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
[속보] 트럼프 "2∼3주 안에 對中 관세율 정할 것"…재조정 시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8204?rc=N&ntype=RANKING&sid=0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8204?rc=N&ntype=RANKING&sid=001
Naver
[속보] 트럼프 "2∼3주 안에 對中 관세율 정할 것"…재조정 시사
Forwarded from DAOL 시황 김지현 & 경제/전략 조병현
[다올 시황 김지현]
중국, 1년간 문화관광 소비 촉진 추진
4월 23일, 2025년 전국 문화관광 소비촉진 캠페인이 허난성 정저우에서 시작
문화관광부는 2025년 4월부터 2026년 3월까지 문화관광 소비를 강력히 진흥하는 데 주력
노동절, 여름휴가, 국경절, 춘절 등 중요 절기를 중심으로 전국 '메이데이' 문화관광 소비주간, 여름 문화관광 소비시즌, 국경절 문화관광 소비월, 춘절 문화관광 소비월 지정, 주요 특별 행사 개최.
각 성(자치구, 직할시)은 이 행사에 참여하고, 주말 등 시간대에 맞춰 개인화된 문화관광 소비촉진 활동을 펼칠 예정. 온라인과 오프라인, 비즈니스, 여행, 문화, 스포츠, 건강 소비의 융합, 공연, 영화, 이벤트,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여행 등 특화된 관광 모델을 홍보
👉 돈 만들기 부담스러워서 안쓰는 미국 vs 짜내서 쓰는 중국
http://www.news.cn/politics/20250423/eee091d61b8a4065ba2a1d8f29728316/c.html
중국, 1년간 문화관광 소비 촉진 추진
4월 23일, 2025년 전국 문화관광 소비촉진 캠페인이 허난성 정저우에서 시작
문화관광부는 2025년 4월부터 2026년 3월까지 문화관광 소비를 강력히 진흥하는 데 주력
노동절, 여름휴가, 국경절, 춘절 등 중요 절기를 중심으로 전국 '메이데이' 문화관광 소비주간, 여름 문화관광 소비시즌, 국경절 문화관광 소비월, 춘절 문화관광 소비월 지정, 주요 특별 행사 개최.
각 성(자치구, 직할시)은 이 행사에 참여하고, 주말 등 시간대에 맞춰 개인화된 문화관광 소비촉진 활동을 펼칠 예정. 온라인과 오프라인, 비즈니스, 여행, 문화, 스포츠, 건강 소비의 융합, 공연, 영화, 이벤트,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여행 등 특화된 관광 모델을 홍보
👉 돈 만들기 부담스러워서 안쓰는 미국 vs 짜내서 쓰는 중국
http://www.news.cn/politics/20250423/eee091d61b8a4065ba2a1d8f29728316/c.html
www.news.cn
新华社权威快报丨2025年全国文化和旅游消费促进活动启动
4月23日,2025年全国文化和旅游消费促进活动在河南郑州启动。
Forwarded from DS 양형모의 중공업/미국
# LNG선 18척 발주 가능한 미국 프로젝트 승인 임박
- Commonwealth FERC로부터 환경 재승인 한달 앞당길 것으로 요청
- FERC 승인이 6월 말에 나오면, 7~9월 내에 FID 발표 가능
- FID 발표나면 LNG선 발주 바로 가능
- 9.4MTPA 규모로 총 18척 LNG선 발주 추정
** 미국 LNG 프로젝트 특성 상 한국 조선소가 전량 수주할 것으로 기대
https://www.upstreamonline.com/lng/us-lng-project-seeks-expedited-greenlight-from-federal-regulators/2-1-1810341
- Commonwealth FERC로부터 환경 재승인 한달 앞당길 것으로 요청
- FERC 승인이 6월 말에 나오면, 7~9월 내에 FID 발표 가능
- FID 발표나면 LNG선 발주 바로 가능
- 9.4MTPA 규모로 총 18척 LNG선 발주 추정
** 미국 LNG 프로젝트 특성 상 한국 조선소가 전량 수주할 것으로 기대
https://www.upstreamonline.com/lng/us-lng-project-seeks-expedited-greenlight-from-federal-regulators/2-1-1810341
upstreamonline.com
US LNG project seeks expedited greenlight from federal regulators
Commonwealth LNG asking for FERC to shorten approval timeline by one month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CHINA COMMERCE MINISTRY: WILL INCREASE SUPPORT FOR FOREIGN TRADE COMPANIES TO EXPAND DOMESTIC SALES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TRUMP: THERE WAS A MEETING THIS MORNING WITH CHINA
- THEY HAD A MEETING THIS MORNING
- DOESN'T MATTER WHO 'THEY' IS ...
- THEY HAD A MEETING THIS MORNING
- DOESN'T MATTER WHO 'THEY' IS ...
Forwarded from KK Kontemporaries
https://www.cnbc.com/2025/04/24/amazon-and-nvidia-say-ai-data-center-demand-is-not-slowing-down-.html
SAP이 힌트를 줬는데
SAP이 힌트를 줬는데
CNBC
Amazon and Nvidia say AI data center demand is not slowing down
Recession fears and the advent of China's DeepSeek have investors questioning whether U.S. tech companies will pull back on their data center plans.
Forwarded from 주식소리통 NEO by Davidstockinfo
"美, 6월 알래스카 LNG서밋 추진…韓에 투자 공식선언 압박"
백악관 산하 에너지 지배 위원회가 한국과 일본에 알래스카산 LNG 구매 계획을 수주 내 밝히라며 압박하고 있다고 NYT가 보도했다.
440억 달러 규모의 알래스카 LNG 사업은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에너지 프로젝트로, 한국은 이를 통상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 중이다.
6월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에서 한국과 일본이 투자 의향서를 발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백악관 산하 에너지 지배 위원회가 한국과 일본에 알래스카산 LNG 구매 계획을 수주 내 밝히라며 압박하고 있다고 NYT가 보도했다.
440억 달러 규모의 알래스카 LNG 사업은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에너지 프로젝트로, 한국은 이를 통상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 중이다.
6월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에서 한국과 일본이 투자 의향서를 발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메모장
CHINA, US NOT YET IN TALKS ON TARIFFS: GUO ...
트럼프가 팩트였나봄? ㅋㅋ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29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291
중앙일보
[단독]물밑 접촉 부인하더니…中고위인사, 美재무부 직접 찾아갔다
외교 소식통은 중앙일보에 "미·중 양국의 재무부 채널이 실제로 가동되고 있다는 점은 양국 모두가 현재의 보복성 관세로 인한 국내외적 압박이 임계점에 이르렀다는 점이 확인된 의미"라며 "양측의 물밑 협상 결과에 관세 전쟁의 중대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번 관세 전쟁이 양국 정상들이 직접 등판한 자존심 싸움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일종의 ‘윈윈 구조’를 만들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며 "중국 측이 이날 미국 재무부로 직접…
Forwarded from DS 인터넷/게임 최승호
구글 1Q 실적발표
•Revenue: $90.23 billion vs. $89.12 billion, estimated
•Earnings per share: $2.81 vs. $2.01, estimated
•YouTube advertising revenue: $8.93 billion versus $8.97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Google Cloud revenue: $12.26 billion versus $12.27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Traffic acquisition costs (TAC): $13.75 billion versus $13.66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https://www.cnbc.com/2025/04/24/alphabet-googl-q1-earnings-report-2025.html
•Revenue: $90.23 billion vs. $89.12 billion, estimated
•Earnings per share: $2.81 vs. $2.01, estimated
•YouTube advertising revenue: $8.93 billion versus $8.97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Google Cloud revenue: $12.26 billion versus $12.27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Traffic acquisition costs (TAC): $13.75 billion versus $13.66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https://www.cnbc.com/2025/04/24/alphabet-googl-q1-earnings-report-2025.html
메모장
구글 1Q 실적발표 •Revenue: $90.23 billion vs. $89.12 billion, estimated •Earnings per share: $2.81 vs. $2.01, estimated •YouTube advertising revenue: $8.93 billion versus $8.97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Google Cloud revenue: $12.26 billion versus $12.27…
EPS 개쩔길래 보니까 Other 쪽에서 $11.1B 들어온게 컸네오
Forwarded from 대신증권 이지은의 인터넷/게임
Alphabet 1Q25 실적 발표
- 매출 902억 달러(YoY 12%) vs. 컨센서스 892억 달러
- 영업이익 310억 달러(YoY 20%) vs. 컨센서스 286억 달러
- EPS 2.81달러 vs. 컨센서스 2.03달러
Alphabet 1Q25 실적 발표 내용 주요 질문
1. 2분기 광고 전망 및 업황
- 1분기. 금융, 보험, 소매, 헬스케어, 여행 등이 검색 광고 견인
- 2분기는 아직 초기 단계라 불확실
- 2025년 APAC 소매업체의 면세 규정 변화로 인한 소폭의 역풍 예상
2. 상업성 쿼리 증가 요인
- AI 오버뷰가 핵심
- AI 오버뷰 사용 확대가 사용자 만족도, 검색량 상승에 기여
- 향후 제품 확대 가능성 있음
3. AI 오버뷰 사용자 및 수익화
- 모바일 AI 오버뷰 내 광고 본격 런칭
- 기존 검색 대비 수익화 수준 유사
- 이외 수치는 미공개
- 비용 효율화 방안 지속
- 기술 인프라 투자 증가에 따른 감가비 부담 있지만, 효율 통해 상쇄 중
4. Gemini 전략 및 차변화
- Gemini Live, Astra 기반 모드 등에 사용자 반응 긍정적
- 검색 쿼리 길이 2배 이상, 복잡한 질문, 제품 비교 등 가능
- Gemini 앱 채택 증가 중
5. 투자 우선순위 및 매크로 대응
- 올해 Capex 750억 달러 계획
- 구글 서비스, 클라우드, 딥마인드에 수요 대응을 위해 필요
- 팀 통합, 부동산 축소, 인건비 조정 등으로 효율석 확보
6. Gemini DAU 전략, 유투브 브랜드 광고
- Gemini 기능 강화로 사용자 증가 기대. 15억 사용자와 AI 오버뷰가 핵심
- 유투브는 코첼라 등 문화 이벤트에 브랜드 광고 활발. 쇼츠, 리빙룸 시청 등 수익 기회 영역 확대
7. 인프라 비용 상승 속 마진 방어 전략
- 감가비 전년대비 31%, 향후 더 커질 것
- 인건비 효율화 및 AI 기반 생산성 향상으로 상쇄 시도
8. Waymo 장기 전략
- 자율주행 기술을 최우선으로 개발
- 우버와 파트너십 통해, 어스틴, 아틀란타에 유료 서비스 확대
- 차량 유지, 운영 등 외부 파트너 협업도 병행
9. AI 서치(AI 오버뷰, AI 모드, Gemini 등)이 장기적으로 유지 가능?
- Gemini와 서치는 분리된 경험
- AI 오버뷰는 브로드한 사용자 대상, AI 모드는 상위 사용자 중심
10. 유투브 Direct Response 광고 성장 요인
- 쇼츠 수익화 개선
- Demand Gen, PMax(Performance Max) 등 AI 기반 광고 툴 효과
- 매출 902억 달러(YoY 12%) vs. 컨센서스 892억 달러
- 영업이익 310억 달러(YoY 20%) vs. 컨센서스 286억 달러
- EPS 2.81달러 vs. 컨센서스 2.03달러
Alphabet 1Q25 실적 발표 내용 주요 질문
1. 2분기 광고 전망 및 업황
- 1분기. 금융, 보험, 소매, 헬스케어, 여행 등이 검색 광고 견인
- 2분기는 아직 초기 단계라 불확실
- 2025년 APAC 소매업체의 면세 규정 변화로 인한 소폭의 역풍 예상
2. 상업성 쿼리 증가 요인
- AI 오버뷰가 핵심
- AI 오버뷰 사용 확대가 사용자 만족도, 검색량 상승에 기여
- 향후 제품 확대 가능성 있음
3. AI 오버뷰 사용자 및 수익화
- 모바일 AI 오버뷰 내 광고 본격 런칭
- 기존 검색 대비 수익화 수준 유사
- 이외 수치는 미공개
- 비용 효율화 방안 지속
- 기술 인프라 투자 증가에 따른 감가비 부담 있지만, 효율 통해 상쇄 중
4. Gemini 전략 및 차변화
- Gemini Live, Astra 기반 모드 등에 사용자 반응 긍정적
- 검색 쿼리 길이 2배 이상, 복잡한 질문, 제품 비교 등 가능
- Gemini 앱 채택 증가 중
5. 투자 우선순위 및 매크로 대응
- 올해 Capex 750억 달러 계획
- 구글 서비스, 클라우드, 딥마인드에 수요 대응을 위해 필요
- 팀 통합, 부동산 축소, 인건비 조정 등으로 효율석 확보
6. Gemini DAU 전략, 유투브 브랜드 광고
- Gemini 기능 강화로 사용자 증가 기대. 15억 사용자와 AI 오버뷰가 핵심
- 유투브는 코첼라 등 문화 이벤트에 브랜드 광고 활발. 쇼츠, 리빙룸 시청 등 수익 기회 영역 확대
7. 인프라 비용 상승 속 마진 방어 전략
- 감가비 전년대비 31%, 향후 더 커질 것
- 인건비 효율화 및 AI 기반 생산성 향상으로 상쇄 시도
8. Waymo 장기 전략
- 자율주행 기술을 최우선으로 개발
- 우버와 파트너십 통해, 어스틴, 아틀란타에 유료 서비스 확대
- 차량 유지, 운영 등 외부 파트너 협업도 병행
9. AI 서치(AI 오버뷰, AI 모드, Gemini 등)이 장기적으로 유지 가능?
- Gemini와 서치는 분리된 경험
- AI 오버뷰는 브로드한 사용자 대상, AI 모드는 상위 사용자 중심
10. 유투브 Direct Response 광고 성장 요인
- 쇼츠 수익화 개선
- Demand Gen, PMax(Performance Max) 등 AI 기반 광고 툴 효과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BAIDU FOUNDER HIGHLIGHTS ‘SHRINKING’ DEMAND FOR DEEPSEEK’S TEXT-BASED AI - FT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CHINA FOREIGN MINISTRY: CHINA AND US ARE NOT HAVING ANY CONSULTATIONS OR NEGOTIATIONS ...
Forwarded from Market News Feed
CHINA FOREIGN MINISTRY, ON TARIFF EXEMPTIONS ON SOME US GOODS: I'M NOT FAMILIAR WITH SPECIFICS, I REFER YOU TO COMPETENT AUTHORITIES ...
Forwarded from Live Squawk
BYD Q125 Earnings:
- Revenue: CNY170.36B (est CNY183.17B)
- R&D Expenses: CNY14.22B (est CNY13.75B)
- Net Income: CNY9.15B
- Revenue: CNY170.36B (est CNY183.17B)
- R&D Expenses: CNY14.22B (est CNY13.75B)
- Net Income: CNY9.15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