었으며, 견적가는 $280-290달러, 평균 고정가는 $283-290달러로 형성. 반면, DDR4는 재고 과잉이 예상돼 구매를 주저하는 구매자들로 전망이 상대적으로 부정적. 11월에 공급업체들의 판매 압박으로 가격은 8-15% 하락하였으며, 현재 DDR4 64GB의 ASP는 $150-160달러 수준. 특정 제품군의 경우 더 낮은 가격이 관찰됨
- DDR5 4800MT/s와 5600MT/s 사이에 가격 차별화가 사라졌지만, 4800MT/s와 6400MT/s 사이에는 여전히 10%의 프리미엄이 존재. 인텔과 AMD가 2Q25 새로운 서버 CPU 대량 생산을 시작하면 가격 프리미엄이 점차 사라질 것으로 예상
- CSP업체들은 연간 구매량 협상을 마치고, 고용량 모듈 수요에 대한 논의 시작하였으며, DDR5 수요는 연간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 수요 증가의 주된 요인은 차세대 서버 및 AI 애플리케이션으로, 특히 96GB 및 128GB RDIMM 제품이 견인. 이들 제품은 Intel의 Granite Rapids 및 AMD의 Turin 서버 CPU로 구성되어 TCO(총 소유 비용) 최적화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 변화하는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DRAM 공급업체는 적극적으로 생산 전략을 조정 중이며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시:
1) 한국 DRAM 공급업체들은 DDR4 Capa를 DDR5로 전환하고 있으며, 4Q24부터 DDR5에 대한 큰 폭의 수요 증가 관찰. DDR5의 생산 비중은 ’25년 85~90%에 달할 것으로 예상
2) 세 주요 공급업체는 기존 DDR5 공정을 non-HBM 공정으로 할당하여, HBM의 Capa 잠식 문제를 방지하고자 함
3) DRAM의 제품 구성이 서버 DRAM 분야로 가중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 수요가 아직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 서버 DRAM 제품 비중은 1Q25 37%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종합하자면, 서버 DRAM 시장의 향후 가격 동향은 공급과 수요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 DDR5가 DDR4의 수요를 대체하기에, HBM3E의 수요가 핵심 요인일 것으로 예상. AI 애플리케이션이의 시장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경우, 판매자에게 가격 협상에서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며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음. 반대로, 기대보다 낮은 수요는 가격 하락에 압력을 가할 수 있음. 한편, DDR4는 채택 분야 감소와 채널 내 높은 재고 수준으로 인해 지속적인 가격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이는 시장 수요가 DDR5로 빠르게 전환될 것을 예고하며, DRAM 공급업체는 이 전환 기간 동안 시장 활동의 불확실성과 가격 변동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한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할 것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RAMeXchange 11월 서버 DRAM 고정가 발표]
- 서버 DRAM 시장은 이번 달 두 가지 상반된 가격 흐름을 보였음. DDR4는 채널 내 과도한 재고로, 한국 공급업체들이 수익성을 포기하고 구매 의욕을 자극하려는 움직임으로 이번 분기 ASP 8-15% 하락하였음. 반면, DDR5는 미국 기반 CSP업체들의 수요 덕분에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적
- 이번 달 협상에서, 대부분의 수요는 DDR5 64GB 모듈에 집중되었으며, 견적가는 $280-290달러, 평균 고정가는 $283-290달러로 형성. 반면, DDR4는 재고 과잉이 예상돼 구매를 주저하는 구매자들로 전망이 상대적으로 부정적. 11월에 공급업체들의 판매 압박으로 가격은 8-15% 하락하였으며, 현재 DDR4 64GB의 ASP는 $150-160달러 수준. 특정 제품군의 경우 더 낮은 가격이 관찰됨
- DDR5 4800MT/s와 5600MT/s 사이에 가격 차별화가 사라졌지만, 4800MT/s와 6400MT/s 사이에는 여전히 10%의 프리미엄이 존재. 인텔과 AMD가 2Q25 새로운 서버 CPU 대량 생산을 시작하면 가격 프리미엄이 점차 사라질 것으로 예상
- CSP업체들은 연간 구매량 협상을 마치고, 고용량 모듈 수요에 대한 논의 시작하였으며, DDR5 수요는 연간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 수요 증가의 주된 요인은 차세대 서버 및 AI 애플리케이션으로, 특히 96GB 및 128GB RDIMM 제품이 견인. 이들 제품은 Intel의 Granite Rapids 및 AMD의 Turin 서버 CPU로 구성되어 TCO(총 소유 비용) 최적화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 변화하는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DRAM 공급업체는 적극적으로 생산 전략을 조정 중이며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시:
1) 한국 DRAM 공급업체들은 DDR4 Capa를 DDR5로 전환하고 있으며, 4Q24부터 DDR5에 대한 큰 폭의 수요 증가 관찰. DDR5의 생산 비중은 ’25년 85~90%에 달할 것으로 예상
2) 세 주요 공급업체는 기존 DDR5 공정을 non-HBM 공정으로 할당하여, HBM의 Capa 잠식 문제를 방지하고자 함
3) DRAM의 제품 구성이 서버 DRAM 분야로 가중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 수요가 아직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 서버 DRAM 제품 비중은 1Q25 37%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종합하자면, 서버 DRAM 시장의 향후 가격 동향은 공급과 수요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 DDR5가 DDR4의 수요를 대체하기에, HBM3E의 수요가 핵심 요인일 것으로 예상. AI 애플리케이션이의 시장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경우, 판매자에게 가격 협상에서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며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음. 반대로, 기대보다 낮은 수요는 가격 하락에 압력을 가할 수 있음. 한편, DDR4는 채택 분야 감소와 채널 내 높은 재고 수준으로 인해 지속적인 가격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이는 시장 수요가 DDR5로 빠르게 전환될 것을 예고하며, DRAM 공급업체는 이 전환 기간 동안 시장 활동의 불확실성과 가격 변동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한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할 것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DRAMeXchange 11월 PC DRAM 고정가 발표]
- DRAM 공급업체와 PC OEM 간의 10월 충분치 못한 구매량 문제가 논의됨. 그 결과, 11월 PC DRAM 고정거래가격이 전월대비 5-10% 하락. 이는 3Q24, 8-13% QoQ 상승 추세가 하락 전환된 것이며, 예상치인 0-5% 하락폭보다 큼. 특히, 8GB DDR4 모듈 ASP는 18.5달러(-12% MoM), 8GB DDR5 모듈은 25.5달러(-6% MoM) 기록. 전체적으로 DDR4 제품의 하락 폭이 DDR5 제품보다 더 컸음. 현재 DDR4 대비 DDR5 모듈 가격 프리미엄은 38% 기록 중(vs 3Q24 29%)
- 수요 단에서는, 중국 정부가 9월부터 구형 노트북 교체를 장려하기 위해 이구환신 정책에 노트북을 포함시켰음에도 불구, 3Q24 글로벌 노트북 출하량 성장은 +8% QoQ에 그침. 비중국 PC 브랜드 기여는 제한적. PC OEM의 DRAM 재고 수준은 4Q24 초 10-16주로, 3Q24 말 대비 1주 감소. 따라서, PC OEM들은 ’24년 말 DRAM 재고 목표 수준을 8-14주로 낮추고 있으며, 이를 위해 4Q24 동안 재고 조정 및 구매량 축소 계획
- PC OEM은 구매량 감소를 예상하여 10월 계약을 서두르지 않고 있음. 미국 DRAM 공급업체는 11월 말로 회계연도가 끝나는 반면, 한국의 두 공급업체는 10월에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지 못함. 따라서 공급업체에 압력이 가해지고 있음. DDR4 및 DDR5 제품의 고정가 하락폭이 예상치보다 컸던 요인은 다음과 같이 기인함
1) 일부 모듈 하우스에서 부품 조달 비용을 낮추고, 재고 감축 전략을 시행하면서 특정 PC OEM들이 이들로부터 모듈 구매를 늘렸음. 또한, PC OEM은 모듈 하우스의 가격을 기준으로 DRAM 공급업체와 협상하면서, 공급업체의 물량과 가격을 억제
2) DRAM 공급업체와 NVIDIA의 HBM3E 12단 퀄테스트 일정이 불확실하여, ’25년 HBM에 할당한 생산 용량을 일반 DRAM(DDR5 제품)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짐
3) CXMT가 DDR4 생산 용량을 공격적으로 확장하여, 세 주요 공급업체는 DDR5 생산을 위한 전환 투자를 신속히 진행 중. 이는, DDR4, DDR5 공급 증가에 압력으로 작용
- 11월 칩의 현물가격은 점진적으로 하락했으며, 구매자들은 신중하고 소극적인 태도로 견적을 요청. 10월 말에는 DRAM 공급업체의 칩 고정가격이 3~22% 급락하며 8월에 시작된 하락세가 이어졌음
1) PC OEM에 공급되는 모듈을 대상으로 모듈 제조업체가 재고 감축 전략을 시행. 다만, 채널 수요 약세가 지속되면서 모듈 제조업체의 DRAM 재고 수준은 3Q24 말 10-14주에서 4Q24 초 11-16주로 증가
2) 모듈 제조업체의 조달량이 제한되어 있어, 가격을 낮추기 위해 특별 거래 추진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RAMeXchange 11월 PC DRAM 고정가 발표]
- DRAM 공급업체와 PC OEM 간의 10월 충분치 못한 구매량 문제가 논의됨. 그 결과, 11월 PC DRAM 고정거래가격이 전월대비 5-10% 하락. 이는 3Q24, 8-13% QoQ 상승 추세가 하락 전환된 것이며, 예상치인 0-5% 하락폭보다 큼. 특히, 8GB DDR4 모듈 ASP는 18.5달러(-12% MoM), 8GB DDR5 모듈은 25.5달러(-6% MoM) 기록. 전체적으로 DDR4 제품의 하락 폭이 DDR5 제품보다 더 컸음. 현재 DDR4 대비 DDR5 모듈 가격 프리미엄은 38% 기록 중(vs 3Q24 29%)
- 수요 단에서는, 중국 정부가 9월부터 구형 노트북 교체를 장려하기 위해 이구환신 정책에 노트북을 포함시켰음에도 불구, 3Q24 글로벌 노트북 출하량 성장은 +8% QoQ에 그침. 비중국 PC 브랜드 기여는 제한적. PC OEM의 DRAM 재고 수준은 4Q24 초 10-16주로, 3Q24 말 대비 1주 감소. 따라서, PC OEM들은 ’24년 말 DRAM 재고 목표 수준을 8-14주로 낮추고 있으며, 이를 위해 4Q24 동안 재고 조정 및 구매량 축소 계획
- PC OEM은 구매량 감소를 예상하여 10월 계약을 서두르지 않고 있음. 미국 DRAM 공급업체는 11월 말로 회계연도가 끝나는 반면, 한국의 두 공급업체는 10월에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지 못함. 따라서 공급업체에 압력이 가해지고 있음. DDR4 및 DDR5 제품의 고정가 하락폭이 예상치보다 컸던 요인은 다음과 같이 기인함
1) 일부 모듈 하우스에서 부품 조달 비용을 낮추고, 재고 감축 전략을 시행하면서 특정 PC OEM들이 이들로부터 모듈 구매를 늘렸음. 또한, PC OEM은 모듈 하우스의 가격을 기준으로 DRAM 공급업체와 협상하면서, 공급업체의 물량과 가격을 억제
2) DRAM 공급업체와 NVIDIA의 HBM3E 12단 퀄테스트 일정이 불확실하여, ’25년 HBM에 할당한 생산 용량을 일반 DRAM(DDR5 제품)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짐
3) CXMT가 DDR4 생산 용량을 공격적으로 확장하여, 세 주요 공급업체는 DDR5 생산을 위한 전환 투자를 신속히 진행 중. 이는, DDR4, DDR5 공급 증가에 압력으로 작용
- 11월 칩의 현물가격은 점진적으로 하락했으며, 구매자들은 신중하고 소극적인 태도로 견적을 요청. 10월 말에는 DRAM 공급업체의 칩 고정가격이 3~22% 급락하며 8월에 시작된 하락세가 이어졌음
1) PC OEM에 공급되는 모듈을 대상으로 모듈 제조업체가 재고 감축 전략을 시행. 다만, 채널 수요 약세가 지속되면서 모듈 제조업체의 DRAM 재고 수준은 3Q24 말 10-14주에서 4Q24 초 11-16주로 증가
2) 모듈 제조업체의 조달량이 제한되어 있어, 가격을 낮추기 위해 특별 거래 추진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통신/우주/미디어 정지수]
Meritz 통신서비스 Weekly 2024.12.2(월)
(Report) https://tinyurl.com/2s3mec84
▶ 11/29 기준 주가수익률:
SK텔레콤 (+7.3% WoW)
KT (+9.7% WoW)
LG유플러스 (+4.5% WoW)
▶ 금주전망:
- 금주는 특별한 이벤트가 부재
- 과방위는 단통법 폐지안과 일부 조항을 승계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의결, 시장관리 대책 마련 계획
- FCC는 SpaceX의 D2C 광대역 위성 사용을 조건부 승인, 고대역폭 기능을 위한 전력 증가에 대한 승인은 연기
-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16.6%를 차지하는 알뜰폰 시장에서 대기업 자회사 점유율에 대한 규제 논의 부각
▶ 주요뉴스:
- '단통법 폐지안' 국회 과방위 통과(ZDNET Korea)
- SpaceX gets conditional approval for direct-to-smartphone service(Spacenews)
- 1000만 가입자 앞둔 알뜰폰의 미래는… 도매대가 인하·통신 3사 자회사 규제 관건(ChosunBiz)
- 정부,
- 인텔리안테크, SES와 지상 게이트웨이 안테나 개발 계약(전자신문)
- KTOA "韓 5G 다운로드 속도, 日보다 4배 더 빨라"(디지털데일리)
(Report) https://tinyurl.com/2s3mec8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통신서비스 Weekly 2024.12.2(월)
(Report) https://tinyurl.com/2s3mec84
▶ 11/29 기준 주가수익률:
SK텔레콤 (+7.3% WoW)
KT (+9.7% WoW)
LG유플러스 (+4.5% WoW)
▶ 금주전망:
- 금주는 특별한 이벤트가 부재
- 과방위는 단통법 폐지안과 일부 조항을 승계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의결, 시장관리 대책 마련 계획
- FCC는 SpaceX의 D2C 광대역 위성 사용을 조건부 승인, 고대역폭 기능을 위한 전력 증가에 대한 승인은 연기
-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16.6%를 차지하는 알뜰폰 시장에서 대기업 자회사 점유율에 대한 규제 논의 부각
▶ 주요뉴스:
- '단통법 폐지안' 국회 과방위 통과(ZDNET Korea)
- SpaceX gets conditional approval for direct-to-smartphone service(Spacenews)
- 1000만 가입자 앞둔 알뜰폰의 미래는… 도매대가 인하·통신 3사 자회사 규제 관건(ChosunBiz)
- 정부,
불법스팸
반복하는 사업자 퇴출 강수
(디지털타임스)- 인텔리안테크, SES와 지상 게이트웨이 안테나 개발 계약(전자신문)
- KTOA "韓 5G 다운로드 속도, 日보다 4배 더 빨라"(디지털데일리)
(Report) https://tinyurl.com/2s3mec8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Meritz Weekly Talk/F&Big Data
2024.12.2(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edyrj8su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Weekly Talk/F&Big Data
2024.12.2(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edyrj8su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TMAP 기준(일요일 오후 3~4시) 주요 백화점 점포별 이동 차량 트래픽 추이
2024.12.2(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y2s8nx9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TMAP 기준(일요일 오후 3~4시) 주요 백화점 점포별 이동 차량 트래픽 추이
2024.12.2(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y2s8nx9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채권분석 윤여삼]
The Bond Weekly: 시장은 합리적이지 않지만 합리성 추구 2024.12.2(월)
-트럼프 트레이드 되돌림, 연내 미국채10년 4% 하단 테스트
-금통위 코멘트(11월 28일): 이젠 성장, 내려가는 Terminal Rate
(자료) https://tinyurl.com/zyf4fnhj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The Bond Weekly: 시장은 합리적이지 않지만 합리성 추구 2024.12.2(월)
-트럼프 트레이드 되돌림, 연내 미국채10년 4% 하단 테스트
-금통위 코멘트(11월 28일): 이젠 성장, 내려가는 Terminal Rate
(자료) https://tinyurl.com/zyf4fnhj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2.2(월)
<한국 11월 수출: 앞으로는 미국 제조업 회복 여부가 중요>
- 11월 수출 +1.4%, 반도체, 컴퓨터, 선박이 여전히 주도
- 반도체/선박 제외한 일평균 수출은 10~11월 역성장; 경제전망 하방 위험
- 반도체/선박 제외 수출 개선 위해서는 미국 제조업이 살아나야 함
- 불확실성 완화되고 금리인하 시차 작용하는 2Q25가 회복 시점. 트럼프 정책은 변수
(자료) https://tinyurl.com/mt8d6v3j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이승훈의 경제脈_2024.12.2(월)
<한국 11월 수출: 앞으로는 미국 제조업 회복 여부가 중요>
- 11월 수출 +1.4%, 반도체, 컴퓨터, 선박이 여전히 주도
- 반도체/선박 제외한 일평균 수출은 10~11월 역성장; 경제전망 하방 위험
- 반도체/선박 제외 수출 개선 위해서는 미국 제조업이 살아나야 함
- 불확실성 완화되고 금리인하 시차 작용하는 2Q25가 회복 시점. 트럼프 정책은 변수
(자료) https://tinyurl.com/mt8d6v3j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주요 수출 품목 잠정치(24.12.2 발표)
링크: https://tinyurl.com/3594mp4w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 잠정치(24.12.2 발표)
링크: https://tinyurl.com/3594mp4w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2024년 11월 1~30일 전기전자 수출입통계 잠정치 발표
1) 스마트폰
- 수출 금액: 42,008.0만 달러
(+29.2% YoY, +11.4% MoM)
- 수출 단가: 1,785.0달러/kg
(+1.9% YoY, -6.0% MoM)
2) 카메라모듈
- 수출 금액: 78,663.5만 달러
(-13.5% YoY, -31.7% MoM)
- 수출 단가: 4,090.7달러/kg
(-9.1% YoY, -12.5% MoM)
3) MLCC
- 수출 금액: 10,989.4만 달러
(+12.5% YoY, +2.2% MoM)
- 수출 단가: 244.0달러/kg
(+3.8% YoY, +7.2% MoM)
4) PI필름
- 수출 금액: 206.8만 달러
(+9.3% YoY, +16.5% MoM)
- 수출 단가: 31.7달러/kg
(-6.3% YoY, +0.3% MoM)
5) 리드프레임
- 수출 금액: 3,368.9만 달러
(+29.0% YoY, +1.5% MoM)
- 수출 단가: 77.2달러/kg
(-15.7% YoY, -1.9% MoM)
6) PCB
- 수출 금액: 20,106.9만 달러
(-4.6% YoY, -5.8% MoM)
- 수출 단가: 197.0달러/kg
(+5.2% YoY, -1.5% MoM)
7) FPCB
- 수출 금액: 16,206.3만 달러
(-19.5% YoY, -5.4% MoM)
- 수출 단가: 584.1달러/kg
(-7.2% YoY, -5.3% MoM)
8) 솔더볼
- 수출 금액: 395.5만 달러
(+86.7% YoY, -2.2% MoM)
- 수출 단가: 112.0달러/kg
(-1.1% YoY, +5.5% MoM)
9) 엑추에이터
- 수출 금액: 2,905.9만 달러
(-6.7% YoY, -0.4% MoM)
- 수출 단가: 20.8달러/kg
(-1.2% YoY, +1.5% MoM)
(자료: TRASS)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2024년 11월 1~30일 전기전자 수출입통계 잠정치 발표
1) 스마트폰
- 수출 금액: 42,008.0만 달러
(+29.2% YoY, +11.4% MoM)
- 수출 단가: 1,785.0달러/kg
(+1.9% YoY, -6.0% MoM)
2) 카메라모듈
- 수출 금액: 78,663.5만 달러
(-13.5% YoY, -31.7% MoM)
- 수출 단가: 4,090.7달러/kg
(-9.1% YoY, -12.5% MoM)
3) MLCC
- 수출 금액: 10,989.4만 달러
(+12.5% YoY, +2.2% MoM)
- 수출 단가: 244.0달러/kg
(+3.8% YoY, +7.2% MoM)
4) PI필름
- 수출 금액: 206.8만 달러
(+9.3% YoY, +16.5% MoM)
- 수출 단가: 31.7달러/kg
(-6.3% YoY, +0.3% MoM)
5) 리드프레임
- 수출 금액: 3,368.9만 달러
(+29.0% YoY, +1.5% MoM)
- 수출 단가: 77.2달러/kg
(-15.7% YoY, -1.9% MoM)
6) PCB
- 수출 금액: 20,106.9만 달러
(-4.6% YoY, -5.8% MoM)
- 수출 단가: 197.0달러/kg
(+5.2% YoY, -1.5% MoM)
7) FPCB
- 수출 금액: 16,206.3만 달러
(-19.5% YoY, -5.4% MoM)
- 수출 단가: 584.1달러/kg
(-7.2% YoY, -5.3% MoM)
8) 솔더볼
- 수출 금액: 395.5만 달러
(+86.7% YoY, -2.2% MoM)
- 수출 단가: 112.0달러/kg
(-1.1% YoY, +5.5% MoM)
9) 엑추에이터
- 수출 금액: 2,905.9만 달러
(-6.7% YoY, -0.4% MoM)
- 수출 단가: 20.8달러/kg
(-1.2% YoY, +1.5% MoM)
(자료: TRASS)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Loplat 기준 유통 주요 기업별/채널별 방문자 트래픽 전년비 성장률
2024.12.2(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cc94b3wp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Loplat 기준 유통 주요 기업별/채널별 방문자 트래픽 전년비 성장률
2024.12.2(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cc94b3wp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