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aristimes
3.4K subscribers
27.3K photos
8 videos
78 files
11.5K links
※ 공지
본 채널은 각종 경제 및 지정학적 뉴스를 토대로, 향후 시대 흐름을 예측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필자 자신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채널입니다.
항상 가능한 한의 성실과 정확성을 추구할 것을 말씀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본 채널에서 밝혔던 / 밝히는 견해는 업데이트된 분석, 뉴스 및 향후 전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공지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Download Telegram
#노동 #침체#미국 #연준 #금리 인하 전망 보도 이어져

씨티그룹은 이날 미국의 7월 고용지표가 악화한 것과 관련해 기존 전망을 수정하고 연준이 올해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총 1.25%포인트 인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씨티그룹의 베로니카 클라크 이코노미스트와 앤드루 홀렌호스트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고용지표 발표 후 낸 보고서에서 연준이 9월 회의와 11월 회의에서 금리를 각각 50bp(1bp=0.01%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하고, 12월 회의에서도 연이어 25bp를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준은 내년에도 금리 인하를 이어가며 내년 중순까지 기준금리를 3.00∼3.25% 수준으로 내릴 것으로 씨티는 내다봤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JP모건의 마이클 페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이날 보고서에서 연준이 9월과 11월 연속해서 50bp 인하에 나서고 이후 회의 때마다 25bp 인하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나아가 연준이 9월 17∼18일로 예정된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기 전에 행동에 나서야 할 강력한 근거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올해 9월과 12월에 각각 25bp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가 이날 보고서에서 11월에도 25bp 인하가 더해질 것이라고 전망을 수정했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7월 고용 보고서가 고용시장 약화를 과대하게 포장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신중론을 유지하면서 8월 고용지표마저 악화하면 9월 50bp 인하 개연성이 커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마이클 가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9월 금리 인하 개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가펜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연준이 올해 12월에야 첫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을 고수해왔다.


월가의 떼창
#긴축불가
https://m.news.nate.com/view/20240803n04929?mid=m02&list=recent&cpcd=
그리고, #미국 #주식(슨피)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바이백) 블랙아웃 집중 기간은 7월 말까지이며, 여유롭게 봐도 8월 말부터는 자사주 환매가 돌아옵니다.

기업들이 #침체 여파로 #실적 악화에 직면에 바이백 규모를 줄이지 않는 한(실제 침체에 빠지고 1~2 분기 후에 일어남), 무지성 패시브 매수는 어쩔 수 없는 주가의 부양 요인입니다.
그러나 특이할 만한 점.

1) #주식, #암호화폐 등 대 #붕괴 에도 불구하고 견조, 심지어는 상승반전한 #중국 #주식#귀금속 + (심지어) #구리

2) 전형적인 디플레이션 #침체 분위기 속 가장 좋은 성과를 보여야 할 #미국 10년물 #국채 는 도리어 중국 장 개장 시기를 기점으로 다소 반등 전환, 현 시각 기준 -4.4bp 수준으로 #금 만한 성과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음

3) #환율(달러인덱스) 또한 2020년 코로나 대붕괴와 달리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단 '현재까지는' 달러로의 자금 회귀가 보이지 않는 모습
(엔화 탓 아니냐고 하실 수도 있으나 #유럽 유로화 또한 현재까지 달러 대비 강세입니다. #중국 위안은 말할 것도 없고)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주식이 대붕괴하고 채권이 강세를 보이긴 하지만 뜨뜻미지근한 가운데, 결국 또 다시 4월 '지금 이 순간' 모멘트와 유사하게 귀금속, 이번에는 거기에 더해 중국 주식에 시장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환율 또한 전형적인 위험회피 구도와는 달리 달러 약세로 전환되고 있고요.

주식(+코인)에 쓰나미를 일으킨 것 치고는 너무나도 좋지 않은 성과입니다.
이 정도로 시장을 흔들 것이었다면 적어도 달러인덱스라도 +1% 강세를 보였던지, 아니면 10년물 금리가 '최소' -10bp 정도는 폭락을 했었어야 합니다. 그래야 수지타산이 맞습니다.

결국 #연준 이든 #일본은행 이든 개입은 나올 겁니다.
이러한 흐름, 특히나 모든 자산이 무너지는 가운데 금과 중국 자산이 가장 좋은 성과를 보이는 것은 그들이 결단코 원하지 않는 것입니다.
골드만삭스, 향후 1년 간 #미국 #침체 확률을 10% 높여 25%로 상향개정

10%? 풉 ㅋㅋ
지난 1년 간 '현재 경기 #침체 중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트위터 공개 여론조사 그래프

침체 부정 수준이 지속 감소 중에 있음
#대중의_심리
#미국 연기금, 공개 상장 #주식 성과 대비 사모펀드(PE) 성과가 뒤쳐짐에 따라 주식 비중을 늘릴 예정
- 알래스카 주(州) 국부펀드, "만약 주식 시장이 10%, 20% 조정을 받는다면 매우 고통스럽게 될 것"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08-05/private-equity-drought-has-made-investors-more-reliant-on-stocks?utm_source=website&utm_medium=share&utm_campaign=copy

일전에 자산시장 댐 이론에서 말씀드렸듯, 지나치게 비대한 상체(금융 자산시장)와 빈약한 하체(명목 실물경제) 사이의 균형을 맞출 때(그레이트 리셋),
상체를 줄이는 것(대공황 같은 디플레이션
#침체)이 아니라 하체를 키우는 것( #인플레이션 을 통한 명목 실물경제 성장)을 골라야 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연기금 문제입니다.

국민연금, 사회보장제도 등의 주요 자금 원천은 주식 성과이며, 이 자산들은 궁극적으로 '적어도' '명목 기준으로는' 폭락해서는 절대로 안 됩니다.

그렇게 되는 순간 그 어마어마한 연금 부담은 고스란히 국가 재정의 부담으로 돌아오고, 이는 #재정적자 로 연결되어 결국 또 머니 프린팅을 불러오게 됩니다.
#긴축불가
1953년 이래 샴 리세션 지표 촉발 이후 #미국 실업률 흐름

1990년과 2003년이라는 예외를 제외하고는 시간이 지나갈 수록 지표 촉발 이래 #노동 #침체 는 더욱 악화됨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7월 누계 #중국 지방정부 특수채 발행량, 전년 비 -29% 감소

사회융자총량 및 각종 #대출 등 신용창출 지표 #침체 의 원인 중 하나
#국채
#미국 상업용 부동산(CRE) 차주에 의한 압류 건수(≒파산건수), 지속 상승 추세 유지 중

#대출 #대중의_심리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