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 코스닥벤처팀
22.2K subscribers
243 photos
1 video
137 files
5.95K links
Download Telegram
[재생에너지 / 유진투자증권 코스닥벤처팀 / 그린산업 한병화 368-6171]

★ AI, 전기차향 재생에너지 수요 급증

☞ 글로벌 전력 수요는 리먼 사태 직전인 2007년 약 2만 TWh를 기록한 후 연평균 2%의 성장을 보여옴

☞ IEA는 향후 3년간 전력 수요 증가가 연평균 3.4%로 급격히 높아질 것으로 예측

☞ AI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전기차와 히트펌프 등의 보급 확대가 주원인

☞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2019년 200TWh, 2023년 481TWh로 상승. 2023~2030년 수요 증가율 14% 예상

☞ 전기차 충전용 전력 수요는 2023년 129TWh에서 2030년 827TWh로 연평균 30% 증가 예상

☞ 데이터센터와 전기차용 전력은 재생에너지 공급이 최우선. 2024~2030년 동안 두 산업을 위해 필요한 재생에너지 설비 증가만 약 660GW 수준으로 추정

☞ 금리 하락기 진입으로 재생에너지 수익성까지 높아지는 국면. 해상풍력>육상풍력>태양광 순으로 혜택

☞ 탑픽스 1) 씨에스윈드: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단가 인상과 미국 타워 공장 수율 향상으로 이익 증가 모멘텀 커

☞ 탑픽스 2) SK오션플랜트: 국내외 해상풍력 사업 환경 개선으로 하부구조물 수주 증가세 예상

https://vo.la/YTqbSW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성일하이텍(365340. KQ) / 유진투자증권 코스닥벤처팀 / 박종선 02)368-6076]

★ 2Q24 Review: 3분기부터 실적 성장세 전환 기대

☞ 2Q24 Review: 원재료 매입 가격 상승과 높은 가격의 재고 원료 투입으로 수익률 하락

☞ 매출액 365억원, 영업손실 190억원으로, 매출액 YoY 42.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 3Q24 Preview: 연말로 갈수록 헝가리 법인 재가동 및 3공장 가동 시작으로 실적 성장세 전환 예상

☞ 목표주가 79,000원으로 하향 조정, 투자의견 BUY 유지

https://vo.la/elMGat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유럽 7월 전기차 역성장. 올 해 사상 처음 연간 판매 후퇴 가능성 커져

-JATO 데이터 7월 판매 21.3만대

-23년 7월 전기차 판매는 23.4만대

-8월부터 5개월간 평균 27만대 이상 판매해야 연간 판매 300만대 수준으로 2023년과 동일하게 됨

-중국 제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한 판매 위축이 4분기의 추가적인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

https://www.google.co.kr/amp/s/www.jato.com/resources/media-and-press-releases/bmw-tops-bev-market-in-july-amid-ev-registration-slowdown%3fhs_amp=true
미국 풍력 설치량 턴어라운드 시작, DOE

-23년 6.5GW를 저점으로 24년 8~10GW, 25년 10~18GW, 26년 15~17GW, 27년 17~19GW, 28년 19~25GW(해상풍력 운전 시점에 따른 변동성으로 레인지로 표현)

-IRA 정책 효과 시차 두고 나타나는 것
리비안 공장 내 차량 화재 발생했으나, 생산라인은 손상 없어

-일리노이 공장 내 야적장에 있던 리비안 차량 화재. 수 십대 불탄 것으로 보도

https://electrek.co/2024/08/25/no-the-rivian-factory-didnt-catch-on-fire-this-is-what-happened/
모든 리튬 배터리는 화재에 취약합니다

특정제조사와 제조 국가에 관련없이요

전기차, 자전거, 오토바이, 킥보드 등 형태와도 상관없습니다

이제 안전을 위한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합니다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운송수단의 전동화가 필요하고, 리튬 배터리가 현재로서는 중심이기 때문입니다

대충 시간가면 잊혀지겠지, 희생양 만들고 홍보강화하자... 이런식이면 배터리 산업 자체가 위기에 빠질 것입니다

한국은 불과 4~5년전만해도 글로벌 ESS 시장의 지존이었습니다. 하지만 화재가 집중되면서 이제 존재감이 없어졌습니다

실수를 되풀이하면 안됩니다

https://m.youtube.com/watch?v=8HPEl85JjZQ&pp=ygUh7Je07Y-t7KO8IOyYgeyDgSDqs7XqsJztlZwg7KSR6rWt
Xpeng도 유럽 공장 건설 부지 물색

-EU의 관세 부과 대응

-BYD, 체리, 지리의 Zeekr와 볼보, Leapmotor에 이어 중국내 생산기지를 유럽으로 확장하는 사례

-EU 당국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부과의 최종 목표는 역내 일자리 지키는 것. 중국업체들의 직접 진출로 정책 목표 달성 가능해질 것

-다만,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로 한국과 유럽같은 경쟁업체들이 누릴수 있는 혜택은 작을 것으로 판단

https://www.bnnbloomberg.ca/business/international/2024/08/26/chinas-xpeng-aims-to-manufacture-evs-in-europe-to-blunt-tariffs/
BMW, 토요타 수소 동맹 결성

-기존에는 BMW가 토요타의 수소연료전지 스택을 사용하는 정도였지만

-동맹 업그레이드를 통해 수소연료전지와 탱크 등 전 공급망으로 확대

-BMW는 iX5 수소 SUV를 개발 중으로 대량 생산 체제를 염두해 두고 토요타로부터 수소연료전지 공급망 확보를 한 것

-전기차의 니치마켓 버젼이 되겠지만 수소차도 글로벌 시장의 한 부분으로 성장하는 것은 팩트

-중국이 글로벌 수소차 시장의 선두로 부상하면서 BMW, 토요타, 혼다, 현대차 등 기존 선발 그룹외에 메르세데스,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도 움직임이 활발해 질 것

https://asia.nikkei.com/Business/Automobiles/Toyota-and-BMW-to-form-alliance-in-fuel-cell-vehicle-manufacturing
캘리포니아 해상풍력 7.6GW 확정

-전력당국 2035년까지 부유식으로 7.6GW 확보하기로

-글로벌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개화에 핵심 마중물

-한국 업체들 직수출 가능한 지역

-SK오션플랜트 수혜: 신규 야드 수주 조기에 완판 가능성 높아져

https://www.google.co.kr/amp/s/www.powerengineeringint.com/renewables/wind/cpuc-unanimously-adopts-plan-advancing-7-6-gw-of-offshore-wind/amp/
미국, 인도 태양광 강제노역 연루 조사

-중국 신장위구르 지역의 태양광 소재 사용해서 제조한 뒤 미국 수출 가능성

-인도산 태양광 패널은 2023년 23억달러 수입되었고, 올 해에는 전년 대비 수입 비중이 두 배나 증가

-미국이 중국에 이어 동남아산 수입 장벽을 세우자 인도산 패널이 대안으로 부상하며 수입 급증

-IRA로 미국 내 태양광 제조 밸류체인이 갖춰지면서 해외로부터의 수입을 급격히 줄여 나갈 것. 다음 정부에서는 현재 미국내 생산설비를 건설 중인 중국계 태양광업체들이 퇴출 타겟이 될 것으로 보여. 이미 민주, 공화 의원들이 관련 법안 준비 중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indian-solar-panels-face-us-scrutiny-possible-links-china-forced-labor-2024-08-27/
[뷰웍스(100120. KQ) / 유진투자증권 코스닥벤처팀 / 박종선 02)368-6076]

★ 2Q24 Review: 유럽 지역 판매 본격 활성화 수혜

☞ 2Q24 Review: 전분기에 이어 매출 증가세 지속, 영업이익 큰 폭 개선

☞ 매출액 542억원, 영업이익 38억원으로, 매출액 YoY 5.7% 증가, 영업이익 2,449.2% 증가

☞ 3Q24 Preview: 내년 1분기 화성사업장 생산 시설 증축 예정

☞ 목표주가 35,000원으로 하향 조정, 투자의견 BUY 유지

https://vo.la/lFRPut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상아프론테크, SDI, GM 본계약 수혜

-배터리 화재/폭발 방지 모듈인 캡아세이 SDI/GM 공장에 공급

-미국 공장 부지와 건물 구매한 상태

-국내 양산 공장에서 부분품을 만든뒤 미국 공장에서 최종 조립해서 제조원가 낮추는 방식으로 공급될 것

-SDI의 미국향 캡아세이의 사업자 중 상장업체는 1) 스텔란티스: 신흥에스이씨(메인벤더), 상아프론테크(세컨벤더) 2) GM: 상아프론테크(메인벤더), 신흥에스이씨(세컨벤더)

-상아프론테크의 GM향 캡아세이 매출은 풀가동 시 연 1,600억원 이상으로 추정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43528?sid=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