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클럽
61.5K subscribers
9.87K photos
16 videos
136 files
25.3K links
공표된 증권사 자료와 전자공시, 뉴스를 올려드리는 채널입니다. 기업분석 역시 확정 공시된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올려드릴 뿐 추정과 전망은 배제되어 있으며 주식매수매도에 대한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판단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가치투자클럽의 리서치 자료를 받아보시려면 텔레그램 또는 카톡으로 요청해주세요
텔레그램 ID @orbisasset 카카오톡ID orbisasset
카페 https://cafe.naver.com/orbisasset
Download Telegram
[신한투자증권 혁신성장 백지우]

바디텍메드(206640) - 조금만 더 지켜봐주세요

▶️ 달라진 건 없다, 견고한 중장기 성장 모멘텀
- 미국 업체향 동물진단 제품 납품 논의가 길어지며 4분기 주가 변동성 확대
- OEM 납품 방식으로 결정, 계약 마무리 단계 진입, 25년 매출 가시화 시점에 주목

▶️ 3Q24 Review: 의심의 여지없는 본업 + 계획대로 진행중인 신사업
- 3Q24 매출액 376억원(+7.8% YoY), 영업이익 88억원(+0.6% YoY) 기록
- 중동, 북아프리카 매출 100억원 상회, 역대 최고치 기록. 이라크, 이집트 지역 위주 가파른 현장진단 매출 성장세
- 11월 진단기기 14종, 진단키트 142종 유럽 CE 인증 획득, 유럽 매출 비중 확대 기대

▶️ Valuation & Risk: 이제 남은건 '매출 가시화' 뿐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3,000원으로 유지
- 1) 브라질, 유럽 약국 진단 기기 시장 진출, 2) 중국 매출 확대, 3) 동물진단 시장 진출 등을 고려 P/E 13배(과거 4개년 평균 P/E 10% 할증) 적용
- 동물 진단 제품 공급 본격화 시점에 주가 재평가 가능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80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4일 7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32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애플, 폴더블 아이폰 로드맵 업데이트

<북 타입 폴더블 아이폰 2H26 출시 전망>

- 애플의 북 타입 폴더블 아이폰, 2Q26부터 양산 시작 후 2H26 출시 전망. 일부 언론에서는 클램쉘 타입의 폴더블 출시를 예상하고 있으나 1) 클램쉘 타입의 크리즈(주름)와 내구성 측면에서의 단점 2) 기존 아이폰 대비 높은 북 타입 폴더블 제품의 높은 ASP 3) 중국 시장 내 클렘쉘 대비 북 타입의 흥행 성공 등의 이유로 북 타입 폴더블 아이폰 출시 예상

- 삼성의 Z폴드보다 넓은 화면비를 가진 인폴딩 형태로 7.6~7.9인치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5.3~5.5인치 커버 디스플레이 탑재가 예상되며 LTPO, CoE, UTG 기술 적용 기대

- 2026년 세트 기준 1500만대~2,000만대 출하가 예상되며 1세대 제품의 디스플레이는 전량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할 예정. 2028년 이후에는 다수의 폴더블 스마트폰 양산 래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는 BOE의 공급망 합류 예상

- LG디스플레이의 경우 대면적 폴더블 제품(18.8인치 아이패드 추정)의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추정. 다만 OLED 탑재 아이패드의 흥행 실패로 인해 출시 시점이 지연되고 있으며 높은 가격대로 인해 출시 초기 생산량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디스플레이 패널 외 밸류체인 변화 감지>

- 기존 삼성전자 MX향 폴더블 모듈은 삼성디스플레이가 후공정까지 담당. 패널 위에 붙는 UTG, 폴더블용 보호필름과 패널 아래 붙는 메탈플레이트 공급업체를 직접 선정하여 밸류체인을 직접 관리

- 다만 애플은 1) 디스플레이 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2) 폴더블 OLED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폴더블 핵심 소재/부품 별로 자체 공급망 구성을 시도 중. 이에 따라 기존 삼성디스플레이 벤더가 아닌 다수의 중국 소재/부품 업체들의 애플 폴더블 공급망 신규 합류 예상

- 또한 주름 해결을 위해 기존 삼성전자의 Z시리즈에 사용되는 UTG가 아닌 두꺼운 유리를 사용, 접히는 부위만 식각하여 특수 Polymer 소재를 채우는 신규 기술의 탑재가 기대되었으나 양산 과정에서 이종 물질간의 접합 및 내구성 문제로 인해 1세대 제품은 기존 UTG 공법 적용 예상

- 다만 올해 출시된 갤럭시Z폴드SE 처럼 Z폴드에 사용되는 30마이크로미터(um)보다 두꺼운 형태의 UTG 적용과 보호필름 내 신규 소재 적용을 통해 주름을 최소화 할 것으로 기대

<세경하이테크 Top-Pick, 유티아이, 덕산네오룩스 관심종목으로 제시>

- 중화권 업체들의 약진 속에서 이번 애플 폴더블 공급망에 합류하는 국내 부품/소재 업체는 아직 중국 업체가 대체할 수 없는 기술력 및 원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

- 관련해서 당사 커버리지 중 최근 베트남 자회사향 자금대여 공시를 통해 신규 시설 투자를 진행한 세경하이테크 대한 탑픽 의견 유지

- 세경하이테크의 MDD 방식을 통한 BM 인쇄는 품질 및 원가 측면에서 중국 업체들보다 우수한 경쟁력을 보유. 퍼스트 벤더로의 공급망 합류가 예상되며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의 경우 보호필름으로 기존 PET(폴리에스터) → 투명 PI(폴리이미드)로 소재 변경이 검토되고 있어 단가 상승에 대한 수혜 가능성 또한 상존

- 그 외 당사 비커버리지 종목 중에는 유티아이와 덕산네오룩스의 수혜 예상. 유티아이의 경우 1세대 제품은 UTG 벤더로 중국 업체와 함께 공급망 합류가 예상되나 향후 VTG 제품으로 전환될 경우, 점유율 상승에 따른 수혜 기대.

- 또한 덕산네오룩스의 경우 애플 폴더블 내 CoE 기술 구현을 위한 블랙 PDL 확대 적용의 수혜를 기대. 그 외 인폴딩 방식의 폴더블 아이폰은 외부, 내부 디스플레이 포함 기존 아이폰 대비 면적이 2~3배 커진다는 점을 반영하면 본업에서의 실적 성장도 플러스 요인

https://vo.la/Prpnlt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04
[한투증권 김창호/최건] 자동차 산업
>> 텔레그램 링크: https://t.me/autoteamkorea
 
현대차 팰리세이드 사전계약 업데이트
 
- 사전 계약 첫날인 지난 20일 3만3천567대가 계약

- 현대차·기아 신차 중에서는 아이오닉6(3만7천446대), 기아 더 뉴 카니발(3만6천455대)에 이어 세 번째 많은 첫날 사전 계약 대수

- 6년 전 팰리세이드 첫 출시 후 사전 계약 대수(2만대)의 1.5배 상회

- 2018년 11월 팰리세이드 첫 출시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완전 변경 모델로, 차량은 올해 출시되며 하이브리드 모델과 9인승 트림이 처음 추가

- 첫날 사전 계약에서 계약자 70%가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

★ 한투 한줄 코멘트: 1) 2025년 오랫만의 신차효과가 기대. 2) 하이브리드 비중 확대 가능, 3) 내수에서는 카니발 / 북미에서는 중형급 포드 Explorer 등과 경쟁 예정
5👍4
오스테오닉 11개 분기 연속 YoY 매출 증가
👍61
선박엔진 3Q
👍152🔥1
👍5🔥2
비상
👍26🔥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