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리서치
21.8K subscribers
6.02K photos
3 videos
25 files
31.2K links
공표된 리서치 내용을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Download Telegram
📮[메리츠증권 통신/미디어/엔터 정지수]

SK텔레콤(017670)
4Q23 실적 컨퍼런스콜 정리
2024.2.5(월)

(Report) http://tinyurl.com/44fjww68


4Q23 실적

- 연결 실적: 매출액 4.5조원(+3.0% YoY), 영업이익 2,970억원(+16.7% YoY), 당기순이익 1,870억원(-16.2% YoY)

- 별도 실적: 매출액 3.2조원(+3.5% YoY), 영업이익 2,540억원(+30.5% YoY), 당기순이익 1,140억원(+30.2% YoY)

- 주요 지표: 청구 ARPU 27,761원(-2.6% QoQ), 핸드셋 가입자수 2,297만명(-12만명 순감), 마케팅비용 7,860억원(-1.5% YoY)

주요 경영 성과 및 경영 전략

1. AI 인프라
- 데이터센터 사업은 지속적인 가동률 증가에 힘입어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30% 성장

- GPU를 수용하려는 데이터센터 수요도 큰 폭의 성장 예상. 차세대 AI데이터센터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사업 강력히 추진할 계획

- 글로벌 서버 제조사 슈퍼마이크로와 X330 판매 확대를 위한 협력 방안 논의, 차세대 데이터센터 관련 사업 협력 추진할 계획

2. AIX
- Internal 영역: 모바일 사업에서는 5G 가입자 수는 2023년 말 기준 1,567만명 기록, 5G 고객 비중 68% 상회. SKB는 955만 유료방송 가입자와, 653만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확보. 향후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개인맞춤형 AI tv 서비스 출시할 계획

- External 영역: 'K-UAM 그랜드 챌린지' 실증사업에서 국내 최초로 조비 에비에이션의 실제 UAM 기체 선보일 예정. 글로벌 시장 공동 진출도 추진할 계획

3. AI서비스
- A.(에이닷)은 통화 녹음 요약 기능 출시로 시장에서 큰 반향, 11월 실시간 통화 통역 서비스를 추가하며 고객 커뮤니케이션 지속 촉진

- ifland(이프랜드)는 ifhome(이프홈)의 인기로 2023년 말 기준 MAU 361만명 기록. 인도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의미 있는 성장

- T우주는 유튜브 프리미엄 등 빅플레이어와의 제휴를 통해 2023년 말 기준 월간 실사용자 235만명 이상 달성

4. 주주환원
- 배당금은 4분기 주당 1,050원, 기지급된 주당 2,940원을 포함하여 연간 주당 3,540원으로 의결. 3월 정기 주주총회 승인 후 최종 확정될 계획


(Report) http://tinyurl.com/44fjww68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통신/미디어/엔터 정지수]

SK텔레콤(017670)
[Buy, TP 62,000원]
4Q23 Review: 주주가치 제고를 최우선으로
2024.2.5(월)

(Report) http://tinyurl.com/5x2en5jz

- 4Q23 연결 영업이익 2,971억원(+16.7%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2,944억원) 부합

- 5G 가입자 1,567만명으로 보급률 68%, 무선 ARPU는 29,562원(-1.2% QoQ) 기록

- 2024년 연결 매출액 17.83조원(+1.2% YoY), 영업이익 1.79조원(+2.3% YoY) 전망

- 성장을 위한 신사업에 주력. 에이닷 성과를 바탕으로 연내 AI 수익모델 구체화 전망

- 2023년 DPS 3,540원(+6.6% YoY). 새로운 배당정책도 주주환원 극대화 방향 전망


(Report) http://tinyurl.com/5x2en5j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Loplat 기준 유통 주요 기업별/채널별 방문자 트래픽 전년비 성장률
2023.2.5(월)

보고서링크: https://han.gl/UR4xs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채권전략 윤여삼]
The Bond Shorts: 미국고용 놀랍도록 좋지만, 그래도 이면을 봐야 2024.2.5(월)

- 미국 1월 고용지표 결과가 미국채10년 4.0%대 반등을 견인할 정도 힘 인정

- 그럼에도 가계고용둔화 감안한 질적인 둔화 진행될 경우 시장기대보다 다소 늦은 편이나 7월 혹은 6월 정도에는 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기대 유지

(자료) http://tinyurl.com/2emt9nd2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 [메리츠증권 금융/ 조아해]


증권: 1월 지표 현황
 

 브로커리지 지표: 1월 일평균 거래대금 +2.7% MoM

- 1월 일평균 거래대금은 19.4조원으로 전월대비 2.7% 증가(vs. 23년 12월 18.9조원; +19.2% MoM)

- 1월 시가총액 회전율(KOSPI+KOSDAQ)은 209.3%로 전월대비 34.6%p 상승

- 고객예탁금은 50.7조원으로 전월대비 5.7% 감소 (vs. 23년 12월 +11.0% MoM)

- 신용공여 잔고는 18.6조원으로 전월대비 1.6% 증가(vs. 23년 12월 +1.9% MoM)

- 개인투자자 매매 비중은 69.2%로 전월대비 1.5%p 감소에 그친 가운데,

- 당국의 증시 저평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운용 계획이 본격 논의됨에 따라 일평균 거래대금이 월중 회복세를 시현
(1월 첫째 주 15.4조원 → 마지막 주 20.7조원)
 

 Trading 및 상품 손익 지표: 금리 상승세 전환

- 전월대비 금리 상승세 전환

- 1월 국고채 1년물은 전월대비 10bp 하락했으나, 3년물과 5년물은 각각 전월대비 11bp, 14bp 상승(vs. 23년 12월 -22bp, -43bp, -47bp MoM)

- 현 상황 상 증권사들의 Trading 손익은 전월대비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2,3월 추이 확인이 필요

- 1월 ELS 발행액은 3.3조원으로 전월 22.0조원대비 크게 감소

- 이는 전월 퇴직연금 등 계절성 요인이 소멸되었기 때문

- 한편 ELS 조기상환 규모는 2.3조원으로 전월대비 21.2% 감소

- 홍콩H지수 관련 ELS 손실 규모 확대 가능성 및 4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하나, NH농협)의 위험관리를 위한 ELS 상품 판매 전면 중단 등 고려 시 당분간 ELS 조기상환 부진한 흐름세 불가피
 

 1월 주요 이슈 점검

- 금융당국은 2월부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 및 운용하겠다고 발표

- 상장사의 주요 투자지표(PBR, ROE 등)를 비교 공시, 저PBR 대상 기업가치 개선 계획 공표 권고 등을 진행할 계획

- 금융주는 PBR 1배 미만 업종으로 해당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적극적 주주가치제고 기대 부각

- 이는 증권업종에 있어 1) 일평균 거래대금 상승에 따른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가운데,

- 2) 명확한 주주환원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증권사에게는 우호적

(자사주 매입 및 소각 활용 증권사: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 다만 부동산 PF 및 해외대체투자 관련 리스크는 여전히 상존하고 있는 점 고려 필요

- 안정적인 ROE 기반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 제시 여부가 보다 중요

- 이는 일본 금융주 중 증권이 주주환원성향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 낮은 ROE로 인해 PBR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FY2022)


자료: https://zrr.kr/zAHl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금융 개별 채널 링크
https://t.me/meritz_likecho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205(월) 마감 시황

Next Level

1. 오늘 외국인은 KOSPI 현물 +1,793억원 순매수 vs. 선물은 -7,400억원 순매도. 이는 금융투자 선물 +1조 2,278억원 순매수와 현물 -9,680억원 순매도를 유발해 지수는 2,600선에서 후퇴(KOSPI -0.9%, KOSDAQ -0.8%). 이 와중에도 외국인과 기관 순매수 1위, 프로그램 비차익 순매수 1위 종목은 현대차였음

2. 기아가 지난주 금요일 PBR 1배에 도달하자 오늘은 여력이 많이 남은 현대차(+4.9%)의 독주. 기아도 장중 저가 -4.9% → 종가 -1.0%로 말아올림.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주요 기업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발표. 구체적으로 현대차의 경우 이사회가 재무상태표에서 유휴 자산이 많은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

3. 보유 현금 19조원 가운데 8조원을 투입해 우선주를 전량 매입한 후 소각하고, 삼성동 부지를 매각해 마련한 재원으로 미래 모빌리티에 10조원 이상 투자하며, 현재 보유 중인 현대건설, KT 지분을 매각해 주주환원에 사용하고 향후 순이익의 30∼50%를 주주환원에 쓴다고 약속하면 PBR은 0.6배에서 1배로 '레벨업'해 주가가 50만원까지 뛸 수 있다고 주장(vs. 오늘 종가 238,000원). 이에 현대차 우선주 강세(현대차2우B +3.6%, 현대차우 +3.4%, 현대차3우B +4.3%). 현대차 인도법인 올해 11월 인도 증시 상장 예정 기사(엘브이엠씨홀딩스 +14%, 화승알앤에이 +24%, 모베이스 +17%)

4. 오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부당합병·회계부정에 대한 1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음. 삼성물산은 개장 후 9시 9분 저가 -3.0% → 판결 후 오후 2시 32분 고가 +4.8%까지 갔다가 → 종가는 소폭 플러스 +0.5%로 마감. 금요일에는 약했던 지주사들도 삼성물산 52주 신고가 경신에 선방(SK네트웍스 +0.4%, 영원무역홀딩스 +6.8%, 다우기술 +4.6%, 영풍 +3.0%, SK디스커버리 +3.4%, 현대지에프홀딩스 +4.4% 등)

5. 1/26 신규상장시 +300% 급등 후 반토막이 났던 현대힘스가 다시 상한가, 시총 +7,243억원, KOSDAQ 78위 등극. HD현대 +4.6%(손자회사 HD현대건설기계 +7.6%), HD한국조선해양 +3.3%(중간지주, 자회사 HD현대중공업 +3.2%) 동반 상승

6. 은행은 외국인이 안 사줄 때의 민낯이 드러남. 오늘 중국 본토 중소형지수인 CSI 500(-2.3%), 1000(-6.2%), 2000(-9.5%) 지수는 ELS knock-in 충격, 개인 마진콜이 의심되는 급락. 주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회사에 대한 현장조사에서 홍콩 ELS 불완전 판매 사례를 확인했다고 언급. 이달 안에 배상 기준안을 마련할 것이며 "불법과 합법을 떠나 금융권 자체적인 자율 배상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최소 50%로라도 먼저 배상을 진행하는 것이 소비자 입장에서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발언(KB금융 -5.4%). 신한지주(-5.7%)는 Block-deal 악재에 더욱 밀림(상장주식수의 약 1.0%인 520만주, 금요일 종가에서 4.75% 할인한 @43,150원, 90일 락업). KB와 신한을 제외한 은행주는 선방(하나금융지주 -1.3%, 우리금융지주 +0.3%, 기업은행 +2.9%, 푸른저축은행 +12%)

7. 미국 1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MoM +35.3만건으로 예상치 +18만을 크게 상회하며 국채 10년물 금리 폭등, 4% 돌파(한화생명 +4.2%). 미래에셋생명(+5.8%)은 PBR 1배 미만에 유동주식수 17%의 품절주, 자진 상장폐지 가능성으로 조용히 상승 중

8. 자동차/지주/금융을 제외한 저PBR 종목은 (화학) 금호석유 +4.8%, KCC +3.0%, SK이노베이션 +2.2%, (타이어) 넥센타이어 +4.0%, (유틸리티) SK가스 +4.8%, (섬유) 조광피혁 +18%, (식품) 사조대림 +7.7%, 빙그레 +5.0% 정도. 쌍용C&E는 최대주주인 한앤코시멘트홀딩스의 공개 매수 공시. 잔여주식 전부를 취득해 완전자회사로 만들어 상장폐지 하기 위함. 발행주식총수의 20.1%를 @7,000원에 매수, 주가는 +8.3% 오른 6,940원에 일단 마감. 시멘트 Peer도 상승(한일시멘트 +3.5%, 아세아시멘트 +3.2%)

9. 고PBR주도 반도체 제외하고서는 꿈틀대는 모습. 김현탁(College of William and Mary) 교수가 3/4 APS(미국 물리학회)에서 한국의 퀀텀에너지연구소(대표 이석배)가 개발한 'LK-99'의 검증을 위한 발표 예정. 김현탁 교수는 'LK-99'에서 진일보한 'PCPOSOS'에 대한 논문을 이석배 대표와 공동 저자로 APLM(응용 물리학 논문)에 제출, 논문 승인을 기다리고 있음(신성델타테크 +19%, 씨씨에스 상한가)

10. 이전상장 거래소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HLB(+1.0%) 그룹도 상승(HLB제약 +11%, HLB테라퓨틱스 +3.7%, HLB파나진 +9.2%). 헬릭스미스 2거래일 연속 상한가(중국 파트너사인 노스랜드 바이오텍이 중증하지허혈 환자를 대상으로 자사 유전자 치료제 '엔젠시스'를 사용한 결과 임상 3상에서 주평가지표를 달성). JW중외제약 +7.8%(작년 영업이익 사상 최대치 경신), 메드팩토 +6.4%(올해 백토서팁의 대장암 임상 3상 시험을 진행하는 동시에 주요 파이프라인의 기술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

11. 주도주 엔켐(+5.8%)이 버텨주면서 2차전지도 낙폭과대주 중 소수 반등(코스모신소재 +3.7% SKC +3.1%, 이수스페셜티케미컬 +8.9%, 율촌화학 +6.0%, 제이오 +3.5%). 반면 배터리, 분리막 실적 부진으로 목표가가 하향조정된 SK아이이테크놀로지(-11%)는 폭락. 이외에는 (여행/실적) 하나투어 +2.8%, (로봇) 이랜시스 +9.4%, 해성티피씨 +8.3%, 삼익THK +4.4%, 티로보틱스 +3.1%, 뉴로메카 +3.0%, (핸드셋) 제이앤티씨 +7.9%, (Twitch 반사수혜) 아프리카TV +4.5%(vs. NAVER 실적 발표 후 -6.1%)

12. 저PBR 테마는 지난주까지 1배 미만이라는 숫자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주주행동주의, 지배구조 등 next level로 변모하는 중. 1단계는 일본을 카피했지만 2단계는 한국 독자적인 이슈. 늘 기대만 부풀었다가 실현되지 못한 이벤트이기 때문에 귀추 주목. 4월 총선 이전까지 대항마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1분기 내내 주도 테마가 될 수 있음

* 향후 2주 일정
2/5(월) 하이브-넷마블 블락딜 락업 해제(작년 11/7 +90일, 250만주 @209,400원),
2/6(화) HMM 매각 1차 협상 기한, 2/6~8(목) 미국 공화당 경선(네바다)
2/7(수) 에코프로/비엠/머티 실적 발표, 한미사이언스 통합 가처분 첫 심문
2/8(목) 한국 주식선물·옵션 만기, POSCO홀딩스 차기 회장 최종 후보자 선정, 트럼프 출마 자격 연방대법원 재판 시작(트럼프 구두 변론), 미국 공화당 경선(버진아일랜드)

2/9(금)~2/12(월) 설 연휴
2/12(월) MSCI 분기 리뷰 발표
2/14(수) EU 집행위원회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 심사 기한, 인도네시아 대통령/국민협의회 선거
2/16(금) 미국 옵션 만기일, FTSE 반기 리뷰

(자료) http://tinyurl.com/mrxd5yx6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자동차 김준성]
 
안녕하세요 메리츠증권 김준성입니다. 만도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부진한 4Q23 실적, 아쉬운 2024년 외형 성장 목표
 
다종 비용으로 점철된 4Q23 실적
 
- 매출 2.19조원 (+0.4% YoY, 이하 YoY), 영업이익 506억원 (-11%). 각각 컨센서스 -3%, -46% 하회
 
- 수익성 악화의 원인은 다양한 비용들. 불용재고 처리 약 90억원, 품질 충당 비용 약 100억원, 공동 개발비 미회수 약 90억원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
 
- 부진한 영업이익 영향이 이어지며 지배주주 순이익도 356억원 (흑자전환)으로 컨센서스 -45% 하회
 
고속 성장 재개 시점은 2025년
 
- 2024년의 외형 성장은 녹록하지 않은 상황. 두 자릿수 성장세가 이어졌던 이전 3개년과 달리 주춤할 예정
 
- 매출 성장 가이던스 +3.9%에 불과. 주요 전방업체들의 보수적 사업계획 영향이 그대로 연결
 
- 다만 수주 전개는 낙관적.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연간 약 11조원 내외가 유지됐던 신규 수주 규모가 2023년에는 16.6조원으로 상승. 넓어진 고객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2024년에도 15.1조원의 신규 수주 확보를 목표. 신규 수주들의 매출 인식이 본격화될 2025년부터 다시 두 자릿수 외형 증가가 시작될 예정
 
- 적정주가 47,000원으로 하향. 매출 성장 둔화 및 일회성 비용 발생 만성화 반영하여 2024년 EPS 추정치 -10% 하향. 이에 ADAS Peer Group의 2024년 평균 PER 10.1배 적용. 기업가치 개선 위해서는 일회성 비용의 발생 빈도 축소 및 현대차그룹과의 ABS 리콜 비용 정산 이슈 해소 필요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보고서 링크: https://han.gl/6vK5F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자동차 김준성]
 
안녕하세요 메리츠증권 김준성입니다. 한국타이어 4Q23 실적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안정적 실적 드라이브
 
비용 안정화 통해 세 분기 연속 컨센서스 대폭 상회
 
- 2Q23 +12%, 3Q23 +47%, 4Q23 +45%. 세 분기 연속 컨센서스 큰 폭으로 상회하는 영업이익 기록
 
- 4Q23 영업이익 4,924억원 (+132% YoY, 이하 YoY)으로 영업이익률 22.1% 기록
 
- 미국 반덤핑 관세 축소 (27.05%→6.3%)에 따른 약 1,000억원의 환급 배제하더라도 컨센서스 상회하는 영업이익 (3,924억원)과 영업이익률 (17.6%) 실현
 
- 판매 가격 상승 (+2.7%)과 원재료 비용 하락 (톤당 $1,746, -12%)의 합작품
 
- 지배주주 순이익 1,771억원 (+298%)으로 컨센서스 하회했으나, 이는 반덤핑 관세 축소에 따른 이연 법인 부채 증가가 일시적으로 발생한 영향으로 지속적이지 않음
 
2024년 반덤핑 관세 축소 통한 비용 우려 완화로 안정적 실전 전개 예상
 
-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되어 왔던 원재료 비용, 1Q24를 기점으로 점진적 상승 전환이 예상. 홍해 사태로 인한 물류 비용 상승도 연초부터 문제가 되고 있음
 
- 그러나 2021년부터 이어진 반덤핑 관세 축소 정상화 결정되며, 미국 시장 내 납품 단가 인하에 따른 원가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확대가 이를 방어할 전망
 
- 2024년 영업이익 1.30조원 (-2%, 4Q23 반덤핑 관세 환급 1,000억원 제외 시 +6%)으로 안정적 이익 전개 예상
 
- 지배주주 순이익은 9,600억원 (+36%)으로 금융비용 축소와 이연 법인 부채 증가 기저효과가 더해지며 큰 폭의 성장 가능
 
- 적정주가를 기존 55,000원에서 65,000원으로 상향. 2024년 EPS 추정치를 +5.1% 조정하며, 2023-2024년과 유사한 매출 및 이익 성장을 구가했던 2015-2016년의 연평균 1yr Forward PER 8.4배 적용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han.gl/EKqg9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롯데칠성(005300) 4Q23 Review

보고서링크: https://han.gl/ai2Md

요약: 4Q23 실적은 매출액 9,184억원으로 전년비 37.3% 성장, 영업이익은 79억원으로 전년비 67.4% 감소.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275억원을 큰 폭으로 하회. 매출액은 PCPPI 연결 효과 2,400억원이 반영된 반면 영업이익에는 인건비성 일회성 비용 -120억원과, PCPPI 연결효과 -80억원이 반영된 결과

별도 실적은 음료 부문의 11~12월 비우호적인 기상환경과 고정비 부담 영향. 주류 부문 주세 변경을 앞둔 12월 도매상 재고 축소 이슈로 일시적인 출고 부진 반영

24년 가이던스는 매출액 4.2조원에 영업이익 2,500억원. 23년 2,107억원 대비 18.7% 증가로, 4Q23 200억원의 일회성 요인을 감안 시 다소 보수적인 가이던스 제시. 비용 관련 불확실성 및 PCPPI의 수익성 회복 지연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Witsview 2월 상반월 LCD 패널가 발표]

TV 패널: 판가 보합세 이어지는 가운데 일부 대형 패널에서 전반월 대비 판가 상승세 관찰됨

85인치 보합, 75인치 +0.4%, 65인치 +0.6%, 55인치 +0.8%, 50인치 보합, 43인치 보합, 32인치 보합 (전반월 대비)

IT 패널: IT 패널가는 대부분 판가 보합세. 노트북 패널은 일부 사이즈에서 판가 하락. 모니터 전 사이즈 보합, 노트북 -0.4%~0.0%

(자료: Witsview)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장비 양승수]

해성디에스(195870) : 남은 관건은 회복의 속도

- 4Q23 매출액(1,451억원)과 영업이익(163억원)은 컨센서스를 각각 7.3%, 20.6% 하회

- 3분기에 이어서 4분기도 OSAT 고객사들의 재고조정이 지속됨에 따라, 리드프레임 매출이 부진

- 다만 전장용 리드프레임 매출은 QoQ로 증가함에 따라, 최근 업황 부진에도 차량용 반도체 고객사향 수주가 상대적으로 견조함을 입증

- 패키지기판 매출은 DDR4의 감산이 계속됨과 동시에 공정상의 병목 현상 문제로 DDR5 매출이 전분기 대비 감소하면서 부진

- 1Q24 매출액 1,607억원(+10.8% QoQ, -16.5% YoY), 영업이익 209억원(+28.0% QoQ, -32.9% YoY)를 전망

- 급격한 재고조정을 통해 OSAT 고객사의 재고는12월을 지나며 정상 수준(6~8주) 이하인 4~5주까지 감소

- 이에 따라 1월부터 OSAT 고객사들의 Restocking 오더와 함께 리드프레임 매출의 반등 기대

- 특히 전장용 리드프레임은 올해부터 TI향 물량 증대로 지속 견조한 흐름을 예상

- 패키지기판은 DDR4 물량 회복과 2분기부터 신규 설비 입고를 통해 DDR5 공정 문제의 점진적인 해소를 기대

- 2023년 부진한 업황 속에서 경쟁사들 대비 높은 이익 체력을 입증

- 업황 회복이 불확실해진 상반기에, 안정적인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는 측면에서 매력도가 부각될 것으로 예상

- 2024년 순이익 추정치를 -10.0% 하향하나, 밸류에이션 산정에서 ‘24~‘25년의 비중이 확대되고, Target Multiple을 기존10.2배(’19 ~’21년 평균 멀티플) → 10.6배(‘23년 평균 멀티플)로 상향해 적정주가 65,000원을 유지

https://han.gl/TXBZv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2.6(화)

[채권전략 윤여삼] Strategy Idea: NYCB 이슈, 급성이 아닌 만성질환

- 2023년 3월 SVB 파산으로 불거진 미국 중소 지역은행 리스크, NYCB 이슈로 다시 부각

- SVB 때와는 달리 채권평가손실에 따른 유동성 위험이 아닌 상업용부동산 문제라는 점에서 '올 것이 왔다'라는 인식. 미국 지역은행 상업용부동산 익스포져 높다는 점에서 부담

- 현재 금융시장 미치는 충격 SVB 당시보다 제한적이나, 묵혀온 부동산 손실 털고 갈 시점. 최근 과도해진 위험선호에 경계감을 높이는 반대급부로 안전자산인 채권투자 긍정적 재료


(자료) http://tinyurl.com/yab54f4p


[경제분석 이승훈] 오늘의 차트: 최근 미국 ISM 제조업지수의 개선과 향후 전망

[채권전략 윤여삼] 칼럼의 재해석: 미국 자녀양육세액공제(CTC) 확대 법안의 초당적 합의


(자료) http://tinyurl.com/ms3czs2k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통신/미디어/엔터 정지수]

Mertiz 미디어/엔터 Daily 2024.2.6(화)

주요뉴스

- YG 신인 베이비몬스터 3천만뷰 눈앞, 8일 라이브 무대 공개(뉴스엔)
http://tinyurl.com/bdhsu7p8

- 트와이스, 'I GOT YOU' 전 세계 41개 지역 아이튠즈 차트 1위(OSEN)
http://tinyurl.com/53sv44cc

- 뉴진스 'OMG' 스포티파이 6억 스트리밍 돌파…막강한 존재감(앳스타일)
http://tinyurl.com/57se2j6u

- 앤팀, 폭발적 인기…첫 단독 투어 '퍼스트 포 프린트' 서울 공연 회차 추가(스포티비뉴스)
http://tinyurl.com/5dkhdthf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캐터필러 실적과 미국 인프라 투자
2024.2.6 (화)

(자료) http://tinyurl.com/ydz7h78j

어제 캐터필러 실적발표가 있었습니다. 캐터필러는 2023년 사상 최대 연간 매출을 기록했는데요.

캐터필러는 바이든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법안 효과가 있었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했습니다. 경기 우려가 있는 중국향 매출 부진을 자국 내 인프라 법안효과와 데이터 센터 증설 등에 따른 에너지 수요 증가와 관련한 투자 실적이 상쇄한 것으로 보입니다.

바이든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법안은 향후 5년간 고른 지출 시계를 가지고있다는 측면에서 캐터필러 실적 호조가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입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음식료 주요 기업별/카테고리별 GPM과 판가/원가 스프레드 비교

링크: https://han.gl/z0MZT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증권 철강/금속 장재혁]

안녕하세요, 메리츠증권 장재혁입니다. 고려아연 4Q23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 업데이트드립니다.

4Q23 연결실적, 컨센서스 부합
- 매출액 2조 4,145억원(YoY-18.5%, QoQ +5.3%)
- 영업이익 1,972억원(YoY+92.2%, QoQ +22.9%, OPM 8.2%)

4Q23 별도기준 실적, 정상화
- 매출액 1조 9,058억원(YoY-11.9%, QoQ+6.9%)
- 영업이익 2,212억원(YoY+41.6%, QoQ+32.8% OPM 11.6%)
- 아연 가격 안정화, 연/동 판매 증가 효과로 실적 정상화
- 광산업체 하위 10%가 손실을 보는 구간에서 역사적으로 아연 가격의 바닥 형성. '24년 글로벌 변수 존재하나, 아연가격 안정화와 더불어 판매량 증가로 수익성 회복 전망

2023 판매량 및 달성률
- 아연 654,245t (102%)
- 연 410,930t (96%)
- 은 1,970t (109%)
- 금 9,298kg (108%)
- 동 30,904t (92%)

2024 판매계획
- 아연 650,000t
- 연 450,000t
- 은 2,108t
- 금 9,008kg
- 동 37,600t

Q&A

Q. SMC 4Q23 실적 부진의 이유
- 2Q23~4Q23 신규설비가동에 따른 초기 비용부담이 원인. 4Q23 SMC의 아연 판매는 56,749톤으로 QoQ +15% 상승. '24년 판매목표는 25만톤
- 일회성요인 제거 시 4Q23 미드싱글 수준 OPM 달성

Q. 2023 연 판매 달성률 미달
- 1H23 정기보수 및 임시보수로 인해 생산 및 출하량이 너무 낮았던 탓

Q. 기타 자회사 실적
- 페탈포인트 4Q23 800만달러 영업손실
- KZAM 4Q23 40억원 영업손실
- KEMCO 2023년 매출액 3,110억원 미드싱글 수준 OPM 기록 예상

Q. KZAM 상업생산 시기
- 제품생산 준비 완료. 올해 중순부터 고객사 인도 및 매출 발생 가능

Q. KEMCO 황산니켈 판매량
- 매출 기준 2022년 3,100억원, 2023년 3,110억원

Q. 스틸싸이클 적자 요인
- 제강분진을 포함한 원료 확보 어려움, 낮은 가동률, 저조한 매출, 고정비 부담 증가
- '24년 안정적 원료 조달로 가동률을 올려 BEP 달성한다는 목표

Q. 리튬제련 신사업 진출
- 리튬제련 기술, 내부적으로 연구소 검토 단계
- 기술 확보 가능하다는 내부적 판단
- 향후 구체적인 계획 공유할 것

Q. 판매 가이던스
- '23년 재고로 인한 판매 가이던스 상향 아님
- 아연/연 생산량 증가와 부산물 판매 가이던스가 모두 연동

Q. 매출총이익
- 연결 2,970억원, 별도 2,670억원

Q. TC 전망
- 아직 협상 중

Q. KPC 가동 계획
- 기존과 동일, 올해 하반기 상업가동 예정

Q. KZAM 수익성
- '25년 수익성 달성 가능 예상

Q. 니켈가격 하락 이슈
- '23년 3월 톤당 니켈 20,000달러 → 현재 16,000달러
- 니켈가 급락과 광산업계 수익성 악화는 기회라고 판단
- 니켈공급이 타이트한 경우 제련소는 협상력 약화 영향이 있으나,
- 긍정적인 점은 최근 IRA FEOC 규정을 충족하는 배터리 하이니켈의 프리미엄 형성 중
- 프리미엄이 현재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면 기존 제시했던 올인원 니켈제련소 10% EBITDA margin 가능

Q. Capex 가이던스
- '23년 Capex, 연초 가이던스 대비 일부 미달성
- '24년 Capex 또한 1.6조원 가이던스 대비 일부 미달성 가능. 투자계획 검토 중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GS리테일(007070) 4Q23 Review

보고서링크: https://han.gl/LSMD6

요약: 4Q23 실적은 매출액 2조9,317억원 전년비 1.5% 성장, 영업이익은 914억원으로 전년비 145억원 감소하며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918억원 부합. 편의점/슈퍼 신규점포 증가, 나인트리 및 제주호텔 투숙률 증가에 따른 매출 신장

편의점은 판관비 효율화로 97억원 증익. 슈퍼는 가맹점 중심 운영점 증가로 17억원 증익. 반면 홈쇼핑은 의류/식품/생활용품 매출 하락, 부가세 환급 관련 전년도 기저효과에 따른 이익 감소. 영업외손익 -1,692억원(-516억원) 악화는 요기요 등 자회사 공정가치 평가 영향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