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클럽
60.2K subscribers
9.49K photos
12 videos
125 files
24.3K links
공표된 증권사 자료와 전자공시, 뉴스를 올려드리는 채널입니다. 기업분석 역시 확정 공시된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올려드릴 뿐 추정과 전망은 배제되어 있으며 주식매수매도에 대한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판단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가치투자클럽의 리서치 자료를 받아보시려면 텔레그램 또는 카톡으로 요청해주세요
텔레그램 ID @orbisasset 카카오톡ID orbisasset
카페 https://cafe.naver.com/orbisasset
Download Telegram
원익 자회사 씨엠에스랩
가치투자클럽
원익 자회사 씨엠에스랩
선스크린이 주력으로 2분기가 성수기
• SCFI : 22일 상해선물거래소 SCFI (유럽선) 1% 상승 개장
로봇 1분기 실적정리. 스맥 최근 4개 분기 합산 영업이익 223억원
와이팜 분기별 실적, 1분기 영업이익률 19.5% (작년 9.4%)
디케이티, 비수기인 1분기에 역대 영업이익 달성
Forwarded from [Macro Trend Hyott] 시황&차트 (이효민)
알루미늄 가격 23개월래 최고치 갱신

- 최대 알루미늄 생산업체 Rio Tinto, 호주 퀸즐랜드 정제소에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고장으로 알루미나 수출 계약에 대해 불가항력 선언. NatGas 공급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늦은 24년 하반기에 정상화 될 것으로 예측
Forwarded from 선수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하나증권 송선재의 자동차/로봇 News
한국단자 (025540): 전기차용 커넥터 제품들의 고성장


[하나증권 자동차 Analyst 송선재]

■전기차용 ICB 매출이 급증하는 미국 법인에 주목
한국단자공업의 1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12%/77% 증가한 3,521억원/347억원(영업이익률 9.9%, +3.7%p (YoY))을 기록했다. 한국(본사/케이이티솔루션/케이티네트워크) 매출액이 5% (YoY) 감소한 반면, 미국/폴란드 매출액은 810%/96% (YoY) 증가했다. 특히, 미국 법인은 북미 완성차 및 2차전지 생산업체들로부터 전기차용 ICB(Inter-Connect Board) 제품에 대한 대규모 수주를 받아 급성장 중이다. 멕시코 법인은 미국 법인의 생산공장이다. 미국/멕시코 매출액은 2022년 각각 68억원/18억원, 2023년 689억원/195원이었는데, 2024년 1분기 538억원/158억원으로 1개 분기의 매출액만으로 전년 연간 매출액의 78%/81%를 달성했다. 이미 받아놓은 수주 물량과 멕시코 내 2공장 증설 등을 기반으로 향후 몇 년간 고성장이 예상된다. 현재 거래 관계에 있는 고객들의 증설, 특히 멕시코 내 전기차 공장의 건설이 추가적인 기회로 될 것이다. 신규 고객들로부터의 문의도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폴란드 법인은 유럽 완성차들을 대상으로 ICB 제품을 공급하는데, 역시 유럽 내 고객들의 전기차 생산이 증가하면서 외형 성장이 진행 중이다. ICB 제품은 단가 자체가 높아 기존 커넥터 대비 수익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구리 가격의 상승은 단기 부정적. 외형 고성장으로 중장기 흡수 가능
한국단자의 매출액 대비 원재료 비율은 2023년과 2024년 1분기 각각 54%/52%였고, 원재료 중 구리 등 비철금속의 비중은 49%/66%로서 매출액 대비로는 26%/34% 비율이었다. 그런데, 최근 LME 기준 구리 가격이 단기 급등(+21% (YoY), +28% (QoQ))하면서 톤당 1만달러를 돌파하였고, 원재료 투입원가도 후행적으로 상승하면서 수익성에 부정적일 것이다. 구리 가격의 상승이 지속될 경우, 매출액 대비 원가율이 3%p~5%p 전후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원재료가의 단기 급등은 판가 전가가 어렵지만, 과거와 달리 원재료가 구매에서 달러 결제 비중을 늘리면서 상쇄시키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판가 인상 및 신제품 출시 등을 통해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무엇보다 해외 전기차용 제품군의 고성장을 통해 외형이 성장하면서 고정비 부담이 완화되는 효과에 주목한다.

■자동차의 전장화/전동화에 따른 수혜 기업
현재 주가는 P/E 8배 전후, P/B 0.7배 초반의 Valuation을 보이고 있다. 1분기 실적 호조에도 구리 가격의 상승 및 전기차 시장의 일시 둔화 등으로 이후 분기 수익성이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주가에 반영 중이다. 단기로는 구리 가격의 방향성이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2024년 외형 성장률이 9%로 높고, 주력 제품들이 자동차의 전장화/전동화와 함께 수요가 증가하고 단가도 상승할 것이며, 해외 고객사들로부터의 수주가 증가하면서 고성장이 유지될 것이라는 점에서 주가는 저평가되었다는 판단이다.

전문: https://vo.la/GDuSc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자동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2nKHlh6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덕산하이메탈(077360)
NDR Review: 반도체, 방산, 수소 모두 순항 중

덕산하이메탈 NDR 후기 공유드립니다.

NDR 핵심 포인트는 1) 본업(반도체 소재: 솔더볼, MSB, Paste) 성장 지속 2) 덕산넵코어스(방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전망 3) 에테르시티(수소, 특수가스) Type4 수소 용기 시장 진출을 통해 회사의 기업가치가 재평가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입니다

동사 별도 본업은 FC-BGA 업황이 비수기임에도 1Q24 14.7%의 이익률을 기록하며 달라진 이익 체력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국내 고객사향 DDR5 물량이 증가했고, 반도체 범핑용 Paste7 제품 매출이 신규로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에는 증설완료 및 FC-BGA 업황 회복을 통한 고부가 제품인 MSB의 공급 물량 확대, 신규 기판 소재인 Copper Post의 양산 매출 발생을 기대합니다

동사의 방산 자회사인 덕산넵코어스는 작년 이례적으로 빅배스를 진행함에 따라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올해부터는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함께 양호한 수익성 유지가 예상됩니다

마지막으로 동사가 작년 11월달에 인수한 에테르시티는 현재 공급하는 Type1 계열 용기(수소 충전소, 반도체/디스플레이/태양광용 특수가스 공정 운송 용)를 넘어 하반기 수소차용 Type4 계열 용기 시장 진출이 기대됩니다

동사가 보유한 덕산네오룩스 지분 가치(5월 22일 기준 시가총액 1조 94억원) 및 자회사들의 기업 가치를 감안 시, 동사 주가는 저평가 국면이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향후 본업 성장을 통한 HBM, 어드밴스트 패키징용 반도체 소재 업체로의 인식 제고와 자회사들의 성장을 통한 기업가치 재평가 기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s://han.gl/bUdYu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Forwarded from 탐방봇
🤖탐방봇 탐방노트 : 아이엠티(I am T), 오빠 T발 HBM이야?

SUMMARY
1. 실적 및 밸류
- 시가총액 1450억, 2024년 추정치 매출액 300억 · 영업이익 90억, P/O 16.1
- 2025년 추정치 매출액 500억 · 영업이익 150억, P/O 9.6
(매출액 증권신고서 기준)

2. 모멘텀
- HBM 수율 향상 및 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후공정 세정 장비를 개발 및 퀄 테스트 진행중
- HBM3는 마이크론에 납품중에 있으며, HBM4에는 메모리 3社에 모두 납품될 것으로 예상
- 이 외에도 TEL, 디스코, 디아이티 등의 장비와 integration한 제품 출시 가능성
- 동사의 Laser 세정 · CO2 세정 · 캐리어 웨이퍼 재생 기술 모두 반도체 공정에 상용화한 경쟁사 글로벌 전무한 상황


사업내용
1. 사업영역

- 건식 세정 기술 20여년 간 연구개발, Laser 건식 세정과 CO2 건식 세정 장비 사업 영위
- 반도체 후공정에서 사용되는 건식 세정 장비를 개발 · 판매 · 퀄 테스트 진행중에 있음

2. HBM용 웨이퍼 CO2 세정장비
- HBM 적층시 디램 사이 파티클을 제거하는 장비
- 파티클은 불량의 원인이 되며, HBM 요구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파티클 허용 크기는 10μm -> 5μm -> 1μm까지 미세해지고 있음
- 현재 마이크론에 장비 납품 완료하였으며, 2~3분기에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퀄 테스트 진행하는 것으로 추정

3. HBM용 Substrate CO2 세정장비
- 국내 D社(디아이티 추정)의 AOI 장비에 탑재하여 SK하이닉스에 납품 예정으로 추정
- HBM 수율 약 2~4% 향상 효과 기대

4. 프로브 카드 레이저 세정 장비
- TEL社의 프로브카드 스테이션에 탑재하여 TSMC 납품 협의중

5. 패키지 몰드 레이저 세정 장비
- ASML의 모회사였던 ASM은 하반기 패키징 몰드 검사장비 출시 예정
- 출시되는 ASM 장비에 아이엠티의 건식 세정 모듈 탑재하여 판매 예정

6. HBM용 캐리어 웨이퍼 재생 사업
- HBM의 두께가 더욱 얇게 요구되는데, 얇은 웨이퍼에서의 공정이 어려워 두꺼운 웨이퍼를 캐리어 웨이퍼로 붙여서 사용 후 폐기하고 있음
- 폐기되는 캐리어 웨이퍼는 약 장 당 10만원 x 월 10만장까지 사용
- 아이엠티는 캐리어 웨이퍼에 레이저 세정 및 CO2 세정을 거쳐 새 웨이퍼와 동일한 퀄리티로 재생시키는 기술 개발
- SK하이닉스 퀄 테스트 진행중이며, 상용화시 고객사는 월 100억 원의 비용 절감 가능


리스크
- HBM4에 본격 납품하는 만큼,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에 대규모 수주가 가능할 수 있음
- 생각보다 시계열이 긴 것이 아쉬운 점
- 피케홀, 제우스, 엘티씨 등 전공정 세정 기업들과 겹치는 부분이 아니니 혼동하지 말 것!


🎯총평 : EUV인줄 알았는데 T발 HBM이었다.


🤖탐방봇 평점 : 🤖🤖🤖🤖(4/5)

🤖탐방봇 텔레그램 : https://t.me/TambangVot

🤖상세내용은 블로그 확인
👉 https://blog.naver.com/learn_to_earn/223454697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