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tice Research
1.53K subscribers
409 photos
4 videos
6 files
453 links
저희만의 인사이트를 전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찰리 멍거의 격자틀 인식 모형을 통한 리서치를 목표하는 Lattice Research 입니다.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이며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고 내용 중 오류나 누락된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고 언제든 매도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Download Telegram
중국 시장에서는 IFBH가 24년 기준 시장점유율 34%로 압도적인 1위이며, Vita Coco 및 기타 글로벌 브랜드와 명확한 격차가 존재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Vita Coco가 여전히 주도권을 쥐고 있지만 IFBH도 빠르게 성장 중이며, 프리미엄 전략을 펴는 Harmless Harvest와 틈새 경쟁.
2
Forwarded from 프리라이프
[현대차, 보스턴다이내믹스 ‘아틀라스’ 로봇, 오는 10월 美 조지아 공장에 첫 실증 투입](https://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2025-07-03/business/industry/단독-현대차-보스턴다이내믹스-아틀라스-로봇-10월-조지아-공장에-첫-투입/2343596)

아틀라스 로봇, 현대차 공장에 첫 실증 투입
• 현대차그룹, 2025년 10월 美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아틀라스 투입 → 첫 ‘기술 실증(Proof of Concept)’ 사례
• 테스트 성과 따라 현대차 울산 전기차 공장 및 기아 광명 EVO 플랜트로 확산 여부 결정

아틀라스의 첫 직무는 ‘파트 시퀀싱’
• 조립 전 단계에서 부품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작업 수행
• 해당 작업은 로봇의 인지·판단·제어 시스템에 의해 완전 자율적으로 진행 → 원격 조작 없음

기술력 진화 및 상용화 목표
• 2024년 공개된 2세대 아틀라스, 360도 몸통 회전, 자가 기립 등 고난도 동작 가능
• 공장 내 부품 운반·분류 작업까지 자율 수행 → 인간 노동자 대체 시범
• 상용화 시점은 2028년 목표, 예상 가격 최소 15만 달러 이상

보스턴다이내믹스 지분 구조 및 상장 이슈
• 현대차그룹, 2021년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 → 현재 지분율 87.6% (정의선 회장 개인 지분 21.9%)
• 소프트뱅크와 약속한 4년 내 상장 기한 2025년 6월 만료 → 풋옵션 행사 가능성 대두

기타 로봇 사업 확대
• 4족 로봇 ‘스팟’은 전 세계 주요 제조시설에 도입됨
• 물류 로봇 ‘스트레치’, DHL과 1300대 공급 계약 → 시간당 700박스 하역 가능

원문 발췌:
- "아틀라스의 첫 번째 ‘기술 실증(Proof of Concept)’은 올해 말 사바나 외곽에 있는 현대의 메타플랜트"
#현대차 #로봇
2
온코닉테라퓨틱스 상승배경

P-cab 신약 자큐보의 처방데이터 가파른 속도
2
Forwarded from 루팡
팝마트: 상반기 순이익 전년 대비 최소 350% 증가 예상

7월 15일 오후, 팝마트(Pop Mart)는 홍콩증권거래소를 통해 공시를 발표하며, 2025년 6월 30일 종료된 상반기(본 기간)의 그룹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최소 20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그룹 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최소 3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https://www.jiemian.com/article/13036784.html
•UBS : Labubu의 인기에 힘입어 팝마트(Pop Mart) 주가는 연초 이후 180% 급등. 2024년 현금흐름 투자수익률(CFROI)은 24%로 상승했으며, 2025년과 2026년에는 40%로 예상. 수익성과 매출 성장 모두 글로벌 동종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

•다만, 재무 전망이 강세인 반면, 현재 시장의 밸류에이션 모델은 팝마트의 CFROI가 2029년까지 32%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시사하고 있음. 이는 팝마트가 현재의 고성장과 고수익률을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시장이 신중한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냄

•결국, 향후 주가 흐름이 고성장과 고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가 관건. 만약 최근의 실적 전망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면 주가는 약 40% 상승 여지. 그러나 성장률이 업계 평균 수준으로 둔화될 경우, 주가는 40% 하락 위험

**UBS 의견은 ‘도’아니면 ’모‘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日닛토보의 CCL 소재 대란에 두산 전자BG, '콧노래'

- 닛토보가 빅테크에 사실상 독점 공급 중인 하이엔드 CCL 유리섬유 수급이 3개 분기 이상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두산 전자BG가 재고를 미리 확보한 것 파악

- 엔비디아 등 빅테크 업체가 인공지능(AI) 서버와 데이터센터 등에 사용하는 대면적 기판의 CCL 소재를 닛토보 제품만 사용하는 상황이 바뀌지 않으면 빡빡한 수급 상황은 이어질 전망

- 두산 전자BG의 주력품은 인쇄회로기판(PCB) 생산에 필요한 CCL이며, 반도체 패키지용 CCL, 통신장비 네트워크보드용 CCL, 스마트폰용 FCCL(Flexible CCL) 등이 이에 해당

- CCL 원재료는 동박, 유리섬유, 에폭시 레진(수지) 등으로 두산 전자BG는 유리섬유를 닛토보와 타이완글래스인더스트리, 아사히카세이 등에서 조달

- 지난해 말부터 공급이 빠듯한 원재료는 열팽창계수(CTE)가 낮은(low) '로 CTE'(Low CTE)용 CCL 소재인 유리섬유

- 열팽창계수가 낮은 CCL을 사용하면 고온 공정에서 기판 휨(warpage) 현상이 줄어들고, 미세한 회로를 만들 때 기판이 휘어서 회로가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 가능. 기판 대면적화와 회로 미세화에 유리

- 위 재료는 닛토보가 주요 빅테크에 독점 공급 중

- 빅테크 업체는 서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대면적 기판 주문을 늘리면서, 해당 기판의 CCL용 방적사는 닛토보 제품만 사용하라고 국내외 PCB 업체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짐

- 지난해 말부터 닛토보의 하이엔드 CCL용 방적사 수급이 힘들어지기 시작했으며, 닛토보의 생산능력이 제한적이어서 당장 해당 방적사 생산량을 늘리기도 어려움

- 닛토보가 현재 증설 중인 공장의 가동 시점은 2026년 하반기로 예상

- 업계 한 관계자는 "엔비디아 등이 해당 하이엔드 CCL용 방적사를 닛토보 제품만 사용한다는 계획을 바꾸지 않으면 지금처럼 공급이 빡빡한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

https://vo.la/gBDQvVe (TheElec)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젤리캣이 오랜기간 충성스러운 미국 소형 유통채널들에서 정말 말도안되는 일방적인 통보로 철수를하며 똥볼을 제대로 차고있는걸로 보입니다.
그 빈자리를 채울 아이템으로 팜팔스를 언급하는 이야기까지 공공연히 보이네요
Forwarded from Aim High
#Labubu
라부부 틱톡트렌드

#팝마트
3
일본의 주요 차(茶) 생산업체, 전 세계적 수요 폭증과 한정된 공급으로 인해 일부 말차 제품 가격을 두 배로 인상할 예정.
■ 이만큼 깔끔하기 힘든 해외주식 텔레그램

- 미장 시작, 장중, 장마감 시황 업로드
- 해외 IB 리포트 및 데일리 선호주 업데이트

-> 내방은 난잡, 이방은 깔끔
-------------------------------------------
https://t.me/+SeJHTMqcjdszZTE1
2025.08.14 15:45:56
기업명: 오로라(시가총액: 1,688억)
보고서명: 반기보고서 (2025.06)

잠정실적 : N

매출액 : 770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87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68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5.2Q 770억/ 87억/ 68억
2025.1Q 797억/ 97억/ 39억
2024.4Q 722억/ 61억/ -34억
2024.3Q 817억/ 132억/ 65억
2024.2Q 609억/ 47억/ -1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14002495
👍4
홍콩 팝마트 사상 최고가 행진

못 말리는 라부부 열풍


팝마트는 9.4% 상승한 307홍콩달러($39.08)로 2020년 12월 상장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일부 분석가들이 팝마트의 인기 캐릭터에 대한 장기 수요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는 겁니다.

전 세계적인 수집 열풍을 불러일으킨 라부부 인형을 포함한 팝마트의 최고 지적 재산권은 "장기적인 인기에 대한 불확실성" 우려가 제기되는데요. 팝마트는 사회적 현상으로 언급되는 흥미로운 기업입니다.

t.me/jkc12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