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장
ㄴ본인도 장기로는 원화 녹는다는 데 동의하나 나라 망한다며 신났다고 호들갑들을 떠는 게 참으로 꼴불견이었음.
애초에 월급으로 들어올 현금흐름 현가 합이랑 지금 시드랑 비교해서 시드가 더 큰 사람 몇 명 안 됨
그리고 해당되는 사람들 중에서 좋아하는 사람이 몇이나 됐을까 싶은데..
이거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은 다 걱정하지 않았나??? 실제로 난 ㄹㅇ 걱정했음 ㅇㅇ
그리고 해당되는 사람들 중에서 좋아하는 사람이 몇이나 됐을까 싶은데..
이거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은 다 걱정하지 않았나??? 실제로 난 ㄹㅇ 걱정했음 ㅇㅇ
메모장
$ETN 유기적 성장, 영업이익률 가이던스 - 매출 성장률 상향 (7~9% → 7.5~9.5%) - OPM 하향 (24.4~24.8% → 24.0~24.4%) 가격 올려서 관세를 고객에 전가시킨다면 딱 이런 매출 성장률, OPM 와꾸가 나오겠지 싶은데 자세한 건 컨콜 나와봐야 할듯
$ETN 전방 분위기 (2025 가정)
굿굿굿: 데이터센터 + 상업 우주
굿굿: 유틸리티 전기차 항공방산
굿: 산업시설 상업/기관
쏘쏘: 기계
배드: 주거용
굿굿굿: 데이터센터 + 상업 우주
굿굿: 유틸리티 전기차 항공방산
굿: 산업시설 상업/기관
쏘쏘: 기계
배드: 주거용
Forwarded from Walter Bloomberg
$AAPL: JEFFERIES DOWNGRADES TO UNDERPERFORM FROM HOLD - PT $170.62 (FROM $167.88)
"Apple posted 5% revenue, net profit, and EPS growth in Q2 FY25 — in line with consensus. Management expects low-to-mid single-digit growth next quarter and a $900M tariff hit. iPhone China shipments (~7M) should meet U.S. demand, but margins are under pressure. Tariff risks could grow. Downgrade to Underperform."
(@WalterBloomberg)
"Apple posted 5% revenue, net profit, and EPS growth in Q2 FY25 — in line with consensus. Management expects low-to-mid single-digit growth next quarter and a $900M tariff hit. iPhone China shipments (~7M) should meet U.S. demand, but margins are under pressure. Tariff risks could grow. Downgrade to Underperform."
(@WalterBloomberg)
Forwarded from News Feed 🇰🇷(ko)
$AAPL: 로젠블랫,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 - PT $217
"애플의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 주가를 223달러에서 217달러로 낮췄습니다. 아이폰 수요는 낮은 기대치를 상회했지만 AI 기반 성장은 가능성이 낮아 보입니다. 애플은 여전히 잘 운영되고 있지만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돌파구가 없는 제품이 부족하며, 어려운 규제 및 관세 환경에서 프리미엄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 link
"애플의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 주가를 223달러에서 217달러로 낮췄습니다. 아이폰 수요는 낮은 기대치를 상회했지만 AI 기반 성장은 가능성이 낮아 보입니다. 애플은 여전히 잘 운영되고 있지만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돌파구가 없는 제품이 부족하며, 어려운 규제 및 관세 환경에서 프리미엄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 link
솔직히 스마트폰 체인은 2010년대의 주식 아닐까 싶긴 하네오
이미 예전에 침투 끝난 성숙 시장인데 중국 VOX의 부상으로 경쟁 심화되는 구도
그나마 On-device AI라도 있어야 교체수요가 나오던 점유율을 뺐어오던 뭔가 될텐데 아직 그런 것도 아닌 거 같고 ㄹㅇ..;;
이미 예전에 침투 끝난 성숙 시장인데 중국 VOX의 부상으로 경쟁 심화되는 구도
그나마 On-device AI라도 있어야 교체수요가 나오던 점유율을 뺐어오던 뭔가 될텐데 아직 그런 것도 아닌 거 같고 ㄹㅇ..;;
Forwarded from Walter Bloomberg
$TTWO - *TAKE-TWO SINKS 16% AFTER DELAYING GRAND THEFT AUTO VI TO 2026
(@WalterBloomberg)
(@WalterBloomberg)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OPEC+ BRINGS FORWARD THE CALL TO DISCUSS JUNE OUTPUT PLANS TO MAY 3RD.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WHITE HOUSE BUDGET PROPOSAL: WOULD CUT NON-DEFENSE FY2026 SPENDING BY $163 BILLION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WHITE HOUSE BUDGET PROPOSAL: WOULD CANCEL $5.7 BILLION IN FUNDS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GRANT PROGRAMS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WHITE HOUSE BUDGET PROPOSAL: WOULD ALLOT OVER $7 BILLION TO NASA FOR LUNAR EXPLORATION, $1 BLN FOR INVESTMENTS ON MARS-FOCUSED PROGRAMS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WH BUDGET CALLS FOR ENDING BOEING SLS AFTER 3 FLIGHTS, CALLS FOR MAJOR CUTS TO NASA SCIENCE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WHITE HOUSE BUDGET PROPOSAL: WE WOULD CANCEL OVER $15 BILLION IN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ACT FUNDS FOR THE DEPARTMENT OF ENERGY.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CHEVRON: WE'RE NOT SEEING DRAMATIC OIL PRICE CHANGES TO MAKE ADJUSTMENTS. $CVX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NATO SEC. GEN. RUTTE PROPOSES ALLIES SPEND 3.5% OF GDP ON DEFENCE, AND A FURTHER 1.5% ON BROADER DEFENCE-RELATED ITEMS - PEOPLE FAMILIAR WITH THE PROPOSAL. ...
- 비국방 내려
- 전기차 내려
- 우주 올려 (NASA 과학은 내려)
- DOE 인프라투자 내려
- 유가 낮아졌다고 투자 조정할 만큼은 아냐
- NATO GDP 국방비 비율 올려
- 전기차 내려
- 우주 올려 (NASA 과학은 내려)
- DOE 인프라투자 내려
- 유가 낮아졌다고 투자 조정할 만큼은 아냐
- NATO GDP 국방비 비율 올려
Forwarded from [Macro Trend Hyott] 시황&차트 (이효민)
Nomura's McElligott, 아무도 원치 않았던 주식시장 시나리오가 일어나는 중
- 투자자들은 4월 초 'Liberation Day' 급등 랠리 이후 리스크를 줄였고, 미국 성장 둔화 및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기반한 매크로 약세 포지셔닝을 강화했으나, 지금 모든 전제가 무너지고 있음
- 이번 반등이 단순한 숏커버가 아니라, 미국 예외주의의 부활을 암시하는 상징적 움직임으로 판단중. META와 MSFT의 실적이 시장 기대를 넘어섰고, 이로 인해 Mag8 중심의 메가캡 테크가 상승의 선두에 위치. 반면, UST 금리는 하락을 지속하며 미국 성장에 대한 불안은 여전하다는 점이 이 아이러니를 극대화시키고 있음.
- 이번 랠리는 매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강제성을 띠고 있음. 포지셔닝은 낮고, 레버리지 역시 줄어든 상황에서,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은 헷지 언와인딩과 옵션 델타 헷지를 유발하기 때문.
- 최근의 실적 발표 흐름은 ‘AI Capex Bubble 붕괴’라는 내러티브가 너무 앞서갔음을 방증했음. MSFT, META, GOOGL 등 메이저 테크들이 모두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면서, Capex 전망은 오히려 높아졌고, 다시 AI 인프라 재확장에 대한 기대감을 자극하고 있음.
- 향후 미국 실물 경기 지표는 더 나빠질 것. GDP는 이미 쇼크 수준이며, 중국 제조업 지표도 관세 시행 이전부터 감소세. 유가 하락 역시 글로벌 성장 둔화를 반영중. 그럼에도 POTUS가 관세 카드를 후퇴시키면서 시장의 좌측 리스크가 축소되었고, 이는 Implied Vol과 Vol of Vol 붕괴를 유도했음.
- 다만, 이 반등은 결국 매크로에 대한 신뢰에서가 아니라, 포지션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강제적 대응이라는 점에서 위험함. 여전히 시장이 싫지만 사야만 하는 구간에 머물러 Pain Trading이 유발되었다고 봄.
- 여전히 이 랠리가 지속 불가능한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고있음. Mag8 실적 시즌이 끝나고, 옵션 만기일(5/16) 이후, 또는 실물경제의 공급 충격이 미국 소비현장에 가시화될 때, 이번 강제 랠리는 다시 약세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 이러한 징후는 이미 옵션 시장에서도 보이고 있음: SPY: 21k 규모의 522/516 풋 스프레드 매수, IWM, FXI, KWEB에도 유사한 다운사이드 헷지 수요 증가, VIX 콜옵션 복합 구조를 통한 롤링 거래 다수
- 현재의 시장은 위험자산 노출을 확대하라고 강요하고 있음. 그리고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여전히 매크로를 불신하는 중. 이처럼 싫지만 사야 하는 시장에서 스큐 재확대, 강제적 숏커버, 기계적 수급의 결합이 만들어낸 전형적인 위태로운 랠리라 판단함.
- 이러한 시점에서의 전략: 리스크 노출 확대는 방어적 헷지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며, 이 강제 랠리의 끝자락에서 변동성의 되돌림이 시작될 경우를 대비한 포지셔닝 구축이 필요
- 투자자들은 4월 초 'Liberation Day' 급등 랠리 이후 리스크를 줄였고, 미국 성장 둔화 및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기반한 매크로 약세 포지셔닝을 강화했으나, 지금 모든 전제가 무너지고 있음
- 이번 반등이 단순한 숏커버가 아니라, 미국 예외주의의 부활을 암시하는 상징적 움직임으로 판단중. META와 MSFT의 실적이 시장 기대를 넘어섰고, 이로 인해 Mag8 중심의 메가캡 테크가 상승의 선두에 위치. 반면, UST 금리는 하락을 지속하며 미국 성장에 대한 불안은 여전하다는 점이 이 아이러니를 극대화시키고 있음.
- 이번 랠리는 매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강제성을 띠고 있음. 포지셔닝은 낮고, 레버리지 역시 줄어든 상황에서,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은 헷지 언와인딩과 옵션 델타 헷지를 유발하기 때문.
- 최근의 실적 발표 흐름은 ‘AI Capex Bubble 붕괴’라는 내러티브가 너무 앞서갔음을 방증했음. MSFT, META, GOOGL 등 메이저 테크들이 모두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면서, Capex 전망은 오히려 높아졌고, 다시 AI 인프라 재확장에 대한 기대감을 자극하고 있음.
- 향후 미국 실물 경기 지표는 더 나빠질 것. GDP는 이미 쇼크 수준이며, 중국 제조업 지표도 관세 시행 이전부터 감소세. 유가 하락 역시 글로벌 성장 둔화를 반영중. 그럼에도 POTUS가 관세 카드를 후퇴시키면서 시장의 좌측 리스크가 축소되었고, 이는 Implied Vol과 Vol of Vol 붕괴를 유도했음.
- 다만, 이 반등은 결국 매크로에 대한 신뢰에서가 아니라, 포지션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강제적 대응이라는 점에서 위험함. 여전히 시장이 싫지만 사야만 하는 구간에 머물러 Pain Trading이 유발되었다고 봄.
- 여전히 이 랠리가 지속 불가능한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고있음. Mag8 실적 시즌이 끝나고, 옵션 만기일(5/16) 이후, 또는 실물경제의 공급 충격이 미국 소비현장에 가시화될 때, 이번 강제 랠리는 다시 약세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 이러한 징후는 이미 옵션 시장에서도 보이고 있음: SPY: 21k 규모의 522/516 풋 스프레드 매수, IWM, FXI, KWEB에도 유사한 다운사이드 헷지 수요 증가, VIX 콜옵션 복합 구조를 통한 롤링 거래 다수
- 현재의 시장은 위험자산 노출을 확대하라고 강요하고 있음. 그리고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여전히 매크로를 불신하는 중. 이처럼 싫지만 사야 하는 시장에서 스큐 재확대, 강제적 숏커버, 기계적 수급의 결합이 만들어낸 전형적인 위태로운 랠리라 판단함.
- 이러한 시점에서의 전략: 리스크 노출 확대는 방어적 헷지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며, 이 강제 랠리의 끝자락에서 변동성의 되돌림이 시작될 경우를 대비한 포지셔닝 구축이 필요
Forwarded from Narrative Economics
이번 반등에서 흥미로운 점: 대부분의 헤지펀드는 이번 랠리를 추격하지 않고 있습니다.
- [그림 1] 보라색: 헤지펀드 등 대형 트레이더들 자금 흐름, 하얀색: S&P500로 여전히 유의미한 매수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이들은 일단 단기 랠리를 예상 못했기 때문에 틀렸습니다. 그들은 타이밍을 놓친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편 보통 놓쳤다면 추격매수를 하는 데 FOMO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전과 같이 패시브 주도의 장기적인 강세가 아니면 헤지펀드는 성과 측면에서 항상 승리해 왔습니다. 무엇을 기다릴까요? 이미 예상되어 있는 그레이 스완일까요?
확실한 건 그들은 개인투자자들이 접근하지 못하는 파생상품으로 뒤에서 무언가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실적 시즌과 자사주 매입기간이 끝나고 고민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그 때는 곰들이 쓴 내러티브 혹은 Distressed/Opportunistic 전략 매니저들이 지배할 수도 있겠습니다.
#NARRATIVE
- [그림 1] 보라색: 헤지펀드 등 대형 트레이더들 자금 흐름, 하얀색: S&P500로 여전히 유의미한 매수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이들은 일단 단기 랠리를 예상 못했기 때문에 틀렸습니다. 그들은 타이밍을 놓친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편 보통 놓쳤다면 추격매수를 하는 데 FOMO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전과 같이 패시브 주도의 장기적인 강세가 아니면 헤지펀드는 성과 측면에서 항상 승리해 왔습니다. 무엇을 기다릴까요? 이미 예상되어 있는 그레이 스완일까요?
확실한 건 그들은 개인투자자들이 접근하지 못하는 파생상품으로 뒤에서 무언가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실적 시즌과 자사주 매입기간이 끝나고 고민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그 때는 곰들이 쓴 내러티브 혹은 Distressed/Opportunistic 전략 매니저들이 지배할 수도 있겠습니다.
#NARR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