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트리플 아이 - Insight Information Indepth
●TSMC의 COUPE 기술과 SoIC 기술의 연관성, 수혜 장비 기업
t.me/triple_stock
TSMC의 Compact Universal Photonic Engine (COUPE) 기술은 SoIC-X 칩 패키징 기술을 사용하여 전자 집적 회로(EIC)를 광 집적 회로(PIC) 위에 적층합니다.
3D SoIC는 다이렉트 본딩이라는 칩 적층 기술을 사용해 서로 다른 칩을 수직으로 통합하는 것입니다. 인터포저 없이 다이렉트 연결이 가능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이 극대화되며, 칩을 물리적으로 쌓아 공간 효율성을 개선하고 전력 소모를 줄입니다.
결국 SoIC에서 핵심은 하이브리드 본딩이 될 것입니다. 다이렉트 본딩은 두 웨이퍼 또는 칩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접합하고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이며, 하이브리드 본딩은 다이렉트 본딩에 전기적 연결을 추가한 기술입니다. 물리적 결합과 전기적 연결을 동시에 제공한다고 하여 하이브리드 본딩으로 부릅니다.
웨이퍼 또는 칩 표면에 구리와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구리와 구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합니다. 하이브리드 본딩은 기존 패키지 대비 1/10 이하인 10마이크로 수준의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하이브리드 본딩을 활용하면 범프가 없기 때문에 칩 사이즈도 감소하고 훨씬 많은 배선을 만들 수 있어 I/O 수도 증가하게 됩니다.
하이브리드 본딩은 크게 Preparation, Bonding, Annealing 세 단계로 구분됩니다.
Preparation은 서로 접착시킬 웨이퍼와 다이에 절연체와 구리배선을 증착시킵니다. 각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만드는 CMP 과정을 진행합니다. 이후 절연체 층끼리 본딩을 시키기 위해 플라즈마 활성화 처리를 하게 됩니다. 저온에서 접합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활성화가 필요하며 분자와 분자 간 접합을 위한 청결도와 표면의 평탄화 과정도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Bonding에서는 웨이퍼와 다이끼리 정렬을 시키고 온도를 올려서 플라즈마 활성화된 절연층끼리 본딩이 형성되도록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하이브리드 본더가 필요하고, 나노미터 단위의 정밀한 계측이 필요하여 전공정에 활용되는 계측 장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노 단위의 파티클을 계측하거나, 나노 단위의 웨이퍼 정렬도를 계측하거나, 특히 하이브리드 본딩에서는 웨이퍼의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Warpage를 측정하는 장비의 중요성이 높아집니다.
다음으로 Annealing에서는 접합 이후 빈틈을 메꿔주고 강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수소 어닐링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정리를 해보면, 하이브리드 본딩에서 중요해지는 장비는 하이브리드 본더, 레이저 다이싱, CMP 및 세정 장비, 어닐링 장비, 그리고 계측 장비가 있습니다.
t.me/triple_stock
TSMC의 Compact Universal Photonic Engine (COUPE) 기술은 SoIC-X 칩 패키징 기술을 사용하여 전자 집적 회로(EIC)를 광 집적 회로(PIC) 위에 적층합니다.
3D SoIC는 다이렉트 본딩이라는 칩 적층 기술을 사용해 서로 다른 칩을 수직으로 통합하는 것입니다. 인터포저 없이 다이렉트 연결이 가능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이 극대화되며, 칩을 물리적으로 쌓아 공간 효율성을 개선하고 전력 소모를 줄입니다.
결국 SoIC에서 핵심은 하이브리드 본딩이 될 것입니다. 다이렉트 본딩은 두 웨이퍼 또는 칩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접합하고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이며, 하이브리드 본딩은 다이렉트 본딩에 전기적 연결을 추가한 기술입니다. 물리적 결합과 전기적 연결을 동시에 제공한다고 하여 하이브리드 본딩으로 부릅니다.
웨이퍼 또는 칩 표면에 구리와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구리와 구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합니다. 하이브리드 본딩은 기존 패키지 대비 1/10 이하인 10마이크로 수준의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하이브리드 본딩을 활용하면 범프가 없기 때문에 칩 사이즈도 감소하고 훨씬 많은 배선을 만들 수 있어 I/O 수도 증가하게 됩니다.
하이브리드 본딩은 크게 Preparation, Bonding, Annealing 세 단계로 구분됩니다.
Preparation은 서로 접착시킬 웨이퍼와 다이에 절연체와 구리배선을 증착시킵니다. 각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만드는 CMP 과정을 진행합니다. 이후 절연체 층끼리 본딩을 시키기 위해 플라즈마 활성화 처리를 하게 됩니다. 저온에서 접합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활성화가 필요하며 분자와 분자 간 접합을 위한 청결도와 표면의 평탄화 과정도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Bonding에서는 웨이퍼와 다이끼리 정렬을 시키고 온도를 올려서 플라즈마 활성화된 절연층끼리 본딩이 형성되도록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하이브리드 본더가 필요하고, 나노미터 단위의 정밀한 계측이 필요하여 전공정에 활용되는 계측 장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노 단위의 파티클을 계측하거나, 나노 단위의 웨이퍼 정렬도를 계측하거나, 특히 하이브리드 본딩에서는 웨이퍼의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Warpage를 측정하는 장비의 중요성이 높아집니다.
다음으로 Annealing에서는 접합 이후 빈틈을 메꿔주고 강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수소 어닐링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정리를 해보면, 하이브리드 본딩에서 중요해지는 장비는 하이브리드 본더, 레이저 다이싱, CMP 및 세정 장비, 어닐링 장비, 그리고 계측 장비가 있습니다.
Telegram
트리플 아이 - Insight Information Indepth
고퀄리티 주식정보방 - Insight Information Indepth
본 채널에서 언급하는 종목들은 매수/매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 채널에서 언급된 종목은 보유 중이거나 아닐 수도 있습니다. 또한 언제든지 사전 예고없이 매수/매도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따른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본 채널의 게시물은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을 묻는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채널에서 언급하는 종목들은 매수/매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 채널에서 언급된 종목은 보유 중이거나 아닐 수도 있습니다. 또한 언제든지 사전 예고없이 매수/매도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따른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본 채널의 게시물은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을 묻는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4❤5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3646
공항 인근 지역에는 113.34㎢에 이르는 대규모 무안갯벌습지보호구역이 자리 잡고 있어서 대표적인 겨울 철새들의 도래지로 꼽힌다.
공항 인근 지역에는 113.34㎢에 이르는 대규모 무안갯벌습지보호구역이 자리 잡고 있어서 대표적인 겨울 철새들의 도래지로 꼽힌다.
중앙일보
무안공항, 조류사고 발생률 1위…'새떼 레이더 설치' 경고 있었다 | 중앙일보
29일 ‘무안 제주항공 참사’의 원인으로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조류 충돌)’가 언급되고 있는 가운데, 무안국제공항의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항공사가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 건수는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10건이었다. 전체 14개 공항의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 건수는 2019년 91건에서 지난해 130건으로 꾸준히 증가했고,…
🔥27👍8❤1👏1
Forwarded from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종합]큐로셀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자사가 개발한 CAR-T 치료제 푸보물질 '림카토주(성분 안발셀)'에 대한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30일 공시했습니다.
승인 목표 적응증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의 거대 B세포 림프종'입니다.
안발셀은 앞서 임상2상 최종 결과에서 67.1%의 완전관해율을 기록하며 뛰어난 약효와 안전성을 입증한 바 있습니다.
현재 식약처의 첨단바이오의약품 신속처리제도, 혁신제품 신속심사 제도(GIFT), 보건복지부의 허가신청-급여평가-약가협상 병행 시범사업 2호 대상 약제로 선정됐습니다. 허가가 이뤄지면, 내년 중 출시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4
승인 목표 적응증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의 거대 B세포 림프종'입니다.
안발셀은 앞서 임상2상 최종 결과에서 67.1%의 완전관해율을 기록하며 뛰어난 약효와 안전성을 입증한 바 있습니다.
현재 식약처의 첨단바이오의약품 신속처리제도, 혁신제품 신속심사 제도(GIFT), 보건복지부의 허가신청-급여평가-약가협상 병행 시범사업 2호 대상 약제로 선정됐습니다. 허가가 이뤄지면, 내년 중 출시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4
더바이오
큐로셀, 식약처에 CAR-T '안발셀' 품목허가 신청(종합)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국내 바이오기업 큐로셀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자사가 개발한 CAR-T 치료제 푸보물질 '림카토주(성분 안발셀)'에 대한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승인 목표 적응증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의 거대 B세포 림프종(LBCL)'이다. 세부적으로 △미만성 거
👍7❤1
http://m.pressian.com/pages/articles/2024123010353232388
로컬라이저(착륙 유도 안전시설)가 외벽 앞 둔덕에 설치된 데 대해서는 영국 공군 출신 항공 전문가의 인터뷰를 언급하며 "어디 국내 어느 공항에도 사실 이런 데가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왜 이런 것을(로컬라이저를 둔덕에) 설치해 놨을까 고민이 된다"고 밝혔다.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영국 <스카이뉴스>와 인터뷰에서 "무안 공항 둔덕 설치는 범죄 행위에 가깝다"며 둔덕이 사고를 키웠다고 분석했다.
로컬라이저(착륙 유도 안전시설)가 외벽 앞 둔덕에 설치된 데 대해서는 영국 공군 출신 항공 전문가의 인터뷰를 언급하며 "어디 국내 어느 공항에도 사실 이런 데가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왜 이런 것을(로컬라이저를 둔덕에) 설치해 놨을까 고민이 된다"고 밝혔다.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영국 <스카이뉴스>와 인터뷰에서 "무안 공항 둔덕 설치는 범죄 행위에 가깝다"며 둔덕이 사고를 키웠다고 분석했다.
프레시안
전문가, 제주항공 참사에 "어디도 없는 외벽 앞 둔덕, 왜 설치했나 의문"
179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 원인으로 '조류 충돌'보다는 랜딩 기어(착륙 장치)가 나오지 않아 발생한 '동체 착륙' 사고로 봐야 하며 외벽 앞 둔덕으로 다수의 인...
👍27🔥10❤5
https://www.newsque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429
국회는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공공기관/공사 기관장은 낙하산 인사를 금지하는 법안 좀 올려주세요. 최고의 전문가들이 일할 수 있게 해주세요
국회는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공공기관/공사 기관장은 낙하산 인사를 금지하는 법안 좀 올려주세요. 최고의 전문가들이 일할 수 있게 해주세요
NewsQuest
[특별기고] 낙하산 부대보다 '찐 전문가'가 필요하다
【뉴스퀘스트=이민준 전문위원】 전문가는 “어떤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분야에 종사하여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 이제까지 과거 정부는 이런 전문가들을 배제하고 낙하산 인사를 강행하며...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