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붐온? 방붐온?
4.11K subscribers
2.53K photos
59 videos
200 files
6.55K links
몰?루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Hyunjin PARK
신한투자증권 화장품/의복 담당 박현진 입니다. 금일 화장품/의류주들 주가 창이 대체로 빨강빨강하네요, 미국 관세 상승에 대한 노이즈, 시장 우려를 좋게 해석하고자 하는 분위기가 생겨나는거 같기도 합니다.

🔜 금일 주가 상승 이유는
☑️ 1) 미국 관세 인상으로 한국 화장품의 미국/서구권 수요가 낮아지지 않을 것이다란 뷰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 2) 미국-중국 관세 폭등으로 중국산 제품 대비 한국산 제품이 가격 경쟁력 확보에 유리할 전망이며
☑️ 3) 각국의 추경 확대 기조로 내수 소비가 좋아질 것이란 뷰 확산으로 요약됩니다.

화장품사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하는 기업들이 상당수고, 일부는 1분기 실적이 에프엔가이드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 보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펌텍코리아, 에이피알, 실리콘투 등이죠.

1분기가 아니라도, 2~4분기 실적 회복 기대감을 높이는 경우가 다수 입니다. 관련기업으로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이패밀리에스씨 등이 있지요.

지난번 자료에서도 언급 드렸지만, 미국 관세 인상으로 인해 2분기 화장품 공급 계획에 변화가 있는건 아니라는게 업계 중론이다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3)에 관심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는 만큼 소비자가격에 전가될 가능성과 그로 인해 소비 경기가 나빠질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이 추경확대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가고 있어 보입니다. 일본, 한국, 중국 다 마찬가지 입니다.

내수 실적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고, 화장품/의류브랜드사에 대해 재평가 기회가 생기지 않을까해요, 물론 화장품을 수출산업이 되어 내수 의미가 크진 않지만, 의류는 아직 내수 비중이 높습니다.

제 지갑에 현금이 생긴다면, 지역화폐를 받는다면 외식비, 교육비에 먼저 지출할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 쓰고도 돈이 남으면 저가 화장품, 저가 의류 소비도 늘리지 싶어요, 그 점에서 내수소비가 하나의 테마가 될수 있다 생각합니다. 참고하세요!
상지건설(+24.88%)

❗️ 52주 신고가 돌파를 이어가는 중

거래대금 : 117억
시가총액 : 1,728억
- 현재가 : 54,200원
(2025-04-18 09:04기준)
오늘도 눈감원은???
리마인드...
2025.04.18 17:05:17
기업명: 상지건설(시가총액: 1,515억)
보고서명: 전환청구권행사

청구주식 : 2,300,000주
시총대비 : 57.76%
(주가 : 38,050원)

* 상장일 및 수량
2025-05-22 : 2,300,000주(전환가 : 5,000원)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890099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940
Forwarded from 돼지바
미췬 57%전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응 눈감원이야 안보여
이강욱 SK하이닉스 부사장은 17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한전자공학회 주최 학술행사 '인공지능(AI)을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기술 워크숍'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부사장은 SK하이닉스에서 HBM 패키징 분야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HBM4 16단까지는 기존 기술로 적층이 가능하다고 판단, 매스리플로우-몰디드언더필(MR-MUF)을 익스텐션(연장)하려고 한다”며 “20단부터는 하이브리드 본딩이 베이스(기본)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가 하반기부터 양산하는 6세대 HBM 'HBM4' 16단까지는 D램을 마이크로 범프로 연결한 뒤 빈 공간을 액상 소재로 채우는 MR-MUF 기술을 활용하지만, 20단부터는 하이브리드 본딩 도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https://www.etnews.com/20250417000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