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장
2.44K subscribers
2.62K photos
12 videos
93 files
4.45K links
Disclaimer
본 채널은 특정 시점에서 참고 자료들을 바탕으로 주관이 개입되어 내용을 작성하며
- 특정 종목에 대한 매매 추천이 아닙니다.
- 기업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가 아닙니다.
- 단순 참고용이며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었을 수 있습니다.
-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채널의 내용을 주식 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향후 주가 움직임과 내용이 무관할 수 있습니다.
Download Telegram
메모장
Photo
번체자쓰는 건 대만일텐데
대만 사람이 한국 와서 시위할 확률
중국 사람이 대만 사람인 척 시위할 확률
메모장
친중 수혜주 찾기 같이 해볼사람 댓글로 ㄱ
친중 수혜주 댓글에 다같이 고민 중
신규 아이디어 절찬 환영
Forwarded from Encar1128
그냥 중국에서 대놓고 한국침략하는걸사셈
노무라증권) 25년 상반기 아시아 외환 트레이딩 전략으로 달러롱-위안화/원화숏 추천

컨빅션정도는 1~5중 4로 상당히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USDKRW페어의 목표는 1500입니다.

USD/KRW 롱 포지션 전략: 2025년 5월 말까지 1,500 타겟 (확신 수준 4/5, 손절매 2%)

우리는 2025년 2분기에 원화(KRW)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USD/KRW 롱 포지션을 추천합니다. 다음은 우리의 주요 논거입니다:
1. 대외 환경 변화로 KRW 하락 압력 증가
2025년 초 공화당 정부(트럼프 대통령) 출범 이후, 시장은 관세 및 경기부양책 가능성(특히 중국 관세 부과)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미국 금리 상승 및 강달러(USD)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대중(對中) 교역 및 금융 의존도가 높아 원화는 강달러/위안화(CNH) 약세 환경에서 큰 약세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는 2025년 2분기에 USD/CNH 환율이 7.6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KRW에 추가적인 하락 요인이 될 것입니다.

2. 한국은행(BOK)의 외환보유고 대응 여력 부족
2-A.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 적정성 비율은 IMF 모델 기준 평균 93%로 낮은 편이며, 고정환율 모델 기준으로는 73%까지 떨어집니다.
2-B.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있으며, 2024년 상반기에만 94억 달러(현물 및 선물) 순매도한 상황입니다.
2-C. 이러한 점에서 BOK가 원화 약세를 억제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됩니다.

3. USD/KRW 1,400 돌파 이후 정책 당국의 관점 변화
3-A. USD/KRW 1,400 수준의 “뉴노멀”
2024년 10월 23일, 한국 재무부 장관은 원/달러 환율 1,400이 정상적인 수준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당국이 환율 상승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3-B. KRW의 과대평가 가능성
당사 FEER(균형환율) 모델에 따르면, KRW는 현재 약간 과대평가된 상태입니다. 과거 USD/KRW가 1,400 수준이었을 때(2009년 및 2022년), FEER 모델 기준 평균 7.4%~21.9% 저평가되었습니다. 이는 현재 수준에서 추가 약세가 가능함을 시사합니다.
3-C. 서비스업을 통한 경제 성장 기대
약세 원화는 관광업 회복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한국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국민연금(NPS)의 해외 투자 헤지 유인 감소
국민연금은 약 4,430억 달러 규모의 해외 투자 중 최대 10%를 환헤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달러 환경에서는 USD 매도 헤지로 인한 손실 우려가 커져 헤지 유인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KRW 약세를 더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5. 포트폴리오 유입 약화 및 개인 자산 해외 유출 위험
5-A. 한국 주식 시장의 구조적 부담
AI 투자로 긍정적 효과가 일부 기대되지만, 중국 메모리 제품 공급 증가, 삼성 경쟁력 약화, “기업가치 제고 정책” 부진 등으로 주식 시장은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5-B. 외국인 채권 투자 지연
한국 국채(KTB)의 WGBI(세계국채지수) 편입은 2025년 11월부터 시작되며, 단계적으로 진행(총 유입 예상: 555억 달러)되므로 즉각적인 유입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5-C. 개인 해외 투자 증가
2024년 강달러 및 미국 금리 상승 환경에서, 한국 개인 투자자들은 253억 달러 규모의 해외 자산 투자를 기록했습니다(2023년: 75억 달러). 이러한 추세는 2025년 상반기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약화된 거시경제 펀더멘털
반도체 AI 투자 수혜가 일부 기대되지만, 레거시 칩 수요 약화는 한국 전체 수출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2025년 한국 GDP 성장률은 전년 대비 1.7%(2024년: 2.2%)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상반기에는 더 큰 둔화가 예상됩니다.

7.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
2024년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후 철회 사건으로 인해, 윤 대통령의 사임 또는 탄핵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투자자 신뢰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KRW 약세를 지지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R-1. 한국은행의 KRW 방어 조치 강화(예: BOK-NPS 스왑 라인 확대)
R-2. 정치적 불확실성의 조기 해소
미국경제 지표 약화 또는 2024년 12월 18일 R-3. 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
* 예상보다 큰 폭의 인하

=========================

~ Saudi Arabia is cutting oil prices for buyers in Asia by more than expected after OPEC+ further delayed an output revival, underscoring how the outlook for the market remains weak

https://finance.yahoo.com/news/saudi-arabia-cuts-oil-prices-101109960.html
Forwarded from Gromit 공부방
Forwarded from 묻따방
삼성전자 : Tp cut
바텀업으로 보던 기업이 있으면

개인적으로 봤을 때 지금부턴 사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비록 제가 국주 지수, 대형주 다 별로라 보고 있고 마침 지금 지수 하락폭이 저러지만

대형주에서 양봉으로 전환되는것들도 꽤 있는 걸 보면 누군가는 매수를 지르고있는데 (전닉, 에코프로, 네카, 변압기, 조선 등)

쟤네 왜 매수 지르냐? 생각해보면 여기서 개별 기업단에서 앞으로 악재 더 나올게 있을지를 생각해봤을 때 지금은 리스크의 피크아웃이기 때문이지 않나 싶습니다...

그러면 개별 기업에서 하락이 해봐야 몇 달 더 안 걸릴텐데 그러면 더 빼기 어려운 주가인 것들은 낚아봄직한게 아닌지 (지수, 대형주 추천이 아님)
올해 코스닥 안 해서 몰랐는데 차트가 레전드
달러 1년 수익률 10% ㅋㅋㅋㅋ
Forwarded from 실시간 주식 뉴스
금투세 폐지 예정대로…"했던 말 번복 않을 것"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47490&inflow=N
#한국공항
https://blog.naver.com/aoqek2/223687401403

오랜만에 업데이트해서 올립니다.

0. 계엄령 때문에 호텔/여행 예약 취소 땜시 주가 밀리는데 어차피 회복한다 보면 항공, 여행주들 싸게 살 기회 노려봄직 한 거 아님?의 생각

1. 시가총액 1,650억 vs 보유 단기금융상품, 현금성자산 합 1,400억 및 PER 4x

2. 합병 이벤트 가능성 있음 (미정)
Forwarded from 점프
지금 상황
12월 FOMC 금리 인하 확률 찾아보니 25bp 인하에 83.4% 걸려 있네

그래도 미국에서 금리 한 번 인하 하면 환율이 한 번 정도는 1,400으로 정상화되지 않을까 싶은데

내일 만약 금투세 폐지 확정내고, 금리 인하하면서 환 부담 좀 내려오고, 연말 양도세 이슈 지나고 하면 연초엔 좀 낫겠지 싶음 (조건이 3개인게 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