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NATO SEC. GEN. RUTTE PROPOSES ALLIES SPEND 3.5% OF GDP ON DEFENCE, AND A FURTHER 1.5% ON BROADER DEFENCE-RELATED ITEMS - PEOPLE FAMILIAR WITH THE PROPOSAL. ...
- 비국방 내려
- 전기차 내려
- 우주 올려 (NASA 과학은 내려)
- DOE 인프라투자 내려
- 유가 낮아졌다고 투자 조정할 만큼은 아냐
- NATO GDP 국방비 비율 올려
- 전기차 내려
- 우주 올려 (NASA 과학은 내려)
- DOE 인프라투자 내려
- 유가 낮아졌다고 투자 조정할 만큼은 아냐
- NATO GDP 국방비 비율 올려
Forwarded from [Macro Trend Hyott] 시황&차트 (이효민)
Nomura's McElligott, 아무도 원치 않았던 주식시장 시나리오가 일어나는 중
- 투자자들은 4월 초 'Liberation Day' 급등 랠리 이후 리스크를 줄였고, 미국 성장 둔화 및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기반한 매크로 약세 포지셔닝을 강화했으나, 지금 모든 전제가 무너지고 있음
- 이번 반등이 단순한 숏커버가 아니라, 미국 예외주의의 부활을 암시하는 상징적 움직임으로 판단중. META와 MSFT의 실적이 시장 기대를 넘어섰고, 이로 인해 Mag8 중심의 메가캡 테크가 상승의 선두에 위치. 반면, UST 금리는 하락을 지속하며 미국 성장에 대한 불안은 여전하다는 점이 이 아이러니를 극대화시키고 있음.
- 이번 랠리는 매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강제성을 띠고 있음. 포지셔닝은 낮고, 레버리지 역시 줄어든 상황에서,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은 헷지 언와인딩과 옵션 델타 헷지를 유발하기 때문.
- 최근의 실적 발표 흐름은 ‘AI Capex Bubble 붕괴’라는 내러티브가 너무 앞서갔음을 방증했음. MSFT, META, GOOGL 등 메이저 테크들이 모두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면서, Capex 전망은 오히려 높아졌고, 다시 AI 인프라 재확장에 대한 기대감을 자극하고 있음.
- 향후 미국 실물 경기 지표는 더 나빠질 것. GDP는 이미 쇼크 수준이며, 중국 제조업 지표도 관세 시행 이전부터 감소세. 유가 하락 역시 글로벌 성장 둔화를 반영중. 그럼에도 POTUS가 관세 카드를 후퇴시키면서 시장의 좌측 리스크가 축소되었고, 이는 Implied Vol과 Vol of Vol 붕괴를 유도했음.
- 다만, 이 반등은 결국 매크로에 대한 신뢰에서가 아니라, 포지션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강제적 대응이라는 점에서 위험함. 여전히 시장이 싫지만 사야만 하는 구간에 머물러 Pain Trading이 유발되었다고 봄.
- 여전히 이 랠리가 지속 불가능한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고있음. Mag8 실적 시즌이 끝나고, 옵션 만기일(5/16) 이후, 또는 실물경제의 공급 충격이 미국 소비현장에 가시화될 때, 이번 강제 랠리는 다시 약세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 이러한 징후는 이미 옵션 시장에서도 보이고 있음: SPY: 21k 규모의 522/516 풋 스프레드 매수, IWM, FXI, KWEB에도 유사한 다운사이드 헷지 수요 증가, VIX 콜옵션 복합 구조를 통한 롤링 거래 다수
- 현재의 시장은 위험자산 노출을 확대하라고 강요하고 있음. 그리고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여전히 매크로를 불신하는 중. 이처럼 싫지만 사야 하는 시장에서 스큐 재확대, 강제적 숏커버, 기계적 수급의 결합이 만들어낸 전형적인 위태로운 랠리라 판단함.
- 이러한 시점에서의 전략: 리스크 노출 확대는 방어적 헷지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며, 이 강제 랠리의 끝자락에서 변동성의 되돌림이 시작될 경우를 대비한 포지셔닝 구축이 필요
- 투자자들은 4월 초 'Liberation Day' 급등 랠리 이후 리스크를 줄였고, 미국 성장 둔화 및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기반한 매크로 약세 포지셔닝을 강화했으나, 지금 모든 전제가 무너지고 있음
- 이번 반등이 단순한 숏커버가 아니라, 미국 예외주의의 부활을 암시하는 상징적 움직임으로 판단중. META와 MSFT의 실적이 시장 기대를 넘어섰고, 이로 인해 Mag8 중심의 메가캡 테크가 상승의 선두에 위치. 반면, UST 금리는 하락을 지속하며 미국 성장에 대한 불안은 여전하다는 점이 이 아이러니를 극대화시키고 있음.
- 이번 랠리는 매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강제성을 띠고 있음. 포지셔닝은 낮고, 레버리지 역시 줄어든 상황에서,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은 헷지 언와인딩과 옵션 델타 헷지를 유발하기 때문.
- 최근의 실적 발표 흐름은 ‘AI Capex Bubble 붕괴’라는 내러티브가 너무 앞서갔음을 방증했음. MSFT, META, GOOGL 등 메이저 테크들이 모두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면서, Capex 전망은 오히려 높아졌고, 다시 AI 인프라 재확장에 대한 기대감을 자극하고 있음.
- 향후 미국 실물 경기 지표는 더 나빠질 것. GDP는 이미 쇼크 수준이며, 중국 제조업 지표도 관세 시행 이전부터 감소세. 유가 하락 역시 글로벌 성장 둔화를 반영중. 그럼에도 POTUS가 관세 카드를 후퇴시키면서 시장의 좌측 리스크가 축소되었고, 이는 Implied Vol과 Vol of Vol 붕괴를 유도했음.
- 다만, 이 반등은 결국 매크로에 대한 신뢰에서가 아니라, 포지션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강제적 대응이라는 점에서 위험함. 여전히 시장이 싫지만 사야만 하는 구간에 머물러 Pain Trading이 유발되었다고 봄.
- 여전히 이 랠리가 지속 불가능한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고있음. Mag8 실적 시즌이 끝나고, 옵션 만기일(5/16) 이후, 또는 실물경제의 공급 충격이 미국 소비현장에 가시화될 때, 이번 강제 랠리는 다시 약세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 이러한 징후는 이미 옵션 시장에서도 보이고 있음: SPY: 21k 규모의 522/516 풋 스프레드 매수, IWM, FXI, KWEB에도 유사한 다운사이드 헷지 수요 증가, VIX 콜옵션 복합 구조를 통한 롤링 거래 다수
- 현재의 시장은 위험자산 노출을 확대하라고 강요하고 있음. 그리고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여전히 매크로를 불신하는 중. 이처럼 싫지만 사야 하는 시장에서 스큐 재확대, 강제적 숏커버, 기계적 수급의 결합이 만들어낸 전형적인 위태로운 랠리라 판단함.
- 이러한 시점에서의 전략: 리스크 노출 확대는 방어적 헷지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며, 이 강제 랠리의 끝자락에서 변동성의 되돌림이 시작될 경우를 대비한 포지셔닝 구축이 필요
Forwarded from Narrative Economics
이번 반등에서 흥미로운 점: 대부분의 헤지펀드는 이번 랠리를 추격하지 않고 있습니다.
- [그림 1] 보라색: 헤지펀드 등 대형 트레이더들 자금 흐름, 하얀색: S&P500로 여전히 유의미한 매수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이들은 일단 단기 랠리를 예상 못했기 때문에 틀렸습니다. 그들은 타이밍을 놓친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편 보통 놓쳤다면 추격매수를 하는 데 FOMO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전과 같이 패시브 주도의 장기적인 강세가 아니면 헤지펀드는 성과 측면에서 항상 승리해 왔습니다. 무엇을 기다릴까요? 이미 예상되어 있는 그레이 스완일까요?
확실한 건 그들은 개인투자자들이 접근하지 못하는 파생상품으로 뒤에서 무언가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실적 시즌과 자사주 매입기간이 끝나고 고민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그 때는 곰들이 쓴 내러티브 혹은 Distressed/Opportunistic 전략 매니저들이 지배할 수도 있겠습니다.
#NARRATIVE
- [그림 1] 보라색: 헤지펀드 등 대형 트레이더들 자금 흐름, 하얀색: S&P500로 여전히 유의미한 매수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이들은 일단 단기 랠리를 예상 못했기 때문에 틀렸습니다. 그들은 타이밍을 놓친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편 보통 놓쳤다면 추격매수를 하는 데 FOMO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전과 같이 패시브 주도의 장기적인 강세가 아니면 헤지펀드는 성과 측면에서 항상 승리해 왔습니다. 무엇을 기다릴까요? 이미 예상되어 있는 그레이 스완일까요?
확실한 건 그들은 개인투자자들이 접근하지 못하는 파생상품으로 뒤에서 무언가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실적 시즌과 자사주 매입기간이 끝나고 고민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그 때는 곰들이 쓴 내러티브 혹은 Distressed/Opportunistic 전략 매니저들이 지배할 수도 있겠습니다.
#NARRATIVE
Forwarded from 커핑의 투자공부방 (커핑)
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한 주(4월25일∼5월1일) 사이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순매도액은 4억746만달러(한화 5천745억원)로 집계됐다.
직전 주(4월18∼24일)는 8억9천744만달러, 그 전주(4월11일∼17일)는 10억4천650만달러어치의 미국 주식을 순매수하며 '사자' 행진을 이어오다 순매도로 돌아선 것이다.
https://naver.me/GdyqhpgE
직전 주(4월18∼24일)는 8억9천744만달러, 그 전주(4월11일∼17일)는 10억4천650만달러어치의 미국 주식을 순매수하며 '사자' 행진을 이어오다 순매도로 돌아선 것이다.
https://naver.me/GdyqhpgE
Naver
[머니플로우] 서학개미 미국주식 매수세 꺾였나…한주간 6천억 순매도
디렉션반도체 ETF 등 빅테크 관련 종목 집중 매도…'하락 베팅' 인버스 ETF 매수 국내증시 예탁금 57조원대 '쑥'…신용융자잔고도 우상향, MMF 잔고는 감소 미국 증시 급락에도 멈추지 않던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글로벌 탑티어 고객사 안에서의 점유율은 3/4 수준까지 올라왔는데 $QCOM 다음 분기 가이던스는 시장 기대를 소폭 하회했고..
그러면 기본적으로 그 고객사의 사업에 대해 단기적으로 전망을 좋게볼 수 있나? 싶은 생각이
https://naver.me/5l7LgfLw
그러면 기본적으로 그 고객사의 사업에 대해 단기적으로 전망을 좋게볼 수 있나? 싶은 생각이
https://naver.me/5l7LgfLw
Naver
퀄컴 수장 “삼성 스마트폰 75%에 우리 AP 탑재”…속타는 엑시노스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세계적인 반도체 설계 회사 퀄컴이 삼성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공급망에서 압도적인 우위에 올라있음을 자신했다. 삼성전자(005930)의 자체 AP를 설계하는 LSI 사업부가 올 하반기 엑시노스 2500
Forwarded from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 동남아 규제 반사수혜 동남아
=========================
~ 반면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미국의 무역 장벽을 회피하려는 중국계 태양광 기업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67464?sid=104
=========================
~ 반면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미국의 무역 장벽을 회피하려는 중국계 태양광 기업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67464?sid=104
Naver
美 고율 관세에 인니, 中 태양광 기업 도피처로 떠올라
美 동남아 태양광 제품에 최고 3천500% 넘는 관세 폭탄…인니는 관세 피해 박의래 특파원 = 미국 정부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되는 중국 기업의 태양광 제품에 3천%가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인도네시아는
메모장
*OPEC+ MEMBERS AGREE 411K B/D SUPPLY INCREASE FOR JUNE: DELEGATE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