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93K subscribers
4.47K photos
10 videos
524 files
4.25K links
제이그로스투자자문 구성원들이 운영하는
투자 인사이트 소통 채널입니다.

운용 철학 공유와 소통, 그에 맞는 인사이트의 제공을 통해 제이그로스투자자문의 성장과 투자자들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모든 컨텐츠는 매수/매도 권유 목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음을 밝힙니다.

투자판단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그에 따른 결과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해시태그를 통한 검색활용이 가능합니다
ex) #리포트요약, #실적, #탐방후기, #변기시리즈
Download Telegram
미친 탱거 시황
Forwarded from MZ타뇽 긴축모드 ON
아 실리콘투 후속주 근황 ㅋㅋ
동진쎄미켐 20240510

[업데이트]
1Q24매출 3,329억원, 이익 470억원
고객사별 삼성전자 1,422억원, BOE 470억원, 닉스 321억원, 엘지디 289억원, 기타 825억원
서안 가동률이 많이 올라와 낸드향 이익 기여도가 높았음

[Q&A]
포토레지스트 사업 전망, ArF가 디램 로직 언제 가는지, EUV PR은?
  - 매출비중 20%. 대부분이 KrF
  - ArF 비중은 아직 적고 계속 늘려나갈 계획
  - EUV는 뉴스에 나왔듯이 양산라인에 적용되고 있지만 매출비중 크지 않음. 구체적인 일정은 NDA로 인해 공유 어렵다

금년 내년 성장 계획
  - 반도체 2023년 감산 이슈가 있었는데 2024년 많이 해소된듯
  - Qoq 계속 성장하는 그림 전망

이차전지 고객사 유럽, 북미일 것 같은데 지역별로 2024~2025년 진행사항 공유
  - 국내 S사 하고 있다가 스웨덴 노스볼트를 고객사로 확보
  - 노스볼트 정상가동을 기다리고 있는데, 7~8월로 듣고 있어 그 때 물량 늘어날 듯
  - 북미는 아직 진행되는 게 없고 노스볼트가 증설 하면 따라간다. 국내 S사가 북미 가면 따라갈지 검토 중

2023년 이차전지 매출 276억원. 삼성SDI와 노스볼트 반반
노스볼트 스웨덴 풀가동 되면 매출 700억원 기대. 정상가동이 7~8월이라 했으니 바로 풀가동은 아닐 것이고, 2025년은 풀가동이지 않을지 기대. 이건 예측이고 계속 지연돼왔다

이차전지 OPM?
  - 공개할 수 없지만 평균 OPM보다 높다

작년 업황 안 좋았는데도 마진 확보하는 요인. 기술 경쟁력이나 원가절감노력이나
  - 2023년 물량 자체가 많이 줄었지만 업계 대비 타격 적었다
  - 전방이 안 좋다고 단가를 인하할 수는 없고 분기마다 협의 중. 고객사도 우리를 챙겨주는 분위기
  - 2023년 웨이퍼 감산이 있었지만, 수율 문제로 인해 소재들은 더 들어갔을 것이다

미국 황산공장 진행상황, 매출 발생 시기
  - 신너 생산공장 6~7월 완공 예정. 테일러향. 테일러가 지연되며 같이 딜레이 전망
  - 황산 생산공장 7월 완공 예정. 샘플 스펙 맞춰보고 2025년 1월 매출 기대
  - 각각 매출규모 700억원 잡고 있음

언론에서 SK하이닉스향 CMP 슬러리 매출 2,000억원 목표 얘기하는데?
  - 전체 매출의 2% 이하였는데 10~20억원 했다면 20~30억원으로 올라왔다
  - 아직은 소량이고 향후 늘어날 것 같다
  - 뉴스에서 나온 숫자에 대해 언급은 못 하는데, 매출이 앞으로 늘어날 것 같다

중국법인 매각 관련
  - 협상 중이라 자세한 사항 말씀드리기 어렵다
  - 계약 체결 되면 공시사항이기 때문에 공시로 말씀 드리겠다

전자재료와 발포제 사업 분할 계획 주기적으로 루머 나오는데
  - 전혀 없다

R&D 지출 정책이 있는지?
  - 매년 4~5% R&D 비용으로 나가고 있고, 연구인력 200~300명으로 많다

EUV PR 매출은 메모리에서 나고 있는지 메모리에서 나는건지?
  - 삼성에서도 어디 라인향인지 공개는 안 하는 걸로 아는데, 당사는 디램쪽인걸로 추산함
  - KrF, ArF도 처음에는 미량 매출로 시작
  - 당사가 해외 경쟁사 대비 신속대응 장점을 가지고 있는게 당사 장점

국내 사업장도 신규 증설하고 계신데 증설 규모와 스케줄
  - 주 공장이 발안에 있는데, 신너와 PR에 대한 선행투자 진행 중
  - Capex는 500~600억원. 유지보수로 1,000억원 이상 나가고 있어 큰 규모는 아니다
  - 신규 라인도 있고 기존 라인 대체하는 부분도 있어 정확한 금액 코멘트는 어렵다

가이던스
  - 내부 경영계획은 있는데 내부거래 제외 전이라 다를 수 있다
  - 2022년 최대 실적에 준하지 않을까 전망
  - 매출 비중은 반도체가 커지고 디스플레이가 내려가고, 노스볼트가 가동되면 이차전지도 올라올 전망

이준혁 부회장님이 실질적 경영하시고 회장님 건강 안 좋으시다 하는 말이 있는데?
  - 두 분 다 경영 중이시다. 회장님 누워계시지 않는다

삼성SDI가 확장하면 우리도 설비를 확장해야 할텐데?
  - 국내 라인은 여력이 있다
  - 북미향 확장이 되면,,, 현업에서는 얘기가 오가고 있을텐데
  - 고객사에서는 근처에 공장 따라와서 안정적으로 수급받고 싶어하는 기조가 있다

반도체 전자재료 고객사별이나 디바이스별 Breakdown
  - 반도체 50 중 PR 20, 나머지는 신너 케미칼
  - 디스플레이 40 중 25가 중국, 나머지 15는 국내 양 사
  - 메모리, 비메모리 브렉다운은 어렵다

2023년 Capex 커진 건 뭔지?
  - 미국법인들 (신너, 황산) 공장 건설비
  - 신너는 100% 자회사, 황산법인은 당사 70%, 삼성물산 20%, 현지 원재료업체 마틴? 10%

2024~2025년 Capex 기조
  - 2024년은 yoy -5%. 미국이 yoy 줄어들고 국내 투자

IR 기조가 바뀐걸까?
  - NDA 때문에 구체적인 소통이 어렵다
  - 전과 비슷하게 할 것
Forwarded from 유안타증권 반도체 백길현 (Glenda Baik)
TSMC may soon see 3nm capacity supply fall short of demand

대만 TSMC, 2H24 3나노 수요는 공급을 초과하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로 확대될 것.

TSMC has already seen utilization rates for its 3nm family climb to more than 95%, and with strong demand from customers, including Apple, for its N3E process, capacity supply at the 3nm node will fall short,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TSMC moved its N3B to volume production at the end of 2022, and N3E earlier this year.

https://www.digitimes.com/news/a20240508PD224/tsmc-3nm-capacity-supply-demand.html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염동찬입니다.
 
HD현대마린솔루션(A443060)의 MSCI 및 KOSPI200 편입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전달 드립니다.
 
1. 5월 MSCI 편입 가능성
-> 불가능.
 
MSCI는 5월 14일(한국 시간 5월 15일 오전 6시)에 반기 리뷰 결과를 발표할 예정. MSCI 5월 분기 리뷰에서 편출입 종목을 정하는 시가총액 기준일은 4월 마지막 10거래일 중 랜덤한 날짜 기준. 5월에 상장된 HD현대마린솔루션은 유니버스에 편입 자체가 안되어 있음.
과거 이러한 규정에 어긋나더라도 특례 편입이 된 케이스가 없지는 않지만, HD현대마린솔루션은 특례 편입에 나서야 할 정도로 압도적인 시가총액은 아님. 또한 MSCI는 편입 기준에 시가총액과 유동시가총액을 모두 사용하는데, HD현대마린솔루션은 유동비율 16% 수준으로 유동시가총액은 1.1조원 수준에 불과(이번 리뷰에서 편출 가능성 높은 카카오페이의 유동시가총액이 0.96조원).
 
2. 6월 KOSPI200 특례 편입 가능성
-> 가능성 낮음.
 
KOSPI200 정기 변경은 6월과 12월 두 번이며 정기 변경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상장한지 6개월 이상된 기업이라는 조건이 필요. 다만 상장한지 6개월 미만인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15거래일 평균 시가총액이 KOSPI 기업 50위 이내로 진입하면 가장 가까운 선물옵션만기일에 특례 편입이 가능.
HD현대마린솔루션은 6월 정기변경시에 편입 대상이 되지는 않으며(상장 6개월 미만), 특례 편입은 노릴 수 있음. 다만 전일(5/9) 시가총액(6.8조원) 기준으로 순위는 57위이며, 50위인 대한항공(8.1조원)과는 19%의 시가총액 차이가 나는 상태.
만약 KOSPI200에 특례 편입되기 위해서는 현재 시가총액에서 20% 이상 상승하여 15거래일을 유지해야 함. 6월 선물옵션만기일(6/13)까지 21거래일 정도의 시간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KOSPI200 특례 편입 가능성은 낮음. 과거 에코프로머티가 시가총액 50위 밖에서 상장되었음에도 특례 편입된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말하지는 못하지만,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
 
감사합니다!
Forwarded from 루팡
TSMC 4월 실적

2024년 4월 매출: 약 NT$2,360억 2천만 (qoq +20.9% yoy +59.6%)

1월부터 4월까지의 매출: 총 NT$8,286억 7천만 달러로 2023년 같은 기간에 비해 26.2% 증가

블룸버그) TSMC, AI로 60% 점프로 4월 매출 성장 유지

TSMC는 가전제품 경기 회복의 시작과 지속적인 인공 지능 수요의 도움을 받아 4월 매출이 60% 증가한 NT$2,360억(73억 달러)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스마트폰 산업은 경쟁이 치열한 중국 시장을 포함해 올해 첫 3개월 동안 성장세를 되찾았으며 , 이로 인해 TSMC의 전통적 주력 모바일 칩에 대한 주문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05-10/tsmc-keeps-sales-growth-up-in-april-as-ai-drives-60-jump?srnd=technology-vp
Forwarded from 루팡
애플, WWDC에서 생성형 AI 기반 신제품 Siri 공개

Apple은 오늘 The New York Times가 보도한 대로 6월 WWDC에서 Siri에 대한 주요 개편을 공개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시리의 새 버전이 생성형 AI로 구동될 것이며, 이를 통해 더 많은 대화가 가능하고 더 많은 유형의 요청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Apple은 엉뚱한 ChatGPT 클론과 같은 개방형 요청에 집중하는 대신 새로운 기반을 사용하여 Siri가 타이머 설정, 미리 알림 생성 등과 같은 작업을 더 잘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10년처럼 느껴지는 시리 2를 만들기 위해 애플을 기다리고 있지만, 뉴욕 타임즈는 생성형 AI가 애플 내부의 텐트폴 프로젝트로 분류되었으며 회사는 2023년 초에 시리에게 "뇌 이식"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합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애플 임원인 크레이그 페더리기(Craig Federighi)와 존 지아난드레아(John Giannandrea)가 챗GPT를 광범위하게 테스트한 결과, 시리가 경쟁하기 위해 작동하는 방식을 점검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결정했다고 전했다.

시리(Siri)의 생성형 AI 버전은 더 많은 대화가 가능하고, 맥락을 이해하고, 더 합리적으로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버전의 Siri는 일회성 질문 및 답변 시스템으로, 종종 사용자 의도를 오해합니다.

새로운 Siri는 들어오는 문자 메시지 및 알림을 요약하는 것과 같은 작업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Apple은 명령을 클라우드로 전달하는 대신 대부분의 요청을 완전히 장치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경쟁 제품보다 접근 방식이 더 비공개임을 자랑할 것입니다.

그러나 온디바이스 시스템의 한계와 제약이 무엇인지는 두고 봐야 합니다. 또한 Apple의 모든 장치가 장치에서 대규모 언어 모델을 실행하는 데 강력한지 또는 새로운 스마트 Siri가 최신 iPhone 제품군 또는 방금 발표 된 M4 iPad Pro와 같은 강력한 칩이 장착 된 장치로 제한되는지 여부도 불분명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HomePod 또는 Apple Watch와 같은 제품이 좌초될까요?

New York Times 보고서에 따르면 Apple은 Siri 및 관련 LLM 기능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곧 출시될 iPhone 16 모델에 전원을 공급하는 칩의 RAM을 늘리고 있습니다.

애플은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AI 서버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이미 자체 애플 실리콘 칩으로 데이터 센터를 채우고 있다. 또한 일부 기능에 대한 Gemini 백엔드 라이선스를 부여하기 위해 Google과 진행 중인 협상에 대한 보고도 있었습니다.

새로운 Siri는 시스템 전반에 걸쳐 새로운 AI 기반 기능을 통합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iOS 18의 주력 변경 사항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Apple은 6월에 열리는 연례 WWDC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iOS 18 및 모든 운영 체제에 대한 업데이트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iOS 18에는 AI에 초점을 맞추는 것 외에도 홈 화면 업데이트, 디자인 조정 및 많은 핵심 앱의 새로운 기능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s://9to5mac.com/2024/05/10/apple-brand-new-siri-wwdc/
Forwarded from 루팡
-TSMC가 발표한 4월 매출이 인공지능(AI) 수요에 힘입어 전년 동기보다 6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반도체 주식 상승
(TSMC +4.53% 엔비디아는 1.27%, 마이크론은 2.91%, 브로드컴은 2.08%, ARM은 5.07% 상승)

-미시간대가 발표한 5월 소비자심리지수(예비치): 67.4 (4월 77.2에서 9.8포인트나 떨어지면서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

-1년(단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3.5%로 상승 (4월 3.2%)

미시간대 조사는 공신력이 아주 높은 데이터는 아님. (조사 대상이 600가구. 최근 조사방법을 전화에서 인터넷 설문으로 바꿔나가면서 부정적 답변이 늘어난 것)

-Fed 스피커( 매파가 많이 나온 날)

미셸 보우만 "올해 금리 인하가 보장된 것으로 보지 않는다. 금리를 내릴 준비가 되기 전에 아마도 '여러 차례' 회의가 열려야 할 것, 예상하지 못한 충격을 보게 된다면 금리를 내릴 사례가 될 것"

로리 로건 댈러스 연준 총재 "기준금리가 충분히 제약적인지 불확실하다. 금리 인하를 생각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비둘기파-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는 큰 문제는 아니다. 지금까지는 인플레이션이 3%에서 정체되어 있다는 많은 증거는 없다. 우리 정책은 상대적으로 제약적이다. 다만 인플레이션 상승이 과열을 의미한다면, Fed는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기 위해 해야 할 모든 일을 할 것"

-노바백스- 내년부터 사노피와 새로운 코로나 백신을 공동 상용화하기로 계약했다고 발표한 뒤 99% 급등 ( 코로나 수혜 퇴색으로 공매도가 몰려있던 탓에 '숏스퀴즈')

-CFRA- S&P500 지수의 연말 목표를 기존 5250에서 5610으로 상향
"전통적으로 대선이 있는 해의 괜찮은 수익률과 조만간 시작될 금리 인하 사이클의 혜택을 고려해서 8.2% 추가 상승 잠재력이 있다고 본다"

-골드만삭스 "시장 데이터를 보면 미국 증시의 유동성이 개선되고 있다는 징후가 있다"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 "올해 들어 지금까지의 성장을 고려하여, 2024년 실질 GDP 성장률 전망을 기존 1.0~1.5%에서 1.5~2.0%로 상향 조정"


다음주 일정


미국 정부- 중국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태양광 등에 대한 관세 인상 방안을 발표 가능성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는 대략 4배로 늘어날 예정-WSJ)

5월 13일: OpenAI GPT-4 업데이트 라이브스트리밍

5월 14일: 미국 4월 PPI , 파월 발언, 구글 연례개발자회의(I/O), 마이크로소프트 CEO 서밋

5월 15일: 미국 4월 CPI (컨센 yoy +3.4%) 미국 4월 소매판매

5월 16일: 미국 실업급여 청구건수, 월마트 실적(장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실적(장후)

5월 17일: 중국 산업생산, 소매판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112514i
Forwarded from Brain and Body Research
5월 10일 수출입데이터 잠정치 업로드가 끝났습니다.

반도체에서 디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낸드는 신고가에 근접했네요. SSD는 수출금액도 좋고 작년 말부터 가격도 계속 상승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소재와 부품에서는 ISC, 티에스이, 티에프이, 리노공업 등의 소켓, CMP연마재 수출이 좋았습니다. 장비에서는 인텍플러스, 고영, 펨트론 등의 검사장비 수출이 괜찮은 편입니다.

배터리에서는 차량용 2차전지, ESS의 수출금액이 감소하고 있지만 단가는 올라가고 있습니다. 개별 품목에서는 TCC스틸 등의 니켈도금강판 수출이 열흘밖에 안 됐음에도 상당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차전지용 테이프는 수출 단가가 5월 들어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바이오 헬스케어 섹터에서는 에스티팜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출 10일 치가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3월 수출이 워낙 많아서 감소한 것처럼 보이나 5월 수출도 상당할 것으로 보이네요. 보톡스, 임플란트의 일평균 수출도 소폭 증가했습니다. 제노레이의 엑스선 단층촬영기 수출금액도 4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5월 전체 수출 금액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티앤엘의 창상피복재 수출금액도 이러한 수준이 지속해서 나온다면 5월에 또다시 4월의 역대 최고치를 넘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향 수출이 계속해서 호조를 보이고 있네요.

이외에는 세아제강, 휴스틸, 넥스틸 등의 강관,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이 생산하는 H형강의 일평균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경동나비엔이 주로 수출하는 보일러 수출금액도 5월에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화학에서는 스판덱스, NB Latex 정도가 눈에 띄네요.

수입 품목에서는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수입이 열흘 만에 전달과 똑같은 수준입니다. 석유/역청유 수입도 일평균 수출금액이 증가해 5월 수출금액이 근래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월 첫 수출은 좋은 품목이 생각보다 많이 없어 보이는데요. 그래도 위에 말씀드린 품목 외에 각자 관심 있는 품목들 확인하고 2분기 실적에 대한 힌트 얻어가시기 바랍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40512_Weekly

(1) Apple이 Siri에 ChatGPT를 탑재하는 계약에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 Joe Biden 행정부가 일단 SAB 121 거부 결의안에 대해 거부권 행사 의사를 밝혔습니다.

(3) Jack Doersey가 Square 주주서한에서 BTC의 오픈 프로토콜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4)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4배 상향할 방침을 정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5) TSMC의 4월 매출액이 YoY +59.6% 증가했습니다.

(6) 미국 교도소에서 드론을 활용한 불법 배송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7) 국내 자영업자 대출이 1,113조를 기록했습니다. COVID-19 이후 +51%가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4.05.10 15:04:38
기업명: 원익QnC(시가총액: 9,069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164억(예상치 : 2,060억)
영업익 : 325억(예상치 : 192억)
순이익 : 163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1Q 2,164억/ 325억/ 163억
2023.4Q 2,022억/ 85억/ 71억
2023.3Q 1,791억/ 133억/ 6억
2023.2Q 2,027억/ 280억/ 214억
2023.1Q 2,219억/ 332억/ 21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1090039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4600
엔비디아의 재촉, 빨라진 HBM4 시대 - Hybrid bonding

삼성·SK 메모리 레이스 - 영업·마케팅 최고 경영진 총출동, 전담 조직 확장 [편집자주] 메모리 시장에 차디찬 겨울이 지나고 따사로운 봄이 찾아오고 있다. 지난해 희망의 아이콘이었던 HBM을 필두로 DDR5, eSSD 등 기존 제품까지 살아나면서다. 양강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전례 없는 불황을 겪으면서 더욱 단단해진 모양새다. 다만 이전과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SK하이닉스에 HBM 주도권을 내준 삼성전자의 압도적 선두 지위가 흔들렸기 때문이다. 올해 자존심 상한 삼성전자와 자신감 붙은 SK하이닉스 간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할 전망이다. 두 회사의 메모리 레이스를 추적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5월 08일.......

#천상천하 #jkhan012

📜📜📜본문보기📜📜📜
5월 11일(토) 미국 마감 / TSMC / 구리 / 신재생발전

다음주 물가지표를 앞둔 상황에서 특별한 이슈 없이 무난했던 하루. 그나마 TSMC의 4월 매출이 AI 수요로 YOY 60% 급증하면서 일부 반도체 종목들 상승. 특히 전날 가이던스 소폭 하향으로 시간외 급락 했던 ARM은 주가 모두 회복. 마이크론.. 삼성전자 하이닉스 얼마전에도 루머가 한번 돌았는데.. 금요일 다시 한번 장중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퀄 테스트 실패 루머가 돌면서 하이닉스는 상승 , 삼성전자는 하락 마감. 외국인의 삼성전자 수급은 지속. 만약, 엔비디아 퀄테스트가 진짜라고 가정한다 하더라도 급락할 벨류에이션은 아니라고 보여짐 올해 HBM 아니더라도 영업이익 40조 전망. 무엇보다 애플의 온비다이스AI 본격 시작으로 디램탑재.......

#버터대디 #butterdaddy

📜📜📜본문보기📜📜📜
‘하이브 분쟁’ 겪은 엔터株, 바닥 찍었나…증권가도 “비중 확대”

SM·JYP, 올 1분기 실적 부진에도 이달 6%대 상승
중장기 성장 변화 없다는 판단에 저가 매수세 유입
음반 판매량 회복·아티스트 활동으로 실적 개선 전망
증권가 ‘투자 비중 확대’ 조언…“하이브도 매수 기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737856
Forwarded from Rafiki Research
2024년 5월 1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5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가 77에서 67로 하락했습니다. 소득기대가 내렸습니다.

(2) 아이폰에 챗GDP 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미 행정부가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을 25%에서 100%로 인상할 계획입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69%p (-0.013%p)
한국 고객예탁금, 55.6조원 +1.5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3%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68.95원 (+0.9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변압기, 전선주 PER 비교

유안타증권 자료

#재콩 #jakojako

📜📜📜본문보기📜📜📜
[미래에셋 배터리 장비 박준서]
피엔티(매수/Maintain): 1분기 서프라이즈. 나혼자만 수주 잔고 2조원

1. 1Q24 Review: 영업이익 서프라이즈. 수주 2조원 달성
- 1Q24 매출액 2,045억원(+96.4% YoY), 영업이익 381억원(+120.0% YoY)로 기존 추정치 대비 -3%, +17%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 1) 마진이 좋은 대형 건의 비중이 높았고, 2) 높은 환율이 원인. 전극 공정은 프로젝트마다 커스터마이징이 필요. 이에 타 공정 대비 높은 마진이 유지되는 중. 수주 성장세도 지속되는 중. 1분기 신규 수주는 2,880억원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4.3% 성장 및 수주 잔고 2조원 기록

2. 2Q24 Preview: 높은 영업 마진 기록 전망
- 2Q24 매출액 2,003억원(+96.4% YoY), 영업이익 345억원(+110.8% YoY)으로 전망한다. 영업이익은 우호적 환율 및 대형 프로젝트 비중이 증가하며 기존 추정치 대비 소폭 개선될 것으로 추정

- 24년 매출액 1조 728억원(+96.7% YoY)과 영업이익 1,714억원(+122.8% YoY)으로 추정. 대형 프로젝트 건의 매출 인식이 지속되면서 전체 믹스 마진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 또한 높은 분기 매출 인식에도 불구하고 수주 잔고의 성장도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 최근 27년 공급계약체결 건들이 수주되고 있으며 고객사 확장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

3.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 주가 60,000원 유지
- 전체 배터리 장비 밸류체인 내에서 전극 공정 업체들을 최선호로 유지. 타 공정 업체들은 비딩과 국내 향 CR 압박이 불가피한 상황이나 전극 공정 업체들은 맞춤식 설계와 고객사 확장으로 24년 마진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 집전체(동박, 알박)의 두께는 계속 얇아지고 있고, 다양한 옵션이 추가된 장비들의 수주가 지속되는 상황. 또한 다양한 국가에서 OEM 및 신규 셀 업체들의 수요가 증가하는 중. 지연됐던 유럽 업체들의 증설이 최근 속도를 내는 상황

- 높은 실적과 수주 잔고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동사의 12MF P/E는 7.7배로 과거 4년 평균 대비 -38% 이상 낮은 위치. 하반기 이익 모멘텀 가속화 및 24년 ESS용 LFP 배터리 라인 증설 완료, 피엔티엠엔에스의 경영 정상화 및 다양한 소재 장비 개발 등 우호적인 사업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

보고서 링크: https://han.gl/gVNFc

감사합니다
Forwarded from AWAKE 플러스
📌 제이앤티씨(시가총액: 1조 83억)
📁 분기보고서 (2024.03)
2024.05.13 09:22:24 (현재가 : 17,430원, +0.81%)

잠정실적 : 2024-02-21

매출액 : 1,270억(예상치 : 1,300억/ -2%)
영업익 : 317억(예상치 : 270억+/ 17%)
순이익 : 323억(예상치 : 227억+/ 42%)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4.1Q 1,270억/ 317억/ 323억+/ 17%
2023.4Q 1,128억/ 53억/ -34억/ -59%
2023.3Q 978억/ 170억/ 181억/ +15%
2023.2Q 556억/ 41억/ 1억/ -1%
2023.1Q 573억/ 22억/ 30억/ -15%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1300003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4270
2024.05.13 10:00:21
기업명: 에이직랜드(시가총액: 6,033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
계약내용 : 주문형 반도체 설계 개발
공급지역 : 대한민국
계약금액 : 97억

계약시작 : 2024-05-13
계약종료 : 2026-06-30
계약기간 : 2년 1개월
매출대비 : 13.1%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1390011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45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