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붐온? 방붐온?
4.11K subscribers
2.51K photos
59 videos
198 files
6.51K links
몰?루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TSMC 미국 공장, 주문 쇄도로 인해 파운드리 가격 30% 인상 예정

여러 고객사의 주문이 몰리면서 TSMC의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이 생산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파운드리 단가를 30% 인상할 예정이다.

https://news.10jqka.com.cn/20250416/c667495105.shtml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화장품 업종 최근 현황 리마인드

- 한국 화장품의 3월 누적 수출 전년대비 +12%
- (3월 누적 기준) 지역별 수출 증감률:
- 미국 +12%, 일본 +15%, 유럽 +61%, 기타지역 +37%, 중국 -19% 등
-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일본 견조한 성장세,
유럽 초강세 흐름, 중국은 역성장폭 축소 중

- 전반적으로 수출 모멘텀 여전히 견조


* 최근 주요 기업 현황 업데이트
- 에이피알:
컨센서스 상회 기대, 해외 매출 초강세에 따른 실적 호조 기대. 해외 매출 +147% 성장, 미국 +187%, 일본 +103% 성장 예상

- 아모레퍼시픽: 컨센서스 상회 예상, 북미/EMEA에서 라네즈가 고성장, 이익체력 상승 & 중국 적자 축소(예상 -100억원 → -50억원 수준), 다만 COSRX는 하회

- LG생활건강: 1Q 당사 OP 추정치 1.3천억원, 부합 전망. 면세 역성장 하나, H&B/온라인 중심 확대, 비중국 수출 확대 기조. 생활용품 수출 중심 확대, 음료는 업황 약세이나, 비용 축소를 통해 이익 안정성 높일 전망

- 실리콘투: 컨센서스 부합, 미국 지사 실적 회복 → 미국 성장세 전환(경쟁 강도는 유사하나, 전분기비 매출 확대에 따라 GPM QoQ 개선), 유럽/중동 등으로 기회 요인 확대 → 하반기 유럽/중동 매출이 미국 매출을 상회 기대

- 브이티: 1Q 당사 OP 추정치 250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2분기 부터 북미 주요 온/오프라인 채널 입점 예정, 중국 리들샷 물량 수출 본격화 예정

- 아이패밀리에스씨: 1Q 당사 OP 추정치 92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국내 H&B 매출 사상 최대 매출 기록 중이며, 수출은 2월 부터 일본/동남아/미국 등 수출 확대 추세, 3Q 미국 주요 화장품 오프라인 채널 입점 확정

- 클리오: 1Q 당사 추정치 74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국내는 H&B 채널 사상 최대 매출, 수출은 일본 중심으로 회복세 나타나고 있음. 추가로 미국/유럽 등 다양한 국가의 채널 접점 확보, 해외 매출 점진적 확대 예정

- ODM사: 국내 더블디짓 성장세 → 수출 주도 K뷰티 수주 강세 흐름 지속, 코스맥스 미드틴 성장, 한국콜마 로우틴 성장세

- 펌텍코리아: 2월 수주 ATH, 3월은 2월을 또 상회, 수주 강세 지속



***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1289

"아바코는 2025년 3월부터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BOE에 제품 공급을 예정하고 있어 본격적인 매출 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중국 비전옥스의 8.6세대 투자에 대한 공급자 선정이 예상되며, 신규 수주도 기대되고 있다."

--------

회사에서 컨펌하고 기사가 4월 15일에 나간 것일텐데
비전옥스에 대한 공급자 선정이 예상된다고 적혀져있네요
Forwarded from 루팡
팩트 시트)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 가공된 핵심 광물 및 파생 제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를 통해 국가안보와 경제 회복력 확보


미국의 핵심 광물 미래 강화: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수입된 정제 핵심 광물 및 그 파생 제품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미치는 위협에 대해 조사를 개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명령은 상무장관에게 1962년 무역확장법(Trade Expansion Act) 232조에 따라 공식 조사를 착수할 것을 지시하며, 해당 조사는 다음을 평가합니다:


공급망의 취약성

외국 시장의 왜곡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안정적이고 자립적인 국내 공급망 확보를 위한 무역 대응책 마련 여부
조사 결과는 리스크 평가 및 미국 국내 생산 강화, 외국 의존도 감소, 국가경제 및 안보 회복력 향상을 위한 권고안을 담은 보고서로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만약 상무장관이 수입 광물 제품이 미국 국가안보를 해친다고 판단하고,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결정할 경우,
그 관세율은 4월 2일 발표된 상호관세 체계를 대체하게 됩니다.



국가안보 및 경제안정에 대한 위협 대응: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핵심 광물과 파생 제품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미국의 국방력, 인프라 개발, 기술혁신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희토류를 포함한 핵심 광물은 국가안보와 경제 회복력에 필수 요소입니다.

이들 광물은 제트 엔진, 미사일 유도 시스템, 고급 컴퓨팅, 레이더, 광학, 보안 통신 장비 등 국방 산업의 핵심 부품입니다.

현재 미국은 특히 적성국에 해당하는 외국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 공급망 교란 및 경제적 압박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외국 생산자들은 다음과 같은 경제적 조작을 통해 미국을 압박해왔습니다:

가격 조작
공급 과잉
임의적 수출 제한
→ 이를 지정학적, 경제적 지렛대로 사용

특히 최근 몇 개월 간 중국은 갈륨, 저마늄, 안티모니 등 군사 응용이 가능한 고급 소재 수출을 금지했고,
이번 주에는 6종의 중(重)희토류 금속과 희토류 자석의 미국 수출도 전면 중단했습니다.
이 조치는 자동차, 항공우주, 반도체, 군수 기업의 핵심 부품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미국 산업 역량 강화:
이번 행정명령은 트럼프 행정부의 기존 무역정책과 연결되며, 미국의 장기적 이익을 지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첫 임기 첫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 무역 정책(America First Trade Policy)’을 시행

‘해방의 날’, 모든 국가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과 무역적자가 큰 국가들에 대해 개별 상호관세 체계 도입

75개국 이상이 새로운 무역 협상에 착수

중국은 보복 조치로 대응, 그 결과 미국 수출품에 최대 245%의 관세가 부과됨

철강 25%·알루미늄 25% 관세 부활

‘공정하고 상호적인 무역 계획(Fair and Reciprocal Plan)’ 발표

디지털세(DST), 과징금, 외국 규제 대응을 위한 관세 부과 가능성 검토

구리·목재 및 파생 제품 수입이 미국 경제 및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사 행정명령 서명 및 조사 착수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04/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ensures-national-security-and-economic-resilience-through-section-232-actions-on-processed-critical-minerals-and-derivative-products/
미국 반도체 장비업계, 트럼프 관세로 연간 10억 달러 손실 우려
-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KLA 등은 각각 연간 3억5천만 달러의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업계는 추산했다.
- 중소기업인 Onto Innovation 등도 수천만 달러의 비용 증가에 직면할 전망이다.
- 기존 바이든 행정부의 수출 규제에 이어 트럼프의 관세가 겹치며 수출 및 공급망 재편 비용이 가중되고 있다.
- 주요 기업들은 미국 정부와 협의하며 대응방안을 모색 중이나, 관세 구조가 복잡해 손익 예측도 어려운 상황이다.
- 업계는 대체 부품 확보 및 규정 대응 인력 채용 등 추가 비용 발생도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https://www.reuters.com/technology/us-tariffs-may-cost-chip-equipment-makers-more-than-1-billion-industry-estimates-2025-04-15/
실장이 노렸다? 아님 오해다?
Forwarded from 기업지평 넓히기
삼성전자, HBM4 로직 다이 파운드리 수율 안정… HBM 경쟁력 회복 신호탄

핵심 내용
- 삼성전자가 4nm 파운드리 공정을 적용한 HBM4 로직 다이 테스트에서 수율 40% 이상 기록
- 기존 바이두 칩 수율(10%대 중후반) 대비 큰 개선으로 양산 가능 수준 도달
- 파운드리 성능 개선 위해 신규 공정 대거 도입
- 삼성 HBM4 양산 가속화 전망, 경쟁사 SK하이닉스·마이크론과 격차 줄일 기반 마련

추가 관련 정보
- HBM4는 HBM 시리즈 최초로 로직 다이에 파운드리 공정 적용
- 파운드리 기반 로직 다이는 성능·전력·설계 유연성 측면에서 강점
-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은 TSMC 파운드리에 의존, 삼성은 자체 파운드리로 대응 가능
- 로직 다이 이후 핵심 과제는 메모리부문의 1c D램 안정화와 패키징 기술 확립
- 삼성은 TC-NCF 기반 패키징 방식 사용, 발열 통제 과제 존재
- SK하이닉스는 1b D램 기반 HBM4 12단 샘플 고객사에 제공 완료

예상 효과 및 향후 관전 포인트
- 삼성 파운드리 수율 개선은 HBM4 개발·양산 속도에 긍정적
- 자체 파운드리 보유로 커스텀 HBM 수요 대응력 강화
- HBM4 제품 경쟁력은 1c D램 양산 안정성 및 발열 해소 능력에 달림
- 향후 D램 점유율 변화 및 고성능 AI 반도체 패키지 시장 주도권 향방 주목

#HBM4 #삼성전자 #파운드리 #1cD램 #AI반도체
Forwarded from 루팡
ASML 2025년 1분기 실적

수주(Booking): 39.4억 유로 (예상: 48.2억 유로)

매출(Revenue): 77.4억 유로 (예상: 77.5억 유로)

매출총이익률(Gross Margin): 54% (예상: 52.5%)

2분기 매출 가이던스: 72억 ~ 77억 유로 (시장 예상: 76.6억 유로)
Forwarded from Brain and Body Research
中 ‘원가 공개’ 틱톡 효과 있었다…美쇼핑객들 우르르

- "美소비자, 中 전자상거래 앱 샅샅이 뒤지는 중"
- "210만원 루이비통 짝퉁 지갑 3.24달러" 한마디에
- 中쇼핑앱, 美앱스토어 2위 기염…플랫폼도 홍보 지원


블룸버그통신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소비자들이 핸드백, 요가 팬츠, 지갑 등과 같은 저렴한 상품을 찾기 위해 중국의 전자상거래 앱을 샅샅이 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57126642136776&mediaCodeNo=257&OutLnkChk=Y
트럼프 : 이게 다 바이든 때문이다.
Forwarded from 선수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몰?루 (복싱이)
https://dealsite.co.kr/articles/139914

삼성전자가 10나노급 6세대(1c) D램 재설계에 난항을 겪으면서 샘플 생산테스트가 연기됐다. 과거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도입 이후 지속돼 온 캐패시터 리키지(누설 전류) 현상을 해결하고, 수율을 높이고자 칩 사이즈를 확대했으나 여전히 뚜렷한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회사 측이 1c 공정을 기반으로 한 HBM4를 올 하반기부터 양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나, 개발 일정에 차질이 생기며 양산 시점이 다소 늦춰질 가능성도 나온다. 

재설계가 어려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1z 공정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커패시터 리키지 현상이다. 당시 삼성전자는 경쟁사 대비 EUV를 선제적으로 도입하며 D램의 핵심인 커패시터 설계를 변경했는데,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선 관계자는 "당시 삼성전자가 EUV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와 비교해 생산성 차이가 크지 않아 오히려 고정비만 크게 발생하는 결과를 낳았다"며 "이에 생산 라인에서는 '안정성보다는 생산성에 초점을 맞추자'는 판단 아래 캐패시터 길이를 늘리고 두께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말했다.
Forwarded from 선수촌
사회 경험은 알바가 전부이고, 생산적인 활동이라고는 그 알바 경험을 통한 알바 노조 생산(?)이 유일한 용혜인.

기본소득은 돈을 찍어내는 포퓰리즘의 정수이자 끝판왕.

포퓰리즘이라는 괴물을 만들고 있는 지금, 포퓰리즘의 끝판왕인 기본소득 도입이 절실하다니,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걸까..?
몇일째 이래도 눈감원은 방치 중
아직도 시총 1700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