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리서치센터
16.2K subscribers
1.71K photos
9 files
15K links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Jonghyun Kim)
[키움 제약/바이오 허혜민, 의료기기 신민수]

★ 키움 헬스케어 종합정리 Weekly(4/21)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02
-키움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소식통: t.me/huhpharm
[키움 미디어/엔터/레저 이남수]
미디어/엔터/레저 Daily News 25.04.21

● 엔터

'벤처투자 힘주는' YG엔터…오너가 양민석 VC 이사진 합류(연합인포맥스)
https://tinyurl.com/27w4ss6m

아일릿, 아몬드 초콜릿 잘 나가네…日 역주행 성공(뉴스통)
https://tinyurl.com/256serye

NCT 도영, 6월 9일 컴백…14~15일 잠실실내체육관 콘서트(노컷뉴스)
https://tinyurl.com/2yjmcxct


● 미디어

영화 '승부' 3주 연속 1위 차지, OTT '보물섬' 종영 후에도 1위 등극(비지니스포스트)
https://tinyurl.com/2dc6vnxa

[통신 맥락읽기]KT "웨이브는 매력 없다"... 토종 OTT 빅뱅 무산되나(포인트데일리)
https://tinyurl.com/2yuyhvrk

[OTT가이드] '사람냄새' 없는 KT의 콘텐츠 전략···오래 남을 작품 고민해야(서울파이낸스)
https://tinyurl.com/24l9gymm

● 레저

中무비자·황금연휴… 여행·카지노주 살아난다(파이낸셜뉴스)
https://tinyurl.com/29623y82

펫파크·호텔·골프장 … 포항 '50만평 체류형 관광지구' 조성(매일경제)
https://tinyurl.com/242klew2

“힘들어도 일본은 간다”…한국인의 日 사랑에 ‘화들짝’(이콘밍글)
https://tinyurl.com/2danx4a3
안녕하세요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SK아이이테크놀로지 (TP 2.6만원)

: 단기 실적 부진 지속되나, 신규 고객 확보는 긍정적

투자 포인트

1. SK아이이테크놀로지 1Q25 실적은 매출액 604억원(+2%QoQ, +31%YoY), 영업이익 -664억원(적자지속 QoQ, 적자지속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영업이익 컨센서스 -602억원)

1분기 판매량의 경우 소폭 증가한 것으로 보이나, 제품 믹스 변화에 따른 ASP 하락 등으로 매출은 전분기와 유사할 것으로 전망

한편 전분기에 이어 동사는 자체적으로 높은 전략 재고 수준을 조절하며 1분기에도 낮은 가동률을 보인 것으로 추정되고(가동률 한국 30~40%, 폴란드 10% 이하, 중국 30~40% 추정), 그로 인한 고정비 상승 및 높은 원가의 재고 반영으로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2. 2025년 실적은 매출액 3,947억원(+81%YoY), 영업이익 -1,254억원(적자지속 YoY)을 기록할 전망

분리막 사업의 경우 원가의 고정비 비중이 약 80%로 높은 만큼 가동률 상승이 수익성 개선의 핵심이며, 이를 위해서는 재고 소진 및 판매량 증대가 동시에 필요. 분기 기준으로는 4Q25에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지난해 Captive 고객사가 재고조정을 큰 폭으로 진행한 만큼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Restocking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북미 신규 공장 가동에 따른 초도 물량 증가도 기대되기 때문

또한, 2분기부터는 원단 고객사향 출하가 시작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LG화학 통한 LGES-Stellantis/LGES-Honda JV 향으로 출하 추정), 그동안 40%에 국한된 증평 공장의 가동률이 25년 50~6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그 외 올해 북미 OEM사향 판매량 증가도 실적 개선에 기여할 전망

3. 분리막 소재의 경우 그동안 상대적으로 타 소재 대비 많이 소외되어 왔으며 그 배경에는, 1) 높은 중국 점유율, 2) 상대적으로 기술 차별화가 낮다는 시장 인식, 3) IRA 최종안 내 분리막 수혜가 기대치 하회, 4) 전고체 전지 개발에 따른 중장기 산업 성장성 훼손이 있었음. 그러나 미국의 대중국 관세에 따른 반사 수혜가 기대되는 가운데, 최근 Non-captive 고객사 확보 움직임 확대로 높은 단일 고객 비중도 점차 낮아질 것으로 기대

여전히 산업 내 대외 변수 상존하나, 실적이 바닥을 지나가고 있는 만큼 하반기 이차전지 섹터 주가 반등 시 영업 레버리지지가 높은 동사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고 판단

투자의견은 ‘Outperform’을 유지하나, 실적 전망치 조정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는 26,000원으로 하향 조정함.

리포트: bbn.kiwoom.com/rfCR11304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4/21,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매크로보다는 실적시즌"

-------

<Weekly Three Points>

a. 18일 금 미국 증시는 휴장했으며, 현재 주요국 증시는 지난 4월 초 상호관세 발 폭락장에서 벗어나 주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모습(연저점 대비 상승률: 코스피 +8.3%, 나스닥 +6.7%, 독일 닥스 +7.8%, 일본 닛케이 +11.5%).

b. 이번주도 관세, 매크로 이벤트도 중요하긴 하지만,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미국 M7 실적시즌이 중요할 전망. 관세가 주식시장에 초래한 직접적인 부작용은 실적 전망의 불확실성이었기 때문.

c. 국내 증시에서도 SK하이닉스, 현대차, 삼성바이오로직스, HD현대중공업, KB금융 등 주력 업종 실적 대기중. 이들 모두 24~25일에 몰려 있는다는 점을 감안 시, 주 중반부터는 업종 및 종목 장세의 색깔이 짙어질 전망.

-------

0.

한국 증시는 1) 미국과 중국, 한국 등 여타 국가와 관세 협상 과정, 2) IMF의 수정전망, 주요 지역 연은의 제조업 PMI, 3) 연준 베이지북, 주요 연준 인사 발언, 4) 테슬라, 알파벳 등 M7 실적, 5) SK하이닉스, 현대차, HD현대중공업 등 국내 주요기업 실적 등에 영향 받으면서 주가 복원력을 이어 나갈 전망(주간 코스피 예상 레인지 2,430~2,550pt).

1.

18일(금) 미국 증시는 휴장했으며, 현재 주요국 증시는 지난 4월 초 상호관세 발 폭락장에서 벗어나 주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모습

(18일 종가 기준, 4월 8~9일 연저점 대비 상승률: 코스피 +8.3%, 코스닥 +11.6%, S&P500 +6.0%, 나스닥 +6.7%, 독일 닥스 +7.8%, 일본 닛케이 +11.5%).

그렇지만 기술적으로 장기 추세선인 200일선을 대부분 주가지수들이 하회하고 있기에, 추세 상승 궤도로 복귀했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른 시점.

최근 증시 폭락을 유발한 촉매제가 트럼프의 관세 리스크 였으며, 추가 상승의 재료도 여기서 찾아야 하는 만큼, 주중에도 관세 뉴스 플로우의 증시 영향력은 지속될 전망.

2.

일단 한국 정부와 미국은 24~25일 중 고위급 협상을 추진 중에 있고,

일본, EU와도 후속 협상이 예정되어 있는 등 대부분 국가들과 미국의 긍정적인 협상 도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안도 요인.

물론 중국에게는 고율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17일 미 무역대표부기 중국 선박을 이용하는 해운사들에 입항 수수료 부과를 공식화하는 등 미중 강대강 국면이 이어지고 있기는 함.

다만, 트럼프가 3~4주 이내에 중국과 협상을 타결할 것이라는 의사를 표명한 가운데,

중국도 지난 11일 대미관세율을 125%로 인상할 당시 추가 인상은 이제 의미 없다면서 협상 의지를 우회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을 재차 상기해봐야 하는 시점.

이는 미중 갈등이 쉽게 종결되기는 어려워도, 또 다른 관세발 대형악재가 증시에 출몰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

현 시점부터는 관세 불확실성, 관세 노이즈가 초래하는 증시 조정의 압력은 덜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베이스로 변경해 대응 전략을 수립해 나갈 필요.

3.

이런 관점에서 금주 예정된 IMF 수정 경제전망, 연준 베이지북, 연준 인사들 발언, 주요 지역 연은의 제조업 PMI 등 매크로 이벤트도 중요할 수 있음.

이보다는 주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미국과 한국의 1분기 실적시즌이 메인이벤트가 될 것으로 판단.

관세가 주식시장에 초래한 직접적인 부작용은 실적 전망의 불확실성이었기 때문.

우선 미국 증시에서는 대장주 역할을 했던 M7 중 테슬라(23일)와 알파벳(25일)의 실적이 발표될 예정.

현재 테슬라는 고점대비 -44%, 알파벳은 -27%를 기록하는 등 4월 초 폭락 이후 주가 반등에도 아직까지 약세장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상태.

이들 업체 모두 1분기 실적 그 자체보다는 컨퍼런스 콜을 통해 관세로 인한 전기차 수요 변화, 자율주행 사업 전망(테슬라), 1월 초 딥시크 사태와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CAPEX 변화(알파벳) 등이 주가 회복력에 연속성을 부여할 것.

4.

국내 증시에서는 SK하이닉스, 현대차, 삼성바이오로직스, HD현대중공업, KB금융 등 주력 업종들의 실적들이 대기하고 있음.

국내 기업들 역시 현 시점의 이익 추정치 및 1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치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컨퍼런스 콜에서의 업황 전망 및 이후 애널리스트 추정치가 관세로 인해 얼마나 보수적으로 변할지가 관전 포인트

더욱이 이들 실적들이 24~25일에 몰려 있다는 점을 감안 시, 주 중반부터는 개별 실적 결과에 따른 업종 및 종목 장세의 색깔이 짙어질 전망.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WDetailView?sqno=729
미국 기업분석_닥터 호턴(DHI.US) 실적리뷰

[키움 건설 신대현]
닥터 호턴(DHI.US): 미국 주택 건설사에 투자하는 가장 좋은 방법

1) 실적 컨센서스 하회, 가이던스 하향조정을 이긴 주주환원율
- DHI FY 2Q25 실적 시장 컨센서스 하회
- 이는 예상보다 적은 주택 계약 건수와 공급 지역 확대에 따른 판관비 증가 영향으로 판단
- 다만 주가는 회사의 연간 OCF 상향과 주주환원액 상향($4.5B)에 따라 당일 +3% 상승 마감

2) 아직 지켜봐야할 마진 회복세와 매크로 불안
- 회사의 GPM은 FY22년을 기점으로 하락을 지속
- 이는 1) 회사의 인센티브 확대, 2) 미국 주택 시장에서의 lot 숏티지에 따른 영향으로 이런 GPM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되 것으로 판단
-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과 이민정책도 중장기적으로 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3) 그럼에도 하반기 주가 회복 유효, 주택 시장 반등 시 강한 주가 상승 기대 가능
- 1)강력한 주주환원정책이 주가 하방을 지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2) 늦어진 봄·여름 판매 시즌에 따라 3월부터 수요가 반등하고 있고, 3) 그동안의 인센티브를 통해 주택 시장 MS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
- 회사는 재고 축소를 통한 OCF 상향을 모두 회사 자사주 매입에 사용하기로 결정하면서 FY25 $4B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 이는 유통 주식수의 10%정도 수준
- 봄·여름 판매 시즌 수요 회복이 보이고 있고, 이런 효과는 FY 4Q25까지 지속될 수 있어 3Q부터 매출액은 QoQ 반등할 것으로 전망
- 회사는 인센티브 확대에 따라 주택 계약 건수를 유지해왔고, 중소형 업체들의 MS를 뺏어왔음. 올해도 이런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판단
- PBR도 과거대비 낮아진만큼 주가 상승 가능성이 하락 가능성보다 높다고 판단

보고서: bbn.kiwoom.com/rfCC913

감사합니다.

[키움리서치_건설] Telegram 주소: t.me/SDH_construction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

넷플릭스 (NFLX.US) : 관세 리스크 이상 무

FY1Q25 실적 Review
- FY251Q(3 월말) 실적은 매출액 105.4 억달러(YoY +12.5%, QoQ +2.9%, 컨센서스 대비 +0.4%), 영업이익률 31.7%(YoY +3.6%p, QoQ +9.6%p, 컨센서스 대비 +3.2%p)
- 불안한 시장 상황 속에서 긍정적인 실적이 확인되자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3.4% 상승

견고한 가이던스와 성장에 대한 근거
- 2분기 가이던스는 매출 110.3억 달러 (YoY +15.4%, 컨센서스 대비 +1.4%), 영업이익률 33.3% (YoY +6.1%p, 컨센서스 대비 +3.2%p)로 제시되며 견고한 흐름을 보임
- 자신감의 배경은 1) 광고 사업 확장, 2) 가격 인상 효과, 3) APAC·EMEA 지역 성장 기대 등에 있으며, 최근 북미에서 AI 광고 플랫폼을 론칭하고 10개국으로 확장 예정
- 2월 북미 지역 요금 인상 후에도 고객 이탈률 변화가 없었던 점은 긍정적이며, 2분기 예정된 아시아 가격 인상도 매출 순증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 현지 오피스 기반의 로컬 콘텐츠 개발을 지속 중이며, 전체 시청자 7억 명 중 67% 이상이 미국 외 지역에 거주해 현지 시장 장악력 제고 가능성 존재
- 실제 1분기 APAC, EMEA 매출은 각각 YoY +23.1%, +15.1% 성장하며 높은 증가세 기록

관세 우려에서도 긍정적 흐름 보일 전망
- 가격 인상을 통해 확보한 잉여현금흐름을 주주환원에 활용하겠다는 방침도 관세 영향 방어 요인으로 작용
- 과거 불황기에도 내수형 콘텐츠 소비가 견조했던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도 타 산업 대비 상대적 우위가 기대됨

보고서 링크 : https://bbn.kiwoom.com/rfCC911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키움 혁신성장리서치/스몰캡 오현진]

▶️ 동방메디컬(240550)
: K-에스테틱의 다크호스

◎ 미용기기로 확장 성공한 한방 의료기기 업체
- 국내 한방의료기기 시장 점유율 선두 업체. 일회용 한방침 등 Needle류 제품을 주로 생산
- 2012년 국내 최초로 흡수성 리프팅실 개발 및 출시. 2018년 HA필러 출시 등을 통해 미용기기 사업부문 확장
- 필러 부문 성장세 주목. 23년 매출액 157억원(+104% YoY), 24년 매출액 234억원(+49% YoY) 기록
- 24년 기준 매출액 비중은 미용기기 59%, 한방의료기기 41%

◎ 해외 성과를 통한 성장 주목
- 중국 및 브라질 등 해외 시장 성과를 통한 본격적인 성장 예상
- 동사 필러는 22년 중국 인허가 획득 후 주요 파트너사 신양그룹을 통해 장기 계약 체결. 24년 브라질 B-GMP 인증 완료 후 ANVISA 승인 대기 중
- 승인 이후 브라질 시장 내 파트너사 PHD를 통해 제품 유통 계획. 상반기 내 승인 완료 시,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매출 발생 전망
- 리프팅실 시장 또한 고성장. 미국과 브라질 시장 내 성장 주목

- 2025년 매출액 1,342억원(+28% YoY), 영업이익 264억원(+76% YoY) 전망
- 미용기기 매출액 856억원(+37% YoY) 전망. 하반기부터 반영될 브라질향 매출 등 해외 부문 성과 반영
- 글로벌 판매법인 설립 및 생산기지 확대를 통한 성장은 26년 이후 본격화. 동사 기업가치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R11305
[키움증권/김진구] 네오위즈 기업리포트, BUY(Maintain), 목표주가 3만원
◆ 동사 목표주가를 3만원으로 유지하고 게임 업종내 대안주로 제시, 향후 게임 업종 방향이 AI 솔루션의 막대한 서포트 및 주도적 밸류 발현 등을 통해서 최고 개발자 중심의 소수 정예 팀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조망되며 이는 거대 자본 및 대규모 개발자 풀을 보유한 대형 게임사와 대항해 경쟁우위를 발현할 시기의 도래로 판단하며, 해당 관점에서 동사 전략 및 포지셔닝을 긍정적으로 평가
◆ P의 거짓 DLC 플레이타임은 15-20시간으로 본판 대비 절반 수준에 도달하며 이를 반영한 베이직 프라이스를 30달러 수준으로 전망, P의 거짓 DLC 출시 초기 분기를 3Q25E 기준으로 본판 유저 대비 33%와 포텐셜 바잉 유저 대비 10% 비중을 준용해 초기 분기 패키지 판매 107만장과 3년간 누적 판매 177만장을 추정치에 반영했고, 본판도 포텐셜 유저 대비 5%를 추가 반영해 누적 판매를 380만장으로 상향 조정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R11303
[키움증권 보험/증권 안영준]

찰스 슈왑(SCHW.US) - 주요 지표 호조, 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비용 감소 효과 지속

◆ 조정 EPS 41% (YoY) 증가, 컨센서스 3% 상회
- 1Q25 순영업수익 56억 달러(+19% (YoY), +5% (QoQ)), 순이익 19.1억달러(+43% (YoY), +4% (QoQ))
- 조정 EPS는 1.04달러(+41% (YoY))를 기록, 컨센서스 1.01달러 3% 상회

◆ 1분기 증시 변동성 확대에도 고객 유입 지속
- 1분기 신규 계좌는 8% (YoY) 증가한 120만개, 신규 고객 자산은 44% (YoY) 증가한 1,377억달러로 증가세 지속
- 전 부문이 양호한 실적
- 이자이익은 고객 증가와 이자비용 감소에 힘입어 2.7억달러(+25% (YoY), +7% (QoQ))를 기록, 고금리 부채 상환이 주요
- 고금리 부채는 전년말 449억달러에서 1분기말 381억달러로 대폭 감소, 향후 추가적인 조달비용 축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중
- 자산관리수수료는 1.5억달러(+11% (YoY), +1% (QoQ)), 거래수익은 0.9억달러(+17% (YoY), +4% (QoQ))

◆ 긍정적인 흐름 이어질 것으로 전망
- 고객 관련 지표가 안정적인 우상향 기조를 보이고 있으며, 금리 하락으로 조달비용 감소 효과도 이어질 것
- 1Q 15억달러의 자기주식을 매입하고 분기 DPS는 8% 상향, 연간 추가적인 자본 정책도 진행할 수 있음을 시사
- 안정적인 실적 및 이에 상응한 자본 정책이 예상됨에 따라 양호한 주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12
채널: https://t.me/yj_financial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4/24(목) 예정된 '키움 AI 콥데이' 안내드립니다.

장소: 여의도 TP타워 5층 (1층 인포에 문의 후 게이트 통해 올라오시면 됩니다)

참여기업: 한글과컴퓨터/더존비즈온/엠로/비아이매트릭스/이스트소프트

자세한 사항은 팜플렛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키움 글로벌 ETF 김진영]
🌏KIWOOM ETF Weekly (4/21)

주간 ETF 수익률 상위
* 주식: MSOS +14.8%, EWW +8.4%, ARGT +8.1%, MJ +7.8%, AMZA +7.5%
* 채권: SHYM +4.3%, TYA +3.6%, HIMU +3.6%, XCCC +3.0%, PZT +2.9%
* 대체: USO +4.5%, PALL +4.1%, DBO +3.8%, CPER +3.4%, AAAU +2.8%

주간 ETF 자금유입 상위 자금유입($mln): VOO(2,563), SHV(2,250), BIL(2,170), GLD(2,062), SMH(1,628)

KEY ISSUE
1) 지난 주 美 주요 지수/ETF는 하락 마감 (SPY -1.4%, QQQ -2.3%, DIA -2.6%). 일본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관세협상 개시, 파월 연준의장 해임 논란, 달러화 약세 지속 등 금융시장 변동성 환경 연장되는 중. 이번주에도 미국이 주요국들과의 관세 협상을 이어나갈 예정.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미국의 전략에 대해 중국이 미국과 관세협상을 진행하는 제3국을 향해 경고의 메시지를 전한 만큼, 양국 간 갈등 확대 여부에 주목. 이 외 IMF의 세계경제전망(4.22)과 한국 GDP 발표(4.24) 및 인민은행 LPR 결정(4.21), 연준 베이지북 발표(4.23), 테슬라(4.22), 알파벳(4.24) 등 빅테크 1Q 실적발표 등도 대기

2) GICS 분류 기준 부동산(XLRE +3.9%), 에너지(XLE +3.3%), 유틸리티(XLU +1.9%), 필수소비재(XLP +1.9%) 등 상승 마감한 반면, IT(XLK -2.8%), 경기소비재(XLY -2.3%), 커뮤니케이션(XLC -1.2%), 헬스케어(XLV -1.0%) 등 하락 마감. 이 외 에너지인프라(AMZA +7.5%, ENFR +5.1%), 산업용 리츠(INDS +5.6%), 금 채굴(GOEX +5.0%), 원유/가스(FTXN +4.1%), 글로벌 AI(AIVI +3.8%), 실물자산(IVRA +3.5%), 글로벌배당(DTH +3.5%, IDLV +3.2%, IPKW +2.8%), 은행(FTXO +2.9%), 은 채굴(SIL +3.3%, 구리 채굴(COPX +2.3%) 등 강세

3) 신규 상장 ETF
- F/m Investments, 15일(현지시간) 미국 고수익 채권 시장에 투자하는 'F/m High Yield 100 ETF (ZTOP)' 출시. Bloomberg U.S. High Yield Top 100 Quality Select Equal Weighted Index를 추종하며, 규모·유동성·신용도 기준으로 선별된 미국 내 주요 고수익 채권 발행기관 100곳에 동일 가중으로 투자
- VanEck, 1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산업 종사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 'VanEck Onchain Economy ETF(NODE)' 출시 계획 발표. 암호화폐 자체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거래소, 채굴업체, 데이터센터, 에너지 기업, 반도체, 게임사 등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구성하는 30~60개 기업에 분산 투자. 전체 자산의 80%는 블록체인 및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디지털 전환 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며, 최대 25%는 관련 ETF, 선물, 기타 파생상품에도 투자 가능
- 22일 국내 증시에 삼성, 신한, 미래, NH-Amundi, KB자산운용 ETF 7종목 신규상장. KODEX 미국AI소프트웨어TOP10는 미국 상장종목 중AI 소프트웨어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대표 기업 10종목에 투자.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은 팔란티어 커버드콜 30% 및 국내 단기국고․통안채에 70%를 투자하는 채권혼합 ETF. SOL 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은 팔란티어 30% 및 미국채ETF 커버드콜에 70%를 투자하는 채권혼합 ETF. RISE 미국천연가스밸류체인은 미국의 천연가스 밸류체인(생산-인프라-수출’) 대표 기업에 투자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TP626

감사합니다.

* 컴플라이언스 검 필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키움증권 US Strategy 김승혁, US Equity 조민주]

미국 주식 Weekly: 큠틴 아메리카

4월 14일~4월 18일 Review
4월 3째주 증시는 개별 기업 실적 발표되며 변동성 높아진 가운데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와 파월 연준의장의 금리 인하 기대 약화 발언 속 하락했다. 4/18 부활절 휴장한 가운데 4/14~4/17 기준 필라델피아 반도체(-4.0%), 다우(-2.7%), 나스닥100(-2.3%) 등 대형주가 오히려 실적 부진과 같은 개별 종목 이슈와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영향으로 하락하는 모습이었고, 반면 러셀2000(+1.1%), S&P600(+0.9%), S&P400(+0.8%)과 같은 중소형주 지수는 반등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갑작스럽게 엔비디아의 H20 반도체 대중 수출 규제를 발표했고, 나아가 인텔과 AMD에도 유사한 기준의 반도체 수출을 제한하면서 기술주 업종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AI 고사양 모델의 견조한 수요를 감안, 금번 수출 제한에 따른 실제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으나, 5/15일 'AI 확산 규칙' 발효와 트럼프가 반도체를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은 여전히 상존한다. 파월 의장의 관세가 물가와 실업률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발언 속 트럼프의 공개 비판 및 해임 추진과 같은 공격적인 발언도 연준과 더불어 달러에 대한 신뢰도를 훼손시킬 수 있기에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은 가이던스 하향에 따른 실적 우려에 -22% 급락하며 대형주 지수 주가를 끌어내렸다. 예상치 못한 의료 서비스 급증과 환자 구성 변화에 따른 비용 부담 증가 때문이었으며, 이로 인해 건강보험 관련주 모두 조정 받았다. 반면 넷플릭스는 양호한 실적과 가이던스에 시간외 3.5% 상승했으며, 건강한 회원 증가세와 구독료 인상, 그리고 광고 매출 호조세로 2분기와 FY25 연간 가이던스 모두 컨센서스 상회하는 수준으로 제시하며 안정적인 구독제 서비스 모델의 관세 방어력을 여실히 증명했다.

4월 21일~4월 25일 Preview
금주에는 테슬라, 알파벳 등 주요 빅테크 실적 발표와 연준위원들의 발언, 그리고 미시간대 소비 지수와 같은 소프트 지표 추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파월 의장이 정책 딜레마를 언급하며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해 원론적인 답변을 표명한 가운데 연준위원들은 관망적인 발언 내놓을 가능성이 높고, 소비심리 지표도 관세 여파로 부진할 전망이다. 결국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이벤트가 시장 심리 회복의 관건일 듯하며 이들의 업황 전망과 실적 가이던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금주 주목할 이벤트
4/21 - 3월 선행지수, 4/22 - 4월 리치몬드 연방 제조업지수, 연준 부의장 발언 / 테슬라, GE에어로스페이스, 4/23 - 3월 신규주택매매, 4월 S&P 재조업, 서비스업 PMI / 필립모리스, IBM, AT&T, 4/24 - 3월 시카고 국가활동지수, 3월 내구재주문, 3월 기존주택매매 / 알파벳, P&G,인텔, 4/25-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애브비, 콜게이트 팜올리브, HCA 헬스케어

자료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14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 4월 22일(화) 전일 철강금속 지표

철강사 주가 (시장대비) : POSCO ADR -2.3% (0.1%), ArcelorMittal 휴장, US Steel -6.1% (-3.8%), Nippon Steel -1.7% (-0.5%), Baoshan -1.0% (-1.5%), Angang(HK) 휴장, Albemarle 0.2% (2.6%)

중국 철강가격(VAT 포함): 열연 $451 ($2.1, 0.5%), 철근 $465 ($0.0, 0.0%), 냉연 $542 ($-1.1, -0.2%), 열연선물(AC) 0.9%, 철근선물(AC) 1.2%, 철근선물 시간 외 -0.3%

철광석: 현물 $98 (1.0%), SGX 선물 $99 (1.9%), DCE 선물(AC) 2.4%, DCE 시간 외 -0.2%

강점탄: 호주 현물 $188 (0.0%), SGX 선물 $180 (-2.2%), DCE 선물 0.4%

LME 비철/귀금속: 구리 $9189 (0%), 아연 $2577 (0%), 납 $1922 (0%), 니켈 $15622 (0%), 금 $3,424 (2.9%), 은 $32.7 (0.4%)

탄산리튬: 중국 현물 $9,641 (-0.9%), GFEX 선물 69,000위안 (-1.7%)

- 중국 철강선물 상승 / 철광석 선물 상승 / 호주 강점탄 보합

- LME 비철은 휴장, 장이 열린 COMEX 구리는 -0.2% 하락 / 귀금속은 안전자산 선호에 상승

- 중국 탄산리튬 선물 신저가로 하락

트럼프의 파월 해임 우려에 금가격 $3,400대도 돌파하며 신고가

포스코-현대차그룹, 철강/이차전지 협력을 위한 MOU 체결하고 현대제철 미국 제철소 투자에 지분 참여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 상기 코멘트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키움 채권 안예하]
◆채권 Daily 코멘트(25.04.22.)

[미 채권시장 동향]
미국채 금리 혼조 마감. 단기물 하락, 장기물 상승.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비난으로 금융시장 위험자산 선호 위축. 미 연준 의장에 대한 금리인하 요구와 해임설 등이 등장하면서 장 초반에는 모든 구간 하락 압력을 받기도 했음. 다만 단기물은 하락세를 유지했으나 장기물은 미국채에 대한 신뢰도 저하 등의 우려를 반영하며 상승.

[경제지표](발표, 전망, 이전)
(미국)3월 선행지수 MoM: -0.7%, -0.5%, -0.3%
(미국)시카고연은 총재 발언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미국)4월 리치몬드 연은 제조업지수: -7, -4
(미국)제퍼슨, 쿠글러 연준 이사, 필라델피아, 미니애폴리스, 리치몬드 연은 총재 발언
(유로존)4월 소비자기대지수: -15.1, -14.5

◆ 미국 증시
- DOW: 38170.41p (-971.82p, -2.48%)
- S&P500: 5158.2p (-124.50p, -2.36%)
- NASDAQ: 15870.9p (-415.55p, -2.55%)

◆ 외환시장
- NDF 환율(1개월물): 1418.8원, 전일 대비 약 4원 하락 출발 예상
- 달러인덱스: 98.356 (-0.874, -0.88%)
- 유로/달러: 1.1515 (+0.0122, +1.07%)
- 달러/엔: 140.86 (-1.32, -0.93%)
- 파운드/달러: 1.3379 (+0.0083, +0.62%)

◆ 미 채권시장
- 2년물: 3.7623% (-3.6bp)
- 5년물: 3.9749% (+3.7bp)
- 10년물: 4.4106% (+8.6bp)
- 30년물: 4.9023% (+10.4bp)
(스프레드)
- 기준금리-2Y: 73.8bp
- 10Y-2Y: 64.8bp
- 30Y-10Y: 49.2bp

◆ 국내 국채시장
- 3년물: 2.320% (-3.0bp)
- 5년물: 2.423% (-3.7bp)
- 10년물: 2.595% (-2.0bp)
- 30년물: 2.449% (-1.1bp)
(스프레드)
- 5Y-3Y: 10.3bp
- 10Y-3Y: 27.5bp
- 30Y-10Y: -14.6bp
(국채선물)
- 3년 KTB 107.72 (+11)
- 10년 KTB 121.06 (+21)

◆ 상품시장 (달러)
- WTI: 63.08 (-1.60, -2.47%)
- 브렌트유: 66.26 (-1.70, -2.50%)
- 금: 3425.3 (+96.9, +2.91%)

*당사 콘텐츠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키움 미디어/엔터/레저 이남수]
미디어/엔터/레저 Daily News 25.04.22

● 엔터

YG 베이비몬스터, 첫 日 투어 성료…15만명 운집(파이낸셜뉴스)
https://tinyurl.com/2yddqojv

NCT WISH, 데뷔 뒤 첫 100만 장 앨범 판매 기록(YTN)
https://tinyurl.com/2677rc22

버추얼 아티스트, 음악시장서 존재감 부각…앨범 실적↑(쿠키뉴스)
https://tinyurl.com/2ymn5wdv


● 미디어

[현장] 토종 OTT 위협하던 ‘넷플릭스’ K-콘텐츠 글로벌 진출 날개(EBN산업경제)
https://tinyurl.com/2asl7wr2

'폭싹' 본 외국인한테 '나의 아저씨' 추천해주는 넷플릭스(뉴시스)
https://tinyurl.com/28kra47j

'폭싹''승부''악연' 잇단 흥행… 콘텐츠 제국 된 카카오엔터(파이낸셜뉴스)
https://tinyurl.com/235u3bbw

● 레저

문체부, 15개 광역 지자체 관광 자원 개발 사업 현황 점검(뉴시스)
https://tinyurl.com/22tfowbe

불친절하고 비싸기만 한데 왜 가요?…국내 관광 등 돌린 내국인들(아시아경제)
https://tinyurl.com/2dx3ljep

“제주 크루즈 준모항 활성화 맞손” 관광기관·단체 3자 ‘MOU’   (제주의소리)
https://tinyurl.com/23dv84u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