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증권 리서치 자산전략팀
4.93K subscribers
806 photos
23 files
2.32K links
Download Telegram
<<2025-03-31 국내증시 요약>>
SK증권 주식시황 조준기

📈 코스피
- 종가: 2,481.12pt (-76.86pt, -3.00%)
- 거래대금: 8.1조
- 수급: 개인 +7,899억, 외국인 -15,754억, 기관 +6,669억
- 프로그램: 전체 -10,794억, 차익 +119억, 비차익 -10,912억
- 상승/하락: 상한가 2, 상승 88, 보합 26, 하락 826, 하한가 0

📈 코스닥
- 종가: 672.85pt (-20.91pt, -3.01%)
- 거래대금: 5.0조
- 수급: 개인 +638억, 외국인 -2,150억, 기관 +1,477억
- 프로그램: 전체 -1,199억, 차익 +701억, 비차익 -1,901억
- 상승/하락: 상한가 4, 상승 213, 보합 58, 하락 1450, 하한가 1

💸 수급
- 코스피: 개인 7,899, 외국인 -15,754, 기관계 6,669 / 금융투자 5,545, 보험 145, 투신 -97, 은행 -21, 연기금 607, 국가 0, 기타법인 1,187

- 코스닥: 개인 638, 외국인 -2,150, 기관계 1,477 / 금융투자 1,918, 보험 0, 투신 10, 은행 -23, 연기금 -136, 국가 0, 기타법인 35

- 선물: 개인 2,606, 외국인 -14,046, 기관계 11,365 / 금융투자 10,424, 보험 -788, 투신 587, 은행 71, 연기금 -28, 국가 1,099, 기타법인 75

💰 FICC
- 원달러환율(USD/KRW): 1,473.40(+2.40)
- 달러인덱스(pt): 103.70(+0.29)
- 엔달러환율(USD/JPY): 149.84(+0.25)
- WTI: 69.36(-0.56, -0.80%)
- 금: 3,114.30(+23.4, 0.76%)
- 천연가스: 4.065(+0.14, 3.57%)
- 은: 34.814(-0.269, -0.77%)
- 국고채 3년(%): 3.36(-0.06)
- 회사채(무보증AA-)(%): 4.50(-0)
- 미국채 10년(%): 2.97(-0.11)
- 미국채 30년(%): 2.81(-0.05)

📊 업종
😎 수익률 상위
1. 가스유틸리티(+1.31%)
2. 비철금속(+0.48%)
3. 우주항공과국방(+0.05%)
4. 광고(-0.10%)
5. 가정용품(-0.19%)
6. 도로와철도운송(-0.19%)
7. 생물공학(-0.21%)
8. 손해보험(-0.26%)
9. 사무용전자제품(-0.40%)
10. 무선통신서비스(-0.44%)

😱 수익률 하위
1. 전기제품(-6.08%)
2. 생명과학도구및서비스(-5.37%)
3. 화학(-5.18%)
4. 건강관리기술(-5.07%)
5. 게임엔터테인먼트(-4.91%)
6. 석유와가스(-4.65%)
7. 반도체와반도체장비(-4.21%)
8. 전자장비와기기(-4.16%)
9. 에너지장비및서비스(-3.91%)
10. 철강(-3.82%)

🎈 테마
😎 수익률 상위
1. 광고(+0.37%)
2. 화이자(PFIZER)(+0.24%)
3. 코로나19(나파모스타트)(-0.01%)
4. 도시가스(-0.08%)
5. 기업인수목적회사(SPAC)(-0.18%)
6. 골프(-0.34%)
7. 렌터카(-0.42%)
8. 셰일가스(Shale Gas)(-0.49%)
9. 통신(-0.51%)
10. 코로나19(스푸트니크V)(-0.53%)

😱 수익률 하위
1. 2차전지(생산)(-6.20%)
2. 비료(-5.77%)
3. K-뉴딜지수(2차전지)(-5.77%)
4. 리튬(-5.40%)
5. 모듈러주택(-5.10%)
6. 온디바이스 AI(-5.06%)
7. 폐배터리(-4.98%)
8. 유리 기판(-4.97%)
9.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4.96%)
10. 뉴로모픽 반도체(-4.89%)

📌 종목
😎 코스피 수익률 상위
1. 윌비스(+30.00%)
2. 한솔PNS(+29.94%)
3. 제일약품(+18.45%)
4. 콜마홀딩스(+8.12%)
5. 제일파마홀딩스(+7.15%)
6. 흥국화재우(+6.52%)

😱 코스피 수익률 하위
1. 주성코퍼레이션(-17.73%)
2. 금강공업(-12.96%)
3. 대유에이텍(-12.59%)
4. 디아이씨(-10.89%)
5. 한미반도체(-10.85%)
6. 에코프로머티(-9.83%)
7. DS단석(-9.13%)
8. LS네트웍스(-8.97%)
9. 평화홀딩스(-8.89%)
10. 코스모화학(-8.77%)

😎 코스닥 수익률 상위
1. KD(+29.95%)
2. 신라섬유(+29.92%)
3. 온코닉테라퓨틱스(+29.88%)
4. 형지글로벌(+29.81%)
5. 와이즈버즈(+24.77%)
6. 형지I&C(+22.21%)
7. 디모아(+14.44%)
8. 엘컴텍(+14.43%)
9. 엑시온그룹(+13.76%)
10. 모비데이즈(+12.32%)

😱 코스닥 수익률 하위
1. 티에스넥스젠(-29.63%)
2. 이에이트(-20.88%)
3. 알엔투테크놀로지(-20.87%)
4. 스타코링크(-19.61%)
5. 소프트센우(-14.60%)
6. 아시아종묘(-14.06%)
7. 인스피언(-13.89%)
8. 케이웨더(-13.25%)
9. 효성오앤비(-13.11%)
10. 아이에스티이(-13.10%)

🏅 ETF
🤩 국내 ETF 수익률 상위
1. RISE 2차전지TOP10인버스(합성) / +6.75%
2. ACE 미국빅테크TOP7 Plus인버스(합성) / +4.69%
3. SOL 미국테크TOP10인버스(합성) / +4.32%
4. RISE 미국반도체인버스(합성 H) / +4.14%
5.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 +3.38%
6.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 / +3.34%
7. RISE 미국30년국채액티브 / +3.31%
8. KODEX 인버스 / +3.05%
9. TIGER 인버스 / +3.05%
10. ACE 인버스 / +2.99%
🛸 외국인/기관 매매 상위
(코스피)
🤑 외국인 순매수 상위
1. KODEX 200선물인버스2X(+5.77%) / 197.2억
2. 두산에너빌리티(-3.70%) / 135.6억
3. 크래프톤(-6.82%) / 123.5억
4.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1.00%) / 102.2억
5. HD한국조선해양(0.00%) / 101.3억
6. 현대모비스(-2.62%) / 97.3억
7. KODEX 인버스(+3.05%) / 88.3억
8. HD현대중공업(-0.36%) / 72.2억
9. 한미반도체(-10.85%) / 71.7억
10. 현대로템(+3.24%) / 71.3억

🤑 기관 순매수 상위
1. KODEX 200선물인버스2X(+5.77%) / 577.1억
2. LG에너지솔루션(-6.04%) / 230.4억
3. 신한지주(-1.57%) / 190.3억
4. HD현대일렉트릭(-4.26%) / 164.4억
5. 두산(-0.17%) / 157억
6. 현대차(-3.80%) / 153.5억
7. 삼양식품(+1.90%) / 128.8억
8. KT&G(-1.56%) / 124.2억
9. KODEX 인버스(+3.05%) / 84.5억
10. 삼성중공업(-2.53%) / 83.7억

😭 외국인 순매도 상위
1. SK하이닉스(-4.32%) / 1434.6억
2. 삼성전자(-3.99%) / 957.3억
3. 현대차(-3.80%) / 718.3억
4. 기아(-3.15%) / 276.2억
5. 신한지주(-1.57%) / 233.1억
6. 삼성SDI(-5.47%) / 183.6억
7. 두산(-0.17%) / 158.6억
8. 삼성전자우(-4.84%) / 157.2억
9. 아모레퍼시픽(-2.97%) / 156.7억
1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48%) / 152.7억

😭 기관 순매도 상위
1. KODEX 레버리지(-5.62%) / 1381억
2. 삼성전자(-3.99%) / 810.2억
3.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5.67%) / 747.7억
4. KODEX 200(-2.81%) / 211.1억
5. 유한양행(-4.21%) / 141.5억
6. 한미반도체(-10.85%) / 130.6억
7.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1.00%) / 117.7억
8.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2.62%) / 114.6억
9. 고려아연(+1.57%) / 114.6억
10. TIGER 미국S&P500(-2.43%) / 91.7억

(코스닥)
🤑 외국인 순매수 상위
1. 리가켐바이오(+0.85%) / 43.8억
2. ISC(-6.33%) / 42.9억
3. 주성엔지니어링(-1.55%) / 42.9억
4. 비에이치아이(-0.98%) / 42.4억
5. 필옵틱스(-3.62%) / 36.3억
6. 동진쎄미켐(-2.83%) / 28.7억
7. 펩트론(+0.22%) / 25억
8. 엔켐(-9.43%) / 24.9억
9. 지아이이노베이션(-3.14%) / 22.8억
10. 원익홀딩스(-1.69%) / 21.2억

🤑 기관 순매수 상위
1. 노머스(+0.95%) / 50.7억
2. HLB(-3.67%) / 26.7억
3. 휴젤(0.00%) / 26.5억
4. 오름테라퓨틱(-6.88%) / 26.1억
5. 큐브엔터(-5.96%) / 25.1억
6. 에코프로(-12.59%) / 21.3억
7. 코스메카코리아(-2.15%) / 21억
8. 에스엠(+0.28%) / 19.1억
9. 파마리서치(-1.63%) / 18억
10. 넥스트바이오메디컬(-6.20%) / 16.9억

😭 외국인 순매도 상위
1. HLB(-3.67%) / 217.1억
2. 알테오젠(+0.99%) / 176.7억
3. 에코프로비엠(-7.05%) / 66.9억
4. 삼천당제약(-2.37%) / 54.8억
5. HLB테라퓨틱스(-6.38%) / 36.8억
6. 네이처셀(+1.79%) / 32.2억
7. 고영(-3.00%) / 29.7억
8. 티엑스알로보틱스(+6.19%) / 29.2억
9. 큐브엔터(-5.96%) / 27.7억
10. JYP Ent.(-3.43%) / 27.3억

😭 기관 순매도 상위
1. 에코프로비엠(-7.05%) / 81.6억
2. 동진쎄미켐(-2.83%) / 56억
3. ISC(-6.33%) / 47.4억
4. 주성엔지니어링(-1.55%) / 31.3억
5. 우양에이치씨(-6.50%) / 29.2억
6. 코오롱티슈진(-7.26%) / 24.3억
7. 오스코텍(+3.26%) / 23.4억
8. 아이패밀리에스씨(-2.96%) / 22.2억
9. 보로노이(-2.03%) / 22.2억
10. 비에이치아이(-0.98%) / 20.3억


* 위 내용은 금융시장 관련 단순 데이터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2025-03-31 미국증시 요약>>

SK증권 주식시황 조준기

📈 인덱스

🗽 미국
다우존스: 42001.76(+1.00%)
S&P 500: 5611.85(+0.55%)
나스닥종합: 17299.29(-0.14%)
러셀2000: 2011.91(-0.56%)
VIX: 22.28(+2.91%)

🛕 유럽
유로스톡스50: 5248.39(-1.56%)
FTSE 100: 8582.81(-0.88%)
DAX: 22163.49(-1.33%)
CAC 40: 7790.71(-1.58%)

🐯 한국
미국 상장 한국 ETF(EWY): 54.04(-1.37%)

💰 FICC

📜 금리
미국채 2년물: 3.89%(-0.02)
미국채 10년물: 4.25%(-0.01)
미국채 30년물: 4.61%(-0.02)

💲 환율 및 암호화폐
달러인덱스: 104.17pt(+0.13%)
USD/KRW: 1472.03(+0.69%)
USD/JPY: 149.93(-0.61%)
USD/CNY: 7.26(+1.60%)
EUR/USD: 1.08(+0.20%)
GBP/USD: 1.29(-0.27%)
비트코인: 82623.80(+0.35%)
이더리움: 1825.11(+1.05%)

🍇 원자재
WTI: 71.40(+2.94%)
천연가스: 4.13(+1.65%)
가솔린: 2.29(+2.29%)
금: 3130.90(+1.44%)
은: 34.76(+0.35%)
구리: 5.05(-1.17%)

👓 스타일
전세계: +0.11%
미국 전체: +0.52%
미국 제외 글로벌: -0.66%
선진국: -0.80%
신흥국: -0.11%
대형주: +0.61%
중형주: +0.58%
소형주: +0.05%
대형 성장: +0.11%
대형 가치: +1.12%
중형 성장: +0.92%
중형 가치: +0.22%
소형 성장: -0.47%
소형 가치: +0.38%
모멘텀: +0.23%
퀄리티: +0.51%
로우볼: +0.93%
고배당: +1.11%

📊 업종

📟 섹터

부동산: +1.69%
필수소비재: +1.63%
금융: +1.25%
에너지: +1.07%
소재: +1.07%
유틸리티: +1.06%
헬스케어: +0.90%
산업재: +0.64%
통신서비스: +0.24%
IT: +0.03%
임의소비재: -0.18%

📚 세부업종

😎 Top Gainers
1. 소비자 금융: +2.70%
2. 담배: +2.57%
3. 전문 소매: +2.18%
4. IT 서비스: +1.81%
5. 상업 서비스 및 용품: +1.64%
6. 레저용품: +1.50%
7. 금융 서비스: +1.48%
8. 헬스케어 장비 및 용품: +1.42%
9. 복합 유틸리티: +1.30%
10. 가정 용품: +1.28%

😱 Top Losers
1. 자동차 부품: -1.80%
2. 자동차: -1.31%
3.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0.78%
4. 여객 항공사: -0.77%
5. 소프트웨어: -0.71%
6. 전자 장비·기기 및 부품: -0.56%
7. 금속 및 광업: -0.51%
8. 섬유·의류 및 명품: -0.42%
9. 건설 및 엔지니어링: -0.04%
10. 건설자재: +0.09%

🎈 테마(ETF)

😎 Top Gainers
1. 주택건설 (ITB): +0.89%
2. 그린 인프라 (RNEW): +0.85%
3. 중국 친환경 (KGRN): +0.75%
4. 저탄소 (USCA): +0.52%
5. E커머스 (EBIZ): +0.39%
6. 밀레니얼 소비자 (MILN): +0.37%
7. 글로벌 인프라 (IGF): +0.37%
8. 물 (PHO): +0.36%
9. 텔레콤 (IYZ): +0.33%
10. 미국 인프라 (PAVE): +0.32%

😱 Top Losers
1. 게놈혁명 (ARKG): -3.67%
2. 디지털 전환 (DAPP): -3.22%
3. 블록체인 (BKCH): -2.91%
4. 비트코인 채굴 (WGMI): -2.74%
5. ARKK (ARKK): -2.30%
6. 수소 (HYDR): -2.07%
7. 핀테크 (ARKF): -1.89%
8. 태양광 (TAN): -1.77%
9. 게임 (ESPO): -1.66%
10. 리튬/배터리 (LIT): -1.45%


📌 종목
(😲 거래상위)
1. NVIDIA Corporation (NVDA) (-1.18%)
2. Ford Motor Company (F) (+3.19%)
3. Tesla, Inc. (TSLA) (-1.67%)
4. Palantir Technologies Inc. (PLTR) (-1.69%)
5. Lucid Group, Inc. (LCID) (+4.31%)
6. Nu Holdings Ltd. (NU) (-1.06%)
7. NIO Inc. (NIO) (+1.60%)
8. SoFi Technologies, Inc. (SOFI) (-1.86%)
9. American Airlines Group Inc. (AAL) (-1.40%)
10. Intel Corporation (INTC) (0.00%)

(😆 거래급증)
1. Newsmax, Inc. (NMAX) (+735.10%)
2. iCoreConnect Inc. (ICCT) (+685.96%)
3. Corcept Therapeutics Incorporated (CORT) (+109.08%)
4. Moderna, Inc. (MRNA) (-8.90%)
5. Gorilla Technology Group Inc. (GRRR) (+18.21%)
6. Mr. Cooper Group Inc. (COOP) (+14.46%)
7. PVH Corp. (PVH) (-0.08%)
8. Vaxcyte, Inc. (PCVX) (-45.64%)
9. Rocket Companies, Inc. (RKT) (-7.37%)
10. NVIDIA Corporation (NVDA) (-1.18%)

(🤑 수익률 상위)
1. Corcept Therapeutics Incorporated (CORT) (+109.08%)
2. MicroAlgo Inc. (MLGO) (+39.77%)
3. Mr. Cooper Group Inc. (COOP) (+14.46%)
4. Verra Mobility Corporation (VRRM) (+11.49%)
5. TechnoPro Holdings, Inc. (TXHPF) (+11.31%)
6.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UMC) (+9.16%)
7. Discover Financial Services (DFS) (+7.54%)
8. Loar Holdings Inc. (LOAR) (+7.09%)
9. Celsius Holdings, Inc. (CELH) (+5.85%)
10. XPeng Inc. (XPEV) (+5.18%)

(😭 수익률 하위)
1. Vaxcyte, Inc. (PCVX) (-45.64%)
2. Biohaven Ltd. (BHVN) (-13.06%)
3. Tonix Pharmaceuticals Holding Corp. (TNXP) (-11.38%)
4. Apellis Pharmaceuticals, Inc. (APLS) (-9.89%)
5. Sarepta Therapeutics, Inc. (SRPT) (-9.36%)
6. Recursion Pharmaceuticals, Inc. (RXRX) (-8.95%)
7. Moderna, Inc. (MRNA) (-8.90%)
8. Galaxy Digital Holdings Ltd. (BRPHF) (-8.19%)
9. CRISPR Therapeutics AG (CRSP) (-8.00%)
10. SSR Mining Inc. (SSRM) (-7.81%)


* 위 내용은 금융시장 관련 단순 데이터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2025-04-01 국내증시 요약>>
SK증권 주식시황 조준기

📈 코스피
- 종가: 2,521.39pt (+40.27pt, +1.62%)
- 거래대금: 6.9조
- 수급: 개인 +861억, 외국인 -3,898억, 기관 +1,810억
- 프로그램: 전체 -2,427억, 차익 +4억, 비차익 -2,431억
- 상승/하락: 상한가 6, 상승 716, 보합 41, 하락 182, 하한가 0

📈 코스닥
- 종가: 691.45pt (+18.60pt, +2.76%)
- 거래대금: 5.3조
- 수급: 개인 -1,687억, 외국인 -54억, 기관 +1,767억
- 프로그램: 전체 +897억, 차익 +687억, 비차익 +210억
- 상승/하락: 상한가 7, 상승 1419, 보합 69, 하락 232, 하한가 0

💸 수급
- 코스피: 개인 861, 외국인 -3,898, 기관계 1,810 / 금융투자 -73, 보험 180, 투신 288, 은행 8, 연기금 774, 국가 0, 기타법인 1,227

- 코스닥: 개인 -1,687, 외국인 -54, 기관계 1,767 / 금융투자 1,526, 보험 11, 투신 -19, 은행 1, 연기금 112, 국가 0, 기타법인 -26

- 선물: 개인 -3,765, 외국인 1,762, 기관계 2,517 / 금융투자 2,049, 보험 54, 투신 377, 은행 58, 연기금 28, 국가 -49, 기타법인 -514

💰 FICC
- 원달러환율(USD/KRW): 1,471.20(+2.80)
- 달러인덱스(pt): 103.88(+0.18)
- 엔달러환율(USD/JPY): 149.55(+0.29)
- WTI: 71.48(+2.12, 3.06%)
- 금: 3,150.30(+36, 1.16%)
- 천연가스: 4.119(+0.054, 1.33%)
- 은: 34.611(-0.203, -0.58%)
- 국고채 3년(%): 3.36(-0.06)
- 회사채(무보증AA-)(%): 4.50(-0)
- 미국채 10년(%): 2.97(-0.11)
- 미국채 30년(%): 2.81(-0.05)

📊 업종
😎 수익률 상위
1. 컴퓨터와주변기기(+9.33%)
2. 인터넷과카탈로그소매(+6.69%)
3. 우주항공과국방(+5.89%)
4. 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4.73%)
5. 에너지장비및서비스(+4.73%)
6. 해운사(+4.51%)
7. 생물공학(+4.45%)
8. 판매업체(+4.04%)
9. 건축제품(+3.95%)
10. 교육서비스(+3.92%)

😱 수익률 하위
1. 복합유틸리티(-4.74%)
2. 다각화된통신서비스(-1.80%)
3. 백화점과일반상점(-1.72%)
4. 전기유틸리티(-0.94%)
5. 전기제품(-0.86%)
6. 무역회사와판매업체(-0.85%)
7. 비철금속(-0.23%)
8. 석유와가스(-0.18%)
9. 항공사(-0.17%)
10. 무선통신서비스(-0.12%)

🎈 테마
😎 수익률 상위
1. 일자리(취업)(+8.11%)
2. 제4이동통신(+7.13%)
3. LCD BLU제조(+6.91%)
4. 선박평형수 처리장치(+6.69%)
5. 미디어(방송/신문)(+6.42%)
6. 초전도체(+5.81%)
7. 출산장려정책(+5.80%)
8. 인터넷 대표주(+5.46%)
9. 테마파크(+5.40%)
10. 창투사(+4.93%)

😱 수익률 하위
1. 편의점(-1.39%)
2. 통신(-0.66%)
3. 2차전지(생산)(-0.43%)
4. 백화점(-0.27%)
5. 육계(-0.22%)
6. 비료(-0.20%)
7. 기업인수목적회사(SPAC)(+0.11%)
8. 정유(+0.13%)
9. 소매유통(+0.13%)
10. 코로나19(카모스타트)(+0.19%)

📌 종목
😎 코스피 수익률 상위
1. 이스타코(+29.99%)
2. 일성건설(+29.92%)
3. 비비안(+29.92%)
4. 아센디오(+29.89%)
5. 형지엘리트(+29.86%)
6. 오리엔트바이오(+29.73%)
7. 평화홀딩스(+26.20%)
8. 흥국화재우(+23.53%)
9. 한솔PNS(+20.99%)
10. 동원금속(+20.38%)

😱 코스피 수익률 하위
1. 다올투자증권(-12.48%)
2. 제일약품(-7.58%)
3. BGF리테일(-6.03%)
4. 시프트업(-5.75%)
5. 호텔신라우(-5.27%)
6. 제일파마홀딩스(-5.01%)
7. 지역난방공사(-4.74%)
8. 코리안리(-4.53%)
9. 디씨엠(-4.44%)
10. 에스원(-4.35%)

😎 코스닥 수익률 상위
1. 동신건설(+30.00%)
2. 형지글로벌(+29.97%)
3. 오리엔트정공(+29.92%)
4. 디젠스(+29.88%)
5. 알로이스(+29.88%)
6. 에이텍(+29.84%)
7. 형지I&C(+29.70%)
8. 에이텍모빌리티(+29.62%)
9. iMBC(+29.56%)
10. 수산아이앤티(+29.40%)

😱 코스닥 수익률 하위
1. 제닉스(-10.15%)
2. 휴먼테크놀로지(-8.69%)
3. 우양에이치씨(-8.41%)
4. 푸드나무(-7.76%)
5. 자연과환경(-7.28%)
6. 태성(-7.27%)
7. 소룩스(-7.00%)
8. 상지건설(-6.91%)
9. 케이피티유(-6.85%)
10. 네오크레마(-6.46%)

🏅 ETF
🤩 국내 ETF 수익률 상위
1. PLUS 한화그룹주 / +5.29%
2. SOL 화장품TOP3플러스 / +5.23%
3. PLUS 우주항공&UAM / +4.84%
4.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 +4.81%
5.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 +4.78%
6. PLUS K방산 / +4.63%
7. RISE 플랫폼테마 / +4.56%
8. SOL 의료기기소부장Fn / +4.53%
9. TIGER 인터넷TOP10 / +4.43%
10. TIGER K방산&우주 / +4.36%
🛸 외국인/기관 매매 상위
(코스피)
🤑 외국인 순매수 상위
1. 두산에너빌리티(+1.71%) / 133.9억
2. KODEX 200선물인버스2X(-3.06%) / 48.1억
3. 에이피알(+1.29%) / 47.6억
4. TIGER 차이나항셍테크(+0.97%) / 46.1억
5. 더존비즈온(+4.90%) / 40.2억
6. 산일전기(-0.19%) / 40.1억
7. LS ELECTRIC(+0.40%) / 35.9억
8. 포스코인터내셔널(-1.12%) / 33.7억
9.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3.04%) / 33.3억
10. 삼성E&A(+2.88%) / 32.4억

🤑 기관 순매수 상위
1. SK하이닉스(+3.30%) / 1669.3억
2. KODEX 200선물인버스2X(-3.06%) / 922.4억
3. KB금융(+0.76%) / 327.4억
4. HD현대일렉트릭(+3.77%) / 303.9억
5. 삼성전자(+1.73%) / 274.6억
6. LG에너지솔루션(-1.94%) / 262.4억
7. 현대건설(+1.25%) / 240.3억
8. HD현대중공업(+4.30%) / 236.6억
9. 한화에어로스페이스(+7.34%) / 224.9억
10. HD현대미포(+8.06%) / 202.2억

😭 외국인 순매도 상위
1. SK하이닉스(+3.30%) / 3376.4억
2. 삼성전자(+1.73%) / 2086억
3. 현대차(+0.71%) / 861.9억
4. 한미반도체(+2.20%) / 537.2억
5. LG에너지솔루션(-1.94%) / 491.1억
6. 삼성SDI(+2.71%) / 478.8억
7. HD현대일렉트릭(+3.77%) / 364.9억
8. 크래프톤(+1.64%) / 301.9억
9. KB금융(+0.76%) / 254.2억
10. 아모레퍼시픽(+4.44%) / 225.8억

😭 기관 순매도 상위
1. KODEX 레버리지(+3.07%) / 1721.6억
2.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5.54%) / 1078억
3. KODEX 200(+1.43%) / 319.5억
4.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1.32%) / 182.8억
5. KODEX 코스닥150(+2.77%) / 151.2억
6. TIGER 미국S&P500(+1.01%) / 148.4억
7. 셀트리온(+3.43%) / 148.3억
8. ACE KRX금현물(-0.14%) / 144.9억
9. KODEX 2차전지산업레버리지(-0.20%) / 124.6억
10. KODEX 미국나스닥100(+0.93%) / 102.9억

(코스닥)
🤑 외국인 순매수 상위
1. 코오롱티슈진(+1.23%) / 79.6억
2. 리가켐바이오(+4.32%) / 74.3억
3. 필옵틱스(-0.75%) / 59억
4. 에스엠(-1.12%) / 36.4억
5. 쏠리드(+4.08%) / 25.9억
6. 고영(+1.62%) / 25.4억
7. 디앤디파마텍(+4.79%) / 23.4억
8. ISC(+1.74%) / 19.2억
9. 휴젤(+4.48%) / 18.9억
10. 클로봇(+1.18%) / 18.1억

🤑 기관 순매수 상위
1. 알테오젠(+4.35%) / 560억
2. 파마리서치(+5.42%) / 93.8억
3. 삼천당제약(+5.52%) / 84.5억
4. 에코프로(-2.32%) / 77.8억
5. 에코프로비엠(-0.52%) / 72.9억
6. 파크시스템스(-0.24%) / 53.8억
7. HLB(+5.26%) / 48.6억
8. 노머스(-4.32%) / 39.1억
9. 메디톡스(+2.75%) / 35.9억
10. 브이티(+8.05%) / 33.6억

😭 외국인 순매도 상위
1. 에코프로(-2.32%) / 487.2억
2. 알테오젠(+4.35%) / 445.4억
3. HLB(+5.26%) / 97억
4. 에코프로비엠(-0.52%) / 65.2억
5. 파마리서치(+5.42%) / 60.9억
6. 셀트리온제약(+3.20%) / 47.9억
7. 펩트론(+15.76%) / 40.1억
8. 카카오게임즈(+2.30%) / 38억
9. 씨젠(+4.07%) / 32.6억
10. 오리엔트정공(+29.92%) / 31.8억

😭 기관 순매도 상위
1. 코오롱티슈진(+1.23%) / 101.4억
2. 디앤디파마텍(+4.79%) / 53.8억
3. 올릭스(+7.18%) / 53.3억
4. ISC(+1.74%) / 33.7억
5. 온코닉테라퓨틱스(-2.70%) / 27억
6. 루닛(+0.51%) / 26.2억
7. 비에이치아이(+0.52%) / 25.4억
8. 에스엠(-1.12%) / 25.2억
9. 테크윙(+5.89%) / 22.7억
10. 젬백스(+1.82%) / 21.4억


* 위 내용은 금융시장 관련 단순 데이터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2025-04-01 미국증시 요약>>

SK증권 주식시황 조준기

📈 인덱스

🗽 미국
다우존스: 41989.96(-0.03%)
S&P 500: 5633.07(+0.38%)
나스닥종합: 17449.89(+0.87%)
러셀2000: 2012.24(+0.02%)
VIX: 21.77(-2.29%)

🛕 유럽
유로스톡스50: 5320.30(+1.37%)
FTSE 100: 8634.80(+0.61%)
DAX: 22539.98(+1.70%)
CAC 40: 7876.36(+1.10%)

🐯 한국
미국 상장 한국 ETF(EWY): 54.85(+1.50%)

💰 FICC

📜 금리
미국채 2년물: 3.89%(-0.02)
미국채 10년물: 4.16%(-0.09)
미국채 30년물: 4.52%(-0.10)

💲 환율 및 암호화폐
달러인덱스: 104.23pt(+0.02%)
USD/KRW: 1469.93(+0.04%)
USD/JPY: 149.63(+0.01%)
USD/CNY: 7.27(+0.09%)
EUR/USD: 1.08(-0.27%)
GBP/USD: 1.29(-0.14%)
비트코인: 85298.76(+3.33%)
이더리움: 1918.30(+5.20%)

🍇 원자재
WTI: 71.14(-0.48%)
천연가스: 3.95(-4.05%)
가솔린: 2.30(+0.95%)
금: 3120.60(-0.07%)
은: 34.37(-0.25%)
구리: 5.03(+0.25%)

👓 스타일
전세계: +0.33%
미국 전체: +0.34%
미국 제외 글로벌: +0.29%
선진국: +0.35%
신흥국: +0.33%
대형주: +0.37%
중형주: +0.33%
소형주: +0.32%
대형 성장: +0.90%
대형 가치: -0.23%
중형 성장: +0.06%
중형 가치: +0.65%
소형 성장: +0.46%
소형 가치: +0.26%
모멘텀: +0.38%
퀄리티: +0.44%
로우볼: -0.04%
고배당: -0.22%

📊 업종

📟 섹터

임의소비재: +1.13%
통신서비스: +1.02%
IT: +0.95%
부동산: +0.87%
산업재: +0.60%
에너지: +0.58%
소재: +0.32%
유틸리티: +0.30%
필수소비재: +0.28%
금융: -0.16%
헬스케어: -1.75%

📚 세부업종

😎 Top Gainers
1. 자동차: +3.20%
2. 건설자재: +1.53%
3. 섬유·의류 및 명품: +1.50%
4. 건설 및 엔지니어링: +1.46%
5. 전기 장비: +1.45%
6. 소프트웨어: +1.44%
7. 에너지 장비 및 서비스: +1.26%
8. 레저용품: +1.06%
9.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0.96%
10. 건축 제품: +0.96%

😱 Top Losers
1. 제약: -3.81%
2. 여객 항공사: -3.14%
3. 바이오텍: -1.33%
4. 담배: -0.88%
5. 자동차 부품: -0.59%
6. 헬스케어 장비 및 용품: -0.48%
7. 항공 화물 및 물류: -0.37%
8. 식품: -0.19%
9. 금융 서비스: -0.15%
10. 헬스케어 업체 및 서비스: -0.05%

🎈 테마(ETF)

😎 Top Gainers
1. 비트코인 채굴 (WGMI): +7.05%
2. 디지털 전환 (DAPP): +5.87%
3. 블록체인 (BKCH): +5.42%
4. 수소 (HYDR): +2.41%
5. 핀테크 (ARKF): +1.95%
6. Magnificent 7 (MAGS): +1.81%
7. 게임 (ESPO): +1.73%
8. SNS (SOCL): +1.69%
9. 원자력 (NUKZ): +1.49%
10. 메타버스 (METV): +1.48%

😱 Top Losers
1. 게놈혁명 (ARKG): -2.70%
2. 유럽 럭셔리 (FINE): -0.95%
3. 대마초 (MSOS): -0.77%
4. 고령사회 (AGNG): -0.64%
5. E커머스 (EBIZ): -0.53%
6. 3D프린팅 (PRNT): -0.50%
7. 리튬/배터리 (LIT): -0.49%
8. 사물인터넷 (SNSR): -0.21%
9. 인도 인터넷 (INQQ): -0.14%
10. 자율주행 (DRIV): +0.00%


📌 종목
(😲 거래상위)
1. NVIDIA Corporation (NVDA) (+1.63%)
2. Tesla, Inc. (TSLA) (+3.59%)
3. Ford Motor Company (F) (-0.90%)
4. Lucid Group, Inc. (LCID) (+4.55%)
5. Palantir Technologies Inc. (PLTR) (+0.33%)
6. American Airlines Group Inc. (AAL) (-2.37%)
7. Intel Corporation (INTC) (-2.91%)
8. Nu Holdings Ltd. (NU) (+1.86%)
9. Sprott Physical Silver Trust (PSLV) (-0.69%)
10. SoFi Technologies, Inc. (SOFI) (+2.41%)

(😆 거래급증)
1. Newsmax, Inc. (NMAX) (+179.01%)
2. CoreWeave, Inc. Class A Common Stock (CRWV) (+41.77%)
3. ReShape Lifesciences Inc. (RSLS) (+341.05%)
4. Johnson & Johnson (JNJ) (-7.59%)
5. Waton Financial Limited Ordinary Shares (WTF) (+396.25%)
6. bioAffinity Technologies, Inc. (BIAF) (+319.23%)
7. Hims & Hers Health, Inc. (HIMS) (+5.08%)
8. Pfizer Inc. (PFE) (-3.16%)
9. Rivian Automotive, Inc. (RIVN) (+6.67%)
10. nCino, Inc. (NCNO) (+2.37%)

(🤑 수익률 상위)
1. PVH Corp. (PVH) (+18.24%)
2. Hesai Group (HSAI) (+17.77%)
3. CleanSpark, Inc. (CLSK) (+12.50%)
4. Progress Software Corporation (PRGS) (+12.13%)
5. Core Scientific, Inc. (CORZ) (+10.50%)
6. AUO Corporation (AUOTY) (+9.54%)
7. Rumble Inc. (RUM) (+8.91%)
8. WNS (Holdings) Limited (WNS) (+8.29%)
9. Galaxy Digital Holdings Ltd. (BRPHF) (+8.06%)
10. Bloom Energy Corporation (BE) (+8.04%)

(😭 수익률 하위)
1. Corcept Therapeutics Incorporated (CORT) (-19.51%)
2. Vaxcyte, Inc. (PCVX) (-14.65%)
3. Immunovant, Inc. (IMVT) (-11.06%)
4. Pony AI Inc. (PONY) (-10.54%)
5. Ionis Pharmaceuticals, Inc. (IONS) (-9.65%)
6. Avidity Biosciences, Inc. (RNA) (-9.42%)
7. Crinetics Pharmaceuticals, Inc. (CRNX) (-8.71%)
8. Xenon Pharmaceuticals Inc. (XENE) (-8.67%)
9. PTC Therapeutics, Inc. (PTCT) (-8.56%)
10. Verona Pharma plc (VRNA) (-7.80%)


* 위 내용은 금융시장 관련 단순 데이터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SK 증권 강대승][주식전략 코멘트] 관세 발표 후 미국의 상대적 강세 예상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계획 발표

- 10%의 보편관세 및 일부 국가에 대한 높은 상호관세 부과 계획
- 자동차,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은 상호관세 부과에서 제외
- 캐나다, 멕시코의 경우 USMCA 해당 제품은 무관세 이외 품목은 이민, 마약 문제 해결전까지 25% 관세 유지

관세 불확실성 해소 이후 미국 주식시장 일시적 반등 기대
- 2018년 관세 실제 부과 이후 주식시장은 미국 무역 정책 관련 불확실성 하락에 반응하여 반등
- 1분기 예상보다 미국 경제지표가 양호할 수 있으며 현재 크게 조정받았다는 점에서 저가매수세 출현 가능

비미국 주식시장의 약세 예상
- 관세에 대한 비미국 주식시장의 대응 방식은 세가지: 수용, 협상, 보복관세
- 세가지 모두 해당 국가의 이익을 일부 포기한다는 점에서 미국 대비 상대적 약세를 보일 가능성 높음
- 특히 한국의 경우 외국인 수급과 관련이 높은 원화 강세 발판 마련이 요원해 졌다는 점도 염두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AapSyqC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025-04-03 국내증시 요약>>
SK증권 주식시황 조준기

📈 코스피
- 종가: 2,486.70pt (-19.16pt, -0.76%)
- 거래대금: 8.2조
- 수급: 개인 +7,983억, 외국인 -13,751억, 기관 +4,577억
- 프로그램: 전체 -7,749억, 차익 +86억, 비차익 -7,835억
- 상승/하락: 상한가 2, 상승 277, 보합 52, 하락 609, 하한가 0

📈 코스닥
- 종가: 683.49pt (-1.36pt, -0.20%)
- 거래대금: 5.7조
- 수급: 개인 +660억, 외국인 -645억, 기관 +36억
- 프로그램: 전체 -563억, 차익 +20억, 비차익 -583억
- 상승/하락: 상한가 5, 상승 584, 보합 119, 하락 1017, 하한가 1

💸 수급
- 코스피: 개인 7,983, 외국인 -13,751, 기관계 4,577 / 금융투자 646, 보험 176, 투신 928, 은행 -115, 연기금 2,722, 국가 0, 기타법인 1,190

- 코스닥: 개인 660, 외국인 -645, 기관계 36 / 금융투자 203, 보험 -15, 투신 -65, 은행 -16, 연기금 16, 국가 0, 기타법인 -51

- 선물: 개인 -3,114, 외국인 -5,261, 기관계 8,717 / 금융투자 9,242, 보험 -137, 투신 -176, 은행 -37, 연기금 -251, 국가 76, 기타법인 -342

💰 FICC
- 원달러환율(USD/KRW): 1,465.40(+2.10)
- 달러인덱스(pt): 103.49(+0.45)
- 엔달러환율(USD/JPY): 149.70(+0.45)
- WTI: 71.71(+0.51, 0.72%)
- 금: 3,166.20(+20.2, 0.64%)
- 천연가스: 4.055(+0.104, 2.63%)
- 은: 34.65(+0.341, 0.99%)
- 국고채 3년(%): 3.36(-0.06)
- 회사채(무보증AA-)(%): 4.50(-0)
- 미국채 10년(%): 2.97(-0.11)
- 미국채 30년(%): 2.83(+0.02)

📊 업종
😎 수익률 상위
1. 우주항공과국방(+4.09%)
2. 제약(+3.58%)
3. 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2.77%)
4. 건축제품(+1.82%)
5. 에너지장비및서비스(+1.55%)
6. 조선(+1.53%)
7. 무역회사와판매업체(+1.43%)
8. 다각화된통신서비스(+0.91%)
9. 소프트웨어(+0.90%)
10. 방송과엔터테인먼트(+0.78%)

😱 수익률 하위
1. 전자제품(-5.45%)
2. 해운사(-3.54%)
3. 전자장비와기기(-3.52%)
4. 디스플레이패널(-3.49%)
5. 전기제품(-3.30%)
6. 인터넷과카탈로그소매(-3.11%)
7. 비철금속(-2.98%)
8. 은행(-2.43%)
9. 가구(-2.30%)
10. 전문소매(-2.30%)

🎈 테마
😎 수익률 상위
1. 4대강 복원(+3.28%)
2. 인터넷 대표주(+3.15%)
3. 일자리(취업)(+2.95%)
4. 선박평형수 처리장치(+2.39%)
5. 조선(+2.34%)
6. 미디어(방송/신문)(+2.18%)
7. 강관업체(Steel pipe)(+2.07%)
8. K-뉴딜지수(바이오)(+1.86%)
9. 2025 상반기 신규상장(+1.62%)
10. DMZ 평화공원(+1.45%)

😱 수익률 하위
1. mRNA(메신저 리보핵산)(-2.16%)
2. 공기청정기(-2.17%)
3. LPG(액화석유가스)(-2.32%)
4. 무선충전기술(-2.35%)
5. K-뉴딜지수(2차전지)(-2.43%)
6. IT 대표주(-2.54%)
7. 증강현실(AR)(-2.74%)
8. 타이어(-2.82%)
9. 2차전지(생산)(-3.11%)
10. 아이폰(-3.31%)

📌 종목
😎 코스피 수익률 상위
1. 에넥스(+29.97%)
2. 평화홀딩스(+29.88%)
3. 평화산업(+21.47%)
4. 금강공업(+10.18%)
5. 엠앤씨솔루션(+8.75%)
6. 한국카본(+8.52%)
7. 넥스틸(+8.18%)
8. 금강공업우(+8.14%)
9. 우성(+7.66%)
10. 인디에프(+7.38%)

😱 코스피 수익률 하위
1. 흥국화재우(-22.47%)
2. 지누스(-19.91%)
3. 형지엘리트(-17.22%)
4. 비비안(-12.11%)
5. 영원무역(-10.83%)
6. 제이에스코퍼레이션(-10.29%)
7. 일성건설(-10.10%)
8. 코오롱모빌리티그룹우(-9.87%)
9. 한세실업(-8.54%)
10. 삼성전기(-8.50%)

😎 코스닥 수익률 상위
1. 웹스(+30.00%)
2. 소프트캠프(+30.00%)
3. 아즈텍WB(+29.98%)
4. 유라클(+29.95%)
5. 상지건설(+29.93%)
6. 유일로보틱스(+28.08%)
7. 웹케시(+26.96%)
8. 미트박스(+22.44%)
9. 에르코스(+20.00%)
10. 유라테크(+18.63%)

😱 코스닥 수익률 하위
1. 올리패스(-29.85%)
2. 초록뱀미디어(-25.68%)
3. 아이엠(-25.20%)
4. 제이에스티나(-21.83%)
5. 셀레스트라(-20.63%)
6. 대원미디어(-14.34%)
7. 알로이스(-13.38%)
8. KD(-13.16%)
9. 디젠스(-13.01%)
10. 스맥(-12.59%)

🏅 ETF
🤩 국내 ETF 수익률 상위
1.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 / +3.80%
2. SOL K방산 / +3.36%
3.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 +3.17%
4. PLUS K방산 / +3.08%
5. SOL 미국테크TOP10인버스(합성) / +2.99%
6. RISE 미국반도체인버스(합성 H) / +2.97%
7. TIGER K방산&우주 / +2.97%
8. ACE 일본TOPIX인버스(합성 H) / +2.82%
9. ACE 미국빅테크TOP7 Plus인버스(합성) / +2.79%
10. TIGER 바이오TOP10 / +2.79%
🛸 외국인/기관 매매 상위
(코스피)
🤑 외국인 순매수 상위
1. KB금융(-4.22%) / 144.5억
2. 삼성전기(-8.50%) / 121.7억
3. NAVER(+1.53%) / 100.8억
4. 현대로템(+1.72%) / 73.1억
5.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0.42%) / 66.3억
6. 기업은행(-1.24%) / 64.4억
7. 삼성물산(-1.01%) / 60.8억
8. SK텔레콤(-0.18%) / 54.6억
9. HD현대마린솔루션(+0.54%) / 48.4억
10. 하나금융지주(-2.81%) / 40.5억

🤑 기관 순매수 상위
1. SK하이닉스(-1.67%) / 1552.3억
2. 아모레퍼시픽(-0.92%) / 302.9억
3. HD현대미포(+1.47%) / 249.3억
4. HD현대중공업(+1.55%) / 221.7억
5. KODEX 200선물인버스2X(+2.67%) / 203.2억
6. POSCO홀딩스(-0.37%) / 186.6억
7. 삼성바이오로직스(+6.00%) / 119.8억
8. CJ(-2.46%) / 118.3억
9. 현대차(-1.27%) / 99.1억
10.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0.12%) / 94.8억

😭 외국인 순매도 상위
1. SK하이닉스(-1.67%) / 1231.7억
2. 현대차(-1.27%) / 506.5억
3. 삼성SDI(-1.77%) / 333.7억
4. POSCO홀딩스(-0.37%) / 316.9억
5. 셀트리온(+2.24%) / 297.5억
6. 삼성전자(-2.04%) / 276.9억
7. 삼성중공업(+0.94%) / 235.8억
8. LG에너지솔루션(-4.26%) / 227.5억
9. 아모레퍼시픽(-0.92%) / 219.1억
10.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0.46%) / 181.2억

😭 기관 순매도 상위
1. 현대로템(+1.72%) / 338.4억
2.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0.46%) / 331.4억
3. 삼성전자(-2.04%) / 317.4억
4. KODEX 레버리지(-2.60%) / 299.7억
5. 셀트리온(+2.24%) / 200.7억
6. 에이피알(-0.78%) / 156.3억
7. NAVER(+1.53%) / 118.3억
8. 두산에너빌리티(-1.46%) / 114.3억
9. SK이노베이션(-3.30%) / 104.3억
10. LG화학(-4.09%) / 99.2억

(코스닥)
🤑 외국인 순매수 상위
1. 에코프로비엠(-0.22%) / 44.1억
2. 코오롱티슈진(-1.50%) / 31.9억
3. 루닛(+1.46%) / 25.4억
4. 네이처셀(-2.80%) / 23.1억
5. 대진첨단소재(-10.39%) / 18.1억
6. 아이씨티케이(+1.84%) / 17.1억
7. 슈프리마(+0.69%) / 16.6억
8. 필옵틱스(-1.07%) / 16.2억
9. 노머스(+4.28%) / 16.1억
10. SAMG엔터(+0.36%) / 12.9억

🤑 기관 순매수 상위
1. 실리콘투(-5.96%) / 102.6억
2. 클래시스(0.00%) / 99.5억
3. HLB생명과학(-0.30%) / 45억
4. 원텍(+0.69%) / 37.4억
5. 티씨케이(-2.89%) / 34.9억
6. 휴젤(-2.51%) / 32.2억
7. 태광(-0.69%) / 31.4억
8. 파마리서치(-2.86%) / 31.2억
9. 메디톡스(+6.03%) / 29.5억
10. 동성화인텍(+3.15%) / 29억

😭 외국인 순매도 상위
1. HLB(+0.53%) / 204.4억
2. 알테오젠(+0.69%) / 119억
3. 에이비엘바이오(+4.85%) / 114억
4. 삼천당제약(+4.74%) / 90.9억
5. 지아이이노베이션(+1.24%) / 68.9억
6. 레인보우로보틱스(+1.31%) / 54.6억
7. 에이텍(-7.94%) / 54.2억
8. 리가켐바이오(+2.01%) / 49.6억
9. 보로노이(+0.27%) / 48.4억
10. 휴젤(-2.51%) / 45.3억

😭 기관 순매도 상위
1. 에이비엘바이오(+4.85%) / 81.2억
2. 에코프로비엠(-0.22%) / 49.6억
3. 디앤디파마텍(+0.66%) / 40억
4. 루닛(+1.46%) / 38.4억
5. 리가켐바이오(+2.01%) / 32.8억
6. 펌텍코리아(+0.37%) / 32.8억
7. 올릭스(-0.36%) / 24.7억
8. 오름테라퓨틱(+7.05%) / 22.5억
9. HLB(+0.53%) / 19.6억
10. 테크윙(-1.40%) / 18.4억


* 위 내용은 금융시장 관련 단순 데이터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SK 증권 조준기] Buy What Money Can’t Buy


• 근로 소득만으로는 부자가 되기 힘든 세상이 되었습니다.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다면 눈에 보이는 임금 증가보다 실제 임금이 올라가는 속도는 매우 느리고 소득에서 마저도 빈익빈 부익부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미 빈부 격차는 심한데, 인플레이션이 오면 식품과 주거비가 서비스 물가보다 강하게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부자보다 저소득층이 더 힘들게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 우리가 체감하기에도 기술의 발전이나 생산성의 향상은 꽤나 크게 이루어졌습니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생산성의 상승은 재화의 가격 하락을 동반해야 하는데, 물가는 오히려 크게 올랐습니다. 물가가 오르고, 주식과 금 가격이 장기 우상향하는 이유의 대부분은 통화량 증대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산성 증대는 분명 실존하지만 눈높이 조정은 필요해 보입니다. 어쨌든 우리는 명목의 세계에 살고 있기 때문에 통화량의 증가에 따른 화폐 가치 하락으로부터 살아남을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 그러면 어떻게 해야 부자가 될 수 있을까요? 일단 예금을 열심히 해서 부자가 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투자의 세계는 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다양한 위험이 존재하지만, 소득이 월등히 높지 않은 이상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투자는 필수적입니다. 통화량은 계속 증가하고 화폐의 가치는 계속 하락할 것이기 때문에 통화량의 증가 속도보다 양이 느리게 늘어나거나, 늘어나지 않거나, 오히려 줄어드는 자산을 긴 호흡을 가지고 보유해야 합니다.

• 가장 대표적인 자산이 미국 주식이 될 것입니다. 중단기적으로는 변동폭이 클 수 있으나 지금까지 이어져 왔던 기본 전제들이 이어진다는 가정 하에서는 장기적 우상향에 대한 믿음을 버릴 필요는 없습니다. 과거 닷컴버블이나 금융위기 등의 사례 때 전고점을 회복하는 데에 시간이 매우 오래 걸렸던 경험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있었던 위기 사례들에서 시장을 살리려는 미국 정부와 연준의 행동을 보았을 때 과거 대비 회복 속도는 빠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희소성 관점에서는 국내 주식이 상대적으로 매력도가 낮은 상황이 이어져 왔지만 최근 나타나고 있는 주주 권한 확대 등의 변화들은 분명히 긍정적입니다. 이밖에 장기 우상향해온 금도 매력도가 여전히 높으며, 작년 현물 ETF가 상장되며 제도권에 편입된 비트코인 등도 현재 정도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면 유망한 선택지로 평가합니다.




보고서 원문: https://buly.kr/AapTKKR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조준기] [Market Nowcast] 천천히 날카롭게


[Last Week] 관세 리스크 극대화

- 지난 주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극대화에 글로벌 증시 일제히 부진. 지역별로는 미국이 가장 약했고 일본과 유로존 또한 부진. 그나마 중화권과 한국 증시는 선방하는 흐름 확인

- 지난 주 일주일동안 외국인은 코스피 현물을 -6조원 가까이, 선물도 -3조원가량 순매도하면서 바스켓으로 국내 증시를 던졌고, 이에 따라 대형주들이 중소형주 대비 언더퍼폼하는 흐름. 전체적으로 다 빠지는 가운데 조선(+3.6%) 등 상대적으로 편한 선택지만 선방

- 4/4(금),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을 재판관 8대 0 전원일치 의견으로 파면. 국내 증시는 선고 직후 높은 강도의 매도 물량 출회와 장 막판 어느 정도의 매수세 유입이 나타나면서 높은 변동성을 보임. 조기 대선일은 6월 3일이 유력. 당장은 미국 쪽 난리가 더 큰 영향력을 보이겠지만 시간이 점차 지날수록 대선 관련 민감도 높은 시장 목도할 가능성 높으며 대선 정책 관련 모멘텀 생성 가능


[Week Ahead] 믿을 건 가격과 시간

- 국내 증시 종료 이후에 미국 증시가 나스닥 중심으로 또다시 투매 나오면서 국내 증시도 장초 험악한 분위기에서 시작할 확률 높음. 주말 중 빌 애크먼의 관세 부과 연기 가능성 주장 등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쏟아지나 너무 큰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나을 듯

- 시장이 이성적이라고 보기 힘든 상황으로 밸류에이션 저점 등의 논리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고 봄. 문제가 단기간에 깔끔하게 해결될 수 없기에 추가적인 노이즈 발생 시 낙폭 더 나올 수 있는 상황이며 반등이 나온다 하더라도 그 폭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 추가 낙폭의 잠재적인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에도 이미 가격에는 상당 부분 반영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미국 S&P500 지수 올해 고점 대비 -17%, 나스닥 올해 고점 대비 -23%)이며 각종 기술적 지표들도 최악(CNN Fear & Greed Index 4pt- 25pt부터 Extreme Fear / VIX 45.4pt / 미국 S&P500 RSI 23.25, 나스닥 RSI 24.49). 당장 추가 낙폭 발생하면서 평가손실 더 나올 수 있겠지만 천천히 분할 매수를 실행하는 것이 손익비 높은 판단. 물론 이 과정에서
감당 불가능한 정도의 레버리지 사용은 금물

- 거대한 매크로의 광풍에 주목을 못 받을 수도 있겠으나 미국 1분기 실적시즌이 이번 주부터 시작되며 경제지표들의 만회도 반드시 필요(미국 애틀랜타 연은 1분기 GDPNow 예상치 -2.8%, 금 수출입 데이터 관련 조정하더라도 -0.8%). 미국 실적시즌: JP모건과 웰스파고 등 금융주들이 금요일 미국 증시 장전에 실적 발표할 예정이며, 경제지표의 경우에는 미국/중국 등 주요국 물가지표와 시장을 한번 크게 흔들었던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등이 금주 공개 예정






보고서 원문: https://buly.kr/EI3P0hY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 증권 황지우][이익의 흐름] 이벤트를 반영하지 않은 밸류에이션

▶️ 코스피, 코스닥의 선행 영업이익 추정치는 각각 +1.57%, +2.71%를 기록 (추정치가 52 주 유지된 종목 기준)

▶️ 전 주 추정 기간이 변경되며 12 개월 선행 이익 추정치는 크게 상승했으나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 등 경기방어 업종의 하락률이 비교적 낮게 관찰됨

▶️ 전 주는 코스피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가 크게 조정받는 가운데 분기 변경에 따른 이익 추정치의 상승이 반영되며 증시 Fundamental value/시가총액 비율은 약 1.033 수준을 기록. 밸류에이션 관점에서는 위험 자산에 대한 비중 유지/확대가 유효하지만 현재 증시를 주도하는 것은 밸류에이션이 아닌 이벤트라는 것을 주의해야함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D3e691J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조준기] [Market Nowcast]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까


[Last Week] 관세 따라 이리저리


- 관세 노이즈 이어지는 가운데 주 후반에는 국가별 상호관세 90일 유예 등 강경했던 트럼프의 태도가 변하는 것이 감지되며 주간으로는 전약후강의 패턴. 가장 크게 빠졌던 미국 증시가 가장 많이 오르는 것을 확인. S&P 500과 나스닥종합지수 기준 지난 주 일평균 장중 고점-저점 사이의 변동 폭은 각각 6.7%, 7.7%에 달했으며 정규 거래 시간 외 선물시장 당시 변동성까지 감안하면 더 심했음

- 미국과 중국이 보복 관세를 주고받다 보니 어느새 미국의 대중 관세율은 145%,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25%까지 상승. 그래도 중국은 125%로 올리면서 앞으로는 무시하겠다(관세율을 더 올리지는 않고 다른 방식으로 대응) 발언했고 미국은 더 올리지는 않았음. 여기에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IT 제품들이 제외된 리스트가 공개되며 센티먼트 개선 기대감 생성되었고 반도체 관련 관세 정책은 월요일에 공개 예정

- 미국 단기자금과 채권시장 변동성에 연준에서도 구두 개입에 나서는 모습.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필요하다면 금융시장에 개입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발언을 하며 시장 안도감 증대. 연준 입장에서도 시장 변동성 장기화되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해석


[Week Ahead] 과도한 낙관과 비관 모두 경계

- 단기적으로 관세 리스크 관련 불확실성은 지난 주가 피크였을 가능성이 높고 국내 증시 입장에서도 호재성 요인들이 유입되며 고통스러웠던 지난 주보다는 나은 분위기 전개될 가능성 높다는 판단. 다만 관세 노이즈는 아예 사라진 다기보단 트럼프의 변덕에 따라 언제든 다시 변동성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낮지 않아 계속 주시할 필요

- 미국 CPI(헤드라인/코어 각 MoM -0.1%, +0.1%로 예상치 하회)와 미시간대 서베이 결과(소비자심리지수 50.8로 시장 예상치인 54를 크게 하회, 기대인플레 급등 - 1Y 6.7%(전월치 5%), 5Y 4.4%(전월치 4.1%)를 종합해보면 하드 데이터는 견고한데 소프트 데이터는 박살남. 이러한 상황 이어질수록 실물 경제도 실제로 악화될 가능성 높아 장기 지속은 트럼프 입장에서도 부담스러움

- 미국 1분기 실적시즌 시작된 가운데 JP모건 등 금융주들 일제히 10~20%정도의 어닝서프라이즈 기록했으나 관세 이슈 등을 이유로 어닝 콜 톤은 좋지 못했음. 관세 노이즈 계속 이어진다면 비슷한 상황 이번 실적시즌 내내 목격할 가능성 높을 것

- 지난 주에도 외국인은 코스피 현선물 합계 5.5조원 넘게 순매도하며 코스피 외국인지분율은 31.6%까지 하락(작년 말 32.4%, 작년 고점 36.1%). 연초 이후 외국인 코스피 순매도 대금은 현선물 합계 20조원이 넘음. 수급 많이 비어 있는 가운데 유입을 만들어 줄 만한 상황만 만들어지면 업사이드 크게 나올 수 있다는 생각이며 금요일날 급락한 환율이 지속성 보여줄 수 있을지에 주목




보고서 원문: https://buly.kr/2fdQoLC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원유승, 윤원태] [Issue Comment] 4월 금통위 프리뷰: 동결 + 5월 인하 시그널


▶️ 4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전망: 환율 변동성 확대가 문제

▶️
서울시 토허제 해제·재지정에 따라 가계부채 증가 추이도 확인 필요

▶️ 관전포인트는 5월 인하 시그널: 경기에 더 집중할 한은

▶️ 물가, 아직 우려할 부분은 아니다

▶️ 시장금리 완만한 하락 전망. 초점을 5월 인하 시그널에 맞출 것


보고서 원문: https://buly.kr/44xVOL1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 증권 박유진, 강대승] [China Comment] 좋았던 1분기 경제지표, 본게임은 2분기부터

1. 경제 회복 자신감 나타낸 25년 1분기 GDP

- 소매판매: 재화 중심 개선 가속화
- 산업생산: 신규수주 확대 효과

2. 2분기 GDP는?

- 수출: 미중 무역분쟁 격화로 순수출 악화 불가피
- 내수: 2분기 경제 성장의 핵심 변수. 현행 정책과 나타나고 있는 지표 변화



보고서 원문: https://buly.kr/90ajDEv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조준기] [Market Nowcast] 실적시즌으로


[Last Week]

- 관세 관련 노이즈 지속되나 시장 민감도는 현저히 낮아진 상태로 미국 지역 제외하고 대부분의 증시는 강세 시현. 관세 폭풍 시작된 이후 연중 고점을 회복한 증시는 없으나 대부분 저점 대비 6~10% 오르면서 하락 폭의 절반 혹은 그 이상을 만회한 상황. 낙폭 과대 인식에 의한 반등은 상당 부분 가격에 이미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 추가 상승 동력 위해서는 여기서 더 진전되는 그림이 필요

- 국내 증시 외국인 매도세 지속되고 있으나 그 강도는 대폭 축소(코스피 현물 외국인 지난 주 -1.3조 순매도, 이전 2주동안 -10조 순매도)되었으며 선물시장에서는 순매수 전환. 외국인이 국내증시 같은 EM을 살 때 고려하는 가장 큰 2가지 요소가 1) 매크로 리스크, 2) 환율인데 두 요소 모두 여기서 악화되지 않는다면 자금 유입 기대해볼 만한 상황으로 해석


[Week Ahead]
- 이번 주 핵심 변수는 실적시즌이 될 가능성 높음. 관세 쪽 잡음 계속되겠지만 피크는 쳤다면 기존에 시장이 신경을 썼어야 할 것들에 대한 민감도 올라갈 시점으로 판단. 이번 주에는 주요국 PMI 제외하면 경제지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며 실적에 시장 관심도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 미국에서는 알파벳과 테슬라가 실적 발표 예정이며 한국도 SK하이닉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 현기차 등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일정 예정되어 있음. 한국/미국 실적 캘린더는 9-12p 참고

- 미국 1분기 GDPNow 예상치는 4월 17일 데이터 기준으로 -2.2%. -4%가까이에서 나름(?) 지표 호조로 개선된 것이며 금 수출입 영향분 조정 반영 시에는 -0.1%까지 개선됨. 당장은 지표가 박살나면서 연준이 나서기를 기대하는 Bad is Good이 발동될 가능성 낮지 않으나 조금 길게 보면 개선되는 방향이 낫긴 할 듯. 실제 1분기 성장률 예비치 발표일은 다음 주 수요일(30일)

- 국내 증시 이익추정치는 반년 가까이 이어지던 가파른 추정치 하향 조정 추세를 멈추고 3월 중반부터는 소폭 반등한 상태. 이미 시장 눈높이 낮아질 대로 낮아져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낮은 기대치를 충족시킬 정도의 숫자만 제공된다면 시장도 긍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 높다는 생각

- 국내 한정으로는 대선 일정도 매매에 고려해야 함. 민주당은 현재 경선 일정 진행중이며 27일 최종 대선 후보 확정 예정인데 이재명 후보가 90% 가까운 득표율로 최종 후보 유력, 불확실성 높은 국민의힘 최종후보는 5월 3일 최종후보 확정 예정. 이러한 과정 속에서 AI 관련 투자처럼 공약으로 제시되는 업종/테마에 자금 쏠리는 현상 빈번하게 나타날 가능성 높음

- 유럽과 홍콩 증시는 월요일 부활절 휴장, 매매 일정에 참고할 필요




보고서 원문: https://buly.kr/C09dKzn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조준기] [Market Nowcast] 초점 이동


[Last Week]
- 글로벌 증시 강세 지속된 가운데 최근 언더퍼폼하던 미국 증시가 글로벌 증시를 크게 아웃퍼폼. 트럼프발 관세 관련 잡음 지속되나 리스크가 피크를 치고 내려가고 있다는 인식 넓게 퍼지며 가격 보상 진행 중

- 실적 시즌은 우려와 달리 순조롭게 진행 중. S&P 500 기업들 중 36%정도 실적 발표한 가운데 어닝서프라이즈비율은 77% 정도. 국내 증시도 크게 서프라이즈 낸 조선주 중심으로 강세가 나오고 있음. 최근 일주일 동안 코스피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추정치는 0.8%, 0.2% 상향 조정되었고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1.4%, 0.3% 상향 조정

[Week Ahead]
- 관세 관련해서는 과도한 낙관과 비관 모두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이번 주 시장 대응에서 초점 자체를 실적시즌과 경제지표에 좀 더 집중할 필요. 기술적 지표상 중립 정도까지는 회복된 가운데 추가 상승 여력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판단

- 1) 실적시즌: 미국은 이번 주에만 S&P500 전체의 36.3%에 해당하는 기업이 실적 발표할 예정(이번 실적시즌 지금까지 발표한 기업 개수보다 더 많음)이며 Magnificent 7 기업들 중 4개 기업(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 실적이 모두 이번 주에 나오기 때문. 실적 측면에서는 이번 주가 시장에 가장 큰 영향력 미칠 예정(엔비디아는 5/28 예정). 국내도 삼성전자 등 중요도 높음

- 2) 경제지표: 결국 지금까지의 지표를 요약하자면 소프트 데이터들은 무너져 있고 하드 데이터들은 버티고 있는 상황. 이번 주는 설왕설래가 많은 미국 1분기 GDP 성장률 발표 예정. 애틀랜타 연은 GDPNow 내 금 수출입 반영분 조정 모델은 -0.4%로 예상(4/24 기준)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 컨센서스는 0.5% 전후로 형성. 고용 지표도 금요일 발표 예정인데 서프라이즈 크게 났던 전월치의 절반 정도에 시장 기댓값 형성되어 있어 눈높이 자체는 높지 않음. 화요일 새벽 발표 예정인 미국 재무부 리펀딩 계획도 주목

- 지난 주 외국인 매도세가 현저히 축소되는 것을 확인(최근 4주간 코스피 현물 외국인 주간 매도 대금: -5.9조 -> -4.1조 -> -1.3조 -> -1200억원대). 선물 순매수 대금까지 고려하면 지난 주는 순매수 전환으로 보아도 될 듯. 외국인 매도세 이어지고는 있지만(코스피 현물 YTD -16.7조) 최근 점차 강도 약해지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연기금(+6.2조)과 기타법인(+7.4조)이 매수를 해주며 크게 비어 있는 외국인 수급만 돌아선다면 업사이드 더 크게 나오기 충분한 환경

- 휴장 일정이 국가별로 산발적으로 있어 매매 일정에 참고할 필요. 미국 증시는 금주 휴장 일정 없지만 화요일은 일본, 목요일은 국내증시와 중화권 및 유럽 대부분, 금요일은 중국만 휴장 예정








보고서 원문: https://buly.kr/5q79XQk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 증권 강대승][주식전략 코멘트] 5월 한국 주식시장: 상승 동력 탐색 시간

- 5 월 한국 증시의 제한적 강세를 전망
- 미국-한국 협상이 진행되면서 관세로 인한 주식시장 하락 압력이 일부 완화될 것
- 다만, 수출 및 내수 부진에 따른 한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한국 주식시장의 상승 폭을 제한할 것으로 보임
- 올해 1 분기 한국 주식시장이 지금 보다 낮은 관세율, 높은 경제성장 기대 하에서 기록한 밸류에이션 고점이 단기적인 상단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90anCwC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 증권 조준기] QRA Update: 유동성 2Q>3Q, 주가는 저렴

2Q25 QRA - Key Facts
1) 오늘 새벽 공개된 미국 재무부의 2분기(4~6월) 차입 추정치는 5,140억 달러로 올해 2월 초에 제시되었던 예상치 대비 3,910억 달러 증가. 이는 분기 초 낮아져 있는 TGA 잔고와 순 현금 흐름 감소 예상에 기인하며 SOMA 상환액 하향도 부분적으로 상쇄 효과. 정부가 재정 지출을 과도하게 해서 발생한 결과는 아니고, 지난 분기에 예상보다 순발행을 적게(예상치 대비 -4,460억 달러) 한 것을 보완하는 영향이 큼. 이를 감안할 경우 이번 분기 차입 추정치는 2월 예상치 대비 530억 달러 낮음. 분기 말 TGA 잔고 목표치는 8,500억 달러 유지
2) 3분기 차입 예상치는 3분기 말 TGA 잔고 8,500억 달러를 가정하고 5,540억 달러로 제시됨
3) 만기별 발행 규모 등 추가적인 관련 디테일은 미국 현지 시간으로 4월 30일 오전 8시 30분에 발표 예정(한국 시간 기준 저녁 9시 30분)

3월 FOMC로 QT 규모 감소 – 통화정책 유동성 흡수량 축소 요인
지난 달 있었던 3월 FOMC에서 미 연준은 양적 긴축(QT) 속도를 완화했는데, 미 국채에 대한 월간 상환 한도를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하향 조정함(MBS 월간 상한 한도는 350억 달러로 유지). 기존에도 연준은 월간 상환 한도를 꽉 채워서 양적 긴축을 해 오지 않아 왔기 때문에 앞으로도 낮아진 상한선보다 적은 양적 긴축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음. 이는 시장 유동성 흡수 규모의 감소 요인으로 판단

재정정책 유동성 효과: 2Q 보합, 3Q 하락
당초 지금 크게 낮아져 있는 TGA 잔고(1분기말 기준 3천억 달러, 현재 5,700억 달러 수준)를 감안했을 때 2분기 차입 추정치가 상향 조정되지 않는다면 유동성 측면에서 극도로 비우호적인 환경 전개 우려했으나 추정치가 크게 상향 조정되며 이번 분기 재정정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효과는 보합 정도의 효과를 예상. 3분기차입 추정치 감안 시 2분기보다 재정정책 유동성 효과는 다소 감소하는 궤적 전망

그럼에도 유동성 환경 대비 많이 낮아진 주가
현재 재정/통화정책 유동성의 주가 설명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노이즈로 낮아져 있음. 유동성 대비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한 상황을 감안할 경우 반대로 노이즈 걷히며 기존 설명력 높았던 구간으로 복귀할 경우에는 주가 회복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는 판단. 관세 이슈의 향후 방향성 속단하기 어려우나 적어도 유동성 측면에서만 바라본다면 손익비 유리한 위치로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buly.kr/2Jo0IQx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 증권 황지우][퀀트전략] 이길 수 없다면 합류하라


- 2020년 이후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그 이전과는 사뭇 다름. 단순히 규모면에서 폭증한 것이 아니라 달라진 정보 전달 속도와 투자자 편의에 맞춘 MTS 및 ETF로 무장한 그들의 영향은 매우 강화된 군집 행동(Herding Behavior)으로 발현 중

- 과거의 밸류에이션을 참고하여 비싸다고 판단되는 종목들을 매도하거나, 남들도 다 안다는 이유로 주도주를 외면하는 과거의 투자 방식은 리스크가 훨씬 높아짐. 다만 모멘텀 투자는 필연적으로 가격 반전의 위험을 감수할 수 밖에 없으며, 그동안 상승을 지지해왔던 완화적 통화정책 수단이 묘연해지고 있는 만큼 모멘텀 전략의 위험은 확대되었다고 판단. 이에 따른 잠재적인 위험 관리가 필요한 시점

- 우선 모멘텀을 지탱해준 정책이 억제되는 가장 큰 이유가 가격 상승 압력이라는 가정 하에선 자산군 중 물가연동채권(TIPS) 등의 헷지 자산에 비중을 배부하는 것이 합리적. 한편 모멘텀 포트폴리오 내 위험을 절감하기 위해 Hierarchical Risk Parity 모델을 적용해본 결과, HRP 기반 비중 조절 전략이 동일 비중 전략에 비해서 고유위험(Idiosyncratic risk)을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킨 것으로 관찰됨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D3eEUjL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